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08A -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08A
KR20180003408A KR1020170030512A KR20170030512A KR20180003408A KR 20180003408 A KR20180003408 A KR 20180003408A KR 1020170030512 A KR1020170030512 A KR 1020170030512A KR 20170030512 A KR20170030512 A KR 20170030512A KR 20180003408 A KR20180003408 A KR 2018000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ower supply
cover
instrument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도미타
겐이치 우치다
유타카 야마모토
겐이치 오키
다카하루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21V23/009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the casing being inside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조명 기구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산성이 높은 조명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부착면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11)로서, 부착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부착면측의 반대측에 볼록부가 형성된 기구 본체(21)와, 기구 본체(21)의 볼록부에 배치되는 광원부(41)와, 광원부(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구 본체(21)의 오목부 내에 부착되는 전원부(31)를 갖는다. 전원부(31)는, 전원 부착 부재인 스페이서(40)에 의해, 기구 본체(21)와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부착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원으로서 LED 소자를 구비한 조명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천정면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실링 라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조명 기구는, 본체 베이스(15), 절연판(17), 점등 회로 기판(19), 방열판(21), LED 소자 실장 기판(23), 투광성을 갖는 커버 부재(25), 쉐이드 부착구(29), 및, 쉐이드(13)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조명 기구에서는, 전원부(점등 회로 기판(19))가 바닥이 있는 오목 형상의 본체 베이스(15)의 표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광원부(LED 소자 실장 기판(23))가 방열판(21)의 표면측에 배치된다. 본체 베이스(15)는, 방열판(21)의 배면측에 부착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3-4805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조명 기구에 있어서는, 전원부를 구비한 본체 베이스(15)를, 광원부를 구비한 방열판(21)에 부착할 때에, 전원부와 광원부를 접속 배선에 의해 접속할 필요가 있다. 광원부측으로부터 신장한 접속 배선을 전원부에 접속시키려고 한다. 이때, 본체 베이스(15)와 방열판(21)을 가까이하여 접속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 되고, 조립 작업이 번잡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전원부가 본체 베이스(15)의 오목 형상 부분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접속 배선이 짧으면, 접속 작업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조명 기구의 구성으로서는, 조명 기구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산성이 높은 조명 기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명 기구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산성이 높은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다.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는,
부착면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로서,
부착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부착면측의 반대측에 볼록부가 형성된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의 볼록부에 배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기구 본체의 오목부 내에 부착되는 전원부를 갖는 것이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 부착 부재에 의해, 상기 기구 본체와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를 덮는 전원 커버를 가지며,
상기 전원 커버는, 상기 기구 본체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하는 부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 회로 부품과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소자가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지며,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광원부의 발광 소자와 같은 방향이 되도록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채널 전환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채널 전환 스위치는, 상기 전원 회로 부품과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버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커버의 표면에 상기 채널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전원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주광원으로서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지며,
적어도 1개의 상기 기판에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접속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는, 평면에서 볼 때 전원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실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 기구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를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본 사시도.
도 2는, 동일하게 조명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기구 본체를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동일하게 조명 기구(투광성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조사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동일하게 조명 기구를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동일하게 조명 기구를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광원부(LED 광원 모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광원부(LED 광원 모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전원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보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기구 본체를 비스듬한 하방에서 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1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11)는, 복수의 LED 소자(42)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 기구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 기구(11)는, 천정 등의 부착면(도시 생략)에 직접 부착되는 실링 라이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명 기구(11)의 광을 조사하는 측을 조명 기구(11)의 조사면측으로 하고, 조명 기구(11)에 있어서의 천정 등의 부착면에 대향하는 측을 조명 기구(11)의 부착면측(설치 상태에서는 천정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조명 기구(11)의 상하 방향은, 조명 기구(11)가 천정 등의 부착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도 2,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조명 기구(11) 등을 본 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로 한다. 상하 방향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부터 조명 기구(11) 등을 본 상태를 '측면에서 볼 때'로 한다.
조명 기구(11)는, 주로 기구 본체(21), 전원부(31), 광원부(41), 투광성 커버(51), 전원 커버(61), 부착부(71), 수신부(81), 및 보호 커버(91)를 갖고 있다. 조명 기구(11)는,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원형이다.
기구 본체(21)는, 조명 기구(11)의 본체의 일례이다. 기구 본체(21)는, 이른바 베이스나 샤시라고 불리는 부재이다. 기구 본체(21)는, 편평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 윤곽 형상이 원형이다. 기구 본체(21)는, 조사면측에 광원부(41), 보호 커버(91) 및 투광성 커버(51) 등을 유지하는 것이다. 기구 본체(21)는, 부착면측에 전원부(31), 부착부(71) 및 전원 커버(61) 등을 유지한다.
기구 본체(21)는, 부착면측에 오목부(수용부(26)의 부착면측의 부분)가 형성된다. 기구 본체(21)는, 부착면측의 반대측이 되는 조사면측에 볼록부(수용부(26)의 조사면측의 부분)가 형성되어 있다. 기구 본체(2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2), 내주연부(23), 저판부(24), 둘레 벽부(25), 수용부(26), 및 플랜지부(27)를 갖고, 단일의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구 본체(21)에서는, 저판부(24)의 조사면측이 광원부(41)를 부착하기 위한 광원 부착부(24a)가 된다. 기구 본체(21)는, 광원 부착부(24a)를 조사면측의 볼록부의 정상부에 갖는다. 기구 본체(21)는, 철 혹은 알루미늄, 또는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된 기구 본체(21)는, 전원부(31), 부착부(71), 전원 커버(61), 보호 커버(91) 및 투광성 커버(51) 등을 유지 가능한 내구성이나 강도를 갖는다. 또, 전원부(31) 및 광원부(41)가 발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열전도성을 갖는다. 또한, 기구 본체(21)는, 내구성, 강도 및 방열성이 높은 재료이면, 전술한 금속 재료로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합금 재료 또는 수지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주연부(23), 저판부(24), 둘레 벽부(25), 수용부(26), 및 플랜지부(27)를 기구 본체(21)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 구성 부재를 각각 조립하여 구성해도 된다.
개구부(22)는, 부착부(71)가 노출하는 원형의 개구 부분이다. 개구부(22)는, 기구 본체(21)의 지름 방향 중심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내주연부(23)는, 개구부(22)의 주연 부분이다. 내주연부(23)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이다. 내주연부(23)는, 부착부(71)의 타단(하단)이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부분이다. 내주연부(23)에는, 부착부(71)의 타단을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저판부(24)는, 내주연부(23)의 주위에 원환상으로 형성된 판상 부분이다. 저판부(24)는, 조사면측에 광원부(41)가 부착되는 평탄면인 광원 부착부(24a)를 갖는다.
광원 부착부(24a)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LED 광원 모듈(44)이 소정 위치에 부착 가능한 평탄면을 갖는다. LED 광원 모듈(44)이, 광원 부착부(24a)의 평탄면에 맞닿아 부착된다. 광원 부착부(24a)는, 광원부(41)에서 발생한 열을 전해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로서도 기능한다. 그 때문에, 광원부(41)가 부착되는 광원 부착부(24a)는, 광원부(41)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24)의 내주연의 근방에는, 긴 구멍 형상의 삽입 통과 구멍(24b)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 통과 구멍(24b)은, 일단에 접속 단자를 가진, 전원부(31)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부분이다.
저판부(24)의 내주연의 근방에는, 수신부(81)가 갖는 수광 소자(82)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광창(24c)이 설치되어 있다. 수광창(24c)은, 평면에서 볼 때 타원 형상의 개구이다. 수광창(24c)은, 삽입 통과 구멍(24b)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저판부(24)의 외주연의 근방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관통 구멍(24d)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24d)은, 보호 커버(91)가 갖는 클로우부(95)와 끼워 맞춰진다. 복수의 관통 구멍(24d)은, 저판부(24)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 배치되어 있다.
둘레 벽부(25)는, 저판부(2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부분이다.
수용부(26)는, 내주연부(23), 저판부(24) 및 둘레 벽부(25)에 의해 형성되는 편평하고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부분이다. 수용부(26)는, 평면에서 볼 때 외형 형상이 원형이다. 수용부(26)는, 부착면측에서 보면 하방을 향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사면측에서 보면 하방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6)는, 내부에 전원부(31), 부착부(71) 및 전원 커버(61)가 수용되어 부착되는 부분이다. 부착부(71)는, 인괘 실링 어댑터 등의 배선 부품(110)이 부착된다. 부착부(71)는, 배선 부품(110)을 개재하여, 천정 등의 부착면측에 배치된 배선 기구와 조명 기구(1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수용부(26)의 저면이 되는 저판부(24)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24e)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24e)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스페이서(40)의 일단을 삽입 통과하고, 스페이서(40)를 저판부(24) 상에 세워 설치하기 위한 부분이다.
플랜지부(27)는, 수용부(26)의 주위에 형성된다. 플랜지부(27)는, 둘레 벽부(25)의 상단의 외부연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환상의 부분이다. 플랜지부(27)는, 기구 본체(21)의 외주연 부분이다. 플랜지부(27)의 조사면측에는, 투광성 커버(51)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유지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유지부(29)는, 플랜지부(27)에 균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 플랜지부(27)의 부착면측에는, 복수의 완충재(30)가 균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완충재(30)는, 조명 기구(11)를 천정 등의 부착면에 부착한 상태로, 부착면과 조명 기구(11)의 사이에 끼워져, 그 탄성력에 의해 조명 기구(11)의 덜컹거림을 방지한다.
전원부(31)는, 광원부(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구 본체(21)의 오목부인 수용부(26) 내에 부착된다. 전원부(31)는, 광원부(41)가 갖는 LED 소자(42)(도 7 참조)에 급전을 행하여, LED 소자(42)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 회로이다. 전원부(31)는, 장방 형상으로 가공된 프린트 배선 기판인 전원 기판(33) 상에 복수의 전원 회로 부품 등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전원 회로이다. 전원부(31)는,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소정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류를 기판(43)에 실장된 복수의 LED 소자(42)에 공급한다. 전원 기판(33)은, 전원 회로 부품 등의 전자 부품의 실장면측을 하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된다. 전원 기판(33)의 실장면측(하면측)에는, 전원 회로 부품 등의 전자 부품, 수광 소자(82) 및 채널 전환 스위치(8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전원부(31)는, 전원 회로 부품 등의 전자 부품과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소자(82)가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원부(31)는, 전원 회로 부품 등의 전자 부품과 채널 전환 스위치(83)가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원부(31)에서는, 전원 회로 부품 등의 전자 부품과 수광 소자(82)가 전원 기판(33)의 한쪽의 표면(하면)에 실장되어 있다. 전원 기판(33)에는, 기구 본체(21)의 수광창(24c)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신부(81)의 수광 소자(82)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전원 기판(33)의 일단부에는, 채널 전환 스위치(83)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부(31)는, 기구 본체(21)의 저판부(24)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스페이서(40)를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스페이서(40)는, 전원 부착 부재의 일례이다. 스페이서(40)에 의해, 전원부(31)는, 기구 본체(21)의 저판부(24)와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전원부(31)의 전원 기판(33)은, 저판부(24)에 대해서 평행이 되도록 복수의 스페이서(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구 본체(21)의 저판부(24)와 전원부(31)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전기적 절연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또, 상기 소정의 공간을 가짐으로써, 통기성이 좋아지고, 방열성이 향상한다. 전원부(31)에는 커넥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 기구(11)를 천정 등의 부착면에 부착할 때, 전원부(31)의 커넥터를 배선 기구측의 커넥터(도시 생략)에 접속함으로써, 전원부(31)는 조명 기구용의 천정 배선 기구를 통해 외부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부(31)와 광원부(41)는 배선(도시 생략)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 기판(33)은, 평면에서 볼 때 장방 형상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린트 배선 기판의 기판 소재(원기판)를 커트하여 복수의 프린트 배선 기판을 제작할 때에, 호상 등의 곡면을 갖는 형상보다 효율적으로 절취 가능하다. 그 때문에, 기판 소재의 폐기하는 부분이 적고, 제조 코스트가 억제된다.
광원부(41)는, 조명 기구(11)의 조사면측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부분이다. 광원부(41)는, 기구 본체(21)의 볼록부(수용부(26)의 조사면측의 부분)에 배치된다. 광원부(41)는, 복수의 LED 소자(42)를 갖는다. 광원부(41)는, 저판부(24)의 조사면측의 광원 부착부(24a) 상에 배치된다. 광원부(41)는, 평판 형상이다. 광원 부착부(24a)는,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광원부(41)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장)의 LED 광원 모듈(44)을 갖고 있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평판 형상 모듈 기판인 기판(43(43a, 43b)) 상에 복수의 점광원인 LED 소자(42)가 실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LED 소자(42)는, 기구 본체(21)의 개구부(22)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LED 광원 모듈(44)은, 기구 본체(21)가 갖는 유지부(29)보다 조사면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투광성 커버(51)에 유지부(29)의 그림자가 나오기 어렵다.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a)에는, 주광원으로서 LED 소자(42)와,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로서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가 실장되어 있다.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후술하는 커넥터(4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는, 기판(4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에 실장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는, 평면에서 볼 때 전원부(3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실장되어 있다. 또,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는, 평면에서 볼 때 전원 커버(6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와, 전원부(31) 및 전원 커버(61)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주광원인 LED 소자(42)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LED 광원 모듈(44)이 갖는 기판(43)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소정 폭을 갖는 반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장의 LED 광원 모듈(44)이 이용되지만, 각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은, 모두 반원환상으로 유사한 형상이지만 외형 윤곽 형상의 일부가 다르다. 한쪽의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a)은, 내주측의 한쪽의 모서리부를 L자 형상으로 절결한 형상이다. 즉, 기판(43a)은, 내주측의 둘레 방향 일단을 L자 형상으로 절결한 절결부(43a1)를 갖는다. 기판(43a)은, 원주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지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부(43a2)와, 단부(43a3)를 갖는다. 단부(43a2)는, 절결부(43a1)에 연속 설치된다. 다른쪽의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b)은, 내주측의 한쪽의 모서리부를 소정 형상으로 절결한 형상이다. 즉, 기판(43a)은, 내주측의 둘레 방향 일단을 수광창(24c) 및 삽입 통과 구멍(24b)을 노출하도록 절결한 절결부(43b1)를 갖는다. 기판(43b)은, 원주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지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단부(43b2)와, 단부(43b3)를 갖는다. 단부(43b2)는, 절결부(43b1)에 연속 설치된다.
기판(43a) 및 기판(43b)에서는, 각각의 내주측의 둘레 방향 일단을 절결한 절결부(43a1) 및 절결부(43b1)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소재(원기판)를 커트하여 복수의 기판을 제작할 때에, 절결부(43a1) 및 절결부(43b1)에 기판(43a) 및 기판(43b)의 외주측의 둘레 방향의 일단을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절취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기판 소재의 폐기하는 부분이 적고, 제조 코스트가 억제된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43a2)와 단부(43b3), 단부(43a3)와 단부(43b2)를 대향시켜 광원 부착부(24a)에 배치된다. 또, 각 LED 광원 모듈(44)에는, 전원부(31)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인 커넥터(45)를 갖고 있다. 커넥터(45)는, 각 LED 광원 모듈(44)에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42)에 급전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단부(43a3)와 단부(43b2)를 대향시켜 LED 광원 모듈(44)을 배치했을 때에, 이웃하는 LED 모듈(44)의 커넥터(45)들은, 근방이 되도록 배치된다. 커넥터(4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전원부(31)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LED 광원 모듈(44)간은, 전기적 혹은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부품에 의해 접속해도 된다. 각 LED 광원 모듈(44)간을 접속 부품에 의해 접속하여, 복수의 LED 광원 모듈(44)을 하나의 유닛으로 할 수도 있다. 반원환상의 2개의 LED 광원 모듈(44)을, 단부들을 대향시켜 광원 부착부(24a)에 배치함으로써, 원환상을 이룬 광원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각각에 대응하는 배선(도시 생략)을 각 커넥터(45)에 접속함으로써 전원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기판(43)의 실장면의 이면이 각 광원 부착부(24a)의 평탄한 표면에 맞닿아 고정되기 때문에, 각 LED 광원 모듈(44)이 발열했을 때에는, LED 광원 모듈(44)의 열이 기구 본체(21) 및 전원 커버(61)에 전해진다. 기구 본체(21)에 전해진 열은, 기구 본체(21)의 온도보다 주변 온도가 낮은 경우, 기구 본체(21) 주변의 공기에 전해진다. 이로 인해, 기구 본체(21)에 전해진 열은, 기구 본체(21)의 주위에 방열된다.
또한, 각 LED 광원 모듈(44)은, 열전도성 시트(도시 생략)나 방열 그리스를 통해 광원 부착부(24a)에 부착해도 되고, 이로 인해, 더욱 높은 방열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발광 소자의 일례인 표면 실장형의 LED 소자를 이용했지만, 광원의 종류는 LED 소자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OB(Chip on board)형 발광 모듈이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어도 실현 가능하다.
또, 기판(43a) 및 기판(43b)의 각 외주 단부(46)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가이드 볼록부(43c)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광원 부착부(24a)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조사면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복수의 돌출부에는, 각각 가이드 오목부(24f)(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24f)는, 가이드 볼록부(43c)를 감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43)이 갖는 가이드 볼록부(43c)를, 광원 부착부(24a)가 갖는 가이드 오목부(24f)에 끼워 맞춤으로써, 용이하게 LED 광원 모듈(44)을 광원 부착부(24a)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LED 광원 모듈(44)에서는, 동심원 형상(기판(43)의 지름 방향 내측, 지름 방향 중간, 지름 방향 외측의 3열)으로 복수의 LED 소자(42)가 배열되어 있다. LED 광원 모듈(44)에 있어서는, 기판(43)의 지름 방향 중간에 배열된 LED 소자(42)의 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1개)가 기판(43)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열된 LED 소자(42)의 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0개)보다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LED 소자(42)와 같은 지향성이 강한 광원을 이용한 조명 기구의 경우, 조명 기구(11)의 중앙부에 부착부(71)를 갖기 위해, 투광성 커버(51)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출사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투광성 커버(51)는, 그 중앙부가 하면측에 완만하게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기구 본체(2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LED 소자(42)는,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LED 소자(42)보다 투광성 커버(51)와의 거리가 길다. LED 소자(42)로부터 출사된 광은, 그 주위에 퍼지도록 확산되면서 투광성 커버(51)까지 도달한다. LED 소자(42)와 투광성 커버(51)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LED 소자(42)로부터 출사하는 광은, 주위로 그다지 확산되지 않고 투광성 커버(51)의 좁은 범위에 도달하고, 통과하는 광속이 많다. 한편, LED 소자(42)와 투광성 커버(51)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LED 소자(42)로부터 출사된 광은 주위로 확산되어 투광성 커버(51)의 넓은 범위에 도달하고, 통과하는 광속이 적어진다. 그 때문에, 기판(43)에 있어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 LED 소자(42)의 각 열이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면, 투광성 커버(51)의 중앙부가 외주측에 비해 어두운 인상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지름 방향 외측의 LED 소자(42)보다 지름 방향 내측의 LED 소자(42)를 이웃하는 간격이 짧아지도록 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중앙부도 밝고, 조명 기구(11)의 발광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투광성 커버(51)는, 기구 본체(21)의 조사면측을 덮도록 기구 본체(21)에 부착된다. 투광성 커버(51)는, 광원부(41)로부터의 광을 반사 및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배광하는 부재이다. 투광성 커버(51)는, 쉐이드 등을 포함한다. 투광성 커버(51)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성 커버(51)의 전체 형상은, 평면 형상이 원형이고, 하면측에 완만하게 돔 형상으로 부풀어 올라 있다. 투광성 커버(51)는, 기구 본체(21)에 대해서 부착 및 떼어내기가 가능하다. 투광성 커버(51)의 상면측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투광성 커버(51)를 기구 본체(21)가 갖는 플랜지부(27)에 부착하기 위한 피유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투광성 커버(51)의 형상은 일례이며, 돔 형상 외, 원통 형상이나 각통 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기구 본체(21)에는, 유지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29)는, 투광성 커버(51)의 피유지부(52)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 금구이다.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투광성 커버(51)를 기구 본체(21)의 부착 위치에 배치하여 투광성 커버(51)의 둘레 방향의 한쪽에 회동시키면, 투광성 커버(51)의 피유지부(52)가 기구 본체(21)의 유지부(29)에 유지된다. 이로 인해, 투광성 커버(51)가 기구 본체(21)에 부착된다. 또, 투광성 커버(51)가 기구 본체(21)에 부착된 상태로 투광성 커버(51)를 둘레 방향의 다른쪽으로 회동시키면, 투광성 커버(51)의 피유지부(52)가 기구 본체(21)의 유지부(29)로부터 벗어난다. 이로 인해, 투광성 커버(51)를 기구 본체(2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전원 커버(61)는, 전원부(31)를 덮는 금속제의 상자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부(31)를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했다. 전원 커버(61)는, 일단(하단)이 개방된 편평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부(31)가 수용됨과 더불어 부착부(71)가 부착되는 부재이다. 전원 커버(61)는, 기구 본체(21)의 수용부(26)(저판부(24))의 부착면측에 부착된다. 전원 커버(61)는, 평면에서 볼 때 기구 본체(21)의 오목부인 수용부(26)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다. 또, 전원 커버(61)의 내부에는, 어댑터 등의 배선 부품(11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71)가 부착된다. 전원 커버(61)는, 부착 구멍(62), 주연부(63), 천판부(64), 측벽부(65), 및 전원 커버 부착부(66)를 갖고 있다. 또, 전원 커버(61)는, 부착부(71) 등을 유지 가능한 내구성 및 강도와, 전원부(31) 및 광원부(41)가 발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열전도성을 고려하여, 철 혹은 알루미늄, 또는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 커버(61)는, 내구성, 강도 및 방열성이 높은 재료이면, 전술한 금속 재료 이외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원 커버(61)는, 그 외의 합금 재료나 수지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커버(61)는,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 등의 그 외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부착 구멍(62)은, 조명 기구(11)를 천정에 부착할 때, 인괘 실링 어댑터 등의 배선 부품(110)을 삽입 통과하는 원형의 개구 부분이다. 부착 구멍(62)은, 천판부(64)에 부착된 개구 부분이다. 부착 구멍(62)의 중심은, 전원 커버(61)의 천판부(64)의 중심으로부터 천판부(64)의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주연부(63)는, 부착 구멍(62)의 주연 부분이다. 주연부(63)는, 원환부(63a)와, 돌출면부(63b)를 갖고 있다. 돌출면부(63b)는, 원환부(63a)의 주위에 형성된다. 돌출면부(63b)는,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원환상의 면이다.
돌출면부(63b)는, 부착부(71)의 일단(상단)이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부분이다. 돌출면부(63b)는, 부착부(71)가 갖는 플랜지부(73)가 부착되는 부분이다. 돌출면부(63b)에는, 부착부(71)가 갖는 클로우부(74)가 끼워 맞춰지기 위한 관통 구멍(63c)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관통 구멍(63c)이 돌출면부(63b)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돌출면부(63b)에는, 부착부(71)를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63d)이 부착되어 있다. 클로우부(74)와, 관통 구멍(63c)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부착부(71)가 주연부(63)의 소정의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구멍(62)의 중심이 부착부(71)의 중심과 합치하는 위치)로 유도됨과 더불어, 가고정된다. 또한, 나사 부재를 나사 구멍(63d)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부착부(71)의 플랜지부(73)는 돌출면부(63b)에 고정된다. 즉, 부착부(71)는, 클로우부(74)와 관통 구멍(63c)의 끼워 맞춰짐과, 나사 부재로의 나사 고정에 의해, 전원 커버(61)에 고정된다.
천판부(64)는, 외경 윤곽 형상이 장방형 형상의 판상 부분이다. 측벽부(65)는, 천판부(64)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각통 형상의 부분이다. 전원 커버 부착부(66)는, 측벽부(65)의 하단으로서, 전원 커버(6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측벽부(65a)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판상 부분이다. 전원 커버 부착부(66)는, 전원 커버(61)를 기구 본체(21)의 수용부(26)에 부착했을 때에, 수용부(26)의 저면이 되는 저판부(24)에 맞닿는 부분이다. 전원 커버 부착부(66)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나사 부재에 의해 수용부(26)의 저판부(24)에 전원 커버 부착부(66)가 부착된다.
측벽부(65)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측벽부(65a) 중, 부착 구멍(6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한쪽의 제1 측벽부(65a)에는, 삽입 통과 구멍(65b)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 전환 스위치(83)를 삽입 통과 구멍(65b)에 삽입 통과하여, 채널 전환 스위치(83)의 선단부를 제1 측벽부(65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측벽부(65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채널 전환 스위치(83)의 선단부를 조작함으로써, 채널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즉, 제1 측벽부(65a)의 표면에 채널 전환 스위치(83)의 조작부가 형성된다.
전원 커버(61)는, 내부에 부착부(71)를 가진 상태로, 전원 커버 부착부(66)가 기구 본체(21)의 수용부(26)(저판부(24))에 맞닿아 부착된다. 전원 커버(61)는, 수용부(26) 내에 있어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원 커버(61)가 수용부(26)의 부착면측에 부착됨으로써, 부착부(71)의 일부가 기구 본체(21)의 개구부(22)로부터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원 커버(61)와 수용부(26)(저판부(24))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전원부(31) 및 부착부(71)를 수용하기 위한 높이 및 폭이 확보된다. 전원 커버(61) 내에 있어서, 전원부(31)는 부착부(71)와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부착부(71)는, 인괘 실링 어댑터 등의 배선 부품(110)을 부착하는 부분이다. 부착부(71)는, 원통부(72)와, 플랜지부(73)를 갖고 있다. 원통부(72)는, 기구 본체(21)의 개구부(22)보다 큰 지름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73)는, 원통부(72)의 일단측(상단측)의 외주연에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73)의 둘레 방향의 소정 위치에는, 부착부(71)의 일단(상단)을 나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전원 커버(61)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73)의 부착면측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클로우부(74)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클로우부(74)는, 전원 커버(61)가 갖는 관통 구멍(63c)에 끼워 맞춤 가능하다. 부착부(71)는, 클로우부(74)를 관통 구멍(63c)에 끼워 맞춤과 더불어, 나사 부재에 의해 전원 커버(61)가 갖는 돌출면부(63b)에 부착된다. 나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부착부(71)의 타단측(하측)을 기구 본체(21)나 보호 커버(91)와 나사 고정하기 위해서, 원통부(72)의 타단측(하단측)의 외주연에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71)의 타단은, 내주연부(23)의 부착면측에 맞닿은 상태로, 나사 부재에 의해 기구 본체(21)나 보호 커버(91)와 나사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부(71)의 타단(하단측)은, 기구 본체(21)와 보호 커버(91)의 양쪽과 나사 고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부착부(71)는 반드시 기구 본체(21)나 보호 커버(91)와 결합한 상태로 고정할 필요는 없다. 또, 부착부(71)를 기구 본체(21)와 보호 커버(91) 중 한쪽과만 결합해도 된다. 또, 나사 부재에 의한 나사 고정이 아니라 끼워 맞춤 등의 고정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조명 기구(11)를 천정에 부착하는 경우는, 조명 기구용의 천정 배선 기구(인괘 실링 보디)에 인괘 실링 어댑터 등의 배선 부품(110)을 부착한다. 전원 커버(61)가 갖는 부착 구멍(62)에 배선 부품(110)을 끼워 넣음과 더불어, 배선 부품(110)을 부착부(71) 내에 끼워 맞춘다.
수신부(81)는, 상술한 전원부(31)의 전원 기판(3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수신부(81)는, 리모콘(도시 생략)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신호로서, 적외선에 의한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수신부(81)는, 수광부인 수광 소자(82)와, 채널 전환 스위치(83)를 갖고 있다. 수광 소자(82)는, 전원부(31)의 전원 기판(33)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전원 기판(33)의 한측의 장변 단부 근방에 실장되어 있다. 수광 소자(82)는, 광원부(41)의 LED 소자(42)와 같은 방향이 되도록 실장되어 있다. 수광 소자(82)의 수광면과 LED 소자(42)의 발광면이 같은 방향이 된다. 수광 소자(82)는, 전원 기판(33) 상에 있어서 부착부(71)에 근접하는 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기판(33)의 한측의 장변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광 소자(82)는, 기구 본체(21)의 중앙측으로서, 기구 본체(21)의 개구부(2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채널 전환 스위치(83)는, 전원부(31)의 전원 기판(33)의 길이 방향 중앙부로서, 전원 기판(33)의 타측의 장변 단부 근방에 실장되어 있다. 수신부(81)의 수광 소자(82)는, 평면에서 볼 때 개구부(22)의 근방에 배치된다. 수광 소자(82)는, 평면에서 볼 때 기구 본체(21)가 갖는 수광창(24c)으로부터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수신부(81)는, 전원 기판(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광 소자(8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 매체로 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에 의해 수광 소자(82)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LED 광원 모듈(44)(LED 소자(42))의 점등, 소등, 조광 등을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81)를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센서 제어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또, 무선 신호에 의한 제어가 아니라, 유선으로의 제어여도 되고, 그 경우에는 수신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보호 커버(91)는, 기구 본체(21)와 투광성 커버(51)의 사이에 있어서, 광원부(41)을 덮는 부재이다. 보호 커버(91)는, 광원부(41)와 투광성 커버(51)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호 커버(91)는, 투광성을 갖고 있고,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 커버(91)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의 부재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내주연부(92), 광원 커버부(93), 외주 플랜지부(94), 및 클로우부(95)를 갖고 있다.
내주연부(92)는, 보호 커버(91)의 중앙에 배치되는 원환상의 부분이다.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부(71)와 기구 본체(21)와 보호 커버(91)를 나사 고정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내주연부(92)에는, 나사 고정부(96)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 부재에 의해 부착부(71)와 기구 본체(21)와 보호 커버(91)를 고정했을 때, 보호 커버(91)의 내주연부(92)는, 기구 본체(21)의 저판부(24)의 내주연부(23)의 조사면측에 맞닿거나 혹은 거의 간극을 갖기 않는 상태로 근접한다.
광원 커버부(93)는, 평면에서 볼 때 원환상이며, 조사면측으로 볼록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 커버부(93)는, 내주연부(9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광원 커버부(93)는, 광원부(41)에 대해서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조사면측을 향해 부풀어 오르는 볼록 형상의 부분이다. 광원 커버부(93)는, 외측 커버부(93a)를 갖고 있다. 외측 커버부(93a)는, 광원 커버부(93)의 원환상 부분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커버부(93a)는, 저판부(24)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40)의 일부를 덮는 부분이다. 광원 커버부(93)의 외주 근방과, 광원 커버부(93)의 내주 근방은, 보호 커버(91)를 전원 커버(61)에 부착했을 때에,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의 외주 단부 및 내주 단부에 맞닿는다. 즉,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의 외주 단부 및 내주 단부는, 기구 본체(21)의 광원 부착부(24a)와 광원 커버부(93)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즉, 보호 커버(91)를 전원 커버(61)에 부착함으로써, 나사 등의 고정 부재(부착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각 LED 광원 모듈(44)은 기구 본체(21) 상에 고정된다.
또한, 각 LED 광원 모듈(44)은, 기판(43(43a, 43b))의 중앙부에 나사 구멍 등의 나사 고정부(47)를 갖고 있다. 광원 부착부(24a)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나사 부재에 의해 나사 고정부(47)(도 7 참조)를 광원 부착부(24a)에 부착할 수도 있다.
외주 플랜지부(94)는, 광원 커버부(93)의 주위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평탄한 부분이다. 외주 플랜지부(94)에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갈고리 형상의 클로우부(95)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95)는, 기구 본체(21)에 설치된 관통 구멍(24d)과 끼워 맞출 수 있다. 클로우부(95)는, 관통 구멍(24d)의 단부 사이에 끼워 지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91)는, 기구 본체(21)의 저판부(24)의 조사면측과 내주연부(23)를 덮도록 부착할 수 있다.
보호 커버(91)는, 보호 커버(91)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클로우부(95)와, 기구 본체(21)에 설치된 관통 구멍(24d)을 끼워 맞춤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보호 커버(91)의 내주연부(92)는, 복수의 나사 부재에 의해 기구 본체(21)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보호 커버(91)에 있어서, 외주연측을 클로우부(95)와 관통 구멍(24d)에 의해 끼워 맞춰 고정하고, 내주연측을 나사 부재에 의해 고정한다. 그 때문에, 조명 기구(11)의 조립 작업 시에, 나사 부재에 의한 고정 개소를 기구 본체(21)의 중앙 부근에 모을 수 있다. 나사 부재의 고정 개소를 기구 본체(21)의 중앙 부근에 모음으로써, 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에서 고정 작업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기구 본체(21)를 회전 등의 위치의 변경을 하지 않아도 고정 작업이 가능해지고, 작업성이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11)에서는, 기구 본체(21)와, 전원부(31)와, 광원부(41)를 갖고 있다. 기구 본체(21)는, 부착면측에 오목부(수용부(26)의 부착면측의 부분)가 형성됨과 더불어 부착면측의 반대측이 되는 조사면측에 볼록부(수용부(26)의 조사면측의 부분)가 형성되어 있다. 광원부(41)는, 기구 본체(21)의 볼록부에 배치된다. 전원부(31)는, 기구 본체(21)의 오목부 내에 부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기구(11)의 조립 순서의 일부에 대해서 예시한다. 우선, 기구 본체(21)의 조사면측에 광원부(41)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광원부(41)에 접속된 접속 배선을 삽입 통과 구멍(24b)을 통해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의 오목부 내에 인출한다. 오목부 내에 인출된 접속 배선과 전원부(31)를 접속시킨다. 전원부(31)를 스페이서(40)를 개재하여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조명 기구(11)에서는, 기구 본체(21)에 전원부(31)가 부착되기 때문에, 전원 커버(61)에 전원부(31)를 부착하는 경우보다 광원부(41)와 배선 등의 접속이 쉽고, 조립성이 좋다. 따라서, 조명 기구(11)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명 기구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전원부(31)에 불량이 생긴 경우에, 전원 커버(61)를 떼어내면 전원부(31)의 전원 기판(33)이 노출되기 때문에, 부품의 교환이나 수리가 용이해진다. 전원 커버(61)에 전원부(31)를 부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원 커버(61)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라도, 전원부(31)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 기판(33)이 전원 부착 부재인 스페이서(40)에 의해, 기구 본체(21)와 이격 거리를 갖도록 부착된다. 이와 같이, 기구 본체(21)로부터 이격 거리를 설치하여 전원부(31)의 전원 기판(33)을 부착한다. 이로 인해, 전원부(31)와 광원부(41) 사이의 상호의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고, 전원부(31)와 광원부(41)에의 열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 커버(61)가 기구 본체(21)를 부착면에 부착하는 부착부(7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원 커버(61) 측에 미리 부착부(71)를 부착할 수 있고, 조립성이 좋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부(31)가 전원 회로 부품과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소자(82)가 동일한 전원 기판(33)에 실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광 소자(82)를 다른 기판에 실장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수광 소자(82)가 광원부(41)의 LED 소자(42)와 같은 방향이 되도록 실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광 소자(82)의 수광면과 LED 소자(42)의 발광면이 같은 방향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사면측으로부터의 리모콘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부(31)에 있어서, 전원 회로 부품과 수광 소자(82)가 전원 기판(33)의 한쪽의 표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면)에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기판(33)의 한쪽의 표면에 전자 부품을 집약하여 실장하기 때문에, 전원부(31)의 두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명 기구(11)의 두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수광 소자(82)가 전원 기판(33) 상에 있어서 부착부(71)에 근접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광 소자(82)는, 전원 기판(33)의 한측의 장변 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감각적으로 조명 기구(11)(기구 본체(21))의 중앙부(부착부(71) 부근)를 향해 리모콘 조작한 경우라도,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쉽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채널 전환 스위치(83)가 전원 회로 부품과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채널 전환 스위치(83)를 다른 기판에 실장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 커버(61)는,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원 커버(61)의 표면에 채널 전환 스위치(83)를 조작하기 위한 채널 전환 스위치 조작부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조명 기구(11)를 부착할 때에, 눈으로 보면서 채널 설정이 가능해진다.
조명 기구(11)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커넥터(45)가 전원부(31)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원부(31)와 커넥터(45)가 근접하기 때문에, 전원부(31)와 커넥터(45)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광원부(41)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기판(43)에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가 실장된다.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는 평면에서 볼 때 커넥터(4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는, 통상, 주광원의 LED 소자(42)보다 소수(예를 들면, 1~2개)이다. 그 때문에, LED 광원 모듈(44)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45) 등에 의해 그림자가 생기는 경우에, 소수의 LED 소자(42a)가 점등하는 보조 광원에서는, 다수의 LED 소자(42)가 점등하는 주광원보다 그 발광 방식에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 버린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만 점등시켜도, 커넥터(45)에 의한 그림자가 생기기 어렵다. 또, 커넥터(45)나 주광원의 LED 소자(42) 등의 부품의 밀집도가 높은 영역을 피해 배치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의 열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여,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와 커넥터(45)와 근접시키지 않고,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를 커넥터(4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LED 광원 모듈(44)의 커넥터(45)에 접속 단자를 접속할 때에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에의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가 기판(43a)의 중앙 영역에 실장되어 있다. 기판(43a)의 중앙 영역은 배선 패턴을 넓게 취하기 쉽고,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기판(43a)의 중앙 영역에 나사 고정부(47)를 갖고 있다. 나사 고정부(47)에 있어서 나사 부재로 기판(43a)을 광원 부착부(24a)에 부착함으로써, 기판(43a)의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광원 부착부(24a)에 대한 기판(43a)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이때에,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를 나사 고정부(47)에 의해 근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더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가 평면에서 볼 때 전원부(3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와 전원부(31)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대해, 서로 열적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 커버(61)가 평면에서 볼 때 기구 본체(21)의 오목부인 수용부(26)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다. 이때,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가 평면에서 볼 때 전원 커버(6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를 전원 커버(61)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보조 광원용 LED 소자(42a)에 의한 전원 커버(61)에의 열적 영향을 억제하고, 전원 커버(61) 내에 열이 갇히지 않고, 보다 방열 성능을 높인다.
조명 기구(11)에서는, 기판(43a)이 반원환상으로, 내주측의 둘레 방향 일단을 L자 형상으로 절결한 절결부(43a1)를 갖고 있다. 기판 소재(원기판)를 커트하여 복수의 기판을 제작할 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절결부(43a1)와 기판(43b)의 외주연의 단부가 조합하도록 배치하여 잘라 낼 수 있다. 이로 인해, L자 형상의 절결 부분을 설치하지 않는 형상으로, 기판 소재로부터 절취하는 것보다, 재료의 로스가 적다. 또, L자 형상의 절결 부분에 수광창(24c)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조명 기구(11)에서는, 지름 방향 외측의 LED 소자(42)보다, 지름 방향 내측의 LED 소자(42)를, 이웃하는 간격이 짧아지도록 조밀하게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조명 기구(11)의 중앙부도 밝고, 조명 기구(11)의 발광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명 기구(11)는 환형으로 했지만, 각형이나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실링 라이트 외, 팬던트 라이트 등에 적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기구 본체(21)의 형상은 일례이며, 본 실시 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명 기구(11)의 형상이 환형 이외의 각형이나 그 외의 형상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기구 본체(21) 및 전원 커버(61)의 형상은, 전원부(31)나 광원부(41)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1: 조명 기구 21: 기구 본체
24: 저판부 25: 둘레 벽부
26: 수용부 31: 전원부
40: 스페이서(전원 부착 부재) 41: 광원부
42: LED 소자(발광 소자) 43: 기판
44: LED 광원 모듈 51: 투광성 커버
61: 전원 커버

Claims (9)

  1. 부착면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로서,
    부착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부착면측의 반대측에 볼록부가 형성된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의 볼록부에 배치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기구 본체의 오목부 내에 부착되는 전원부를 갖는, 조명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 부착 부재에 의해, 상기 기구 본체와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부착되는, 조명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를 덮는 전원 커버를 가지며,
    상기 전원 커버는, 상기 기구 본체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하는 부착부를 갖는, 조명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 회로 부품과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소자가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지며,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광원부의 발광 소자와 같은 방향이 되도록 실장되는, 조명 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채널 전환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채널 전환 스위치는, 상기 전원 회로 부품과 동일한 기판에 실장되는, 조명 기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버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 커버의 표면에 상기 채널 전환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조명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전원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주광원으로서 복수의 발광 소자를 실장한 기판을 가지며,
    적어도 1개의 상기 기판에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접속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용 발광 소자는, 평면에서 볼 때 전원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실장되어 있는, 조명 기구.
KR1020170030512A 2016-06-30 2017-03-10 조명 기구 KR20180003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1148 2016-06-30
JP2016131148A JP2018006148A (ja) 2016-06-30 2016-06-30 照明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08A true KR20180003408A (ko) 2018-01-09

Family

ID=6094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12A KR20180003408A (ko) 2016-06-30 2017-03-10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06148A (ko)
KR (1) KR20180003408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561Y2 (ja) * 1991-11-20 1997-08-25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リモコン機能付天井直付け型照明器具
JP2013161649A (ja) * 2012-02-06 2013-08-19 Panasonic Corp 照明器具
JP6044758B2 (ja) * 2012-05-31 2016-12-1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2014082066A (ja) * 2012-10-15 2014-05-0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6167401B2 (ja) * 2013-08-28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
JP6408268B2 (ja) * 2014-07-04 2018-10-17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JP6417609B2 (ja) * 2014-09-08 2018-11-07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06148A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5651B1 (en) Lamp unit and lighting fixture
US8641246B2 (en) Lamp unit and lighting fixture
JP6271264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照明装置
JP5732612B2 (ja) Led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6126931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6408268B2 (ja) 照明器具
JP5320563B2 (ja) 照明器具
KR101321306B1 (ko) 조명기구
JP6601745B2 (ja) 照明器具
KR20180003408A (ko) 조명 기구
JP5126637B2 (ja) 照明器具
JP5679111B2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60051588A (ko) 조명 기구
JP5950141B2 (ja) 照明器具
JP2019220358A (ja) 光拡散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6606716B2 (ja) 照明器具
JP6960094B2 (ja) 照明器具
JP7237223B2 (ja) 照明器具
JP7089934B2 (ja) 照明器具
JP6260879B2 (ja) 照明器具
JP2019192621A (ja) 照明器具
JP6217991B2 (ja) 照明装置
JP2022160948A (ja) 照明器具
JP2022003651A (ja) 照明器具
JP5761542B2 (ja) 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