KR20180003534U - 복합 튜브 쿠션 - Google Patents

복합 튜브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534U
KR20180003534U KR2020170002713U KR20170002713U KR20180003534U KR 20180003534 U KR20180003534 U KR 20180003534U KR 2020170002713 U KR2020170002713 U KR 2020170002713U KR 20170002713 U KR20170002713 U KR 20170002713U KR 20180003534 U KR20180003534 U KR 20180003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tube
insertion portion
present
tub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규
고영숙
조항희
Original Assignee
박홍규
조항희
고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규, 조항희, 고영숙 filed Critical 박홍규
Priority to KR2020170002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534U/ko
Publication of KR20180003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복합 튜브 쿠션이 개시된다. 복합 튜브 쿠션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중앙부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튜브부재와, 튜브부재의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 표면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튜브 쿠션{COMPLEX TUBE CUSHION}
본 고안은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용 튜브 또는 방석 기능이 가능한 복합 튜브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은 인간과 함께 더불어 생활하는 반려동물로서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키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애완동물을 위한 생활 용품들의 진보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애완동물의 용품에 대한 연구개발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과 함께 취미 생활을 함께 하는 경우, 수영장 등에서 물놀이를 함께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아울러, 고령화 핵가족화 사회가 됨에 따라 강아지나 고양이들을 실내에서 키우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강아지나 고양이 경우 먹이를 먹거나 쉴 경우 바닥에 앉거나 엎드리지 않고 주로 방석에 앉거나 엎드리므로, 별도의 방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애완견 등의 애완 동물과 물놀이를 하는 과정을 보조하는 튜브 등의 놀이구 또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에 고양이가 쉬는 경우 필요한 방석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애완동물용 튜브와 방석을 함께 휴대하기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83170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영장 등에서 튜브 용도로 사용하고, 수영장의 외부에서 방석으로 기능 변환이 가능한 복합 튜브 쿠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중앙부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튜브부재와, 튜브부재의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 표면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튜브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튜브부재의 삽입을 위한 제1 개폐부가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와, 쿠션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쿠션부재의 삽입을 위한 제2 개폐부가 형성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부재의 측면과 쿠션부재의 측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마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는 튜브부재의 상기 삽입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의 물놀이에 사용되는 튜브 기능 또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로 애완 동물이 이용하는 방석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을 키우는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 목적을 달리하면서, 튜브 또는 방석으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튜브 쿠션의 튜브부재와 쿠션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의 쿠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합 튜브 쿠션(100)은, 강아지 등의 애완용 동물이 사용하는 것으로, 수영장에서 사용하는 튜브 기능 또는 야외 또는 실내에서 사용하는 방석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실시예의 복합 튜브 쿠션(100)은 강아지 등의 애견 용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양이 등의 소정의 애완 동물이 사용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변경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튜브 쿠션의 튜브부재와 쿠션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100)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중앙부에는 삽입부(12)가 형성되며 삽입부(12)의 저면에는 배수구(12a)가 형성된 튜브부재(10)와, 튜브부재(10)의 삽입부(1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 표면에는 안착부(21)가 형성되는 쿠션부재(20)를 포함한다.
튜브부재(10)는 원형의 대략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부력에 의해 물에 뜨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부재(10)는 강아지 등의 애완용 동물의 발톱에 의해 표면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표면에는 발수 코팅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부재(10)는 원형의 대략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다각형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브부재(10)의 내부에는 부력 발생을 위해 에어가 충진될 수 있다. 튜브부재(10)의 측면에는 에어 주입을 위한 공기 주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재(10)의 중앙부에는 삽입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는 튜브부재(10)의 중앙 부분에 원형으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부(12)는 튜브부재(10)의 중앙 부분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12)는 튜브부재(10)의 재질과 동일한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배수구(12a)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2a)는 삽입부(12)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2a)는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12)의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배수구(12a)가 삽입부(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바, 삽입부(12)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튜브부재(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부재(10)는 배수구(12a)가 형성된 상태로 삽입부(12)의 내부에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이 위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의 물놀이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튜브부재(10)의 삽입부(12)의 내부에는 쿠션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다.
쿠션부재(20)는 삽입부(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삽입부(1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부재(20)가 튜브부재(10)의 삽입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수영장 등의 물놀이 시설의 외부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로 애완 동물이 앉은 상태로 방석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쿠션부재(20)는 튜브부재(10)에 삽입된 상태로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방석의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여, 튜브 기능 또는 방석 기능의 선택적 사용에 따른 사용자 만족감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쿠션부재(20)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표면에는 발수 코팅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20)는 애완 동물이 상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상부 표면에 안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는 쿠션부재(20)의 상부에 편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는 PVC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애완 동물의 안락감을 향상시키도록 PVC 재질과 상이한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20)는 본 실시예에서 튜브부재(10)의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 위치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로 방석 등의 용도로 단독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튜브 쿠션(100)은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의 물놀이에 사용되는 튜브 기능 또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 위치된 상태로 애완 동물이 이용하는 방석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강아지 등의 애완 동물을 키우는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 목적을 달리하면서, 튜브 또는 방석으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200)은, 튜브부재(10)가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튜브부재의 삽입을 위한 제1 개폐부(111)가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110)와, 쿠션부재(20)가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쿠션부재(20)의 삽입을 위한 제2 개폐부(121)가 형성되는 제2 커버부재(120)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재(110)는 튜브부재(10)의 외표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튜브부재(10)의 삽입을 위한 제1 개폐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튜브부재(10)는 제1 커버부재(110)의 제1 개폐부(111)를 통해 제1 커버부재(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개폐부(111)는 제1 커버부재(110)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지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버부재(110)는 튜브부재(10)의 외표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은, 튜브부재(10)를 물이 없는 편평한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서 애완견이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 목적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커버부재(110)는 애완견이 누운 상태에서 안락감을 부여하도록 촉감이 향상된 직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커버부재(110)는 페브릭 재질 등 접촉 촉감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커버부재(120)는 쿠션부재(20)의 외표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쿠션부재(20)의 삽입을 위한 제2 개폐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쿠션부재(20)는 제2 커버부재(120)의 제2 개폐부(121)를 통해 제2 커버부재(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21)는 제2 커버부재(120)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지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커버부재(120)는 튜브부재(10)의 외표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은, 튜브부재(10)를 물이 없는 편평한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서 애완견이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 목적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커버부재(120)는 제1 커버부재(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튜브 쿠션(200)은, 제1 커버부재(110)가 피복된 튜브부재(10)와 제2 커버부재(120)가 피복된 쿠션부재(20)를 애완견이 눕거나 앉아 사용하는 방석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물놀이 용도 또는 방석 용도로 용도 변경하여 사용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300)은, 튜브부재(10)와 쿠션부재(20)의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10)가 부착된다.
고정부재(210)는 튜브부재(10)와 쿠션부재(2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벨크로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20)는 튜브부재(10)의 삽입부(12)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은, 제1 커버부재(110)의 저면에는 마찰면(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튜브부재(10)를 방석으로 사용하는 경우 마찰면(310)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의 쿠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합 튜브 쿠션의 쿠션부재(420)의 내부에는 탄성 충진재(421)가 충진된다.
탄성 충진재(421)는 복수개의 스티로폼 알갱이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420)의 완충 및 탄성력을 더옥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튜브부재 12...삽입부
12a..배수구 20...쿠션부재
21...안착부 110..제1 커버부재
111..제1 개폐부 120..제2 커버부재
121..제2 개폐부 210..고정부재
310..마찰면 421..탄성 충진재

Claims (4)

  1.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중앙부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부 표면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쿠션부재;
    를 포함하는 복합 튜브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상기 튜브부재의 삽입을 위한 제1 개폐부가 형성되는 제1 커버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상기 쿠션부재의 삽입을 위한 제2 개폐부가 형성되는 제2 커버부재;
    를 더 포함하는 복합 튜브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의 측면과 쿠션부재의 측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마찰면이 형성되는 복합 튜브 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삽입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합 튜브 쿠션.

KR2020170002713U 2017-06-01 2017-06-01 복합 튜브 쿠션 KR20180003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13U KR20180003534U (ko) 2017-06-01 2017-06-01 복합 튜브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713U KR20180003534U (ko) 2017-06-01 2017-06-01 복합 튜브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34U true KR20180003534U (ko) 2018-12-18

Family

ID=6495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713U KR20180003534U (ko) 2017-06-01 2017-06-01 복합 튜브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53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170A (ko) 2014-01-08 2015-07-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170A (ko) 2014-01-08 2015-07-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832B2 (en) Animal bed assembly
US20160309678A1 (en) Nestable Pet Bed
US11117061B2 (en) Combination stuffed character and sleeping bags
KR200465073Y1 (ko) 운동기능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사육장치
KR20180003534U (ko) 복합 튜브 쿠션
JP3167836U (ja) ソファ
KR20170110973A (ko) 반려동물용 다기능 매트
US20060260549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bed
KR101695637B1 (ko)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KR102157081B1 (ko) 반려동물용 놀이터 구조
KR102073878B1 (ko) 애완동물용 먹이 주머니 패널
KR102002645B1 (ko) 애완 동물 하우스
KR102206064B1 (ko)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US8443760B2 (en) Cat feeding enclosure
EP0622018A1 (en) Dual-layered cushion for pets
US10905095B2 (en) Bed for an animal and method
KR200487948Y1 (ko) 가변 애완 동물 하우스
KR200497932Y1 (ko) 애완용 동물의 둥지
KR200324245Y1 (ko) 애완동물용 소파
KR20200114556A (ko) 애완동물용 행동 교정 매트
KR102428823B1 (ko) 애완동물용 식탁
KR20190002328U (ko) 애완동물용 방석
KR20200006660A (ko) 애완동물용 소파
US6665897B2 (en) Crown bed
KR20230001853U (ko) 통풍구조가 개선된 다용도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098;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0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18

Effective date: 201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