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65U - 휴대 단말기용 지갑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65U
KR20180002865U KR2020170001494U KR20170001494U KR20180002865U KR 20180002865 U KR20180002865 U KR 20180002865U KR 2020170001494 U KR2020170001494 U KR 2020170001494U KR 20170001494 U KR20170001494 U KR 20170001494U KR 20180002865 U KR20180002865 U KR 201800028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late
wallet
plate portion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일
조용주
김창환
Original Assignee
정용일
김창환
조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일, 김창환, 조용주 filed Critical 정용일
Priority to KR2020170001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865U/ko
Publication of KR20180002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8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촬영이 용이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간단하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동영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카드 및 돈 등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카드 및 돈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앞면을 커버하는 제1 판면부와, 상기 제1 판면부 일측과 연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 뒷면을 커버하는 제2 판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제2 판면부 사이에 개입되는 평판 타입의 개재부와, 상기 개재부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판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판은 양단 테두리 내측면으로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은 표면에 휴대 단말기가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되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용 스프링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slide)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상기 슬라이드판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렌즈가 제2 판면부 밖으로 노출되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제2 판면부 단부를 기준으로 개재부를 회동시켜 휴대 단말기 앞면을 경사지게 들어올려 제1 판면부 단부가 휴대 단말기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게 하므로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거치(据置)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지갑{Wallet for mobi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촬영이 용이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간단하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동영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카드 및 돈 등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념의 휴대 단말기는 남녀노소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실생활에 밀접하게 개입되어 있는 전자제품이다. 전화통화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중 전화통화나 문자송수신 이외에 널리 사용되는 기능이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기능일 것이며 카메라 기능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한편, 근래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라 하여 PC의 기능을 거의 그대로 수행할 수 있는 정도에까지 이르렀으며 그래서 고가의 제품이기도 하다. 휴대 단말기는 통상 충격이나 소손 방지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 케이스와 함께 사용된다.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실로 다채로운 디자인의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제공되기도 한다.
여러 가지 형태의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지갑의 기능을 가지는 지갑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널리 애용되고 있는데, 이는 신용카드 등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등 수납효율성이 좋고,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급스러운 미감을 표현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지갑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도 단점이 있는데, 그것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때이다. 지갑형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보통 휴대 단말기가 부착되는 뒷판면과 휴대 단말기 전면을 덮게 되는 앞판면으로 구성되는데, 사진 촬영시 뒷판면에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가리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촬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약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에서 분리시키지 않으려면 뒷판면에 케메라 렌즈 구멍을 만들어 놓아야 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완전한 지갑 형태를 갖출 수 없다. 또한, 카메라 렌즈 구멍 부위가 쉽게 낡아지기도 하고, 소재나 디자인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도 제약이 따른다.
특히, 종래 지갑형 휴대 단말기는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삽입되어 있는 포켓에서 꺼내기 불편한 문제점, 동영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게 거치하거나 물건을 사고 남은 동전을 보관하고 꺼내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56062호, 발명의 명칭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등록일 2015.09.21.)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진 촬영이 용이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간단하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동영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카드 및 돈 등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드 및 돈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앞면을 커버하는 제1 판면부와, 상기 제1 판면부 일측과 연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 뒷면을 커버하는 제2 판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제2 판면부 사이에 개입되는 평판 타입의 개재부와, 상기 개재부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판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판은 양단 테두리 내측면으로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은 표면에 휴대 단말기가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되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용 스프링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slide)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상기 슬라이드판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렌즈가 제2 판면부 밖으로 노출되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제2 판면부 단부를 기준으로 개재부를 회동시켜 휴대 단말기 앞면을 경사지게 들어올려 제1 판면부 단부가 휴대 단말기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게 하므로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거치(据置)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제2 판면부에 분리하지 않아도 제2 판면부 밖으로 휴대 단말기 렌즈를 노출시킬 수 있어 사진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경사지게 들어올려 제1 판면부가 휴대 단말기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어 동영상 등을 감상하기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판면부 내측면에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포켓이 있고, 상기 포켓 중 제일 앞에 형성된 포켓 중앙에 절개부가 있어 삽입된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밀어올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판면부 외측면에 동전을 담을 수 있는 보조수납구가 있어 간편하게 동전을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슬라이딩하여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가방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손잡이밴드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 내부에 휴대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를 슬라이딩하여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을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사진 촬영이 용이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렌즈를 간단하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동영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카드 및 돈 등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기 위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100)은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카드(C) 및 돈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H)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H) 앞면을 커버하는 제1 판면부(110)와, 상기 제1 판면부(110) 일측과 연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H) 뒷면을 커버하는 제2 판면부(120)와, 상기 휴대 단말기(H)와 상기 제2 판면부(120)에 사이에 개입되는 평판 타입의 개재부(130)와, 상기 개재부(130)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140), 및 상기 가이드판(140)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판(15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휴대 단말기(H) 앞면을 마주보는 제1 판면부(110) 내측면에 카드(C)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포켓(111)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포켓 중 제일 앞에 형성된 포켓(111) 중앙에 소정 형상의 절개부(11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드(C)가 상기 포켓(111)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손가락을 상기 절개부(111a)사이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카드(C)를 밀어올려 밖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40)은 양단 테두리 내측면으로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141)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150)은 표면에 휴대 단말기(H)가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되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용 스프링(미도시)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41)을 따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slide)된다.
또한, 도 3 및 4를 참고하면,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슬라이드판(150)에 의해 휴대 단말기(H)의 렌즈가 제2 판면부(120) 밖으로 노출되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제2 판면부(120) 외측면에 동전을 담을 수 있는 보조수납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수납부(160)는 아래에서 위로 개구(開口)할 수 있는 지퍼부(1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제2 판면부(120) 단부를 기준으로 개재부(130)를 회동시켜 휴대 단말기(H) 앞면을 경사지게 들어올려 제1 판면부(110) 단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H)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게 하므로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거치(据置)될 수 있다.
그럼,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판면부(110), 제2 판면부(120) 및 개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개재부(130) 상면에 가이드판(140) 및 슬라이드판(150)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휴대 단말기용 지갑(100)은 휴대 단말기(H)를 감싸는 지갑의 형태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H) 앞면을 감싸는 제1 판면부(110)와 휴대 단말기(H) 뒷면을 감싸는 제2 판면부(120)로 구성되는 접이식 지갑 형태로 되어 있다.
제1 판면부(110)과 제2 판면부(120)은 휴대 단말기(H)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고, 지퍼(zipper)에 의해서 제1 판면부(110)과 제2 판면부(120)를 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제1 판면부(110), 제2 판면부(120) 및 개재부(130)의 소재는 보통 직물이나 가죽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제1 판면부(110)는 휴대 단말기(H) 앞면을 커버(cover)하여 휴대 단말기(H) 앞면을 보호하면서, 카드(C)나 돈(지폐)을 보관할 수 있도록 포켓(111)이 복수 개 포함하기도 한다.
특히, 제1 판면부(110) 내측면은 휴대 단말기(H) 앞면을 마주보는 앞판 커버부재로,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111)이 마련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과 같은 카드(C)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포켓(111)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포켓 중 제일 앞에 형성된 포켓(111) 중앙에 소정 형상인 'U'자 절개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포켓(111)에 삽입되어 있는 카드(C)를 꺼낼 경우, 손(손가락)을 절개부(111a) 사이 내부로 삽입하여 카드(C)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켜 카드(C)를 위로 밀어올려 밖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카드(C)가 땀이나 습기 등으로 포켓(111) 내부에 붙어 잘 빠지지 않고 꺼내기 무척 불편하였다.
제2 판면부(120)는 제1 판면부(110) 일측과 연장되어 접히거나 펼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H) 뒷면을 커버(cover)하여 휴대 단말기(H)를 보호한다.
제2 판면부(120)는 휴대 단말기(H) 뒷면을 보호하면서 후술하는 개재부(130) 등이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도록 심플(simple)한 구조를 가진다.
개재부(130)는 휴대 단말기(H)와 제2 판면부(120) 사이에 개입되는 평판 타입의 회동 가능한 부재이다.
특히, 개재부(130)는 휴대 단말기(H)를 지갑(100)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개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폐 가능한 개재지퍼부(131)가 구비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개재지퍼부(131)에 의해 제2 판면부(120)과 탈착 가능하다.
즉, 개재부(130)에 구비된 개재지퍼부(131)를 길이방향을 따라 끝까지 열면 제2 판면부(120)와 완전히 분리되고, 개재부(130)를 제2 판면부(120)에 결합하려면 개재지퍼부(131)를 길이방향을 따라 지퍼(zipper)를 올려 닫으면 완전 체결이 가능하다.
다음은 가이드판(140) 및 슬라이드판(150)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 가이드판(140) 및 슬라이드판(150)은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부재로 작동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판(140) 및 슬라이드판(150)은 휴대 단말기(H)와 부착 및 상하 승강이 가능하면서 제작이 용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판(140)은 개재부(130) 상면에 고정되고, 양단 테두리 내측면으로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141)이 형성된다.
가이드판(140)은 개재부(130)의 넓이에 준하는 크기로 개재부(130)에 고정된다. 가이드판(140)은 접착제 또는 재봉 등에 의해 개재부(13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다.
가이드홈(141)은 슬라이드판(150)이 가이드판(140) 위에서 좌우로 요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홈으로서 슬라이드판(15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가이드홈(141)은 가이드판(140)과 일체로 형성되고 단면이 기역(ㄱ)자 형태로 함몰되어 있다.
가이드판(140)의 가장자리는 개재부(130)와 같은 종류의 직물이나 가죽으로 덮인 상태에서 접착제로써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판(150)은 가이드판(140)에 접한 상태에서 가이드판(14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판(150)의 가장자리는 절곡되어 있으며, 가이드홈(141)에 삽입되어 가이드판(140)에 의해 가이드(guide)된다.
슬라이드판(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140)의 1/2 정도의 면적을 가진다.
한편 슬라이드판(150)과 휴대 단말기(H) 사이에는 휴대 단말기(H)가 슬라이드판(150)에 부착되어 그와 함께 상하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부착수단이 필요하다. 휴대 단말기 부착수단으로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일면은 슬라이드판(150)의 상면에 접착되고 반대면은 휴대 단말기(H)의 뒷면에 접착되는 양면접착테이프(미도시)일 수 있다.
슬라이드판(150)은 내부에 슬라이드용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나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드판(150)은 가이드판(140)을 따라 승강 되는데, 표면에 휴대 단말기(H)가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되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용 스프링(미도시) 힘에 의해 가이드홈(141)을 따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slide)된다.
여기서 슬라이드판(160)은 휴대 단말기(H)가 제2 판면부(120)이 제1 판면부(110)와 연결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즉 상하방향(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예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후대 단말기용 지갑(100)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슬라이드판(150)에 의해 휴대 단말기(H)의 렌즈가 제2 판면부(120) 밖으로 돌출 또는 노출되어 사진 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종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H)의 카메라 렌즈가 제2 판면부(120) 등에 가려져 촬영을 할 수 없었다.
보조수납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면부(120) 외측면에 동전을 담을 수 있는 주머니가 구비된다.
특히, 보조수납부(160)는 아래에서 위로 개구(開口)할 수 있는 지퍼부(1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중력에 의해 물건은 아래로 모이듯이, 물건을 계산하고 남은 동전들이 주머니 내에 흐트러지어 있는 것보다 아래 일측에 모여 있는 것이 꺼내기 간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수납부(160)가 아래에서 위로 개구(開口)할 수 있는 지퍼부(16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걸어다닐 때 동전들이 아래로 모여 있다가 동전을 꺼낼 때 지퍼부(161)를 열면 지갑이 여는 위치에 동전들이 모여 있어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면부(120) 단부를 기준으로 개재부(130)를 회동시켜 휴대 단말기(H) 앞면을 경사지게 들어올려 제1 판면부(110) 단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H)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게 하므로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거치(据置)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므로, 본 고안은 굳이 두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동영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거치(据置)할 수 있어 다른 일을 하면서 시청할 수 있고 편리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가방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을 손잡이밴드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은 여러 가지 형태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지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를 제2 판면부에 분리하지 않아도 제2 판면부 밖으로 휴대 단말기 렌즈를 노출시킬 수 있어 사진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경사지게 들어올려 제1 판면부가 휴대 단말기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어 동영상 등을 감상하기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판면부 내측면에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포켓이 있고, 상기 포켓 중 제일 앞에 형성된 포켓 중앙에 절개부가 있어 삽입된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밀어올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판면부 외측면에 동전을 담을 수 있는 보조수납구가 있어 간편하게 동전을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지갑
110 : 제1 판면부
120 : 제2 판면부
130 : 개재부
140 : 가이드판
150 : 슬라이드판

Claims (3)

  1. 카드 및 돈을 보관할 수 있으면서 휴대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앞면을 커버하는 제1 판면부와,
    상기 제1 판면부 일측과 연장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 뒷면을 커버하는 제2 판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제2 판면부 사이에 개입되는 평판 타입의 개재부와,
    상기 개재부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양단 테두리 내측면으로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은 표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되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용 스프링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slide)되며,
    길이방향으로 상승된 상기 슬라이드판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렌즈가 상기 제2 판면부 밖으로 노출되어 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판면부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재부를 회동시켜 상기 휴대 단말기 앞면을 경사지게 들어올려 상기 제1 판면부 단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 테두리 일측을 지지하게 하므로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거치(据置)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앞면을 마주보는 상기 제1 판면부 내측면에 상기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포켓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포켓 중 제일 앞에 형성된 포켓 중앙에 소정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카드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손가락을 상기 절개부 사이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카드를 밀어올려 밖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면부 외측면에 동전을 담을 수 있는 보조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수납부는 아래에서 위로 개구(開口)할 수 있는 지퍼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지갑.
KR2020170001494U 2017-03-27 2017-03-27 휴대 단말기용 지갑 KR201800028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494U KR20180002865U (ko) 2017-03-27 2017-03-27 휴대 단말기용 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494U KR20180002865U (ko) 2017-03-27 2017-03-27 휴대 단말기용 지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65U true KR20180002865U (ko) 2018-10-08

Family

ID=6386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494U KR20180002865U (ko) 2017-03-27 2017-03-27 휴대 단말기용 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86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62B1 (ko) 2014-05-30 2015-09-30 주식회사 시스컴퍼니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62B1 (ko) 2014-05-30 2015-09-30 주식회사 시스컴퍼니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20080121322A1 (en) Cell phone Wallet Sleev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20180063306A1 (en) Cell Phone Case with Reconfigurable Plates
KR20140003803U (ko) 가변형 지갑이 구비된 안전 수납 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KR10138634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JP5689520B1 (ja)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94240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KR101890522B1 (ko) 신속한 카드 인출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80002865U (ko) 휴대 단말기용 지갑
KR10153216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130004713U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67337B1 (ko)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