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49U - 벽체 마감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체 마감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49U
KR20180002749U KR2020170001199U KR20170001199U KR20180002749U KR 20180002749 U KR20180002749 U KR 20180002749U KR 2020170001199 U KR2020170001199 U KR 2020170001199U KR 20170001199 U KR20170001199 U KR 20170001199U KR 20180002749 U KR20180002749 U KR 201800027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member
front plate
plat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521Y1 (ko
Inventor
양윤선
Original Assignee
양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선 filed Critical 양윤선
Priority to KR2020170001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2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에 설치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되, 건식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원활하게 재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벽체에 입체감을 부여하여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선반 등의 설치를 위하여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5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40)가 삽입되는 관통공(16)과 선반 브래킷(60)이 결합되는 결합구멍(17)이 구비된 고정부재(10)와; 양 끝단에 각각 후크(2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입체 구조의 마감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연결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 마감용 조립체{Wall Finishiing Assembly}
본 고안은 벽체에 설치되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식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원활하게 재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벽체에 입체감을 부여하여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선반 등의 설치를 위하여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특히 내벽의 경우에는 벽체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벽지를 바르거나 타일을 부착하여 마감하고 있다. 하지만, 벽지나 타일의 경우에는 벽체를 미려하게 장식하는데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벽체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마감 공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벽체의 마감 공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 천연 석재나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 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이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벽체 부착 마감 방식은 시공의 간편함과 시공 능률 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벽체 부착 마감 방식은 콘트리트로 형성된 벽체의 표면 또는 마감 패널의 배면 중 어느 일측에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벽체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습식 시공 방법이라 한다.
하지만, 습식 시공 방법은 마감 패널이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재시공이 어렵고 결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최근에는 건식 시공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건식 시공 방법은, 벽체에 금속제 지지 프레임을 설치한 후, 지지 프레임의 외면에 마감 패널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감 패널을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감 패널의 측면에 띠 형상의 평철을 부착하여 연결 철물을 형성하고, 이 연결철물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지지 프레임에 부착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건식 시공 방법은 벽체와 마감 패널이 이격되어 있어 결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마감 패널로 교체할 수 있는 등 재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건식 시공 방법의 경우에도 마감 패널에 연결철물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마감 패널이 접착제의 전단 저항에 의해서만 지지됨에 따라 마감 패널의 하중이 접착제의 전단 저항보다 클 경우 마감 패널이 연결철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어 마감 패널을 안전하게 설치하고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마감 패널과 연결철물이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일체화시킨 다양한 형태의 마감 패널과 이들의 제조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벽체 마감용 구조물은 대부분 판재 형태를 벗어나지 못해 밋밋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내벽에 설치되는 경우 옷걸이나 선반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마감 패널에 별도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외측면에 일정 두께의 접착물이 도포 처리되어 있되, 내측면 사방에는 볼트의 체결을 이룰 수 있는 돌기형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일정 두께의 단열재가 접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의 전면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고정구가 수개 설치되어 있는 내측 접합판넬과; 내,외측면에는 상기 내측판넬의 승,하강식 고정구와 상,중,하로 분할된 외측판넬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삽입 고정구에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화스너 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고, 각 내측 공간에는 일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 스프링이 수개 내설되 있는 신축 변형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콤브(diamond comb)형 종이 구조물과; 상,하부에는 상기, 내측판넬의 돌기형 브라켓에 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외부에서의 조임이 가능한 볼트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상기 다이아몬드 콤브(diamond comb)형 종이 구조물의 상,하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스너에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삽입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외측판넬과, 내측면에 상기 다이아몬드 콤브(diamond comb)형 종이 구조물의 중앙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스너에 삽입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삽입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 외측판넬로 이루어진 외측 마감판넬;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동 보관과 설치시의 편의성 향상과 현장 상황에 적절한 단열 및 차음성을 신속 용이하게 제공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실사용시 외부 충격에 의한 부분적인 파손 및 변형이 발생시 부분적인 교체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벽체와 바닥 슬랩이 90°각도로 만나는 위치에 밀착설치되고 디귿자 형태의 몸체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관통되며, 오픈된 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벽에 체결 볼트로 고정되는 지지대 1; 직사각형 각재로 벽체에 고정못으로 수평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홀이 관통되고 일측면에 원형의 절개홈부가 형성된 내부대; 내부대의 절개홈부 내측에 다수개의 연결봉이 체결 볼트가 관통되는 위치에 삽입설치되고 연결봉의 사이마다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교차되어 삽입설치되는 복합봉; 벽체의 높이방향 중간 위치에 체결 볼트가 관통되어 수평하게 고정되고 'H'자 단면 형태로 길이방향의 중앙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지지대 2; 지지대 1과 동일한 디귿자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 1에 삽입되어 밀착되고 외측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원 돌기가 다수개 돌출형성된 실링 채널; 지지대 1과 동일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대 1,2의 디귿홈 내측에 삽입설치된 실링 채널의 내측에 밀착설치되는 보강 채널; 보강 채널이 길이방향 양측에 삽입설치되고 다수개의 결합구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벽체에 고정못으로 고정된 내부대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석고 보드; 및 석고 보드의 결합구홀에 결합구가 결합되어 상호 체결되고 다수개가 분리형성되어 사각형 형태로 석고 보드의 외측에 밀착설치되는 마감판;을 포함하고, 그 외측에 벽지가 부착되는 건축물의 내부벽체 마감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벽면과 나란하면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바들과; 상기 지지바들을 상기 벽면에 대하여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클램프와; 서로 이웃하는 지지바들 사이로 삽입되고, 양단이 각각 서로 이웃하는 지지바들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크로스바와; 서로 이웃하는 크로스바들 사이로 경사지게 삽입하여 상기 크로스바들에 결합하고, 상기 크로스바들로부터 경사지게 인출하여 상기 크로스바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마감부;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게 배치된 크로스바들 사이에 마감부를 기울어지게 삽입함으로써 마감부를 크로스바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크로스바에 결합된 마감부를 밀어올린 후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마감부를 크로스바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신속한 해체작업이 가능한, 벽체 마감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0516833 B1 KR 10-0652891 B1 KR 10-1410499 B1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성과 시공 능률을 확보할 수 있는 건식 시공이 가능하고 벽체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옷걸이나 선반 등의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벽체 표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평면이 아닌 곡면 형태의 벽체에도 설치할 수 있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감부재가 탄성 변형되지 않아 설치된 고정부재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마감부재를 전개하여 운송 및 보관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벽체 마감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벽면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삽입 또는 결합되는 체결부재나 브래킷에 대한 지지 강도가 향상되어 안전한 설치 및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마감부재의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손쉽게 마감부재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벽체 마감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벽체의 폭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고정부재를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벽체 마감용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선반 브래킷이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양 끝단에 각각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입체 구조의 마감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내측 방향의 받침부가 구비된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마감부재의 후크가 삽입되는 끼움부가 양단 전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배면 양단에 상기 측벽부가 연결된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체와, 상기 전면판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 중 일부에 상기 관통공 및 결합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최외곽에 위치한 전면판의 측부에 상기 연결구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조립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전면판은 폭 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그 배면에 길이 방향의 요홈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마감부재는 개구된 반원형 구조 또는 개구된 사각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후크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가 탄성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보강판은 좌우 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보강판에 각각 구비된 결합부가 요철 결합되어 일체화됨과 아울러, 상기 좌우 양측의 보강판을 본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과 본체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마감부재는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단위체의 수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마감부재를 알루미늄 소재가 압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연결판은 상기 관통공 및 결합구멍이 형성되더라도 강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판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이 연결되는 연결판의 양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전면판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몸체의 양측 단부에 상기 조립용 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입체 형상의 마감부재가 탄성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입체감이 부여되어 벽체의 미감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고정부재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옷걸이나 선반 브래킷을 결합시킬 수 있어 이들의 설치를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마감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재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부재를 벽체에 설치할 때 전면판이 측벽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되어 벽체의 표면 상태에 관계없이 고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고정부재를 연결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벽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부재를 구성하는 전면판의 배면에 복수의 요홈부가 형성됨에 따라 전면판이 휘어질 수 있어 완전한 평면이 아닌 벽체나 곡면 형태의 벽체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마감부재에 보강판이 구비되어 마감부재에 과도한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탄성력에 의해 마감부재가 고정부재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보강판이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보강판을 접을 수 있으므로, 마감부재를 펼친 상태로 운송 및 보관하는 등 취급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마감부재를 고정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벽면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부재의 연결판이 전면판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관통공 및 결합구멍에 삽입되거나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선반 브래킷의 지지 강도가 향상됨은 물론 마감부재의 후크가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전면판이 연결되는 연결판의 양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마감부재의 후크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양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마감부재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벽체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마감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따르면, 고정부재와 마감부재가 분리 및 재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시공 전문업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마감부재를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입체 벽면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 마감용 조립체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고정부재와 선반 브래킷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고정부재와 마감부재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마감부재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된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인 마감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참고도.
도 8은 선반 브래킷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벽체 마감용 조립체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5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40)가 삽입되는 관통공(16)과 선반 브래킷(60)이 결합되는 결합구멍(17)이 구비된 고정부재(10)와; 양 끝단에 각각 후크(2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입체 구조의 마감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연결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벽면의 입체감을 통해 미감이 향상되고 상기 마감부재(20)가 오염될 경우 교체할 수 있어 재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식 시공이 가능하여 우수한 시공성의 유지가 가능하고 마감부재(20)의 표면이 벽체로부터 이격되어 결로 현상 등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내측 방향의 받침부(12)가 구비된 한 쌍의 측벽부(11) 및 상기 마감부재(20)의 후크(22)가 삽입되는 끼움부(14)가 양단 전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배면 양단에 상기 측벽부(11)가 연결된 전면판(13)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체와, 상기 전면판(13)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판(1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단위체의 전면판(13)이 벽체로부터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전면판(13)이 받침부(12)가 구비된 측벽부(1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벽체(50)의 표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상기 고정부재(10)를 벽체(5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15) 중 일부에는 상기 관통공(16) 및 결합구멍(17)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최외곽에 위치한 전면판(13)의 측부에 상기 연결구(3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조립용 홈(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판(15)에 형성된 관통공(16)으로 나사못 등의 체결부재(40)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10)를 벽체(5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멍(17)에 옷걸이의 브래킷 또는 선반 브래킷(60)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옷걸이나 선반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3)은 폭 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그 배면에 길이 방향의 요홈부(13')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부(13')는 전면판(13)의 강도를 부분적으로 낮추어줌으로써 상기 전면판(13)이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벽체(10)가 평면이 아닌 곡면 형상인 경우에도 고정부재(1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마감부재(20)는 개구된 반원형 구조 또는 개구된 사각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후크(22)가 각각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가 탄성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21)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보강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에 형성된 후크(22)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전면판(13)에 구비된 끼움부(14)에 삽입되어 상기 마감부재(20)가 고정부재(10)에 결합되도록 하게 되고, 상기 보강판(25)은 상기 본체(21)가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20)가 고정부재(10)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21)의 탄성력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강판(25)이 없으면, 압출 과정으로 형성되는 마감부재가 압출 후에 곡선 형태가 아닌 평평하게 펼쳐지는 경향이 있어서 마감부재(20)의 양단이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고, 이로 인하여 마감부재(20)가 전면판(13)에 헐겁게 결합하여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보강판(25)이 없으면 마감부재(2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마감부재(20)가 쉽게 파손되거나 그 형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25)은 본체(21)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25)은 좌우 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보강판(25)에 각각 구비된 결합부(26)가 요철 결합되어 일체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 양측의 보강판(25)을 본체(21)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25)과 본체(21)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감부재(20)를 보관하거나 운송할 경우에는 도 7의 (a)와 같이, 좌우 양측의 보강판(25)을 서로 분리한 다음, 상기 본체(21)를 펼치고 분리된 보강판(25)을 본체(21) 방향으로 접어 둠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운송이나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마감부재(2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의 (b)와 같이, 좌우 양측의 보강판(25)에 형성된 결합부(26)를 서로 요철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21)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입체 형상의 마감부재(20)를 형성하면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6)의 요철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21)의 곡률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마감부재(20)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6과 같이 상기 본체(21)의 내측에 수용되는 단위체의 수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20)는 알루미늄 소재가 압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5)은 상기 관통공(16) 및 결합구멍(17)이 형성되더라도 강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판(13)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3)이 연결되는 연결판(15)의 양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공(16)에 삽입되는 체결부재(40) 및 상기 결합구멍(17)에 결합되는 선반 브래킷(60)의 후크부(65)에 대한 지지강도가 향상되며, 그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10)가 벽체(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설치 및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전면판(13)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조립용 홈(1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3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33)를 중심으로 양측의 고정부재가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곡면 형상의 벽체에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벽체 마감용 조립체는 다음의 순서로 벽체에 설치되어 입체 구조의 벽면을 형성한다.
먼저, 고정부재(10)를 벽체(50)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10)의 측벽부(11)에 구비된 받침부(12)를 벽체(50)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10)의 연결판(15)에 형성된 관통공(16)으로 체결부재(40)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재(40)의 선단부를 벽체(50)에 박아넣으면 된다. 상기 체결부재(40)로는 나사못을 사용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 못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재(10)의 전면판(13)에 구비된 끼움부(13)에 마감부재(20)를 구성하는 본체(2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후크(22)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 고정부재(10)에 마감부재(20)를 결합시키면 입체 구조의 벽면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0)의 전면판(13)에 비해 연결판(15)이 더 두꺼우므로, 상기 마감부재(20)의 후크(22)는 상기 끼움부(14)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마감부재(20) 사이로 노출된 상기 고정부재(10)의 연결판(15)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17)에 옷걸이 또는 선반 브래킷(60)의 후크부(61)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선반 브래킷(60)의 상측에 선반 부재(65)를 올려놓음으로써 선반 설치를 완료한다.
만약, 사용 도중 마감부재(20)가 오염되거나 벽면 디자인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감부재(20)를 고정부재(10)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마감부재(20)로 교체하여 결합시키면 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감부재(20)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0)의 연결판(15)과 전면판(13)의 연결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감부재(20)의 후크(22)를 전면판(13)의 끼움부(14)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고정부재
11...측벽부
12...받침부
13...전면판
13'...요홈부
13"...조립용 홈
14...끼움부
15...연결판
15'...요홈부
16...관통공
17...결합구멍
20...마감부재
21...본체
22...후크
25...보강대
26...결합부
30...연결구
31...몸체
32...결합돌기
40...체결부재
50...벽체
60...선반 브래킷
61...후크부
65...선반부재

Claims (6)

  1. 벽체(50)에 고정되고 체결부재(40)가 삽입되는 관통공(16)과 선반 브래킷(60)이 결합되는 결합구멍(17)이 구비된 고정부재(10)와;
    양 끝단에 각각 후크(2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10)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감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를 연결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는 내측 방향의 받침부(12)가 구비된 한 쌍의 측벽부(11) 및 상기 마감부재(20)의 후크(22)가 삽입되는 끼움부(14)가 양단 전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고 배면 양단에 상기 측벽부(11)가 연결된 전면판(13)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체와, 상기 전면판(13)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판(1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15) 중 일부에 상기 관통공(16) 및 결합구멍(17)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최외곽에 위치한 전면판(13)의 측부에 상기 연결구(3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는 조립용 홈(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3)은 폭 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그 배면에 길이 방향의 요홈부(13')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5)은 상기 관통공(16) 및 결합구멍(17)이 형성되더라도 강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판(13)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3)이 연결되는 연결판(15)의 양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전면판(13)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몸체(31)의 양측 단부에 상기 조립용 홈(13")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20)는 개구된 반원형 구조 또는 개구된 사각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후크(22)가 각각 형성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가 탄성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21)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보강판(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용 조립체.
KR2020170001199U 2017-03-14 2017-03-14 벽체 마감용 조립체 KR200489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99U KR200489521Y1 (ko) 2017-03-14 2017-03-14 벽체 마감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99U KR200489521Y1 (ko) 2017-03-14 2017-03-14 벽체 마감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49U true KR20180002749U (ko) 2018-09-27
KR200489521Y1 KR200489521Y1 (ko) 2019-06-28

Family

ID=6370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99U KR200489521Y1 (ko) 2017-03-14 2017-03-14 벽체 마감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1066A (zh) * 2019-04-24 2020-02-21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吸音墙体及其安装方法
US20210131117A1 (en) * 2019-08-30 2021-05-06 Nine O, Llc Wall system with fulcrum release and replaceable uni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039U (ko) * 1998-06-19 2000-01-15 양경호 벽면부착용 상품진열기구
KR100516833B1 (ko) 2005-06-10 2005-09-27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
KR100652891B1 (ko) 2006-08-19 2006-12-04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내부벽체 마감구조
KR101269503B1 (ko) * 2010-05-10 2013-05-30 전병운 건축물 벽체에 구비된 충격 흡수부재
KR101410499B1 (ko) 2013-07-31 2014-06-23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039U (ko) * 1998-06-19 2000-01-15 양경호 벽면부착용 상품진열기구
KR100516833B1 (ko) 2005-06-10 2005-09-27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
KR100652891B1 (ko) 2006-08-19 2006-12-04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내부벽체 마감구조
KR101269503B1 (ko) * 2010-05-10 2013-05-30 전병운 건축물 벽체에 구비된 충격 흡수부재
KR101410499B1 (ko) 2013-07-31 2014-06-23 주식회사 조은데코 벽체 마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1066A (zh) * 2019-04-24 2020-02-21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吸音墙体及其安装方法
US20210131117A1 (en) * 2019-08-30 2021-05-06 Nine O, Llc Wall system with fulcrum release and replaceable units
US11891811B2 (en) * 2019-08-30 2024-02-06 Nine O, Llc Wall system with fulcrum release and replaceable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21Y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274Y1 (ko) 시공성이 우수한 거푸집용 고정구
US7104023B1 (en) Wall organizer
US20140305063A1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US20100229484A1 (en) Cladding panel
KR101544153B1 (ko)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US8745946B2 (en) Ceiling tile suspension system
KR200489521Y1 (ko) 벽체 마감용 조립체
WO2012112082A1 (ru) Багет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KR20120095763A (ko) 천장틀의 설치구조
KR101234673B1 (ko) 천정패널 클립바 및 그를 이용한 취부구조
KR101336959B1 (ko) 조립식 건축물의 모서리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336667B1 (ko)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I128535B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panels to support structures, support structure and fastening means, and their use in modular building elements
KR20170099091A (ko) 건축 구조물의 내장재 시공구조
CN108301585A (zh) 铠装无龙骨干挂件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WO2007075054A1 (en) Hanger for ceiling closing
KR200475076Y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0940096B1 (ko)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KR200402360Y1 (ko) 행거
CN110284629A (zh) 一种隔墙及其安装方法
KR101825792B1 (ko) 건축용 마감장치
JPH1061090A (ja) 建造物における天井部材の構築機構
KR200480623Y1 (ko) 건축물의 외부단열 시공구조
JP2002256652A (ja) 補強材付き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