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49A -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49A
KR20180003049A KR1020160082352A KR20160082352A KR20180003049A KR 20180003049 A KR20180003049 A KR 20180003049A KR 1020160082352 A KR1020160082352 A KR 1020160082352A KR 20160082352 A KR20160082352 A KR 20160082352A KR 20180003049 A KR20180003049 A KR 2018000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ount
charging station
distribu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국
권균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08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049A/ko
Publication of KR2018000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11/18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10Temporary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내에서 부하를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은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복수의 전력 충전기에 분산하는 전력 충전소,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하는 발전소,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개폐 장치,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 출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상기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필요 전력량과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은 제어 장치가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 제어 장치가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과, 발전소의 발전량과,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필요 전력량과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POWER CHARGING STATION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을 충전시키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차 보급의 활성화와 함께 주유소처럼 다수의 전기차 충전기를 하나의 스테이션화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테이션에는 충전 대기시간 축소를 위해 가정용 완속 충전기보다는 급속 충전기들이 주로 설치된다. 급속 충전기의 경우, 출력의 크기가 가정용 완속 충전기에 비해 10배 이상 크며, 부하가 집중될 경우 그 크기는 순간적으로 배전 전력 계통에서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넘을 수 있어서, 전력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492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내에서 부하를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은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복수의 전력 충전기에 분산하는 전력 충전소,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하는 발전소,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개폐 장치,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 출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상기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필요 전력량과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은 제어 장치가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복수의 전력 충전기에 분산하는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과,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하는 발전소의 발전량과,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 출력하는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필요 전력량과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전기차 충전기로 구성된 전기차 충전소가 분산전원으로서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연계될 경우 계약전력 초과, 과 송전 등과 같은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100)은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에 연결된 전력 충전소(110), 발전소(120),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130), 개폐 장치(140) 및 제어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충전소(110)는 복수의 전력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력 충전기 각각은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급속 충전기일 수있다.
발전소(120)는 제어 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여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을 통해 전력 충전소(110), 전력 저장 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소(120)는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소 일 수 있다.
전력 저장 장치(130)는 제어 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발전소(120)의 잉여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을 통해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할 수 있다.
개폐 장치(140)는 제어 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발전소(120)로부터의 전력 또는 전력 저장 장치(130)로부터의 전력을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에 전달하거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는 개폐 장치(1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여 발전소(120)로부터의 전력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을 통해 전력 충전소(110) 또는 전력 저장 장치(130)에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전력 저장 장치(130)의 충전된 전력이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50)는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나, 전력 저장 장치(130)의 제어 회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50)는 배전 전력 계통 라인(배전망)(160)의 수요와 공급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 전력량을 읽어들일 수 있다(S1).
다음으로, 제어 장치(150)는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상태과 발전소(120)의 발전량과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수요)를 각각 계측할 수 있다.(S2a,S2b,S2c,S2)
이후,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과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발전소(120)로부터의 전력을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에 전달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S3), 개폐 장치(140)를 제어하여 배전 전력 계통 라인(배전망)(160)을 통해 발전소(120)의 전력을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할 수 있다(S4). 발전소(120)의 전력을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한 후에도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S5), 제어 장치(150)는 개폐 장치(140)를 제어하여 배전 전력 계통 라인(배전망)(160)을 통해 전력 저장 장치(130)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할 수 있다(S6). 전력 저장 장치(130)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한 후에도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S7),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각 전력 충전기의 충전 속도를 저감시키고(S8),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과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이 일치하면(S9) 전력 충전소(110)의 각 전력 충전기의 충전 속도를 유지하고(S10), 현재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과 각 전력 충전기의 충전 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각 전력 충전기의 충전 속도를 순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만일, 전력 저장 장치(130)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한 후에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S7), 제어 장치(150)는 전력 저장 장치(130)의 동작을 대기시킬 수 있다(S21).
더하여,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상태과 발전소(120)의 발전량과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수요)를 각각 계측하는 단계(S2a,S2b,S2c,S2)로 돌아가 이후의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0)가 전력 충전소(110)의 각 전력 충전기의 충전 속도를 저감시킨 후에도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전력 충전소(110)의 충전 전력량을 제한할 수 있다(S12).
제어 장치(150)가 전력 충전소(110)의 각 전력 충전기의 충전 속도를 저감시킨 후,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제어 장치(150)는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상태과 발전소(120)의 발전량과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수요)를 각각 계측하고(S2a,S2b,S2c,S2), 이후의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고(S3), 발전소(120)의 전체 발전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S13), 발전소(120)의 전체 발전량과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간의 차에 해당하는 발전소(120)의 잉여 전력을 전력 저장 장치(130)에 충전시킬 수 있다(S14).
만일, 제어 장치(150)는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고(S3), 발전소(120)의 전체 발전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S13), 발전소(120)의 전력을 역송하고(S15), 발전소의 전력 공급량을 출력할 수 있다(S16).
반면에, 제어 장치(150)는 발전소(120)의 전력을 전력 충전소(110)에 전달한 후에도 전력 충전소(110)의 필요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S5), 발전소(120)의 잔여 전력량과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S17), 발전소(120)의 잔여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발전소(120)의 잔여 전력량과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간의 차에 해당하는 발전소(120)의 잉여 전력을 전력 저장 장치(130)에 충전시키고(S18), 발전소(120)의 잔여 전력량이 배전 전력 계통 라인(160)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발전소(120)의 잔여 전력을 역송하고(S19), 발전소의 전력 공급량을 출력할 수 있다(S20).
제어 장치(150)는 발전소의 잉여 전력을 전력 저장 장치에 충전하는 경우(S14, S18),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상태를 분석하고(S111),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가능 용량을 분석하여(S112), 발전소(120)의 잉여 전력을 전력 저장 장치(ESS)(130)에 공급할 수 있다(S113).
제어 장치(150)는 발전소(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과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제한량을 비교하여(S114), 발전소(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이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제한량 미만이면,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S115), 계속 발전소(120)의 잉여 전력을 전력 저장 장치(ESS)(130)에 공급하고, 발전소(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이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 제한량을 초과하면, 전력 저장 장치(ESS)(130)의 충전을 정지시키고(S116), 발전소(120)의 발전 동작을 제어하며(S117), 전력 저장 장치(ESS)(130)에 충전된 전력을 방전 대기시킨다(S118).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기차들이 동시간대에 전력을 충전할 때, 배전망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전기차로 지속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계통 이외의 부가적인 전력원이 필요하다. 부가적인 전력원으로서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결합하고, 배전망의 수요 및 공급제한을 실시간으로 맞출 수 있도록 전력 저장 장치 (Energy Storage System)를 설치하여 시간대별 적절한 부하 분배 및 신재생에너지 과다공급 제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전기차 충전기로 구성된 전기차 충전소가 분산전원으로서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연계될 경우 계약전력 초과, 과 송전 등과 같은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전력 충전 스테이션
110: 전력 충전소
120: 발전소
130: 전력 저장 장치
140: 개폐 장치
150: 제어 장치
160: 배전 전력 계통 라인

Claims (21)

  1.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복수의 전력 충전기에 분산하는 전력 충전소;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하는 발전소;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개폐 장치;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 출력하는 전력 저장 장치; 및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과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 충전소에 전달시키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서, 상기 발전소의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발전소의 잉여 전력을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서, 상기 발전소의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발전소의 전력량을 역송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을 상기 전력 충전소에 더 전달시키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전력 충전소에 전달된 후,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발전소의 잉여 전력은 역송시키고, 역송되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충전시키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전력이 만충되면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 상기 전력 저장 장치 간의 전력 연결을 차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전력 충전소의 전력 충전기 각각의 전력 충전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필요 전력량을 저감시키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동작을 대기시키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전력 충전소의 전력 충전기 각각의 전력 충전 속도를 순차적으로 제한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과 일치하면, 상기 전력 충전소의 전력 충전기 각각의 전력 충전 속도를 유지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
  11. 제어 장치가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복수의 전력 충전기에 분산하는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과,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하는 발전소의 발전량과,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 출력하는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과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력 충전소에 전달시키는 단계인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서, 상기 발전소의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발전소의 잉여 전력을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서, 상기 발전소의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발전소의 전력량을 역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을 상기 전력 충전소에 더 전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소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전력 충전소에 전달된 후,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발전소의 잉여 전력은 역송시키고, 역송되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전력이 만충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발전소의 발전량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전소로부터 상기 전력 저장 장치 간의 전력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충전소의 전력 충전기 각각의 전력 충전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필요 전력량을 저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제어 장치가 전력 저장 장치의 동작을 대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충전소의 전력 충전기 각각의 전력 충전 속도를 순차적으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과 일치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충전소의 전력 충전기 각각의 전력 충전 속도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이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의 제한 전력량 미만이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부터의 외부 전력을 복수의 전력 충전기에 분산하는 전력 충전소의 필요 전력량과,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에 전달하는 발전소의 발전량과, 상기 발전 장치로부터의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상기 배전 전력 계통 라인으로 출력하는 전력 저장 장치의 충전 전력량을 계측하는 단계로 돌아가는 전력 충전 스테이션의 전력 관리 방법.
KR1020160082352A 2016-06-30 2016-06-30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KR20180003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52A KR20180003049A (ko) 2016-06-30 2016-06-30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52A KR20180003049A (ko) 2016-06-30 2016-06-30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49A true KR20180003049A (ko) 2018-01-09

Family

ID=6100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352A KR20180003049A (ko) 2016-06-30 2016-06-30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04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1793A (zh) * 2019-07-29 2019-09-27 赫普能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电厂内设置可插拔或可移动充电站的系统和方法
KR20190131392A (ko) * 2018-05-16 2019-11-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계통 연계 단말장치 및 계통 연계 방법
KR102198926B1 (ko) 2020-06-16 2021-01-06 (주) 애플망고 충전기 출력 결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분산 방법
KR20210044584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충전인프라 및 신재생 에너지 수용성 확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8198A (ko) * 2019-11-29 2021-06-09 선광엘티아이(주) 충전스테이션의 전력 관리시스템
KR102453046B1 (ko) * 2021-12-30 2022-10-11 주식회사 크로커스 전기자동차 충전 스테이션 부하 예측 모델 기반의 전압 최적화 제어를 통한 보전 전압 강하를 위한 전압 제어 장치
KR102522770B1 (ko) * 2021-10-27 2023-04-19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운반선
WO2023075467A1 (ko) * 2021-10-27 2023-05-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운반선 및 여객선
KR20230060594A (ko) * 2021-10-27 2023-05-08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갖는 여객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92A (ko) * 2018-05-16 2019-11-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 계통 연계 단말장치 및 계통 연계 방법
CN110281793A (zh) * 2019-07-29 2019-09-27 赫普能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电厂内设置可插拔或可移动充电站的系统和方法
KR20210044584A (ko) * 2019-10-15 2021-04-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충전인프라 및 신재생 에너지 수용성 확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8198A (ko) * 2019-11-29 2021-06-09 선광엘티아이(주) 충전스테이션의 전력 관리시스템
KR102198926B1 (ko) 2020-06-16 2021-01-06 (주) 애플망고 충전기 출력 결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하 분산 방법
KR102522770B1 (ko) * 2021-10-27 2023-04-19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운반선
WO2023075467A1 (ko) * 2021-10-27 2023-05-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 운반선 및 여객선
KR20230060594A (ko) * 2021-10-27 2023-05-08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갖는 여객선
KR102453046B1 (ko) * 2021-12-30 2022-10-11 주식회사 크로커스 전기자동차 충전 스테이션 부하 예측 모델 기반의 전압 최적화 제어를 통한 보전 전압 강하를 위한 전압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049A (ko) 전력 충전 스테이션 및 이의 전력 관리 방법
Tran et al. An efficient energy management approach for a solar-powered EV battery charging facility to support distribution grids
US20180001780A1 (en) Matrix-type flexible charging pile and a charging method capable of dynamically allocating power
US11063444B2 (en) Enhanced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pack
WO2015041253A1 (ja) 充電設備および充電設備の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
KR20200138348A (ko) 유틸리티-규모 재생가능 피커 (Peaker) 발전소, 밀결합 태양광기전 및 에너지 저장
WO2020192086A1 (zh) 一种移动式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70029909A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자율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369895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KR101278307B1 (ko) 비상용 전력공급 시스템
KR20170121628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N102195344A (zh) 一种多能源供电的通信电源及其控制方法
WO2020077786A1 (zh) 能源控制方法、装置以及能源管理系统和存储介质
US20240047769A1 (en) Enhanced switched balancing network for battery pack
KR20160109530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277008B2 (en) Energy storage system
US11437819B2 (en) Demand response implemented in an infrastructure having a DC link
CN106058899B (zh) 储能系统的监控系统
JP5377435B2 (ja)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
KR101898561B1 (ko) 세대용 ess를 포함하는 dc배전시스템
KR101215396B1 (ko) 방전전류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그리드 무정전전원장치
US10886744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conversion device
KR102338490B1 (ko) 무순단 전원 공급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1959334A (zh) 基于云端调度策略的直流母线变功率柔性充电控制方法
EP3923440B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