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26U -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26U
KR20180002926U KR2020170001636U KR20170001636U KR20180002926U KR 20180002926 U KR20180002926 U KR 20180002926U KR 2020170001636 U KR2020170001636 U KR 2020170001636U KR 20170001636 U KR20170001636 U KR 20170001636U KR 20180002926 U KR20180002926 U KR 20180002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ocessed body
conveyor belt
reading unit
join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852Y1 (ko
Inventor
이학준
김성현
김욱경
성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170001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5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01M2/167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합제가 코팅된 전극과 분리막을 상호 접합(lamination)하는 공정에서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는 공급 컨베이어(conveyor)가 구비되어 있는 전극 접합 장치로서,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도록 서로 맞물려 레일(rail)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belt)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로 구성된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Electrode Lamination Device Comprising Feeding Conveyor}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바이셀 및 풀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는 양극(71)/분리막(75)/음극(72) 구조의 풀셀(70) 또는 양극(81)/분리막(85)/음극(82)/분리막(86)/양극(83) 구조의 바이셀(80)로 구성되며, 이러한 풀셀 또는 바이셀을 구성하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은 제작 공정에서 서로 합체 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극의 제조 공정은 대략적으로 전극 가공체 풀기, 전극 가공체 이송, 전극 가공체 커팅, 분리막 공급, 분리막과 전극 접착 및 검사 배출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조립체의 제작 공정들은 대부분이 다수의 롤러들을 사용하여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는 롤투롤 공정(Roll-to-roll processing)을 사용하고 있고, 여기서 롤투롤 공정은,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전극 가공체의 소재가 롤러와 롤러 사이로 이동하면서 코팅, 컷팅, 프린팅 등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공정을 말한다. 즉, 예를 들면, 유연하고 얇은 전극 집전체의 시트형 재료를 권취하고 있는 롤을 풀어 재료를 공급하고, 공급된 재료에 전극 합제를 코팅한 뒤, 또 다른 롤에서 가공된 재료를 다시 되감아 회수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의 전극 의 제조 공정 중 전극 가공체의 압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종래 기술의 전극의 제조 공정 중, 전극 합제가 도포된 전극 가공체(10)를 롤 프레스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전극 가공체(10)에 전극 합제가 코팅되어 있는 유지부(17)와 전극 합제가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18)의 연신율의 차이가 발생되어, 무지부에는 유지부의 경계 근처에서 물결 무늬(15)가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전극 가공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부들의 연신률 차이가 심해지면 전극 가공체의 양측부들의 길이가 서로 달라져 전극 가공체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될 시에 일 방향으로 전극 가공체가 미세하게 틀어짐이 발생하였고, 이후 공정인 전극과 분리막이 합치되는 과정에서 전극과 분리막이 의도한 위치 배열에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의 전극들 간의 단락이 발생되기 쉬웠고, 또한 전극조립체의 크기가 불균일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도 4에는 종래기술의 전극 틀어짐 현상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도 4의 사진들에서와 같이,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전극조립체의 제작 공정 중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고, 공급 컨베이어의 수평도 조절용 볼트를 직접 조정하여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을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작업자의 육안으로만 보정 작업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보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쉬워, 전극조립체의 품질 및 수율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정렬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로 구성된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접합 장치를 사용할 경우, 전극조립체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합제가 코팅된 전극과 분리막을 상호 접합(lamination)하는 공정에서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는 공급 컨베이어(conveyor)가 구비되어 있는 전극 접합 장치로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도록 서로 맞물려 레일(rail)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belt)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상기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로 구성된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전극 접합 장치를 사용할 경우, 전극조립체의 제작 공정 중에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 현상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자의 투입 비용을 절감하고, 판독부와 작동 제어부의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을 보정하는 정밀한 작업을 통해 전극조립체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 가공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가압 고정되어 이송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전극 가공체가 이송되는 중에 전극 가공체가 하부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노출된 전극 가공체의 일 부위를 떠받치는 가이드 판넬(panel)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공급 컨베이어를 전극 가공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보상 신호를 방향 조절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방향 조절부는 전극 가공체가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에 따라 좌우 방향(θ 방향)으로 공급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 조절부가 공급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각도의 범위는 1도 이하인 것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의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의 전극 탭을 성형하기 위해 공급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전극 가공체를 거치하기 위한 그립 가이드(grip gu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 가이드는 제 1 그립 가이드 및 제 2 그립 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그립 가이드는 공급 컨베이어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2 이상의 가이드 기둥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그립 가이드는 가이드 기둥들의 폭은 제 2 그립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기둥들의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80% 정도로 적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상기 방향 조절부가 공급 컨베이어를 회전시킬 경우에도 제 1 그립 가이드와 제 2 그립 가이드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는 전극 가공체의 외주변을 인식하여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를 통해 전극 가공체의 외주변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판독부는 감지된 정보를 작동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의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 취출부, 전극 가공체 이송부, 분리막 공급부, 분리막 및 전극 접합부, 품질 검사부, 및 전극 배출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품질 검사부는 접합된 전극조립체의 품질 판별하기 위한 정렬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렬 판독부는 접합된 적층 구조체의 전극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렬된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정렬 판독부는 적층 구조체의 전극의 정렬된 상태 정보를 작동 제어부로 송신하여, 전극 이송부의 전극의 틀어짐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 접합 장치는 (HMI, Hu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한 공정제어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HMI를 통해 작동 제어부를 온/오프(On/Off)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라인의 첫단에 인접한 위치해 있는 구조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라인의 첫단에 위치한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위치 판독부의 센서가 감지한 전극 가공체의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전극 가공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틀어짐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전극 접합 장치를 포함하는 있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전극 또는 분리막을 2개 이상 교번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적층부;
상기 적층 구조체를 가열 압착하여 접합(laminating)하기 위한 라미네이터(laminator); 및
접합된 적층 구조체의 전극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렬(align)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렬 판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전극조립체의 종류가 바이셀 또는 풀셀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공지된 전극조립체의 종류들도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은 양극 또는 음극으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전극조립체의 구성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극 가공체 이송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전극조립체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대표적인 전극조립체의 구성인 풀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표적인 전극조립체의 구성인 바이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전극의 제조 공정 중 전극 가공체의 압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전극 가공체의 틀어짐 현상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의 공급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의 공급 컨베이어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극 접합 장치의 공급 컨베이어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100)는 전극 가공체 취출부(110), 전극 가공체 이송부(120), 분리막 공급부(130), 분리막 및 전극 접합부(140), 품질 검사부(150), 및 전극 배출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전극 접합 장치(100)에는 공급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의 공급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의 공급 컨베이어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급 컨베이어(200)는, 전극 가공체(310)를 이송하도록 서로 맞물려 레일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210)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220)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전극 가공체(3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230), 전극 가공체(310)이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210, 220)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240), 및 위치 판독부(23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310)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240)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방향 조절부(240)는 공급 컨베이어(200)의 수평도 조절용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조정하여 전극 가공체(310)의 틀어짐을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전극 가공체(310)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 컨베이어 벨트(210)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220) 사이에 가압 고정되어 이송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작동 제어부(250)는 공급 컨베이어(200)를 전극 가공체 (31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B)으로 회전하도록 보상 신호를 방향 조절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210)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220)에 의해 전극 가공체(310)가 이송되는 중에 전극 가공체(310)가 하부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컨베이어 벨트(210)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220) 밖으로 노출된 전극 가공체(310)의 일 부위를 떠받치는 가이드 판넬(26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위치 판독부(230)의 센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210)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220)의 이송 라인의 첫단(235)에 인접한 위치해 있는 구조이다.
도 8에는 도 7의 전극 접합 장치의 공급 컨베이어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위치 판독부(230)의 센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210)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220)의 이송 라인의 첫단(235)에 위치한 전극 가공체(3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조이다. 즉, 위치 판독부(230)의 센서를 통해 전극 가공체(310)의 외주변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판독부(230)는 감지된 정보를 작동 제어부(25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전송 방법은 경우에 따라서 무선 형태의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제어부(250)는 위치 판독부(230)의 센서가 감지한 전극 가공체(310)의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전극 가공체(31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틀어짐 정도를 산출한다.
또한, 방향 조절부(240)는 작동 제어부(250)로부터 산출된 전극 가공체(310)가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에 따라 좌우 방향(θ 방향, 271, 272)으로 공급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방향 조절부(240)가 공급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는 회전 각도의 범위(333)는 1도 이하이다.
도 5,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극 접합 장치(100)는 전극 가공체(310)의 전극 탭을 성형하기 위해 공급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된 전극 가공체(310)를 거치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그립 가이드들(280, 290)을 포함하고 있고, 이 중 제 1 그립 가이드(280)는 공급 컨베이어(200)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282) 및 이러한 본체(282)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기둥(284)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 1 그립 가이드(280)는 가이드 기둥(284)들의 폭(W1)은 제 2 그립 가이드(290)에 형성된 가이드 기둥(294)들의 폭(W2)을 기준으로 50% 내지 80%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공급 컨베이어(200)의 회전시 가이드 판넬(260)과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급 컨베이어(200)와 대응하고 있는 가이드 판넬(260)의 일 부위(262)는 대응 방향(340)으로 1 mm 내지 2 mm 정도 만입되어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장치(500)는, 양극(410), 분리막(420) 및 음극(430)을 2개 이상 교번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400)를 형성시키기 위한 적층부(510), 적층 구조체(400)를 가열 압착하여 접합하기 위한 라미네이터(520)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장치(500)는 접합된 적층 구조체(400)의 전극(410, 43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렬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렬 판독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극 가공체 이송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전극조립체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합제가 코팅된 전극과 분리막을 상호 접합(lamination)하는 공정에서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는 공급 컨베이어(conveyor)가 구비되어 있는 전극 접합 장치로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전극 가공체를 이송하도록 서로 맞물려 레일(rail)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belt)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위치 판독부;
    전극 가공체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들로 이송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부; 및
    상기 위치 판독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극 가공체의 정위치 복원을 위해 방향 조절부를 작동시키는 작동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가공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가압 고정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전극 가공체가 이송되는 중에 전극 가공체가 하부 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노출된 전극 가공체의 일 부위를 떠받치는 가이드 판넬(panel)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공급 컨베이어를 전극 가공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보상 신호를 방향 조절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부는 전극 가공체가 정위치에서 틀어진 정도에 따라 좌우 방향(θ 방향)으로 공급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부가 공급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각도의 범위는 1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는 전극 가공체의 외주변을 인식하여 전극의 틀어짐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라인의 첫단에 인접하여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독부의 센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 및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라인의 첫단에 위치한 전극 가공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위치 판독부의 센서가 감지한 전극 가공체의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전극 가공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틀어짐 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접합 장치는, 전극 가공체의 전극 탭을 성형하기 위해 공급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전극 가공체를 거치하기 위한 그립 가이드(grip gu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가이드는 제 1 그립 가이드 및 제 2 그립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그립 가이드는 공급 컨베이어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2 이상의 가이드 기둥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립 가이드는 가이드 기둥들의 폭은 제 2 그립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기둥들의 폭을 기준으로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합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극 접합 장치를 포함하는 있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전극 또는 분리막을 2개 이상 교번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적층부;
    상기 적층 구조체를 가열 압착하여 접합(laminating)하기 위한 라미네이터(laminator); 및
    접합된 적층 구조체의 전극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렬(align)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렬 판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2020170001636U 2017-04-03 2017-04-03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KR200493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36U KR200493852Y1 (ko) 2017-04-03 2017-04-03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36U KR200493852Y1 (ko) 2017-04-03 2017-04-03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26U true KR20180002926U (ko) 2018-10-12
KR200493852Y1 KR200493852Y1 (ko) 2021-06-16

Family

ID=6386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36U KR200493852Y1 (ko) 2017-04-03 2017-04-03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83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CN113574710A (zh) * 2019-03-12 2021-10-29 株式会社Lg新能源 二次电池的层压设备和层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24B1 (ko) * 2010-08-19 2012-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권취기용 사행보정장치
KR101334618B1 (ko) * 2010-12-02 2013-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
KR101595621B1 (ko) * 2013-09-27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160047690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20160112428A (ko) * 2015-03-19 2016-09-28 이호상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24B1 (ko) * 2010-08-19 2012-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권취기용 사행보정장치
KR101334618B1 (ko) * 2010-12-02 2013-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폴딩 장치
KR101595621B1 (ko) * 2013-09-27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20160047690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20160112428A (ko) * 2015-03-19 2016-09-28 이호상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4710A (zh) * 2019-03-12 2021-10-29 株式会社Lg新能源 二次电池的层压设备和层压方法
CN113574710B (zh) * 2019-03-12 2023-11-21 株式会社Lg新能源 二次电池的层压设备和层压方法
WO2021096183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CN114641880A (zh) * 2019-11-13 2022-06-17 株式会社Lg新能源 制造电极组件的设备和方法
CN114641880B (zh) * 2019-11-13 2023-11-10 株式会社Lg新能源 制造电极组件的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52Y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550B1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제조 시스템
EP3588653B1 (en) Method for producing mono-cell
JP5893461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JP5775229B2 (ja) 極板をセパレータで挟む装置
KR102544744B1 (ko)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및 방법
US9425478B2 (en) Stacking apparatus and stacking method
US11063301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ode laminate
KR101684550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577880B1 (ko) 세퍼레이터 반송 장치 및 세퍼레이터 반송 방법
KR101956763B1 (ko) 이차전지 셀 제조 시스템의 사행제어장치
KR101533183B1 (ko) 포장 전극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RU2557088C2 (ru) Укладывающее стопкой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кладывания стопкой
KR20210098538A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제조장치
KR101702419B1 (ko) 연료전지용 적층체 제조장치
EP4120410A1 (en) Unit cell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CN109921084A (zh) 叠片方法以及叠片设备
KR20180002926U (ko)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 접합 장치
JP2012221707A (ja) セパレータ搬送装置およびセパレータ搬送方法
CN109689365B (zh) 用于防止袋型二次电池卷曲的平整设备
CN113540473A (zh) 用于制造燃料电池的膜-电极组件的装置和方法
KR102409314B1 (ko) 이송롤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KR20240008542A (ko) 전지 셀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N115336059A (zh) 包括电极对准单元的电极制造设备和包括该电极制造设备的电极组件制造设备
KR20230127806A (ko) 전극조립체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230171637A (ko) 전극롤 자동 정렬 시스템 및 전극롤 자동 정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