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83U - 서랍용 레일 - Google Patents

서랍용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83U
KR20180003383U KR2020170002559U KR20170002559U KR20180003383U KR 20180003383 U KR20180003383 U KR 20180003383U KR 2020170002559 U KR2020170002559 U KR 2020170002559U KR 20170002559 U KR20170002559 U KR 20170002559U KR 20180003383 U KR20180003383 U KR 20180003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ar
center
phase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to KR2020170002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383U/ko
Publication of KR20180003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지지바의 양측이 두 개의 슬라이딩압출바에 각각 끼움 형성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현한 서랍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1슬라이딩압출바(10); 서랍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2슬라이딩압출바(20); 및 일측이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 끼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 끼움 형성되어,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 사이를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앙지지바(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랍용 레일{Drawer rail}
본 고안은 서랍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지지바의 양측이 두 개의 슬라이딩압출바에 각각 끼움 형성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현한 서랍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서랍은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캐비닛, 사무용 책상 파일박스, 도면함 또는 집에서 사용되는 책상, 씽크대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 개인의 물건 및 서류철 또는 여러 종류의 물건들을 정리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서랍은 서랍의 부드러운 출입을 위하여 서랍용 레일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11684호(1999.03.25. 공개)는 가구서랍용 레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앞쪽에 롤러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 선단에 소정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측 레일면의 후미가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져서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레일간과; 앞쪽에는 롤러접지면을 소정 길이만큼 절개시킨 후 위로 타발하여 안착부가 형성되고, 뒤쪽에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고정레일간의 레일면 위에 얹혀지도록 하되 그 앞쪽 부위를 타발하여 롤러에 걸리는 스톱퍼가 일체로 형성된 가동 레일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가구본체의 고정레일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를 가동 레일간의 프레스 성형작업 때 함께 일체로 성형하므로 생산 및 조립공정이 간편하여 상당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서랍을 사용할 때에도 서랍을 어느정도 밀어 넣기만 하면 그 후에는 서랍을 더 이상 밀어주지 않더라도 저절로 부드럽게 끝까지 들어가 힘이 별로 들지 않으면서서도 필요시 서랍을 신속 간편하게 가구 본체로 부터 탈착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865호(2010.12.08. 공개)는 레일에 비드를 형성하거나 보강홈을 형성하여 레일의 자체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서랍에 수납된 물건들의 높은 하중에도 비틀려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게 되어 서랍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랍용 레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서랍장 수납부 측벽에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과, 서랍에 나사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로 이루어진 서랍용 레일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은 일측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며, 내측 상하부에 절곡되어 롤러안내부가 형성되고 전면부에 강도 보강을 위해 비드가 형성되어지되, 상하 두 개의 수평된 가로방향 비드와 가로방향 비드에 중첩되게 세로방향 비드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서랍용 레일은, 예를 들어, 고정 레일과 가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레일로만 이루어져, 인출하고자 하는 거리가 제한적이며, 이에 다양한 인출거리의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서랍용 레일은, 가드 레일 또는 슬라이딩 레일이 고정 레일에 끼움 형성되며, 이에 서랍에 고하중의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끼움 형성된 부분이 벌어져서 쉽게 파손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가드 레일에 슬라이딩 레일이 양쪽으로 끼움 형성되는 경우에, 서랍에 고하중의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끼움 형성된 부분이 양쪽으로 쉽게 벌어지게 되어 고하중의 물건을 안전하게 적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11684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865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지지바의 양측이 두 개의 슬라이딩압출바에 각각 끼움 형성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현한 서랍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1슬라이딩압출바; 서랍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2슬라이딩압출바; 및 일측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에 끼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에 끼움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 사이를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앙지지바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와 상기 중앙지지바 사이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와 상기 중앙지지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의 상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1상볼베어링;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의 하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1하볼베어링;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의 상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2상볼베어링;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의 하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2하볼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는,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하는 제1고정바부; 상기 제1고정바부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의 상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1상슬라이딩바부; 상기 제1고정바부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의 하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1하슬라이딩바부; 상기 제1상슬라이딩바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상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1상라인홈부; 및 상기 제1하슬라이딩바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1하라인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는,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하는 제2고정바부; 상기 제2고정바부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의 상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2상슬라이딩바부; 상기 제2고정바부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의 하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2하슬라이딩바부; 상기 제2상슬라이딩바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상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2상라인홈부; 및 상기 제2하슬라이딩바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하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2하라인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는, 일측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상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1상라인홈부; 일측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1하라인홈부; 다른 일측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상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2상라인홈부; 및 다른 일측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하볼베어링을 삽입하기 위한 제2하라인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지지바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의 슬라이딩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1측면라인홈부; 및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의 슬라이딩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제2측면라인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측면라인홈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걸리게끔 하는 제1걸림턱부; 상기 제2측면라인홈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걸리게끔 하는 제2걸림턱부; 상기 제1고정바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부를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부; 및 상기 제2고정바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턱부를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앙지지바의 양측이 두 개의 슬라이딩압출바에 각각 끼움 형성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중앙지지바의 양측이 두 개의 슬라이딩압출바 사이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여 다양한 인출거리의 확보가 가능하며, 인출하고자 하는 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앙지지바의 일측이 하나의 슬라이딩압출바에 끼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압출바에 끼움 형성되어 두 개의 슬라이딩압출바 사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서랍에 고하중의 물건을 적재할 시에도 끼움 형성된 부분이 양쪽으로 쉽게 벌어지지 않아 고하중의 물건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슬라이딩압출바를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제2슬라이딩압출바를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중앙지지바를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서랍용 레일(A)은, 제1슬라이딩압출바(10), 제2슬라이딩압출바(20), 및 중앙지지바(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의 (a)는 서랍용 레일(A)의 인출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의 (b)는 서랍용 레일(A)의 미인출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서랍용 레일(A)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슬라이딩압출바(10)는,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 형성되고, 중앙지지바(30)의 일측이 끼움 형성되며, 슬라이딩한다.
제2슬라이딩압출바(20)는, 서랍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고, 중앙지지바(30)의 다른 일측이 끼움 형성되며, 슬라이딩하여 서랍을 인출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슬라이딩압출바(20)는, 제1슬라이딩압출바(10)와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중앙지지바(30)는, 일측이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 끼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 끼움 형성되어,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 사이를 슬라이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서랍용 레일(A)은, 복수 개의 볼베어링(40)을 더 포함한다.
볼베어링(40)은, 제1슬라이딩압출바(10)와 중앙지지바(30) 사이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와 중앙지지바(30) 사이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볼베어링(40)은, 제1슬라이딩압출바(10)와 중앙지지바(30)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와 중앙지지바(30)의 유격을 없애주어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하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볼베어링(40)은, 복수 개의 제1상볼베어링(41), 복수 개의 제1하볼베어링(42), 복수 개의 제2상볼베어링(43), 및 복수 개의 제2하볼베어링(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볼베어링(41)은, 제1슬라이딩압출바(10)의 상측 및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서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준다.
제1하볼베어링(42)은, 제1슬라이딩압출바(10)의 하측 및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서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준다.
제2상볼베어링(43)은, 제2슬라이딩압출바(20)의 상측 및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준다.
제2하볼베어링(44)은, 제2슬라이딩압출바(20)의 하측 및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서랍용 레일(A)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하중의 물건을 적재 가능하며, 직하허용하중을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서랍용 레일(A)은, 제1슬라이딩압출바(10), 제2슬라이딩압출바(20), 및 중앙지지바(30)가 각각 볼베어링(40)을 통해 슬라이딩함으로써, 다양한 인출거리의 확보가 가능하며, 상세하게는 약 810mm까지 인출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서랍용 레일(A)은, 중앙지지바(30)의 일측이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 끼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 끼움 형성되어,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제2슬라이딩압출바(20) 사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서랍에 고하중의 물건을 적재할 시에도 끼움 형성된 부분이 양쪽으로 쉽게 벌어지지 않아 고하중의 물건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슬라이딩압출바를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1슬라이딩압출바(10)는, 제1고정바부(11), 제1상슬라이딩바부(12), 제1하슬라이딩바부(13), 제1상라인홈부(14), 및 제1하라인홈부(15)를 포함한다.
제1고정바부(11)는,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수단(예를 들어, 피스, 나사 등)을 통해 고정되며, 상측에 제1상슬라이딩바부(12)를 연장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에 제1하슬라이딩바부(13)를 연장 형성한다.
제1상슬라이딩바부(12)는, 제1고정바부(11)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제1상라인홈부(14)를 형성하여, 중앙지지바(30)의 상측을 슬라이딩 시켜준다.
제1하슬라이딩바부(13)는, 제1고정바부(11)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제1하라인홈부(15)를 형성하여, 중앙지지바(30)의 하측을 슬라이딩 시켜준다.
제1상라인홈부(14)는, 제1상슬라이딩바부(12)에 형성되어, 제1상볼베어링(41)을 삽입해준다.
제1하라인홈부(15)는, 제1하슬라이딩바부(13)에 형성되어, 제1하볼베어링(42)을 삽입해준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제2슬라이딩압출바를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슬라이딩압출바(20)는, 제2고정바부(21), 제2상슬라이딩바부(22), 제2하슬라이딩바부(23), 제2상라인홈부(24), 및 제2하라인홈부(25)를 포함한다.
제2고정바부(21)는, 서랍의 외측면에 고정수단(예를 들어, 피스, 나사 등)을 통해 고정되며, 상측에 제2상슬라이딩바부(22)를 연장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에 제2하슬라이딩바부(23)를 연장 형성한다.
제2상슬라이딩바부(22)는, 제2고정바부(21)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제2상라인홈부(24)를 형성하여, 중앙지지바(30)의 상측을 슬라이딩 시켜준다.
제2하슬라이딩바부(23)는, 제2고정바부(21)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제2하라인홈부(25)를 형성하여, 중앙지지바(30)의 하측을 슬라이딩 시켜준다.
제2상라인홈부(24)는, 제2상슬라이딩바부(22)에 형성되어, 제2상볼베어링(43)을 삽입해준다.
제2하라인홈부(25)는, 제2하슬라이딩바부(23)에 형성되어, 제2하볼베어링(44)을 삽입해준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중앙지지바를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지지바(30)는, 제1상라인홈부(31), 제1하라인홈부(32), 제2상라인홈부(33), 제2하라인홈부(34)를 포함한다.
제1상라인홈부(31)는, 중앙지지바(30)의 일측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제1상볼베어링(41)을 삽입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상라인홈부(31)는, 깊이가 제1상볼베어링(41)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상볼베어링(41)과 유사한 넓이로 형성되어, 제1상볼베어링(41)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제1하라인홈부(32)는, 중앙지지바(30)의 일측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제1하볼베어링(42)을 삽입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라인홈부(32)는, 깊이가 제1하볼베어링(42)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하볼베어링(42)과 유사한 넓이로 형성되어, 제1하볼베어링(42)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제2상라인홈부(33)는, 중앙지지바(30)의 다른 일측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제2상볼베어링(43)을 삽입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상라인홈부(33)는, 깊이가 제2상볼베어링(43)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2상볼베어링(43)과 유사한 넓이로 형성되어, 제2상볼베어링(43)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제2하라인홈부(34)는, 중앙지지바(30)의 다른 일측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제2하볼베어링(44)을 삽입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하라인홈부(34)는, 깊이가 제2하볼베어링(44)의 반지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2하볼베어링(44)과 유사한 넓이로 형성되어, 제2하볼베어링(44)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지지바(30)는, 제1측면라인홈부(35), 및 제2측면라인홈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라인홈부(35)는, 중앙지지바(3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중앙지지바(30)의 슬라이딩 시 책상의 내부면에 제1고정바부(11)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예를 들어, 피스, 나사 등)과 닿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슬라이딩 시 마찰을 줄여준다.
제2측면라인홈부(36)는, 중앙지지바(30)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중앙지지바(30)의 슬라이딩 시 서랍의 외측면에 제2고정바부(21)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예를 들어, 피스, 나사 등)과 닿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슬라이딩 시 마찰을 줄여준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랍용 레일(B)은, 도 1의 구성 요소에 제1걸림턱부(51), 제2걸림턱부(52), 제1끼움홈부(53) 및 제2끼움홈부(5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걸림턱부(51)는, 제1측면라인홈부(35)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끼움홈부(53)에 끼움으로써 중앙지지바(30)가 걸리게끔 해주며, 이에 따라 중앙지지바(30)가 슬라이딩 시에 제1슬라이딩압출바(1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제2걸림턱부(52)는, 제2측면라인홈부(36)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제2끼움홈부(54)에 끼움으로써 중앙지지바(30)가 걸리게끔 해주며, 이에 따라 중앙지지바(30)가 슬라이딩 시에 제2슬라이딩압출바(2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제1끼움홈부(53)는, 제1고정바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걸림턱부(51)를 끼워주며, 이에 따라 중앙지지바(30)가 슬라이딩 시에 제1슬라이딩압출바(1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제2끼움홈부(54)는, 제2고정바부(21)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제2걸림턱부(52)를 끼워주며, 이에 따라 중앙지지바(30)가 슬라이딩 시에 제2슬라이딩압출바(2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랍용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랍용 레일(C)은, 도 1의 구성 요소에 복수 개의 제1상걸림턱부(61), 복수 개의 제1하걸림턱부(62), 복수 개의 제2상걸림턱부(63) 및 복수 개의 제2하걸림턱부(6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상걸림턱부(61)는, 제1상슬라이딩바부(12)의 일단 및 중앙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 형성되며, 제1상라인홈부(14)에 위치하여, 중앙지지바(30)가 제1슬라이딩압출바(10)의 일단 또는 중앙까지 슬라이딩 시에 제1상라인홈부(14)에 삽입된 제1상볼베어링(41)이 걸리게끔 해주며, 이에 따라 제1상볼베어링(41)이 중앙지지바(3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여기서, 제1상걸림턱부(61)의 길이는 제1상라인홈부(14)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중앙지지바(30)가 제1슬라이딩압출바(10)를 슬라이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제1하걸림턱부(62)는, 제1하슬라이딩바부(13)의 일단 및 중앙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 형성되며, 제1하라인홈부(15)에 위치하여, 중앙지지바(30)가 제1슬라이딩압출바(10)의 일단 또는 중앙까지 슬라이딩 시에 제1하라인홈부(15)에 삽입된 제1하볼베어링(42)이 걸리게끔 해주며, 이에 따라 제1하볼베어링(42)이 중앙지지바(3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여기서, 제1하걸림턱부(62)의 길이는 제1하라인홈부(15)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중앙지지바(30)가 제1슬라이딩압출바(10)를 슬라이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제2상걸림턱부(63)는, 제2상슬라이딩바부(22)의 일단 및 중앙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 형성되며, 제2상라인홈부(24)에 위치하여, 중앙지지바(30)가 제2슬라이딩압출바(20)의 일단 또는 중앙까지 슬라이딩 시에 제2상라인홈부(24)에 삽입된 제2상볼베어링(43)이 걸리게끔 해주며, 이에 따라 제2상볼베어링(43)이 중앙지지바(3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여기서, 제2상걸림턱부(63)의 길이는 제2상라인홈부(24)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중앙지지바(30)가 제2슬라이딩압출바(20)를 슬라이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제2하걸림턱부(64)는, 제2하슬라이딩바부(23)의 일단 및 중앙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 형성되며, 제2하라인홈부(25)에 위치하여, 중앙지지바(30)가 제2슬라이딩압출바(20)의 일단 또는 중앙까지 슬라이딩 시에 제2하라인홈부(25)에 삽입된 제2하볼베어링(44)이 걸리게끔 해주며, 이에 따라 제2하볼베어링(44)이 중앙지지바(3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여기서, 제2하걸림턱부(64)의 길이는 제2하라인홈부(25)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중앙지지바(30)가 제2슬라이딩압출바(20)를 슬라이딩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B, C: 서랍용 레일
10: 제1슬라이딩압출바
11: 제1고정바부
12: 제1상슬라이딩바부
13: 제1하슬라이딩바부
14: 제1상라인홈부
15: 제1하라인홈부
20: 제2슬라이딩압출바
21: 제2고정바부
22: 제2상슬라이딩바부
23: 제2하슬라이딩바부
24: 제2상라인홈부
25: 제2하라인홈부
30: 중앙지지바
31: 제1상라인홈부
32: 제1하라인홈부
33: 제2상라인홈부
34: 제2하라인홈부
35: 제1측면라인홈부
36: 제2측면라인홈부
40: 볼베어링
41: 제1상볼베어링
42: 제1하볼베어링
43: 제2상볼베어링
44: 제2하볼베어링
51: 제1걸림턱부
52: 제2걸림턱부
53: 제1끼움홈부
54: 제2끼움홈부
61: 제1상걸림턱부
62: 제1하걸림턱부
63: 제2상걸림턱부
64: 제2하걸림턱부

Claims (5)

  1.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1슬라이딩압출바(10);
    서랍의 외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2슬라이딩압출바(20); 및
    일측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 끼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 끼움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 사이를 슬라이딩하기 위한 중앙지지바(30)를 포함하는 서랍용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와 상기 중앙지지바(30) 사이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와 상기 중앙지지바(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상기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볼베어링(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40)은,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의 상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서 상기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1상볼베어링(41);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의 하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에서 상기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1하볼베어링(42);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의 상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상기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2상볼베어링(43); 및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의 하측 및 상기 중앙지지바(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에서 상기 중앙지지바(30)를 슬라이딩 해주기 위한 복수 개의 제2하볼베어링(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레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압출바(10)는,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하는 제1고정바부(11);
    상기 제1고정바부(11)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30)의 상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1상슬라이딩바부(12);
    상기 제1고정바부(11)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30)의 하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1하슬라이딩바부(13);
    상기 제1상슬라이딩바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제1상볼베어링(41)을 삽입하기 위한 제1상라인홈부(14); 및
    상기 제1하슬라이딩바부(13)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볼베어링(42)을 삽입하기 위한 제1하라인홈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레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압출바(20)는,
    책상의 내부면에 고정하는 제2고정바부(21);
    상기 제2고정바부(21)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30)의 상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2상슬라이딩바부(22);
    상기 제2고정바부(21)의 하측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앙지지바(30)의 하측을 슬라이딩 시켜주는 제2하슬라이딩바부(23);
    상기 제2상슬라이딩바부(22)에 형성되어, 상기 제2상볼베어링(43)을 삽입하기 위한 제2상라인홈부(24); 및
    상기 제2하슬라이딩바부(23)에 형성되어, 상기 제2하볼베어링(44)을 삽입하기 위한 제2하라인홈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레일.
KR2020170002559U 2017-05-25 2017-05-25 서랍용 레일 KR201800033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59U KR20180003383U (ko) 2017-05-25 2017-05-25 서랍용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59U KR20180003383U (ko) 2017-05-25 2017-05-25 서랍용 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83U true KR20180003383U (ko) 2018-12-05

Family

ID=6466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59U KR20180003383U (ko) 2017-05-25 2017-05-25 서랍용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38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35Y1 (ko) * 2019-09-03 2020-03-06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US20230389702A1 (en) * 2019-02-05 2023-12-07 Actron Manufacturing, Inc. Undermount drawer sl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684A (ko) 1997-07-25 1999-02-18 찰스 리우 적외선 방사 의류 건조기
KR20100011865U (ko) 2009-05-28 2010-12-08 조문행 서랍용 레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684A (ko) 1997-07-25 1999-02-18 찰스 리우 적외선 방사 의류 건조기
KR20100011865U (ko) 2009-05-28 2010-12-08 조문행 서랍용 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89702A1 (en) * 2019-02-05 2023-12-07 Actron Manufacturing, Inc. Undermount drawer slide
KR200491235Y1 (ko) * 2019-09-03 2020-03-06 조정미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200B2 (en) Sliding rails for mounting shelf
US8132875B2 (en) Three-sectional rail structure
US10641038B2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US20090189499A1 (en) Rail assembly
US9247815B2 (en) Slide rail assembly
US8302512B2 (en) Locking pliers with retractable pivotal movable jaw
KR20180003383U (ko) 서랍용 레일
KR102300601B1 (ko)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US20120223630A1 (en) Drawer Assembly that is Locked Automatically when it is Closed
RU2719061C1 (ru) Держатель груза автомобиля и содержащая его система
KR101771929B1 (ko) 서랍장 가구의 안전 잠금장치
US20020089273A1 (en) Guide structure for telescopic rail assembly
KR200477983Y1 (ko) 욕실용 수납장
US20090091225A1 (en) Rail assmebly for drawers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KR100679652B1 (ko) 냉장고용 서랍식 도어장치
KR102241844B1 (ko) 가구 서랍의 풀아웃 가이드 고정용 홀더
JPH1016623A (ja) 車両用引出しテーブル装置
EP2921076B1 (en) Slide rail assembly
KR20100108795A (ko) 자동담힘기능이 구비된 서랍
KR20230068768A (ko) 서랍용 안내레일 및 서랍구조
US4938609A (en) Pull-out guide assembly for drawers
JP5412014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KR102241843B1 (ko) 가구 서랍의 풀아웃 가이드 고정용 홀더
KR101847387B1 (ko)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