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26U -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26U
KR20180002626U KR2020170000929U KR20170000929U KR20180002626U KR 20180002626 U KR20180002626 U KR 20180002626U KR 2020170000929 U KR2020170000929 U KR 2020170000929U KR 20170000929 U KR20170000929 U KR 20170000929U KR 20180002626 U KR20180002626 U KR 20180002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aucet
tap water
control valve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권
Original Assignee
박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권 filed Critical 박성권
Priority to KR2020170000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626U/ko
Publication of KR20180002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관으로부터 수도꼭지로 제공되는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밸브; 보일러로부터 수도꼭지로 제공되는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밸브; 수도꼭지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으며,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 조절을 입력받는 온도 조절기; 및 상기 온도 조절 버튼에 의해 요청되는 온도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faucet temperature}
본 고안은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로서,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수도 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물을 용이하게 공급하게 되는데, 냉수만을 공급하는 수도꼭지도 있고 냉수와 온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한 온도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도꼭지도 있다.
여기서, 냉온수를 모두 공급하는 수도꼭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수로가 형성된 수도꼭지 본체와 상기 수로의 일지점에 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개폐구가 형성되고 개폐구 상부에는 수도꼭지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는 덮개가 구비되며, 덮개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개폐구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손잡이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폐손잡이를 상하,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손잡이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구에 의해 온수와 냉수의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고,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와 양의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수도꼭지에서 온수와 냉수의 혼합비와 배출되는 양을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세수를 하거나 샤워를 할 때 항상 수도꼭지를 좌우로 돌리면서 물을 많이 소비하고 온도를 맞추려고 한다.
그런데 수도꼭지를 좌우로 돌리는 기계적인 제어를 하다 보니 원하는 온도를 가지는 수도물의 토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보일러의 가동 효율에 따라서 보일러에서 가열하여 제공되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수도꼭지에서 출력되는 수도물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1995-0704578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수도관으로부터 수도꼭지로 제공되는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밸브; 보일러로부터 수도꼭지로 제공되는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밸브; 수도꼭지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으며,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 조절을 입력받는 온도 조절기; 및 상기 온도 조절 버튼에 의해 요청되는 온도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기는,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상승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상승 버튼; 및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하강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하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는, 수도꼭지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기는,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상승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상승 요청 필드;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하강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하강 요청 필드; 희망 온도의 수치를 입력받는 희망 온도 입력 필드; 수도꼭지에서 출력되는 수돗물의 현재 온도를 표시하는 현재 온도 표시 필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 조절기를 통해 입력된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를 포함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 저장부; 각 사용자별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별 희망 온도 저장부;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생체 정보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온도가 상기 생체 정보 인식부를 통해 판독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할당된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자제어를 통하여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제어와 더불어 생체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별로 맞춤형 수돗물 온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버튼으로 구현된 온도 조절기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된 온도 조절기의 예시 그림.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인식 수단을 구비한 온도 전자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희망온도를 나타낸 테이블표 예시 그림.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달라진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버튼으로 구현된 온도 조절기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된 온도 조절기의 예시 그림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개폐손잡이를 상하,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손잡이에 의해 제어되는 개폐구에 의해 온수와 냉수의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고,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와 양의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수도꼭지 레버의 레버핸들의 상하, 좌우 움직임에 의해 카트리지 내부로 유입된 냉수와 온수의 혼합비가 조절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조절되게 된다.
본 고안의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는, 기존의 기계적인 수돗물 조절 수단 이외에 추가적으로 전자적인 온도 제어를 통하여 수돗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 조절 밸브(110), 온수 조절 밸브(120), 온도 조절기(130), 및 전자제어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온도 측정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조절 밸브(110)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수도꼭지(10)로 제공되는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솔레노이드 밸드 등의 다양한 토출 조절 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제어유닛(100)의 제어에 따라서 상수도관에서 수도꼭지관으로 제공되는 냉수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온수 조절 밸브(120)는, 보일러로부터 수도꼭지(10)로 제공되는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솔레노이드 밸드 등의 다양한 토출 조절 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제어유닛(100)의 제어에 따라서 보일러관에서 수도꼭지관으로 제공되는 온수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온도 조절기(130)는, 수도꼭지(10)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으며, 수도꼭지(10)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 조절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이러한 온도 조절기(130)는 두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방식은, 온도 조절기(130)를 수도꼭지(10)의 하우징이나 세면장 벽면 등에 두 개의 버튼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10)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상승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상승 버튼(131)과, 수도꼭지(10)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하강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하강 버튼(132)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온도 상승 버튼(131)이 한 번씩 눌릴때마다 1℃ 상승되도록 하며, 반대로 온도 하강 버튼(132)이 한 번씩 눌릴때마다 1℃ 하강되도록 한다.
다른 두 번째 방식은, 온도 조절기(130)를 수도꼭지(10)의 하우징이나 세면장 벽면 등에 터치스크린패널(133)의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패널(133)은, 터치스크린패널(133)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패널(13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10)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상승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상승 요청 필드(1331)와, 수도꼭지(10)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하강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하강 요청 필드(1332)와, 희망 온도의 수치를 입력받는 희망 온도 입력 필드(1333)와. 수도꼭지(10)에서 출력되는 수돗물의 현재 온도를 표시하는 현재 온도 표시 필드(133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돗물의 온도 상승을 요청할 시에는 온도 상승 요청 필드(1331)를 터치하며, 반대로 수돗물의 온도 하강을 요청할 시에는 온도 하강 요청 필드(1332)를 터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수돗물의 희망 온도를 희망 온도 입력 필드(1334)를 통하여 수치로서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의 수돗물 온도가 현재 온도 표시 필드(1334)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희망 온도 입력 필드(1334)를 터치하면, 수치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다 자판이 터치스크린패널에 표시되도록 한다.
전자제어유닛(100)은, 연산이 가능한 MCU(Main Computer Unit)로 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서, 논리곱 연산이 가능하여 전자 제어가 가능한 유닛이다. 인쇄회로기판(PCB)에 유닛이 마련되며, 외부의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처리된다. 전자제어유닛(100)은, 온도 조절 버튼에 의해 요청되는 온도의 수돗물이 수도꼭지(10)를 통해 토출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130)가 도 3과 같은 버튼으로 구현된 경우, 온도 상승 버튼(131)이 1회 눌릴 때마다 온수 조절 밸브(120)의 개방 단계를 1단계 증가시키고 냉수 조절 밸브(110)를 1단계 감소시키며, 반대로, 냉수 조절 밸브(110)가 1회 눌릴때마다 온수 조절 밸브(120)의 개방 단계를 1단계 감소시기고 냉수 조절 밸브(110)를 1단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기(130)가 도 4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133)로 구현된 경우, 수돗물의 온도가 희망 온도에 도달할때까지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의 개방량을 제어한다. 희망 온도 조절을 위해서는 수돗물의 현재 온도를 알아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는, 수도꼭지(10)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140)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 센서(140)는 조절 밸브(110,120)와 수도꼭지(10)를 연결하는 수도꼭지관을 흐르는 수도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도꼭지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닛(100)은, 온도 측정 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 조절기(130)를 통해 입력된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별로 수돗물의 온도를 다르게 하여 사용한다. 여성의 경우에는 남성보다 더운 온도로 세수하는 것을 좋아하며, 어린이보다 어른들이 뜨거운 물을 좋아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사용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다르게 희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별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수돗물을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조작없이도 사용자별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수돗물을 제공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과 함께 상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인식 수단을 구비한 온도 전자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희망온도를 나타낸 테이블표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달라진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냉수 조절 밸브(110), 온수 조절 밸브(120), 온도 조절기(130), 온도 측정 센서(140), 및 전자제어유닛(100) 이외에, 생체 정보 저장부(160), 사용자별 희망 온도 저장부(170),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포함한다.
생체 정보 저장부(160)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를 포함한 생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사용자별로 고유한 지문, 고유한 홍채의 생체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것이다.
사용자별 희망 온도 저장부(170)는, 각 사용자별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저장부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가족 내에서 아들은 35℃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딸은 40℃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아빠는 42℃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엄마는 47℃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생체 정보 인식부(150)와 사용자별 희망 온도 저장부(17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생체 정보 인식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생체 정보 인식부(150)는,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통하여 자신의 생체 정보를 판독시킬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100)은, 온도 측정 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온도가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통해 판독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할당된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통해 판독된 생체 정보가 아빠의 생체 정보로 판독되는 경우 아빠가 희망한 42℃로 수돗물이 토출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한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도 아빠가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 42℃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통해 판독된 생체 정보가 엄마의 생체 정보로 판독되는 경우 엄마가 희망한 47℃로 수돗물이 토출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도 엄마가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 47℃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통해 판독된 생체 정보가 아들의 생체 정보로 판독되는 경우 아들이 희망한 35℃로 수돗물이 토출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도 아들이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 35℃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생체 정보 인식부(150)를 통해 판독된 생체 정보가 딸의 생체 정보로 판독되는 경우 딸이 희망한 40℃로 수돗물이 토출되도록 냉수 조절 밸브(110)와 온수 조절 밸브(12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별도의 사용자 조작없이도 딸이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 40℃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리모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희망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리모컨이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현재 온도를 기준으로 희망 온도를 맞춰주는 것이다. 따라서 수돗물 사용전에 미리 디스플레이 리모컨이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실제로 수돗물 사용시에 희망 온도를 가지는 따뜻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리모컨이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와 통신하며 입력된 희망 온도를 전송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전자제어유닛
110:냉수 조절 밸브
120:온수 조절 밸브
130:온도 조절기
140:온도 측정 센서
150:생체 정보 인식부
160:생체 정보 저장부
170:사용자별 희망 온도 저장부

Claims (5)

  1. 상수도관으로부터 수도꼭지로 제공되는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밸브;
    보일러로부터 수도꼭지로 제공되는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밸브;
    수도꼭지의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으며,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 조절을 입력받는 온도 조절기; 및
    상기 온도 조절 버튼에 의해 요청되는 온도의 수돗물이 수도꼭지를 통해 토출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상승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상승 버튼; 및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하강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하강 버튼;
    을 포함하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는,
    수도꼭지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기는,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상승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상승 요청 필드; 수도꼭지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의 온도를 단계별로 하강할 것을 요청받는 온도 하강 요청 필드; 희망 온도의 수치를 입력받는 희망 온도 입력 필드; 수도꼭지에서 출력되는 수돗물의 현재 온도를 표시하는 현재 온도 표시 필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 조절기를 통해 입력된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 온도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를 포함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 저장부;
    각 사용자별로 희망 온도가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별 희망 온도 저장부;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생체 정보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수돗물의 온도가 상기 생체 정보 인식부를 통해 판독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할당된 희망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수 조절 밸브와 온수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KR2020170000929U 2017-02-24 2017-02-24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KR201800026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29U KR20180002626U (ko) 2017-02-24 2017-02-24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29U KR20180002626U (ko) 2017-02-24 2017-02-24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26U true KR20180002626U (ko) 2018-09-03

Family

ID=6358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29U KR20180002626U (ko) 2017-02-24 2017-02-24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6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72B1 (ko) * 2019-07-02 2020-12-04 조수현 비데 샤워 겸용 장치
KR102452491B1 (ko) * 2021-06-17 2022-10-11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씽크대용 정수기능을 형성한 기능성 수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4578A (ko) 1993-10-06 1995-11-20 시게후치 마사토시 수도꼭지 및 그 제조방법(valve device using pi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704578A (ko) 1993-10-06 1995-11-20 시게후치 마사토시 수도꼭지 및 그 제조방법(valve device using pi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72B1 (ko) * 2019-07-02 2020-12-04 조수현 비데 샤워 겸용 장치
KR102452491B1 (ko) * 2021-06-17 2022-10-11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씽크대용 정수기능을 형성한 기능성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8208A (zh) 热水器及出水控制方法、出水控制装置、出水控制系统
US10672209B2 (en)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0709856B2 (en) Operating and information system for a breathing apparatus
KR20180002626U (ko) 수도꼭지 온도 전자제어 장치
US20180193224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rol of a bathing unit system and control panel implementing same
JP2007201687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US11661728B2 (en) Pressure sensitive touch electronic faucet
US20170123502A1 (en) Wearable ges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mart home system
WO2022105447A1 (zh) IoT设备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052080A (zh) 出水方式调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2607180A (zh) 一种新型智能数控恒温洗浴装置
US20150153744A1 (en) Controller for a flui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200141634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5208624B2 (en) Touch Free Automatic Type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CN106559410B (zh) 便携式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567165A (zh) 热水器出水控制方法、装置和热水器系统
US10082805B2 (en) Removable time adjus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 electronic plumbing controller
CN203232342U (zh) 一种浴室洗浴用水智能控制系统
JP2014190544A (ja) 給湯機
CN108488462A (zh) 一种基于网络的指纹识别水龙头及使用方法
CN215763556U (zh) 一种多功能龙头
US10649423B2 (en) Contextual home automation controller
CN217440899U (zh) 一种调温龙头
KR20100007274A (ko) 전자식 수전 및 그 제어방법
CN111022729A (zh) 净水器水龙头控制方法、控制装置及净水器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25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2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29

Effective date: 20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