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23U -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23U
KR20180002623U KR2020170000921U KR20170000921U KR20180002623U KR 20180002623 U KR20180002623 U KR 20180002623U KR 2020170000921 U KR2020170000921 U KR 2020170000921U KR 20170000921 U KR20170000921 U KR 20170000921U KR 20180002623 U KR20180002623 U KR 20180002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vehicle
support
present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문
Original Assignee
민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문 filed Critical 민병문
Priority to KR2020170000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623U/ko
Priority to PCT/KR2017/010470 priority patent/WO2018155780A1/ko
Publication of KR20180002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 룸에 보관 및 탑재된 적재물을 한층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적재물의 움직임과 그로 인한 손상 및 트렁크 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트렁크 룸 바닥에 구비되는 트렁크 매트에 탈부착하기 위한 후크 패스너가 저면에 부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워져 적재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한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1곡선면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2곡선면이 형성된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LUGGAGE FIX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룸에 보관 및 탑재된 적재물을 한층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적재물의 움직임과 그로 인한 손상 및 트렁크 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단형 승용차 등과 같은 차량에는 여러 가지 물건을 보관 및 싣기 위하여 만든 공간인 이른바 트렁크 룸(trunk room)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트렁크 룸의 바닥에는 차체의 각종 오염 및 흠집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트렁크 룸 아래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 트렁크 매트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트렁크 룸에 각종 적재물을 고정하지 않은 채로 싣고 차량을 운행하면, 커브길을 주행하거나 급출발 및 급제동 시 등에 적재물이 어느 한쪽으로 움직여 쏠리면서 부딪히는 소음을 일으키거나 쉽게 넘어지면서 파손 등의 손상을 입을 우려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김치통 등과 같이 액체가 담긴 용기의 경우 트렁크 룸을 오염시켜 오랫동안 불쾌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629호에 '자동차 트렁크용 적재물 고정구'가 개시된 바 있다. 즉,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매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벨크로 화스너(31)가 구비된 하판(3)과, 상기 하판(3)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고 양측에 다수 개의 끼움공(21)이 형성된 측판(2)과, 상기 끼움공(21)에 체결되고 버클(42)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적재물을 고정하는 벨트(41)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적재물 고정구(1)로는 트렁크 룸의 한쪽 구석이나 벽면에다가 적재물을 최대한 밀착시킨 상태에서도 그 적어도 2면 이상을 고정해야만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한계가 있는 데다 특히 공이나, 수박, 유리병처럼 적재물의 형태 및 둘레가 둥근 경우 여러 개가 있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20-0181629 Y1(2000.02.29) KR20-1999-0014532 U(1999.05.06) KR20-0340097 Y1(2004.01.16) KR20-2014-0003014 U(2014.05.22)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적재물의 형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적재물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여러 개를 적절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범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적재물의 형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를 적절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차량의 트렁크 룸 바닥에 구비되는 트렁크 매트에 탈부착하기 위한 갈고리 형태의 후크 패스너가 저면에 부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워져 적재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한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1곡선면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2곡선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사각면체 형이나 둘레가 둥근 형 등 적재물의 다양한 형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지지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슬롯이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상기 슬롯을 통해 연결되어 적재물이 상기 제1 및 제2곡선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된 상태를 구속하는 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쪽 가장자리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쪽 보강부 중 한쪽 보강부에 끼움구멍과 걸림구멍이 일렬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다른 한쪽 보강부에 다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의 끼움구멍을 통해 걸림구멍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돌기가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은 적재물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여러 개를 적절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고안의 실시 태양은, 지지부의 양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1 및 제2곡선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자처럼 사각면체 형태의 적재물은 물론 공이나 유리병처럼 둘레가 둥근 형태의 적재물 등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그 형태에 상관없이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잡아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적재물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지지부의 양쪽에 위치하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구멍과 결합돌기로 여러 개를 적절히 연결함으로써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범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는 합성수지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하여 그 횡단면 및 측면의 형상이 마치 'L' 자와 같은 형상 및 형태로 이루어지고, 크게 고정부(100), 지지부(200) 및 보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0)는 차량의 트렁크 룸 바닥에 구비되는 트렁크 매트에 밀착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두께가 얕은 마치 사각 판재와 같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저면에는 트렁크 매트에 탈부착하기 위한 갈고리 형태의 후크 패스너(110)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200)는 적재물이 차량의 트렁크 룸 바닥에 실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두께가 얕은 마치 사각 판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100)의 한쪽 끝 부분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일정한 높이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한쪽(바깥쪽) 면 가운데 부분에는 공이나 화분처럼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면접촉)을 위한 제1곡선면(210)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반대쪽/안쪽) 면 가운데 부분에는 일반적인 술병처럼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2곡선면(220)이 제1곡선면(210)과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200)의 바깥쪽 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자처럼 사각면체 형태의 적재물을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면(260)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 부분에는 공, 수박, 화분, 유리병처럼 둘레가 둥근 형태의 적재물을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호형의 제1곡선면(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200)의 안쪽 면 가운데 부분에는 술병처럼 둘레가 둥근 형태의 적재물을 고정부(100) 상면에 올려놓은 채로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호형의 제2곡선면(2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곡선면(210)(220)은 지지부(200)의 일부를 일정한 깊이로 패인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적재물의 대향하는 면을 자연스럽게 에워싸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슬롯(230)이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적재물이 제1 및 제2곡선면(210)(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된 상태를 구속하는 밴드(240)가 그 슬롯(23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슬롯(230)은 밴드(240)가 지지부(200)를 관통하여 지지부(200)의 양쪽 면에 위치되는 적재물을 제1곡선면(210) 또는 제2곡선면(220)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며, 지지부(200)의 양쪽 수직면(260) 상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200)의 상부에는 이동 및 사용 시 등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 구멍(25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밴드(240)는 적재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밴드(24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나 버클 등 별도의 조임 수단을 구비하여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300)는 고정부(100)와 지지부(200)의 강도와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정부(100)와 지지부(200)의 양쪽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200) 그대로는 가로 방향의 외력에 약하고 휨도 크므로 보강부(300)가 이를 강화하여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부(300) 중 한쪽 보강부(300)에는 끼움구멍(310)과 걸림구멍(320)이 상하 일렬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반대쪽) 보강부(300)에는 다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의 끼움구멍을 통해 걸림구멍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돌기(330)가 대응 형성되어 있다.
즉, 상자와 같이 사각면체 형태를 갖는 적재물의 경우 그 크기에 따라 지지부(220)의 양쪽에 위치하고 서로 대응되도록 보강부(30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320)과 결합돌기(330)로 여러 개를 적절히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인 길이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는 합성수지제로 형성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및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는 상자처럼 사각면체 형태의 적재물은 지지부(200)의 수직면(260)에 의해 간편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이나 수박, 공, 유리병처럼 둘레가 둥근 형태의 적재물은 지지부(200)의 양쪽 면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곡선면(210)(220)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그 형태에 상관없이 쓰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잡아줄 수 있어 적재물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 및 트렁크 룸의 오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양쪽에 위치하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320)과 결합돌기(330)로 여러 개를 적절히 연결함으로써 그 길이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재물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고정부 110: 후크 패스너
200: 지지부 210: 제1곡선면
220: 제2곡선면 230: 슬롯
240: 밴드 250: 손잡이 구멍
260: 수직면 300: 보강부
310: 끼움구멍 320: 걸림구멍
330: 결합돌기

Claims (2)

  1. 차량의 트렁크 룸 바닥에 구비되는 트렁크 매트에 탈부착하기 위한 후크 패스너(110)가 저면에 부착된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한쪽에 수직으로 세워져 적재물을 지지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00)의 한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1곡선면(210)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면 가운데 부분에 둘레가 둥근 적재물과의 밀착을 위한 제2곡선면(220)이 형성된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슬롯(230)이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에 상기 슬롯(230)을 통해 연결되어 적재물이 상기 제1 및 제2곡선면(210)(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된 상태를 구속하는 밴드(24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에 손잡이 구멍(25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수직면(26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지지부(200)의 양쪽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300) 중 한쪽 보강부(300)에 끼움구멍(310)과 걸림구멍(320)이 일렬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다른 한쪽 보강부(300)에 다른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의 끼움구멍을 통해 걸림구멍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돌기(330)가 대응 형성된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KR2020170000921U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KR20180002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21U KR20180002623U (ko)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PCT/KR2017/010470 WO2018155780A1 (ko) 2017-02-24 2017-09-22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21U KR20180002623U (ko)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23U true KR20180002623U (ko) 2018-09-03

Family

ID=6358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21U KR20180002623U (ko)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62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8049A (zh) * 2019-07-31 2021-02-02 佛吉亚汽车工业公司 包括纤维固定结构的固定件、以及相关的组件和方法
KR20210104248A (ko) 2020-02-17 2021-08-25 이명규 다용도 트렁크 화물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32U (ko) 1997-10-06 1999-05-06 이원명 자동차 트렁크의 화물 유동 방지구조
KR200181629Y1 (ko) 1999-12-08 2000-05-15 김종국 자동차 트렁크용 적재물고정구
KR200340097Y1 (ko) 2003-08-11 2004-01-31 임상식 자동차 화물공간내 적재물 움직임 방지 장치
KR20140003014U (ko) 2012-11-14 2014-05-22 주식회사 두웰플래닛 승용차 소화물 고정용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32U (ko) 1997-10-06 1999-05-06 이원명 자동차 트렁크의 화물 유동 방지구조
KR200181629Y1 (ko) 1999-12-08 2000-05-15 김종국 자동차 트렁크용 적재물고정구
KR200340097Y1 (ko) 2003-08-11 2004-01-31 임상식 자동차 화물공간내 적재물 움직임 방지 장치
KR20140003014U (ko) 2012-11-14 2014-05-22 주식회사 두웰플래닛 승용차 소화물 고정용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8049A (zh) * 2019-07-31 2021-02-02 佛吉亚汽车工业公司 包括纤维固定结构的固定件、以及相关的组件和方法
KR20210104248A (ko) 2020-02-17 2021-08-25 이명규 다용도 트렁크 화물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1823B2 (en) Magnetic tool carrier
US7967274B1 (en) Vehicle window-mounted umbrella holder
US5381940A (en) Tray combinations
US3039616A (en) Container holder
US7306416B1 (en) Cargo restraint device
JP2005511378A (ja) コンポジット・スペア・ホイール・ウエル
US20070068941A1 (en)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US20090194437A1 (en) Beverage cup carrier
US6783021B2 (en) Canister with air-tight lid and spring camping handle
KR20180002623U (ko) 차량용 적재물 고정구
US10875438B2 (en) Cup holder for vehicle
US2844909A (en) Caster holders
JP4510673B2 (ja) 板状体の搬送容器
US5871207A (en) Damper means
KR20180107894A (ko) 접이식 적재물 고정구
CA3007795C (en) Truck caddy
JP5403805B2 (ja) 車両のラゲージフロア構造
KR200483931Y1 (ko) 수납프레임을 가지는 자동차의 도어트림
JPH021171Y2 (ko)
JPH0721405Y2 (ja) 間仕切り枠
US5064237A (en) Hopper and liner apparatus
KR200256741Y1 (ko) 화물 자동바 벅클에 부착하는 고무판
KR20020046998A (ko) 적어도 하나의 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고정장치
JPS6220354Y2 (ko)
JPH0618065U (ja) カ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