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05U - 마이크로 이중필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이중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05U
KR20180002905U KR2020170001609U KR20170001609U KR20180002905U KR 20180002905 U KR20180002905 U KR 20180002905U KR 2020170001609 U KR2020170001609 U KR 2020170001609U KR 20170001609 U KR20170001609 U KR 20170001609U KR 20180002905 U KR20180002905 U KR 201800029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icro
core
inner core
micro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강진
전성범
민정옥
Original Assignee
전성범
민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범, 민정옥 filed Critical 전성범
Priority to KR2020170001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905U/ko
Publication of KR201800029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6Filtering particles other than 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열로 결합된 3차원 섬유구조에 의한 미세 기공들이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코어필터; 및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의 외면부를 감싸는 실 형상이며, 망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실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섬유 끈층을 감기 위해 키 홈부의 형성이 불필요하여 내부 코어의 양측 단부에서 누설이 차단되며, 여과 대상물이 유입되는 내부 코어가 마이크로필터로 기능하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가 필터로서 작용하여 여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에 여과 대상물의 불순물을 충분히 흡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이중필터{MICRO DOUBLE FILTER}
본 고안은 마이크로 이중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을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로 이중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철 재질의 제품의 외관을 보호하거나 외관상 금속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표면도금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도금조 내에 금속성분이 함유된 염과 산 또는 알칼리, 광택제, 습윤제, 평활제 등이 함유된 도금액을 채워넣고, 피 도금체를 도금액 내에 넣은 뒤 전극을 이용해 도금액이 피 도금체 표면에 피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도금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경우 도금액에는 위 함유물질 및 피 도금체의 표면 등으로부터 분해된 이온 상태의 납, 동, 철, 아연, 금 등의 불순물이 함유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불순물의 양이 증가할 경우 피 도금체 표면의 도금상태 불량을 초래하는 주 원인이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금액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도금액에 함유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링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필터링 과정은 별도의 필터를 도금액의 순환경로 내에 설치하여 도금액이 필터를 지나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각 필터층을 거치면서 흡착 또는 분해 처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기 예시된 도금 공정의 도금액, 청량음료, 각종 드링크제, 주류, 식품, 공업용수의 정밀여과, 제약용수, 화학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마이크로미터의 입자를 제거 가능한 범용 산업용 필터로는, 중심부에 코어관이 위치되고 코어관의 둘레에 수지 섬유 끈층이 둘러싸고 있으며, 섬유 끈층의 둘레에는 메쉬 구조의 이탈방지 망체가 형성된 구조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코어관과 섬유 끈층으로 구성된 범용 산업용 필터는, 코어관이 섬유 끈층을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섬유 끈층은 코어관의 외면부에 다중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식으로 감긴 것으로서, 강직성을 갖는 코어관과 필터의 양측 단부에 엔드 캡이 필요하였다.
코어관은 다공 구조로서 섬유 끈층을 다중으로 감을 수 있도록 회전축에 대한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축의 키핀이 삽입되는 키 홈부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 홈부는 관통 형상의 작은 개구로 되어 있으므로, 여과 대상물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코어관의 양측 단부에 여과 대상물의 누설을 일으킬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코어관은 섬유 끈층이 감길 수 있는 강직도를 제공하면서 여과 대상물이 섬유 끈층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의 망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여과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단지 섬유 끈층이 감기어 중공의 원통 필터 형상을 형성할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내부 코어 기능을 수행할 뿐이다. 이러한 기존의 섬유 끈층이 코어관에 감긴 필터는, 실질적으로 섬유 끈층에 의한 싱글필터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엔드 캡과 섬유 끈층을 감기 위해 키 홈부의 형성이 불필요하여 내부 코어의 양측 단부에서 누설이 차단되며, 여과 대상물이 유입되는 내부 코어가 마이크로필터로 기능하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가 필터로서 작용하여 여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에 여과 대상물의 불순물을 충분히 흡착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이중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열로 결합된 3차원 섬유구조에 의한 미세 기공들이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코어필터; 및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의 외면부를 감싸는 실 형상이며, 망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실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실 필터는,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의 외면부에 상호 교차하면서 중첩되어 감기면서 공극율이 외부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는 폴리 프로필렌 수지로 마련되며, 상기 마이크로 실 필터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용융접착하고 겹겹이 적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섬유 끈층을 감기 위해 키 홈부의 형성이 불필요하여 내부 코어의 양측 단부에서 누설이 차단되며, 여과 대상물이 유입되는 내부 코어가 마이크로필터로 기능하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가 필터로서 작용하여 여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에 여과 대상물의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마이크로 코어필터의 단면 형상 및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마이크로 실 필터의 실물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마이크로 코어필터(100)과 마이크로 실 필터(11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코어필터(100)는, 마이크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서, 미세 공극들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은 마이크로 실 필터(110)를 외부에 감을 수 있는 코어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중공으로 유입되어 마이크 실 필터 측에서 여과되는 여과 대상물을 내부에서 필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은 열 가소성 수지에 의해 미세 공극들을 갖는 폼구조로 형성한 것으로서, 멜트 브라운 기법(MELT BLOWN PROCESS)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은 마이크로 필터와 내부 코어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열 가소성 수지는 폴리 프로필렌 수지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은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열로 결합된 3차원 섬유구조에 의한 미세 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실 필터(110)는,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의 외면부를 감싸는 실 형상이며, 섬유 망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실 필터(110)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과 재료를 용융접착하여 겹겹이 적층한 것으로 펼쳐보면 망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실 필터(110)는,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의 외면부에 'X'형상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중첩되어 감기면서 공극율이 외부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작게 마련됨으로써 내부에서 외부로 여과되는 여과 대상물의 불순물을 입자 큰 것부터 작은 것으로 점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내부코어로서 마이크로 코어필터(100)가 사용되어 있으며, 외부필터로서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을 감는 마이크로 실 필터(110)가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의 내부 중공 통로로 여과 대상물이 유입되면,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에 의해 내부에서 필터링이 1차적적으로 진행된다. 이후 마이크로 코어필터(100)을 지난 여과 대상물은 마이크로 실 필터(110)에 의해 2차 필터링이 진행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상기와 같이 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마이크로 필터링이 작용하므로, 여과 대상물에 포함된 마이크로 입자크기의 불순물들을 충분히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이중필터는, 섬유 끈층을 감기 위해 키 홈부의 형성이 불필요하여 기존 내부 코어의 양측 단부에서 발생 가능한 누설이 차단되며, 여과 대상물이 유입되는 내부 코어가 마이크로필터로 기능하고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가 필터로서 작용하여 기존보다 여과 기능을 한 단계 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섬유 끈층과 함께 내부 코어에 여과 대상물의 불순물을 충분히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마이크로 코어필터 110: 마이크로 실 필터

Claims (2)

  1.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열로 결합된 3차원 섬유구조에 의한 미세 기공들이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마이크로 코어필터; 및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의 외면부를 감싸는 실 형상이며, 망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실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실 필터는,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의 외면부에 상호 교차하면서 중첩되어 감기면서 공극율이 외부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작게 마련되는 마이크로 이중필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코어필터는 폴리 프로필렌 수지로 마련되며, 상기 마이크로 실 필터는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를 용융접착하고 겹겹이 적층하여 마련되는 마이크로 이중필터.
KR2020170001609U 2017-03-31 2017-03-31 마이크로 이중필터 KR201800029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09U KR20180002905U (ko) 2017-03-31 2017-03-31 마이크로 이중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09U KR20180002905U (ko) 2017-03-31 2017-03-31 마이크로 이중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05U true KR20180002905U (ko) 2018-10-11

Family

ID=6386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09U KR20180002905U (ko) 2017-03-31 2017-03-31 마이크로 이중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9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7266A (ko) 원통형 필터
JP4579747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浄水器
JP2011104471A (ja) 液体処理用筒型フィルター、ならびに液体中の油分を捕捉除去する方法、飲料液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筒型フィルターの有するオイルグラムライフ測定方法
US11141686B2 (en) Backwashable depth filter
JP2019533575A (ja) 液体処理デバイス、それ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液体処理システム
JP2016195989A (ja)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20180002905U (ko) 마이크로 이중필터
CN207119262U (zh) 滤芯结构
CN105060533A (zh) 一种用于净水的复合过滤滤芯
CN201632114U (zh) 一种碳纤维复合滤芯
CN204220039U (zh) 一种新型除菌囊式过滤器
JPH10113507A (ja) プリーツ型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
KR101732684B1 (ko) 이온 교환섬유를 합사한 여재의 제조방법
CN213527639U (zh) 一种多效复合式滤芯
PL218714B1 (pl) Filtr do oczyszczania płynów hydraulicznych
CN208757049U (zh) 卷绕式层叠pp棉滤芯
CN209519449U (zh) 一种直饮水滤芯
CN206934923U (zh) 单材质梯度滤芯
CN219681749U (zh) 水中除油滤芯
KR101482834B1 (ko) 도금액 필터장치
CN201404723Y (zh) 滤芯
CN214209745U (zh) 一种具有防潮结构的高拦截率线绕滤芯
CN216023347U (zh) 一种滤芯骨架、炭纤维滤芯及净水器
CN204981390U (zh) 一种用于净水的复合过滤滤芯
CN209092874U (zh) 一种水净化器的过滤滤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