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71U -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71U
KR20180002871U KR2020170001522U KR20170001522U KR20180002871U KR 20180002871 U KR20180002871 U KR 20180002871U KR 2020170001522 U KR2020170001522 U KR 2020170001522U KR 20170001522 U KR20170001522 U KR 20170001522U KR 20180002871 U KR20180002871 U KR 201800028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lug box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733Y1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1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3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는 와이어; 전자접촉기의 보빈과 접속된 터미널; 와이어 및 터미널이 삽입되는 러그박스;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력판; 및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이때 와이어는 러그박스측 단부에 배치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러그박스 내의 압력판은 접촉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어 와이어 체결시 와이어와 터미널의 접촉이 원할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MAGNETIC CONTACTOR AND TERMINAL THEREOF}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교체시 배선체결이 용이한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주로 전동기의 구동 및 정지제어를 위해 전원을 공급 또는 단절하는 개폐기로 사용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고정코어와, 상기 고정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코일장치와, 고정코어가 여자되었을 때 고정코어측으로 흡인되고 고정코어가 소자되면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코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가동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와 접속되고 가동접점을 지지하는 크로스바(crossbar), 전원측 및 부하측(전동기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접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코어를 여자시키는 여자코일장치는 크게 보빈(bobin)과, 보빈에 감은 코일(coil)과, 전자접촉기의 개폐(on/off)제어를 위한 외부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와, 상기 코일의 일단이 감겨져 고정되는 코일접속부가 구비되는 여자코일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의 단자부에는 와이어가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전자접촉기가 구동하여 주회로를 외부 전원과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전자접촉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전자접촉기는 단자부에 와이어가 체결되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통상적으로 단자부에서의 와이어의 체결은 와이어를 고정시켜 단자부 내부에서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부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의 고정은 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불량 발생의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단자부의 와이어 체결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부의 러그박스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와이어 체결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배치된 보빈; 및 외부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빈과 접속된 터미널 및 외부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러그박스와, 상기 러그박스 내에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력판과,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자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접촉기는 상기 러그박스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판에 하부로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볼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볼트와 나사결합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는 와이어; 전자접촉기의 보빈과 접속된 터미널; 상기 와이어 및 터미널이 삽입되는 러그박스; 상기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력판; 및 상기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는 러그박스측 단부에 배치된 접촉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접촉부는 'O'자형 또는 'U'자형 링을 포함하며, 러그박스 내의 압력판은 접촉부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어 와이어 체결시 와이어와 터미널의 접촉이 원할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전자접촉기 외부에 고가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와 압력판과 같은 저가의 부품을 전자접촉기의 단자부 내부에 구비하여 와이어를 자동 고정시키므로,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도 3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체결되는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부에 와이어를 체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110)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전자접촉기(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110)는 하부프레임(112) 및 상부프레임(114)과, 와이어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단자부(130)와, 상기 단자부(130)를 커버하는 단자커버(terminal cover;116) 및 더스트커버(dust cover;118)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프레임(112)과 상부프레임(114)에 의해 전자접촉기(1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여자되었을 때 고정부측으로 흡인되고 고정부가 소자되면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가동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와 접속되고 가동접점을 지지하는 크로스바, 전원측 및 부하측(전동기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접점 등이 수납되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12)과 상부프레임(114)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는 고정부(12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는 코일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신호(예를 들어, 전압)가 입력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보빈(122)과 상기 보빈(122)의 하부에 배치된 고정코어(124)를 포함한다.
상기 보빈(122)은 단자부(130)를 통해 외부의 외부전원 입력단자(도면표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빈(122)에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130)는 하부프레임(112)의 양측에 배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대략 사각형상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형상이 사각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삼각형이나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나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단자부(130)에는 보빈(1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미널이 배치되며, 단자부(130)의 개방된 전면에 외부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130) 내에서 상기 터미널과 외부 와이어가 접속됨으로써, 보빈(122)이 외부의 전원과 접속되어 상기 보빈에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단자부(130)는 전자접촉기(110)의 일측인 전원측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전자접촉기(110)의 타측인 부하측에도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130)의 상부에는 상기 전원측 및 부하측 단자부(13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단자커버(116)와, 전원측 및 부하측 단자부(130) 내로 먼지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118)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단자커버(116)와 더스트커버(118)는 각각 보빈(12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보빈(122)과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자커버(116)와 더스트커버(118)는 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30)이 상부에는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132)가 구비되어 단자부(130)로 삽입되는 전원측 와이어와 부하측 와이어를 단자부(130)에 체결시켜 전원측 와이어와 부하측 와이어를 각각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3a-도 3c는 상기 단자부(1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원측 와이어와 부하측 와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와이어(140)는 전도성이 좋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도선(metal conductor wire;142)과, 상기 도선(142)에 피복된 절연재(1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재(143)는 전자접촉기측 단부에서 일부가 설정된 폭으로 제거되어, 상기 도선(142)이 전자접촉기측 단부에서 설정된 길이만큼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도선(142)이 전자접촉기(110)의 단자부(130)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선(142) 자체를 단자부(130)에 삽입함으로써 외부 와이어를 전자접촉기(11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 직경이 작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도선(142)이 단자부(130)에 용이하게 체결되지 않으므로, 와이어(140)의 단부에 단자부(130)와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와이어(140)의 단부에 체결용 구조물을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40)의 단부에는 'O'자형의 링형상으로 구성된 접촉부재(1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40)의 도선은 절연재(143)에 의해 피복되며, 전자접촉기측 와이어(140)의 단부 영역을 통해 도선이 노출되며, 상기 도선이 접촉부재(145)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접촉부재(145)는 금속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되며, 'O'자형의 링의 폭이 단자부(130)의 개구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145)가 단자부(130)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40)의 단부에는 'U'자형의 접촉부재(1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40)의 도선은 절연재(143)에 의해 피복되며, 전자접촉기측 와이어(140)의 단부의 단면을 통해 도선이 노출되며, 상기 도선이 접촉부재(145)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접촉부재(145)는 금속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되며, 'U'자형 접촉부재(145)의 폭이 단자부(130)의 개구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145)가 단자부(130)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140)의 단부에 별도의 접촉부재(1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45)는 'O'자형이나 'U'자형으로 구성되므로, 절연재가 제거된 도선에 비해서, 단자부(130)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영역이 크다. 따라서, 도선에 비해 접촉부재(145)를 구비한 경우, 단자부(130)와의 와이어(140)의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체결시 와이어의 접촉부재(145)와 단자부(130)의 접촉면적이 도선이 직접 체결되는 경우의 접촉면적에 비해 크므로, 신호가 와이어(140)를 통해 전자접촉기로 원활하게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부(130)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부(1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단자부(130)는 러그박스(lug box;131)과, 상기 러그박스(131)에 형성된 체결홀(133)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체결볼트(132)와, 상기 러그박스(131) 내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단자부(130)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140)을 홀딩하는 탄성부재(135)와, 상기 탄성부재(135)의 탄성에 의해 삽입된 와이어(140)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판(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러그박스(13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상하면 및 측면의 4면이 밀폐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개방된 전면과 후면은 단자부(130)의 개방부를 형성하여 각각 전면 및 후면의 개방부를 통해 터미널(128)과 와이어(140)가 삽입된다.
상기 러그박스(131)의 상면에는 체결볼트(132)가 삽입되는 체결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3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볼트(132)의 몸체와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체결볼트(1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러그박스(131)가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러그박스(131)의 하면이 체결볼트(132)의 몸체 하면으로 접근하여 러그박스(131) 내에 삽입된 터미널(128)과 와이어(140)가 서로 밀착하여 접촉함과 동시에 밀착력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압력판(134)은 탄성부재(135)의 상면에 배치되어 탄성부재(135)의 탄성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압력판(134)의 하면에는 탄성부재(135)가 부착되어 탄성부재(135)이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압력판(134)도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5)는 탄성을 가진 부품이라면 어떠한 부품도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주로 링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압력판(134)과 탄성부재(135)는 와이어(140)를 단자부(130)에 체결할 때, 상기 와이어(140)를 러그박스(131) 내부에 홀딩시키는데,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력판(130)과 탄성부재(135)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와이어(140)를 러그박스(131) 내부에 삽입했을 때, 상기 와이어(140)가 러그박스(131) 내에서 유동하면, 와이어(140)가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지 않는다. 이 경우, 부정확한 와이어(140)의 체결에 의해 와이어(140)와 터미널(128)의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접속불량은 전자접촉기(110)가 작동할 때 전자접촉기(110)의 보빈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부하와 주전원이 접속되지 않게 되는 전자접촉기(110)의 불량 원인이 된다.
상기 러그박스(131)내에서 와이어(14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140)가 러그박스(131) 내에 삽입되었을 때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와어어(140)을 잡아 체결과정 동안 고정시키거나 전자접촉기(110) 외부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체결과정 동안 와이어(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와이어(140)의 체결이 지연되고 불량이 발생하거나(수작업시), 별도의 장치의 추가로 인한 체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전자접촉기 외부에 고가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와이어(140)를 고정하거나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140)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135)와 압력판(134)과 같은 저가의 부품을 전자접촉기(110)의 단자부(130) 내부에 구비하여 와이어(140)를 자동 고정시키므로, 고가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한 와이어(140)의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압력판(134)의 형상 및 크기는 러그박스(131)내에 삽입되는 와이어(140) 단부의 접촉부재(145)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와이어(140)가 단자부(130)에 체결될 때 실제 단자부(130)의 러그박스(131)내에 삽입되는 것은 와이어(140) 단부에 배치되는 접촉부재(145)이므로, 상기 접촉부재(145)와 압력판(134)의 형상 및 크기를 접촉부재(145)와 유사하게 해야만 상기 와이어(1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서 전자접촉기(110)의 단자부(130)에 와이어(140)를 체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도5c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110)의 단자부(130)에 와이어(140)를 체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110)의 단자부(130)에 와이어(140)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 단자부(130)의 러그박스(131)에 배치된 탄성부재(135)에 의해 상부의 압력판(134)과 터미널(128)이 접촉한 상태로 러그박스(131)의 상면으로 밀착하게 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40)의 단부, 즉 와이어(140)의 접촉부재(145)를 러그박스(131)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140)의 접촉부재(145)가 상기 압력판(134)과 터미널(128)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에도 탄성부재(135)의 탄성에 의해 압력판(134)이 러그박스(131)의 상면으로 압력을 인가하므로, 와이어(140)의 접촉부재(145)가 압력판(134)과 러그박스(131)의 상면 사이의 압력에 의해 유동하지 않고 상기 터미널(128)과 밀착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상기 와이어(140)의 접촉부재(145)는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러그박스(131)에 고정되어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140)를 러그박스(131)에 삽입한 상태에서, 탄성부재(135)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140)가 터미널(128)과 압력판(134) 사이에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와이어(140)를 고정하거나 별도의 외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140)를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40)를 러그박스(1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32)를 회전시키면, 상면의 체결홀(133)이 상기 체결볼트(132)와 나사체결된 러그박스(131)가 상부로 상승하거나 체결볼트(132)의 몸체가 러그박스(131)의 하면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러그박스(131)가 상승하거나 체결볼트(132)가 하강함에 따라, 체결볼트(132)의 몸체가 그 하부에 배치되는 터미널(128), 와이어(140)의 접촉부재(145), 압력판(134)에 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러그박스(131)가 상승하거나 체결볼트(132)가 하강을 계속하여, 상기 체결볼트(132)가 러그박스(131) 상면의 체결홀(133)의 암나사와 완전히 조여질 때 상기 터미널(128), 와이어(140)의 접촉부재(145), 압력판(134)이 상기 체결볼트(132)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체결볼트(132)의 몸체 하면과 러그박스(131)의 하면 사이에서 완전히 밀착,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140)가 단자부(130)에 체결됨과 동시에 밀착된 와이어(140)와 터미널(128)이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탄성부재(135)를 단자부(130)의 러그박스(131)에 구비하여 단자부(130)에 와이어(140)를 체결할 때 탄성에 의해 체결되는 와이어(130)를 고정시키므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불편함과 오류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또한,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전자접촉기가 특정 구조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고안이 이러한 특정 구조의 전자접촉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은 와이어의 체결시 전자접촉기의 단자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단자부내에 탄성부재에 의해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현재 알려진 모든 구조의 전자접촉기 및 단자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0 : 전자접촉기 112,114 : 프레임
120 : 고정부 130 : 단자부
131 : 러그박스 132 : 볼트
133 : 체결홀 134 : 압력판
135 : 탄성부재 140 : 와이어
145 : 접촉부

Claims (10)

  1.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배치된 보빈; 및
    외부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빈과 접속된 터미널 및 외부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러그박스와, 상기 러그박스 내에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력판과,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단자부로 구성된 전자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박스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판에 하부로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볼트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와이어;
    전자접촉기의 보빈과 접속된 터미널;
    상기 와이어 및 터미널이 삽입되는 러그박스;
    상기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압력판; 및
    상기 러그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러그박스측 단부에 배치된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O'자형 또는 'U'자형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은 접촉부재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박스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판에 하부로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내부에서 상기 체결볼트에 의해 터미널, 접촉부재, 압력판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단자구조.
KR2020170001522U 2017-03-28 2017-03-28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KR200494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22U KR200494733Y1 (ko) 2017-03-28 2017-03-28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22U KR200494733Y1 (ko) 2017-03-28 2017-03-28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71U true KR20180002871U (ko) 2018-10-08
KR200494733Y1 KR200494733Y1 (ko) 2021-12-10

Family

ID=6386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522U KR200494733Y1 (ko) 2017-03-28 2017-03-28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3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858U (ko) * 2007-03-08 2008-09-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도선연결장치
KR200456638Y1 (ko) * 2010-05-20 2011-1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858U (ko) * 2007-03-08 2008-09-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도선연결장치
KR200456638Y1 (ko) * 2010-05-20 2011-1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733Y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588B2 (en)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yoke-retaining bottom plate
US20180061600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388478B2 (en) Electromagnetic relay for simplifying attachment of a counterpart member
US20190066956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contact device
US20090261928A1 (en) Relay
KR102159887B1 (ko) 전자기 릴레이
JP4702956B2 (ja) 開閉装置及び開閉装置用補助電気回路
US20150262764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230090245A1 (en) High-voltage dc relay with auxiliary contact
EP3203492A1 (en) Relay
JP5104599B2 (ja) 電磁開閉装置
US11004640B2 (en) Relay
JPH0143972B2 (ko)
US20140225695A1 (en) Coil terminal
KR20180002871U (ko)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EP0122291B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EP3690914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said contact device
KR200456638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지지장치
CN112289642B (zh) 一种低压直流接触器及其生产工艺
US3239627A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wear adjustment
KR101209801B1 (ko) 릴레이 장치
EP3780060A1 (en) Pluggable connecting device for contactor and contactor
US20230121694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H0129966Y2 (ko)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