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80U - 책 제본 구조 - Google Patents

책 제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80U
KR20180003180U KR2020180000974U KR20180000974U KR20180003180U KR 20180003180 U KR20180003180 U KR 20180003180U KR 2020180000974 U KR2020180000974 U KR 2020180000974U KR 20180000974 U KR20180000974 U KR 20180000974U KR 20180003180 U KR20180003180 U KR 20180003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book block
sheets
r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현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아이씨 filed Critical 주)제이아이씨
Priority to KR2020180000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80U/ko
Publication of KR20180003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2Covers or strips provided with adhesive for bin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책 제본 구조로서가 제공된다. 본 책 제본 구조는, 책의 콘텐츠를 인쇄한 낱장들의 집합인 책블럭, 및 상기 책블럭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책블럭을 이루는 낱장들이 상호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책블럭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펼침연결부, 및 상기 펼침연결부에 인접하여 상기 책블럭을 이루는 낱장들에 소정 개수의 구멍을 내고 링을 끼워 형성된 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책 제본 구조{BINDING STRUCTURE FOR A BOOK}
본 고안은 책의 제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의 제본 구조는, 책의 콘텐츠를 인쇄한 종이들을 어떻게 접합하는가에 따라, 무선제본, PUR(Poly Urethane Reactive) 제본, 양장 제본, 반양장 제본, 링제본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책등(book back) 형태에 따라 타이트백(tight back), 홀로백(hollow back), 플랙시블백(flexible back)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무선제본은, 가장 일반적인 단행본에 널리 사용되는 형식이며, 낱장들을 접지하여 제본되는 면을 톱으로 긁거나 칼집을 넣은 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는 형식이다. 이는 펼침성은 좋은 편이지만 견고성이 떨어진다. PUR 제본은 펼침성이 좋지 못한 무선제본을 보완한 것으로서, 무선제본이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폴리우레탄(Poly Urethane)을 접착제로 사용한 것에서 차이가 난다. PUR 제본은 비용이 무선제본에 비해 2~3배로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접착제 부분이 0.2 ~ 0.4 mm 정도로 얇고 균일하며 펼침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반양장 제본은 무선제본 형식처럼 낱장들을 접지하여 제본되는 면에 칼집을 넣은 후 실로 한번 더 꿰매고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한 것이며, 실로 꿰매었기 때문에 무선제본보다는 펼침성이 떨어지지만 책등이 견고하여 잘 뜯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양장 제본은 일반적인 제본들 중에서 책등이 가장 튼튼한 형식이며 책의 펼침성도 좋은 편이다. 이 양장 제본은 접지를 한 종이를 실로 꿰매어 책등을 직각으로 혹은 둥글려 모양을 내고 하드커버를 사용하여 표지를 만들어 붙인 것이다. 통상적으로 그림책, 어린이용 책, 연감 등 전집류, 두꺼운 책, 장기 보관용 책, 고급스러운 책, 특수한 책 등에 양장 제본을 적용한다. 링 제본은 종이에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내고 이들 구멍 내에 링 또는 스프링을 끼우는 형식이다. 이는 펼침성이 매우 좋아 뒤로 넘기는 것도 자유로우며 잘 뜯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책 제본 구조는 무선제본이나 PUR 제본처럼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제본 구조가 간단하고 펼침성이 좋지만,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책에 적용하기에는 내구성이 낮아 종이가 잘 뜯겨져 나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유아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책은 내구성이 좋으면서도 펼침성이 좋은 양장 제본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제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과정이 까다로워 책 값이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무선제본, PUR 제본 및 양장 제본이 펼침성이 좋다고는 하나, 책을 펼쳤을 때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예컨대 180도로 펼쳐져서 중간의 접히는 부분이 별로 도드라지지 않는 정도로까지는 아니었으므로, 펼친 책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를 합쳐 하나의 콘텐츠 영역으로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더 나아가 종래의 링 제본은 종이에 작은 구멍을 내고 링을 끼우는 형식이므로 펼침성이 대단히 좋아 종이를, 예컨대 360도까지 뒤로 돌리는 것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멍을 내고 링을 끼우는 부분이 펼친 책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 사이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이 역시도 펼친 책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를 합쳐 하나의 콘텐츠 영역으로 이용하는 것은 어렵다.
본 고안자는, 특히 유아나 아동용 그림책의 경우 펼친 책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를 합쳐 하나의 콘텐츠 영역으로 사용한다면 보다 자유롭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콘텐츠 구성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스러울 것이지만, 종래의 책 제본 구조로는 펼침성이 좋아도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페이지에 인쇄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뷰(view)가 방해되고 내구성이 좋으면 펼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펼침성과 내구성 면에서 동시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에 봉착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특히 펼친 책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만나는 부분이 180도 이상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끊김없이 이어지도록 충분히 연결될 수 있으면서도, 유아나 아동이 종이를 잡아당겨도 잘 뜯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조 가능한 새로운 책 제본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깨달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과제는 상술한 종래 책 제본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의 펼침성이 좋으면서도 쉽게 뜯겨나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하기 쉽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책 제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책을 펼쳤을 때 왼쪽 페이지 영역과 오른쪽 페이지 영역을 마치 하나의 영역으로 하여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유아, 초등학생 등과 같이 책을 얌전하게 다루지 않는 대상에게도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 가능한 새로운 책 제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책 제본 구조가 제공된다. 본 책 제본 구조는, 책의 콘텐츠를 인쇄한 낱장들의 집합인 책블럭, 및 상기 책블럭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책블럭을 이루는 낱장들이 상호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책블럭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펼침연결부, 및 상기 펼침연결부에 인접하여 상기 책블럭을 이루는 낱장들에 소정 개수의 구멍을 내고 링을 끼워 형성된 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결합부는 두 개의 링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링설치부는, 상기 접합부의 전체 길이(L)의 50~90%의 길이(L0)의 간격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접합부의 전체 길이(L)의 10~20%의 길이(L1, L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결합부의 링은, 와이어링, 트윈 와이어링, 플라스틱링, 코일링,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펼침연결부의 접착제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Reactive)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책블럭은, 상기 책블럭의 낱장을 펼쳤을 때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함께 하나의 영역으로서 인쇄된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책 제본 구조는, 상기 책블럭의 외측을 감싸는 표지부, 및 상기 책블럭의 양 최외측에서 상기 접합부에 의해 상기 책블럭에 접합되어 있는 한 쌍의 엔드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지부는 상기 접합부를 감싸는 책등부, 상기 책블럭의 양면을 각각 감싸며 상기 한 쌍의 엔드시트가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커버시트 및 상기 책블럭을 펼칠 때 상기 한 쌍의 커버시트가 상기 책등부에 대해 접혀지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책의 펼침성이 좋으면서도 쉽게 뜯겨나가지 않도록 내구성이 향상되면서도 제조하기 쉽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책 제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책을 펼쳤을 때 왼쪽 페이지 영역과 오른쪽 페이지 영역을 마치 하나의 영역으로 하여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유아, 초등학생 등과 같이 책을 얌전하게 다루지 않는 대상에게도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 가능한 새로운 책 제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제본 구조를 구비하는 샘플 책의 펼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샘플 책의 접힌 상태를 보여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샘플 책의 하드 커버 중 앞 표지를 펼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샘플 책의 책블럭 중 임의의 페이지를 펼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샘플 책의 하드 커버 중 뒷 표지를 펼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샘플 책의 접힌 상태에서 책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샘플 책의 펼친 상태에서 책등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기재사항 및 도면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고안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현장에서 구현할 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변형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고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인 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해상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제본 구조를 구비하는 샘플 책의 다양한 모습과 책등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제본 구조를 적용하여 제작한 샘플 책(10)의 펼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샘플 책(10)은 그림 및 문자로 이루어진 동화를 콘텐츠로서 인쇄하고 있는 종이 낱장들로 이루어진 책블럭(11)을 포함한다. 책블럭(11)을 구성하는 종이 낱장들의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에지 및 제2 에지를 가진다. 책블럭(11)을 구성하는 종이 낱장들은 책블럭(11)의 일측면에 있는 접합부(15)에서 서로 붙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책블럭(11)을 펼친 상태에서,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는 접합부(15)를 통해 서로 붙어 있는 상태로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접합부(15)는 접착제를 도포한 펼침연결부(152)와 링(ring) 등을 사용한 링결합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펼침연결부(152)는 책블럭(11)을 이루는 낱장들이 약 180도 이상으로 펼쳐질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제1 에지들에서 상호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책블럭(11)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펼침연결부(152)는 낱장의 일측면에 예컨대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Reactive)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펼침연결부(152)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낱장들이 펼쳐질 때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접착된 선이 사용자의 뷰(view)를 방해할 정도로 구부러지지 않고 약 180도 이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두께로 (또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결합부(154)는 펼침연결부(152)에 인접한 위치에서 책블럭(11)을 이루는 낱장들에 소정 개수의 구멍을 내고, 링(예컨대, 와이어링, 트윈 와이어링, 플라스틱링, 코일링, 또는 스프링 등)을 끼워 형성된다. 링결합부(154)는 복수의 링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설치부는 2개일 수 있으나 링설치부의 개수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링결합부(154)는 펼침연결부(152)에 의해 상호 접합된 낱장들이 쉽게 뜯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강하면서, 이와 동시에 책을 펼친 때에 책블럭(11)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뷰를 방해하지 않도록 책의 중심부가 아니라 위아래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결합부(154)를 펼침연결부(152)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펼침연결부(152)에 접착제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기존의 무선제본 또는 PUR 제본 방식에서는 접착제가 책블럭의 낱장들을 잘 뜯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제공하면서 상호 접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이 사용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된 종이들이 뜯어지지 않도록 하는 내구성은 링결합부(154)에 의해 보완되기 때문에 펼침연결부(152)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단지 책블럭(21)의 종이들이 상호 부착되도록 하는 정도로만 사용되면 충분하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의 양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책의 펼침성이 더 좋아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책블럭(11)을 펼친 상태에서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 사이의 각도가 약 180도는 물론이고 이보다 더, 예컨대 약 200도 정도까지 펼쳐질 수 있어 기존 접착제를 사용하는 제본 구조에 비하여 향상된 펼침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시된 샘플 책(10)은, 책블럭(11)을 하드 커버 형태의 표지부(17)를 사용하여 감싼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표지부(17)의 구조는 도 1의 샘플 책의 접힌 상태를 보여는 도면인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책블럭(11)을 감싼 표지부(17)가 보여진다. 도시된 샘플 책(10)에서, 표지부(17)는 책등부(172), 커버시트(176) 및 접힘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책등부(172)는 접합부(15)를 감싸는 부분이며, 도시된 예에서 책등부(172)는 접합부(15)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두고 여유롭게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책등부(172)에 의해 감싸지는 접합부(15)가 링결합부(154)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링결합부(154)에 포함되어 있는 링을 수용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책등부(172)는 책블럭(11)이 펼쳐졌을 때 접합부(15)를 감싸 보호하면서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적어도 180도 이상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폭을 가진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책등부(172)와 접합부(15) 간의 공간과 책등부(172)의 폭은 책의 크기, 링결합부(154)에 포함된 링의 크기 및 기타 책의 형태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책등부(172)의 양면에는, 책블럭(11)을 펼칠 때 커버시트(176)가 책등부(172)에 대해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부(174)를 경계로 한 쌍의 커버시트(176)가 연장된다. 커버시트들(176)과 책블럭(11)의 두 최외각 시트, 즉 엔드시트들(13)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합되어 고정된다. 엔드시트들(13)과 접합된 상태의 커버시트들(176)은 각각 샘플 책(10)의 앞 표지 및 뒷 표지를 형성한다.
도 3은 도 1의 샘플 책의 하드 커버 중 앞 표지를 펼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합부(15)에서 링결합부(154)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들(L, Lm, L0, L1, L2)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링결합부(154)의 링설치부들은 샘플 책(10)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 간의 경계를 이루는 접합부(15)의 전체 길이(L) 중에서 책의 상단부 부근과 책의 하단부 부근에 각각 작은 길이(L1, L2)만큼을 차지하도록 위치한다. 링결합부(154)는 이미 접착제에 의해 상호 부착되어 있는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쉽게 뜯어지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지만, 더 나아가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계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뷰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될 수 있으면 책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링결합부(154)를 책의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계 부분의 중앙이나 그 부근에 배치할 수도 있고, 그러한 실시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접합부(15)의 전체 길이(L)가, 예컨대 270mm 인 경우, 링결합부(154)의 링설치부들은 책의 상단과 하단에서, 전체 길이(L)의 50~90%의 길이(L0)(예컨대 180mm 정도)의 간격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각각 전체 길이(L)의 10~20%의 길이(L1, L2)(예컨대, 각각 30mm)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Lm은 여백의 길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책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책블럭(11)의 중간 부분이 펼쳐진 상태의 샘플 책(10)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책블럭(11)의 낱장을 펼쳤을 때, 왼쪽 페이지(112)와 오른쪽 페이지(114)는 함께 하나의 영역으로서 인쇄된 콘텐츠(도시된 예에서는 그림)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책의 왼쪽 페이지(112)와 오른쪽 페이지(114)가 접합한 중심축은 펼침연결부(152)에 의해 180도 이상 펼쳐질 수 있고, 링결합부(154)는 책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뷰를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왼쪽 페이지(112)와 오른쪽 페이지(114)는 서로 독립된 공간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나의 콘텐츠(즉, 하나의 그림)를 포함하는 하나의 영역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제본 구조에 의하면, 1개의 페이지가 아닌 2개의 페이지가 제공하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자유롭게 다양하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5는 뒷 표지를 펼친 상태의 샘플 책(10)을 보여주며, 도 6은 접힌 상태의 책등 부분을 더 상세히 보여주고, 도 7은 펼친 상태의 책등 부분을 더 상세히 보여준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접속되거나 결합된다는 기재의 의미는 당해 구성 요소가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거나 결합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이들이 그 사이에 개재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 구성 요소를 통해 접속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용어들(예컨대, '상에', '상부에', '위에', '간에', '사이에' 등)도 유사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본 고안이 구현되는 환경 또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몇몇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의 배치 순서 및 연결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책
11: 책블럭
13: 엔드시트
15: 접합부
152: 펼침연결부
154: 링결합부
17: 표지부
172: 책등부
174: 접힘부
176: 표지부

Claims (4)

  1. 책 제본 구조로서,
    책의 콘텐츠를 인쇄한 낱장들의 집합인 책블럭 - 상기 낱장들의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에지 및 제2 에지를 가짐 -, 및
    상기 책블럭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책블럭을 이루는 낱장들이 상기 제1 에지들에서 상호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책블럭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펼침연결부, 및
    상기 펼침연결부에 인접하여 상기 책블럭을 이루는 낱장들에 소정 개수의 구멍을 내고 링을 끼워 형성된 링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책블럭은 상기 책블럭의 낱장을 펼쳤을 때 왼쪽 페이지와 오른쪽 페이지가 함께 하나의 영역으로서 인쇄된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책 제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결합부의 링은 와이어링, 트윈 와이어링, 플라스틱링, 코일링,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책 제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연결부의 접착제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Reactive) 접착제를 포함하는, 책 제본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블럭의 외측을 감싸는 표지부, 및
    상기 책블럭의 양 최외측에서 상기 접합부에 의해 상기 책블럭에 접합되어 있는 한 쌍의 엔드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지부는 상기 접합부를 감싸는 책등부, 상기 책블럭의 양면을 각각 감싸며 상기 한 쌍의 엔드시트가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커버시트 및 상기 책블럭을 펼칠 때 상기 한 쌍의 커버시트가 상기 책등부에 대해 접혀지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접힘부를 포함하는, 책 제본 구조.
KR2020180000974U 2018-03-07 2018-03-07 책 제본 구조 KR201800031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74U KR20180003180U (ko) 2018-03-07 2018-03-07 책 제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74U KR20180003180U (ko) 2018-03-07 2018-03-07 책 제본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59U Division KR200487051Y1 (ko) 2017-04-28 2017-04-28 책 제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80U true KR20180003180U (ko) 2018-11-07

Family

ID=6432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74U KR20180003180U (ko) 2018-03-07 2018-03-07 책 제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612A (ko) 2021-09-03 2023-03-10 정경미 조립형 그림책, 조립형 그림책 제작 시스템 및 조립형 그림책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612A (ko) 2021-09-03 2023-03-10 정경미 조립형 그림책, 조립형 그림책 제작 시스템 및 조립형 그림책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4612A1 (en) Reconfigurable notebook holder
KR200487051Y1 (ko) 책 제본 구조
JP2006315376A (ja) 写真アルバム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6315376A5 (ko)
KR20180003180U (ko) 책 제본 구조
KR101031698B1 (ko) 커버구조체
JP3422394B2 (ja)
US8128125B1 (en) Menu, photo, or card display mount
KR101267560B1 (ko) 양면 연속형 책
KR100935177B1 (ko) 돌출광고판을 가진 탁상용 캘린더
US20080093835A1 (en) Reversible writing pad
KR20150118349A (ko) 스탠드 북
JP3217181U (ja) 御朱印帳
KR100686346B1 (ko) 가장자리 메모 영역을 갖는 바인더 인서트
JP3143214U (ja) 広告表示媒体
KR20230010307A (ko) 곡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본 방법
AU2004100621A4 (en) A device for conveying information
JPH0390393A (ja) 書籍用の付箋セット
IL188445A (en) Loose leaf pages suitable for binding, method for producing them, and articles containing them
JP6395271B2 (ja) 連結式冊子及び手帳
JP3145422U (ja) メニュー表等の収納ケース
KR100863537B1 (ko) 리플릿 일체형 팸플릿
KR20120007563U (ko) 절첩선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바인더 제본
KR20080056538A (ko) 지지대 구조체 및 그 지지대 구조체의 제조 방법
WO1989010846A1 (en) A stiffening means for a paperback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