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76U -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 Google Patents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76U
KR20180002776U KR2020170001291U KR20170001291U KR20180002776U KR 20180002776 U KR20180002776 U KR 20180002776U KR 2020170001291 U KR2020170001291 U KR 2020170001291U KR 20170001291 U KR20170001291 U KR 20170001291U KR 20180002776 U KR20180002776 U KR 20180002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ed
frame
pedestal
vertical support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옥
Original Assignee
김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옥 filed Critical 김기옥
Priority to KR2020170001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776U/ko
Publication of KR20180002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자에 따라 걸이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욕실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에 걸리는 후크부, 상기 각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된 선반;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에 걸리는 후크부, 상기 각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
발이 놓이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장착부가 구비된 발판;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에 걸리는 후크부, 상기 각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된 선반;
발이 놓이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장착부가 구비된 발판;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 및 발판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자에 따라 걸이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샤워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HANGER FOR HYDRNAT}
본 고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자에 따라 걸이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욕실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샤워 시, 씻고자하는 인체 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자세를 변형하게 되는데, 특히 세족(洗足) 시, 허리를 구부릴 수밖에 없다.
그런데, 허리를 무리하게 구부리게 될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심장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경우에 따라 혈압이 높은 사람은 사고로 이어지기도 하며, 일반인들도 어지러움증으로 인한 낙상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족 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발 받침대를 사용하는데, 주로 바닥에 내려놓고 사용하거나 욕실 벽에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바닥에 내려놓는 발 받침대의 경우는 견고하게 고정이 되지 않아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고, 욕실 벽에 부착한 발 받침대의 경우는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어 사용하기 때문에, 신장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샤워용품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세족 시, 샤워용품을 손으로 집기 위해서 사용자가 자세를 무리하게 변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욕실 벽에 설치하는 발 받침대의 경우에는 설치한 이후에는 위치 이동이 불가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자에 따라 걸이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욕실용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에 걸리는 후크부, 상기 각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된 선반;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에 걸리는 후크부, 상기 각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
발이 놓이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장착부가 구비된 발판;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에 걸리는 후크부, 상기 각 수직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된 선반;
발이 놓이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걸리는 장착부가 구비된 발판;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 및 발판이 상기 걸림프레임의 가로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는,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자에 따라 걸이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샤워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의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길이조절수단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도 1을 기준으로 후크부(12)의 방향을 상방, 선반(2)의 방향을 하방, 도면의 좌측을 전방, 도면의 우측을 후방이라 정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 1실시예는 크게 걸림프레임(1), 선반(2)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걸림프레임(1)은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상기 수직지지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P)에 걸리는 후크부(12), 상기 각 수직지지대(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대상체'(P)는 일반적으로 샤워기의 수도전을 가리키며, 경우에 따라 욕실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품 중, 본 고안이 걸릴 수 있는 구성품이면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2)는 대상체(P)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후크부(12)를 대상체(P)에 거는 동작만으로도 본 고안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1)는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수직지지대(11)에는,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우 수평을 맞추도록 길이조절수단(4)이 구비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지지대(11)는, 상부에 후크부(12)를 갖는 상부지지대(111)와 다수의 가로대(13)를 갖는 하부지지대(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부(411)를 갖는 결합부(41)와 상기 하부지지대(112)의 상단부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수나사부(411)와 대응하도록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421)를 갖는 대응결합부(42)로 구성된다.(도 9의 B)
이때,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중, 일측 수직지지대(11)에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양측 수직지지대(11)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의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4)의 회전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이 걸리게 되는 대상체(P)가 수평이 아닌 경우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4)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좌우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선반(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21), 상기 수납부(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걸림부(22)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납부(21)는, 다수의 통기공(211)을 갖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212),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212)에 연결되는 다수의 하부프레임(213)으로 이루어진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212)과 하부프레임(213) 사이에는 내부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납부(21)의 후단에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2)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신장에 맞추어, 걸림프레임(1)에 형성된 여러 가로대(13) 중에서 택일하여 상기 선반(2)을 걸 수 있는 것이다.(도 4)
일반적으로 비누, 샴푸 등과 같은 샤워용품은 샤워기의 상측에 부착된 선반에 비치하거나, 욕실 바닥면에 비치된 선반 등에 비치한다.
이 경우, 샤워용품을 손으로 잡기 위해서 사용자가 다시 허리를 펴거나 구부리는 등 자세를 무리하게 변경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발생하는데,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도 샤워용품을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2)을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거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 2실시예는 크게 걸림프레임(1), 발판(3)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걸림프레임(1)은 ,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상기 수직지지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P)에 걸리는 후크부(12), 상기 각 수직지지대(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대상체'(P)는 일반적으로 샤워기의 수도전을 가리키며, 경우에 따라 욕실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품 중, 본 고안이 걸릴 수 있는 구성품이면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2)는 대상체(P)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후크부(12)를 대상체(P)에 거는 동작만으로도 본 고안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1)는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수직지지대(11)에는,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우 수평을 맞추도록 길이조절수단(4)이 구비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지지대(11)는, 상부에 후크부(12)를 갖는 상부지지대(111)와 다수의 가로대(13)를 갖는 하부지지대(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부(411)를 갖는 결합부(41)와 상기 하부지지대(112)의 상단부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수나사부(411)와 대응하도록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421)를 갖는 대응결합부(42)로 구성된다.(도 9의 B)
이때,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중, 일측 수직지지대(11)에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양측 수직지지대(11)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의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4)의 회전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이 걸리게 되는 대상체(P)가 수평이 아닌 경우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4)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좌우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발판(3)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이 놓이는 받침부(31), 상기 받침부(3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에 걸리는 장착부(32)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31)는,
전방을 향해 형성된 봉 형상의 수평부(311a)와 상기 수평부(311a)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대(11)를 향해 휘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부(311b)로 이루어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본체(311), 상기 각 본체(311)의 경사부(311b)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스텐봉(3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32)는,
각 본체(311)의 경사부(311b) 단부에서 하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상부장착부(321), 각 본체(311)의 수평부(311a) 단부에서 상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13)의 전면에 밀착되는 하부장착부(322)로 이루어진다.(도 6의 A)
부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부(321)는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면서 상기 가로대(13)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장착부(322)는 상기 상부장착부(321)가 걸린 가로대(13)와 하방 인접한 가로대(13)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3)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걸림프레임(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발판(3)을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신장에 맞추어, 걸림프레임(1)에 형성된 여러 가로대(13) 중에서 택일하여 상기 발판(3)을 걸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 3실시예는 크게 걸림프레임(1), 선반(2) 및 발판(3)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걸림프레임(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상기 수직지지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P)에 걸리는 후크부(12), 상기 각 수직지지대(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대상체'(P)는 일반적으로 샤워기의 수도전을 가리키며, 경우에 따라 욕실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품 중, 본 고안이 걸릴 수 있는 구성품이면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2)는 대상체(P)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후크부(12)를 대상체(P)에 거는 동작만으로도 본 고안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대(11)는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수직지지대(11)에는,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우 수평을 맞추도록 길이조절수단(4)이 구비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지지대(11)는, 상부에 후크부(12)를 갖는 상부지지대(111)와 다수의 가로대(13)를 갖는 하부지지대(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부(411)를 갖는 결합부(41)와 상기 하부지지대(112)의 상단부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수나사부(411)와 대응하도록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421)를 갖는 대응결합부(42)로 구성된다.(도 9의 B)
이때,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중, 일측 수직지지대(11)에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양측 수직지지대(11)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의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4)의 회전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이 걸리게 되는 대상체(P)가 수평이 아닌 경우는 본 고안의 길이조절수단(4)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좌우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선반(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21), 상기 수납부(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걸림부(22)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납부(21)는, 다수의 통기공(211)을 갖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212),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212)에 연결되는 다수의 하부프레임(213)으로 이루어진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212)과 하부프레임(213) 사이에는 내부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납부(21)의 후단에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2)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신장에 맞추어, 걸림프레임(1)에 형성된 여러 가로대(13) 중에서 택일하여 상기 선반(2)을 걸 수 있는 것이다.(도 4)
일반적으로 비누, 샴푸 등과 같은 샤워용품은 샤워기의 상측에 부착된 선반에 비치하거나, 욕실 바닥면에 비치된 선반 등에 비치한다.
이 경우, 샤워용품을 손으로 잡기 위해서 사용자가 다시 허리를 펴거나 구부리는 등 자세를 무리하게 변경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발생하는데,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도 샤워용품을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2)을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거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판(3)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이 놓이는 받침부(31), 상기 받침부(3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에 걸리는 장착부(32)로 이루어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31)는,
전방을 향해 형성된 봉 형상의 수평부(311a)와 상기 수평부(311a)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대(11)를 향해 휘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부(311b)로 이루어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본체(311), 상기 각 본체(311)의 경사부(311b)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스텐봉(3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32)는,
각 본체(311)의 경사부(311b) 단부에서 하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상부장착부(321), 각 본체(311)의 수평부(311a) 단부에서 상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13)의 전면에 밀착되는 하부장착부(322)로 이루어진다.(도 6의 A)
부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부(321)는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면서 상기 가로대(13)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장착부(322)는 상기 상부장착부(321)가 걸린 가로대(13)와 하방 인접한 가로대(13)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3)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걸림프레임(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발판(3)을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신장에 맞추어, 걸림프레임(1)에 형성된 여러 가로대(13) 중에서 택일하여 상기 발판(3)을 걸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대상체
1 ; 걸림프레임
11 ; 수직지지대
111 ; 상부지지대
112 ; 하부지지대
12 ; 후크부
13 ; 가로대
2 ; 선반
21 ; 수납부
211 ; 통기공
212 ; 상부프레임
213 ; 하부프레임
22 ; 걸림부
3 ; 발판
31 ; 받침부
311 ; 본체
311a ; 수평부
311b ; 경사부
312 ; 스텐봉
32 ; 장착부
321 ; 상부장착부
322 ; 하부장착부
4 ; 길이조절수단
41 ; 결합부
411 ; 수나사부
42 ; 대응결합부
421 ; 암나사부

Claims (7)

  1.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상기 수직지지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P)에 걸리는 후크부(12), 상기 각 수직지지대(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13)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1);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21), 상기 수납부(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걸림부(22)가 구비된 선반(2);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2)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2.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상기 수직지지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P)에 걸리는 후크부(12), 상기 각 수직지지대(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13)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1);
    발이 놓이는 받침부(31), 상기 받침부(3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장착부(32)가 구비된 발판(3);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발판(3)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3. 일정간격 이격 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대(11), 상기 수직지지대(11)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상체(P)에 걸리는 후크부(12), 상기 각 수직지지대(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수직지지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의 가로대(13)로 이루어진 걸림프레임(1);
    물품이 놓이는 수납부(21), 상기 수납부(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걸림부(22)가 구비된 선반(2);
    발이 놓이는 받침부(31), 상기 받침부(3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장착부(32)가 구비된 발판(3);
    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2) 및 발판(3)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1)는,
    다수의 통기공(211)을 갖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1)는,
    전방을 향해 형성된 봉 형상의 수평부(311a)와 상기 수평부(311a)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지지대(11)를 향해 휘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부(311b)로 이루어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본체(311), 상기 각 본체(311)의 경사부(311b)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스텐봉(3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부(32)는,
    각 본체(311)의 경사부(311b) 단부에서 하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프레임(1)의 가로대(13)에 걸리는 상부장착부(321), 각 본체(311)의 수평부(311a) 단부에서 상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로대(13)의 전면에 밀착되는 하부장착부(3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프레임(1)의 수직지지대(11)에는, 수직지지대(11)의 길이를 조절하여 좌우 수평을 맞추도록 길이조절수단(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11)는,
    상부에 후크부(12)를 갖는 상부지지대(111)와 다수의 가로대(13)를 갖는 하부지지대(11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상기 상부지지대(1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수나사부(411)를 갖는 결합부(41)와 상기 하부지지대(112)의 상단부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의 수나사부(411)와 대응하도록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421)를 갖는 대응결합부(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KR2020170001291U 2017-03-20 2017-03-20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KR201800027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91U KR20180002776U (ko) 2017-03-20 2017-03-20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91U KR20180002776U (ko) 2017-03-20 2017-03-20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76U true KR20180002776U (ko) 2018-10-01

Family

ID=6386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291U KR20180002776U (ko) 2017-03-20 2017-03-20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7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116A (ko) * 2021-04-09 2022-10-18 신응선 복합기능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116A (ko) * 2021-04-09 2022-10-18 신응선 복합기능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1284A (en) Infant bathtub
GB2095100A (en) Shelf structure
US9918594B2 (en) Towel rack
US6021906A (en) Dish draining device
US3538842A (en) Fixtures for closets
KR20180002776U (ko) 수도전 거치형 걸이구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US20070125723A1 (en) Movable bath mat bar for towel bar or bracket mount
US9993100B2 (en) Vertically adjustable garment hanger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CN210408229U (zh) 一种伸缩式毛巾架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KR20130000083U (ko) 욕실용품 거치대
CN213757969U (zh) 挂杆组件
CN217711452U (zh) 一种载物架扶手
KR200279949Y1 (ko)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CN215016615U (zh) 一种便于拆装的浴巾架
CN209474494U (zh) 置物架
US6729509B1 (en) Mini-blind holder and clothes hanger combination
KR20180079140A (ko) 주방용 선반의 물받이시스템
JP4407286B2 (ja) 浴室用ラック
KR101622199B1 (ko) 보관받침대가 형성된 욕실용 악세사리
JP2016093276A (ja) 浴室収納棚及び浴室収納棚が設置された浴室
JP2009233073A (ja) 浴室用棚
JP3022883U (ja) 整理具の掛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