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94U -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 Google Patents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294U
KR20180003294U KR2020170002388U KR20170002388U KR20180003294U KR 20180003294 U KR20180003294 U KR 20180003294U KR 2020170002388 U KR2020170002388 U KR 2020170002388U KR 20170002388 U KR20170002388 U KR 20170002388U KR 20180003294 U KR20180003294 U KR 20180003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label paper
label
main body
gradu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170002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294U/ko
Publication of KR20180003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6Means for indicating refilling of the container
    • B65D23/008Means for indicating refilling of the container by means of a label, e.g. tearable, light 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술의 잔량을 확인하게 하여 여럿이 음주를 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잔 수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술병본체; 상기 술병본체의 외표면에 접착되는 라벨지; 상기 라벨지 표면에 인쇄 또는 마킹에 의해 형성되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Bottle For Liquor Can Indicate The Remains}
본 고안은 술병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술의 잔량을 확인하게 하여 여럿이 음주를 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잔 수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에 관한 것이다.
우리 민족은 둘 또는 여럿이 함께 술을 마시는 경우에 있어서 타인의 술잔에 술을 따라주는 음주문화를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애용되는 술 중 하나는 소주이다. 소주는 소주잔에 마시는게 일반적이며 따라서 소주잔의 용량은 전국적으로 대등소위 하다. 소주잔에 채워진 술을 한 번에 들이키는 경우(원샷)가 많이 있기 때문에 용량이 저마다 다르면 당혹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8177호는, 술잔의 벽둘레의 상,중,하 중 어느 한 부위에 술이 새어나오는 범람공이 형성된 파지용의 오목한 파지부를 형성한 원샷용 술잔에 관한 것으로서, 술을 마실 때 원샷을 원할 경우에 술이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을 감안하여 원샷의 양을 정하여 그에 맞는 상,중,하중 어느 하나의 범람공이 형성된 원샷용 술잔을 이용하여 원샷을 하게 되면, 범람공 이상 술을 따라주었을 때 범람공 이상까지 찬 술은 단번에(원샷에) 마시지 않고 잔을 놓게 되면 범람공으로 술이 흘러내리므로 어쩔 수 없이 범람공 아래까지 수위가 이르도록 술을 마시지 않으면 안되게 되도록 된 원샷용 술잔이다. 이처럼 우리의 문화는 원샷에 대한 중요성 및 막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문화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0856호는 본 고안은 술병 라벨지에 관한 것으로서, 라벨지의 하단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돌출된 누름부 및 상기 라벨지 내에 위치되며, 형광물질이 수용된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누름부가 눌러짐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수용된 형광물질이 노출되어 상기 표시부가 형광으로 표시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는 술병에 표시기능을 포함하고는 있으나, 술잔의 수를 표시하거나 막잔을 가늠할 수 있게 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3817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085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잔수를 표시할 수 있는 술병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마지막으로 술잔에 따를 수 있는 술의 양을 짐작하게 함으로써 술자리를 함께하는 동료 또는 손님에게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는 술병을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술병본체; 상기 술병본체의 외표면에 접착되는 라벨지; 상기 라벨지 표면에 인쇄 또는 마킹에 의해 형성되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눈금부는 점 또는 선으로서 상기 술병본체에 마지막으로 남은 술잔 한잔 분량을 표시하는 막잔표시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라벨지는 띠형태로서 상기 술병본체의 외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접착되는 눈금라벨지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라벨지는 띠형태로서 상기 술병본체의 외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접착되는 눈금라벨지이며; 상기 눈금부는 상기 눈금라벨지를 부착한 다음 상기 술병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수직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마킹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라벨지는 띠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술병본체에 부착되는 눈금라벨지이며; 상기 눈금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점 또는 선으로서 남은 술의 잔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잔수표시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술자리에서 술병에 남은 술의 분량을 잘 가늠할 수 있게 하는 술병이 제공된다. 특히 마지막 남은 술이 한잔을 채울 수 있을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상대에게 술을 모자르게 따르는 실수를 범하지 않을 수 있게 하는 술병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라벨지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술병은 술병본체(1)와, 라벨지(3,10)와, 눈금부(11)를 포함한다.
술병본체(1)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마개(2)에 의해 밀봉된다. 술병본체(1)의 형태는 일반적인 사항이다. 술병본체(1)의 표면에는 상표, 성분 및 제조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주라벨지(3)가 접착되어 있다.
술병본체(1)의 외표면에는 라벨지(3,10)가 접착된다. 위에 언급한 주라벨지(3)도 라벨지에 포함된다. 그리고 후술될 눈금라벨지(10) 역시 라벨지에 포함된다. 라벨지(3,10)는 종이가 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이 될 수도 있다.
라벨지(3,10) 표면에 인쇄 또는 마킹에 의해 눈금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눈금부(11)는 주라벨지(3)에 마련될 수도 있고 눈금라벨지(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라면 눈금라벨지(10)가 필요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눈금라벨지(10)의 표면(10a)에 눈금부(11)가 마련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눈금부(11)는 점 또는 선으로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눈금부(11)는 술병본체(1)에 마지막으로 남은 술잔 한잔 분량을 표시하는 막잔표시눈금을 포함할 수 있다. 술이 막잔표시눈금까지 남아 있는 경우라면 술잔 한잔에 술을 온전히 채울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막잔표시눈금에 못 미치게 술이 남아있다면 상대방에게 술을 따르는 것에 조심하여야 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눈금라벨지(10)는 띠형태로서 상기 술병본체(1)의 외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접착될 수 있다. 눈금라벨지(10)의 내면(10b)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접착테잎을 붙인 다음 술병본체(1)에 접착함으로써 눈금라벨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눈금부(11) 근방에는 '막잔', 또는 '마지막 잔'이라는 문구(12)가 함께 표현될 수 있다. 눈금라벨지(10)에는 눈금부가 일부분에만 마련되어도 족하다. 나머지 남는 부분에는 각종 홍보, 광고문안이 인쇄될 수 있다. 눈금라벨지는 술병수거후 세척시 쉽게 벗겨져 제거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눈금부(11)는 눈금라벨지(10)에 인쇄에 의해 술병에 부착하기 이전에 미리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눈금라벨지(10)를 정확하게 부착할 수 없는 경우, 그 결과 부착 위치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환경에서는 눈금부가 정확하게 막잔을 표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눈금라벨지(10)를 먼저 부착한 다음 나중에 눈금부(11)를 마킹하여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때 눈금부(11)는 상기 눈금라벨지(10)를 부착한 다음 상기 술병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수직 높이를 기준 삼아 마킹하여야 할 것이다. 컨베이어 상에서 연속이동하는 술병의 측벽에 펜 또는 프린터를 설치하고 지나가는 술병 상의 눈금라벨지(10)에 잉크를 도포하면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라벨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눈금라벨지(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술병본체에 부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눈금부(11',11")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점 또는 선으로서 남은 술의 잔수를 가늠하도록 할 수 있다. 눈금부가 온도계 또는 우유병과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몇잔 정도를 마셨는지 또는 몇잔 정도가 남았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눈금부(11',11')와 함께 여태까지 섭취하게 된 칼로리 또는 혈중알코올농도를 눈금(11'11")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 상의 눈금부(11')는 모든 잔수를 전부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의 눈금갯수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눈금부(11")는 4~5잔 정도를 정확히 가늠할 수 있도록 4개의 눈금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눈금부(11',11")는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부여할 수 있고 또는 개인적으로 칼로리 조절에도 도움을 주어 과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술병본체 2 : 마개
3 : 주라벨지(라벨지) 10 : 눈금라벨지(라벨지)
11,11',11" : 눈금부 12 : 문구

Claims (4)

  1. 술병본체;
    상기 술병본체의 외표면에 접착되는 라벨지;
    상기 라벨지 표면에 인쇄 또는 마킹에 의해 형성되는 눈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부는 점 또는 선으로서 상기 술병본체에 마지막으로 남은 술잔 한잔 분량을 표시하는 막잔표시눈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는 띠형태로서 상기 술병본체의 외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접착되는 눈금라벨지이며;
    상기 눈금부는 상기 눈금라벨지를 부착한 다음 상기 술병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수직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는 띠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술병본체에 부착되는 눈금라벨지이며;
    상기 눈금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점 또는 선으로서 남은 술의 잔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잔수표시눈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KR2020170002388U 2017-05-15 2017-05-15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KR201800032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88U KR20180003294U (ko) 2017-05-15 2017-05-15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88U KR20180003294U (ko) 2017-05-15 2017-05-15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94U true KR20180003294U (ko) 2018-11-23

Family

ID=6455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88U KR20180003294U (ko) 2017-05-15 2017-05-15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294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77A (ko) 1999-10-22 2001-05-15 윤종용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60010856A (ko) 2006-01-10 2006-02-02 문유환 미생물 발효제를 활용한 불고기 조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77A (ko) 1999-10-22 2001-05-15 윤종용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60010856A (ko) 2006-01-10 2006-02-02 문유환 미생물 발효제를 활용한 불고기 조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373A (en) Thermochromatic indicator for beverage containers
US6561376B2 (en) Beverage container
US1744328A (en) Cocktail shaker
US4550602A (en) Liquid level marker for container
US20110307421A1 (en) Cup insulator and customizable insert
US20060121163A1 (en) Beverage management system
US20070028491A1 (en) System to code and identify beverage containers
BRPI0506206A (pt) removedor de oxigênio inteligente com indicação de nìvel de oxigênio
KR20180003294U (ko) 잔수 표시기능을 가진 술병
US6966121B2 (en) External gauge for liquor inventory control
US20170295967A1 (en) Container with a device for setting and displaying a display value
US20210298502A1 (en) Drinking vessels with indicator sleeves
WO2008003955A2 (en) Measuring container
GB2452764A (en) Graduated beverage container
GB2296907A (en) Bottle with fractional volume indicia
US20080083637A1 (en) Beverage indicating container
KR200400083Y1 (ko) 표시내용이 용기를 통해 투시되는 인쇄 라벨
KR101559145B1 (ko) 온도표시부를 갖는 식품용기
JP3218230U (ja) 飲料水容器
CN215753999U (zh) 一种带有容量显示的牛奶盒
GB2394936A (en) Measuring level of liquid in bottle
EP4042907A1 (en) Improvements in drinking vessels
JP2007091304A (ja) 計量容器
CN210762154U (zh) 具有辨识标签的容器、指示标签的容器及防混淆的容器
KR20150001111U (ko) 온도표시부를 갖는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55;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12

Effective date: 202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