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507U -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507U
KR20180002507U KR2020170003535U KR20170003535U KR20180002507U KR 20180002507 U KR20180002507 U KR 20180002507U KR 2020170003535 U KR2020170003535 U KR 2020170003535U KR 20170003535 U KR20170003535 U KR 20170003535U KR 20180002507 U KR20180002507 U KR 20180002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ndow
roof frame
side window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용
양종빈
이원민
Original Assignee
박근용
양종빈
이원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용, 양종빈, 이원민 filed Critical 박근용
Publication of KR20180002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0/00Dry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F53/00 - D06F5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6Movable chambers, e.g. collapsible, demoun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D06F2058/2819

Abstract

본 고안은 하벽, 측벽 및 상벽으로 정의된 공간이 마련되어 내부에 건조실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된 출입문; 상기 측벽에 배치되되 빛이 투과되는 복수의 측면창; 및 상기 상벽에 배치되어 빛이 투과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상기 지붕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창;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프레임은 복수개가 마련되되 한 쌍의 지붕프레임 말단이 상벽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250 ㎜ 내지 1750 ㎜ 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벽은 상기 한 쌍의 지붕프레임 말단과 상기 상벽의 모서리 사이에 마련된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상벽 요철을 포함하여, 상기 상벽에 전달되는 응력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벽 요철에 흡수되어 상기 지붕창의 파손 방지가 가능하며, 상기 측면창은 이 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상부 측면창 및 하부 측면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하부 측면창의 하부에 마련된 150 ㎜ 내지 450 ㎜ 높이의 제1 지지부, 상기 하부 측면창과 상기 상부 측면창의 사이에 마련된 365 ㎜ 내지 1095 ㎜ 높이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측면창의 상부에 마련된 160 ㎜ 내지 480 ㎜ 높이의 제3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는 측벽 요철을 포함하여, 상기 측벽에 전달되는 응력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측벽 요철에 흡수되어 상기 지붕창의 파손 방지가 가능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PORTABLE CONTAINER FOR DRYING}
본 고안은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적재되어 이동되거나 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컨테이너 안에서 의류 등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설비된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의 건조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경우 발코니와 같이 건물의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데, 빨래의 건조를 위해서는 햇볕이 잘 들고 공기의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고 습기가 적은 환경이어야 한다. 그러나, 야전부대, 캠핑장과 같이 야외 활동이나 이동이 잦은 단체나 시설에서 효과적인 빨래 건조 설비를 갖추기란 환경적 제약 및 경제적인 한계가 따른다.
한편, 컨테이너(container)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容器)을 뜻한다. 컨테이너는 일반 잡화 및 특수한 화물을 외포장(外包裝) 없이 용이하게 수송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화물의 파손, 분실, 도난 등 수송 중의 사고를 막을 수 있고, 또 화차, 자동차, 선박 등의 적하(積荷)가 인력노동 대신에 기계화되어 하역작업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수송기관은 자동차, 선박, 철도, 항공기 등이 모두 취급하며, 자동차와 철도 및 선박은 특수한 것을 만들어 운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후 이송이 용이한 컨테이너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 장치들은 이동성이 열악하거나, 건물에 설치되어야 하는 환경적 제약 및 경제적인 제약이 있거나, 이동성을 위해 빨래 건조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컨테이너와 같이 이동이 용이한 용기 등에 설치되되 의류 등의 건조 효율이 높은 건조 설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등에 적재되어 이동되거나 지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컨테이너 안에서 의류 등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설비된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햇볕이 잘 들되 비나 눈이 많이 내려도 지붕이 무너지지 않으며, 열풍을 사용하는 동시에 와류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와류시켜 의류 등의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의 습기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된 출입문; 상기 출입문에 대응하는 타측에 마련되되 전원공급장치가 배치된 기계실; 상기 몸체의 측면에 마련된 적어도 일 열의 측면창; 및 상기 몸체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상기 지붕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창;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창 및 상기 지붕창은 빛이 투과되는,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측면창은 복수개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 열로 배치되되,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된 열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열풍기는 공기가 이송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복수의 열풍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덕트는 상기 이 열로 배치된 측면창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구가 마련된 공간에 건조대가 배치되며, 상기 건조대는 적어도 일 측에 코튼망사발열체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는 건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천장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이 더 배치되되, 상기 광원은 살균광원 및 조명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천장(天障)에 와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일 열의 측면창 상부에 위치한 돌출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된 가습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기 몸체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몸체 내의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습도가 입력된 정보 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장치;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습도 정보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습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하벽, 측벽 및 상벽으로 정의된 공간이 마련되어 내부에 건조실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된 출입문; 상기 측벽에 배치되되 빛이 투과되는 복수의 측면창; 및 상기 상벽에 배치되어 빛이 투과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상기 지붕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창;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프레임은 복수개가 마련되되 한 쌍의 지붕프레임 말단이 상벽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250 ㎜ 내지 1750 ㎜ 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벽은 상기 한 쌍의 지붕프레임 말단과 상기 상벽의 모서리 사이에 마련된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상벽 요철을 포함하여, 상기 상벽에 전달되는 응력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벽 요철에 흡수되어 상기 지붕창의 파손 방지가 가능하며, 상기 측면창은 이 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상부 측면창 및 하부 측면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하부 측면창의 하부에 마련된 150 ㎜ 내지 450 ㎜ 높이의 제1 지지부, 상기 하부 측면창과 상기 상부 측면창의 사이에 마련된 365 ㎜ 내지 1095 ㎜ 높이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측면창의 상부에 마련된 160 ㎜ 내지 480 ㎜ 높이의 제3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는 측벽 요철을 포함하여, 상기 측벽에 전달되는 응력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측벽 요철에 흡수되어 상기 지붕창의 파손 방지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는 길이가 4500 ㎜ 내지 13500 ㎜ 이고, 두께가 1500 ㎜ 내지 4500 ㎜ 이고, 높이가 1300 ㎜ 내지 3900 ㎜ 이며, 상기 상부 측면창 및 상기 하부 측면창은 각각 2개 내지 10개의 측면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창부재는 길이가 650 ㎜ 내지 2000 ㎜ 이고, 높이가 250 ㎜ 내지 750 ㎜ 이며, 상기 상벽에서 상기 지붕프레임의 한 쌍의 말단에 의해 정의된 영역은 길이가 3500 ㎜ 내지 10500 ㎜ 이고, 두께가 1000 ㎜ 내지 3000 ㎜ 인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실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양이 자연채광의 입사각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붕프레임의 최고점은 상기 상벽으로부터의 높이가 200 ㎜ 내지 600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벽은 두께가 30 내지 100 ㎜ 인 우레탄발포 층, 두께가 1 내지 10 ㎜ 인 폴리에틸렌필름 층 및 두께가 1 내지 10 ㎜ 인 코튼망사발열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벽은 코튼망사발열체 층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실 내 온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이동이 용이한 동시에 의류 등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돔 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상기 지붕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창을 가짐으로써, 눈 등이 적재되어도 지붕의 투명 부재로 구성된 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몸체의 측면에 이 열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면창을 가짐으로써, 컨테이너의 내구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의류 등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기의 유입 및 유출로 내부를 환기시키거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몸체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기 열풍기가 덕트를 갖되, 상기 덕트가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이격된 이 열의 측면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대가 배치된 곳에서 열풍구가 마련되어,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건조대 또는 몸체의 내벽에 코튼망사발열체가 설치되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건조대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광원을 갖되, 상기 광원은 살균광원을 포함하여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천장에 와류팬을 더 포함하여, 공기를 와류시킴으로써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되, 몸체의 측면창 상부에 위치한 돌출판을 가짐으로써, 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측면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몸체 내에 가습기가 더 배치됨으로써, 의류 등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내부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건조대 및 덕트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건조의 대상이 의류 또는 신발 등을 예로 들어 설명되지만, 건조의 대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 '건조실'은 건조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기계실도 건조실에 포함될 수 있으며, 기계실이 몸체 내에서 구분되고 출입문을 갖는 별도의 방을 갖는 경우 기계실과 분리되어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 몸체의 길이 방향은 도 13에서 x축 방향을, 몸체의 두께 방향은 도 13에서 y축 방향을, 몸체의 높이 방향은 도 13에서 z축 방향을 각각 지칭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 측면창의 길이 방향은 도 14에서 x축 방향을, 측면창의 두께 방향은 도 14에서 z축 방향을 각각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직육면체의 컨테이너 형상의 몸체(110)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0)에 사용되는 재료는 사용 환경에 따라 목재, 합판, 강철, 알루미늄, 경합금,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크기도 이송 시 사용되는 수송차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보온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일 측에 출입문(111)이 마련될 수 있고, 출입문(111)은 사용자가 몸체(110)로 출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불투명 재질 또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111)은 단열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111)은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대 및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문(防火門)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철재방화문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의 측면에 적어도 일 열의 측면창(150, 250)이 마련될 수 있고, 측면창(150, 250)은 외부에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열처리가 될 수 있다. 이때, 측면창(150, 250)은 복수개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 열로 배치되되,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몸체(110)의 내구성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햇볕이 효율적으로 들어오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 및 유출로 환기를 시키거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몸체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외벽에 배치되되 몸체의 측면창(150) 상부에서 연장된 판 형상의 돌출판(112)을 더 가짐으로써, 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측면창(150, 25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110)의 상면에는 몸체(110)의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지붕프레임(161) 및 지붕프레임(161)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창(160)이 배치될 수 있고, 지붕창(160)은 외부에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사용할 수 있다.
몸체(110)에서 출입문(111)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기계실(140)이 배치될 수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140)에는 전원공급장치(141)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141)는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내부에 마련되는 기기나 장비 등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자가 발전이 가능한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계실(140)은 몸체(110)와 분리되는 공간을 가짐으로써,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내부에 형성되는 습기 등에 의해 기계실(140) 내부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141) 등 기기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실(140)은 기계실도어(142)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고, 기계실도어(142)를 통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외부에서 기계실로 출입하거나 또는 출입문(111)을 통과하여 들어온 사용자가 기계실도어(142)를 통해 기계실(140)로 출입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0)는 내부에 열풍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기(120)는 건조한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장치를 차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열풍기(120)는 기계실(14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열풍기(120)에 마련된 열풍구(122)를 통해 건조한 열풍이 몸체(110)의 건조실로 향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내부의 부분 사시도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열풍기(120)는 공기가 이송되는 덕트(121)를 가질 수 있고, 덕트(121)는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풍구(122)를 가질 수 있다. 즉, 열풍기(120)에서 발생한 열풍(熱風)이 덕트(121)를 통해 흐르고, 건조실 내로 열풍이 토출되는 열풍구(122)를 가짐으로써 건조실에서의 건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건조대 및 덕트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덕트(121)가 설치된 위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열로 배치된 측면창(150, 250) 사이의 공간일 수 있고, 도 7 내지 도 8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110)의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덕트(121)가 이 열로 배치된 측면창(150, 25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덕트(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마련된 열풍구(122)를 통해 건조대(170)에 효과적으로 열풍이 전달될 수 있고, 측면창(150, 250) 사이의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몸체(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몸체(11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덕트(121)가 몸체(110)의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잦은 이동에도 파손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져, 몸체(110)에 설치된 각 설비들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몸체(110) 내에 건조대(170)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풍구(122)가 위치한 곳에 건조대(170)가 배치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건조대(170)의 적어도 일 측에 코튼망사발열체(17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코튼망사발열체(171)는 몸체(110)의 바닥 또는 이 열로 배치된 측면창(150, 250) 사이의 공간, 지붕창(160)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코튼망사발열체(171)는 면실에 탄소를 함침하여 제조된 것으로 원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는데, 면실에 탄소가 함침되어 있는 경우 원적외선이 다량 방사되고 내구성과 내산화성 및 열효율이 높을 수 있다. 종래 빨래 등의 건조실에 발열체 등을 설치하여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았으나, 코튼망사발열체(171)는 접거나 구겨도 전기가 잘 통하는 장점이 있으므로 스파크가 일어나 화재가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두께가 매우 얇아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건조대(170) 또는 건조대(170)가 위치한 주변에 코튼망사발열체(171)를 설치하여,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천장에 배치되어 건조대(170)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8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광원(180)은 조명광원 및 살균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살균광원은 예를 들어 UVC(Ultraviolet C)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건조대(170)에서 건조되는 의류, 신발 등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살균시키는 효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180)의 하단부에 광촉매필터를 더 가질 수 있고, 상기 광촉매필터는 광원(180)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광촉매 매질, 예를 들어,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아연(ZnO2), 및 산화주석(Sn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의 표면에 생성된 전자는 상기 광촉매 매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을 생성하고, 정공은 광촉매 표면이나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산화기 (-OH)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OH-)을 생성함으로써,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원(180)은 UVC LED 외에 적외선 LED를 포함하여, 의류, 신발 등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몸체(110)의 천장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팬(190)을 포함할 수 있고, 와류팬(190)에 의해 공기를 와류시킴으로써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가습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기(130)는 공지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동식 가습기(130)를 설치시키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장착된 가습기(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습기(130)는 건조실과 기계실(140)을 구분하며 기계실(140)을 정의하는 벽면에 배치되고, 전원공급장치(141)에 의해 구동되어, 의류 등의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몸체(110) 내의 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몸체(110)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211),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습기(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및 몸체(110) 내의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장치(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기계실(14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가습기(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몸체(110)내의 습도를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값 또는 그 이하로 유지되도록 가습기(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10) 내 습도가 미리 입력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자동으로 가습기(130)를 작동시킬 수 있고, 미리 입력한 값 미만이 되는 경우, 가습기(130)의 작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표시장치(212)는 습도센서(211), 온도센서(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습도 및 온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습도센서(211)에서 검출된 습도가 입력된 정보 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장치(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람은 소리 발생 또는 표시장치(212)에의 표시 등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고,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장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3G 등의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10)는 습도센서(211)에서 검출된 습도 정보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플릿 등)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가습기(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전원공급장치(141), 열풍기(120), 코튼망사발열체(171), 광원(180), 및 와류팬(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내부에 배수시설(도면에 미도시)을 더 포함함으로써, 몸체(110) 내부에 물이 고임으로써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컨테이너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크레인 운반 고리 및 바퀴 등을 가짐으로써 차량에 의해 인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시공될 수 있고, 타 지역에서 시공 후 이를 이동시키기 위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일상 생활이 가능한 지역뿐 아니라 혹한의 지역에서도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관류율 및 방열손실을 최소화시키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동식 컨테이너 각 구성의 수치 및 재질을 한정하기 위한 관련 실험을 반복하였고, 전술한 이동식 컨테이너에 이하 후술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컨테이너를 개발할 수 있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몸체, 출입문, 측면창, 지붕프레임, 지붕창을 포함한다.
몸체(310)는 하벽(311), 측벽(312) 및 상벽(313)으로 정의된 공간인 건조실(320)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길이가 4500 ㎜ 내지 13500 ㎜, 두께가 1500 ㎜ 내지 4500 ㎜, 높이가 1300 ㎜ 내지 3900 ㎜ 인 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 전술한 건조대(170)와 코튼망사발열체(171) 등이 배치될 수 있고, 몸체(310)와 관련된 기타 구성은 도 1을 들어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측벽(312)은 두께가 0.5 내지 5 ㎜ 인 철판 층, 두께가 30 내지 200 ㎜ 인 스티로폼 층, 두께가 0.5 내지 10 ㎜ 인 마그네슘보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벽(311)은 두께가 30 내지 100 ㎜ 인 우레탄발포 층, 두께가 0.5 내지 5 ㎜ 인 철판 층, 두께가 10 내지 30 ㎜ 인 합판(plywood) 층, 두께가 1 내지 10 ㎜ 인 방습막 층,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필름 층, 두께가 1 내지 10 ㎜ 인 코튼망사발열체 층, 두께가 1 내지 10 ㎜ 인 고무타일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우레탄발포 층, 철판 층, 합판 층, 방습막 층, 코튼망사발열체 층, 고마타일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현장에서 시공할 뿐 아니라 시공 후 설치 지역으로 이송이 가능한 형태로 고안된 것으로, 몸체(310)가 상기 소재 및 두께의 층이 포함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혹한의 지역에서도 건조 효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관류율 및 방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310)가 상기 소재 및 두께의 층이 포함되어 열손실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혹한의 지역에서도 건조 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벽(311)에 코튼망사발열체 층이 포함되어, 자체 발열을 통해 피건조물이 충분히 마르지 않거나 얼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건조실(320) 내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출입문(111)은 몸체(310)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을 들어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측면창(350)은 측벽(312)에 배치되되 빛이 투과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을 들어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측면창(350)은 몸체(310)의 길이 방향(도 13 x축 방향)으로 이 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측면창(350)은 상부 측면창(350a) 및 하부 측면창(350b)을 포함하고, 상부 측면창(350a)은 상대적으로 상벽(313)에 인접한 구성을, 하부 측면창(350b)은 상대적으로 하벽(311)에 인접한 구성을 지칭한다.
이때, 측벽(312)은 하부 측면창(350b)의 하부에 마련된 150 ㎜ 내지 450 ㎜ 높이의 제1 지지부(361), 하부 측면창(350b)과 상부 측면창(350a)의 사이에 마련된 365 ㎜ 내지 1095 ㎜ 높이의 제2 지지부(362) 및 상부 측면창(350a)의 상부에 마련된 160 ㎜ 내지 480 ㎜ 높이의 제3 지지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창(350)은 측벽(312)의 적어도 일부에서 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므로, 측벽(312)의 양 말단으로부터 측면창(350)이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지지부 내지 제3 지지부(361, 362, 363)도 측벽(312)의 측면창(350)에 대응하여 측벽(312)의 양 말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현장에서 시공할 뿐 아니라 시공 후 설치 지역으로 이송이 가능한 형태로 고안된 것으로, 상기 제1 지지부 내지 제3 지지부(361, 362, 363)가 전술한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부 측면창(350a)과 하부 측면창(350b)이 전술한 높이의 제1 지지부(361) 및 제3 지지부(363)에 의해 상벽(313) 및 하벽(311)으로부터 이격되고, 전술한 높이의 제2 지지부(362)에 의해 상호 이격된 형태가 적용됨으로써,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가해질 때 제1 지지부 내지 제3 지지부(361, 362, 363)에 의해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분산되어 측면창(3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361), 제2 지지부(362) 및 제3 지지부(363)는 측벽 요철(31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 요철(312a)은 측벽(312)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 길이, 넓이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측벽 요철(312a)은 측벽(312)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질 때 측벽(312)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가해질 때 측벽 요철(312a)에 의해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분산되어 측면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측면창(350a) 및 하부 측면창(350b)은 각각 2개 내지 10개의 측면창부재(350c)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창부재(350c)는 적어도 일부가 미닫이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빛이 투과하면서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측면창(3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측면창부재(350c)는 길이가 650 ㎜ 내지 2000 ㎜ 이고, 높이가 250 ㎜ 내지 750 ㎜ 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361, 362, 363)의 높이를 한정하는 동시에 측면창부재(350c)의 크기를 상기 범위로 설정하여, 시공 후 설치 지역으로 이송 중 파손을 방지하고, 자연채광의 입사각이 변하여도 건조실(320)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며, 건조실(320) 내 공기의 대류가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건조실(320) 내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붕프레임(161)은 상벽(313)에 배치되어 빛이 투과되되 몸체(310)의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지붕창(160)을 지지할 수 있다. 지붕창(160)은 빛이 투과하면서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지붕창(16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붕프레임(161)은 돔 형상을 포함하여, 눈 등이 특정 영역에 적체되어 눈 등의 자중에 의해 지붕창(16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붕프레임(161)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개 내지 30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붕프레임의 한 쌍의 말단(161a, 161b)이 상벽의 모서리(314)로부터 각각 250 ㎜ 내지 1750 ㎜ 로 이격 배치되고, 상벽(313)은 복수의 지붕프레임(161) 각각의 한 쌍의 말단(161a, 161b)과 상벽의 모서리(314) 사이에 마련된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현장에서 시공할 뿐 아니라 시공 후 설치 지역으로 이송이 가능한 형태로 고안된 것으로, 지붕창(160)을 지지하는 지붕프레임(161)에 상기 수치 범위로 상벽의 모서리(314)로부터 이격되고, 상벽(313)에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315)가 마련되어,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가해질 때 플레이트(315)로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분산되어 지붕창(16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15)는 상벽 요철(31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벽 요철(313a)은 상벽(313)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정 길이, 넓이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벽 요철(313a)은 측벽(312)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질 때 상벽(313)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가해질 때 상벽 요철(313a)에 의해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분산되어 지붕창(16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벽(313)에서 지붕프레임의 한 쌍의 말단(161a, 161b)에 의해 정의된 영역은 길이가 3500 ㎜ 내지 10500 ㎜ 이고, 두께가 1000 ㎜ 내지 3000 ㎜ 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붕프레임(161)의 최고점은 상벽(313)으로부터의 높이가 200 ㎜ 내지 600 ㎜ 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는 상벽(313)의 연장선에서 지붕프레임(161)이 상벽(313)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위치로, 상벽(313)의 연장선으로부터 수직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상벽(313)에 플레이트(315)가 마련되고, 상벽(313)에 마련된 지붕프레임(161)이 상벽(313)에서 정의하는 영역의 크기, 상벽(313)으로부터 지붕프레임(161)의 최고점까지 높이를 상기 범위로 설정하여, 시공 후 설치 지역으로 이송 중 파손을 방지하고, 자연채광의 입사각이 변하여도 건조실(320)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며, 건조실(320) 내 공기의 대류가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건조실(320) 내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를 들어 전술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도 1 내지 도 12를 들어 전술한 기계실(140), 열풍기(120), 덕트(121), 열풍구(122), 건조대(170), 코튼망사발열체(171), 광원(180), 와류팬(190), 돌출판(112), 가습기(130), 습도센서(211), 제어부(210), 습도센서(211), 표시장치(212), 알람장치(미도시), 통신장치(미도시)에 관한 구성을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설명한 배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제조예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식 컨테이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의 크기는 (길이(㎜) X 두께(㎜) X 높이(㎜))가, 몸체(9000 X 3000 X 2600), 지붕프레임(7000 X 2100 X 400)인 구성이고, 측면창부재(1300 X 500)는 한 열에 5개씩 일 측벽에 이 열로 배치되고, 양 측벽에 마련되어 총 20개가 포함되도록 제조하였다. 이때, 제1 지지부의 높이가 300㎜, 제2 지지부의 높이가 730㎜, 제3 지지부의 높이가 325㎜ 가 되도록 하여, 측면창부재 각각이 하벽 및 상벽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이 열의 측면창부재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지붕프레임을 기준으로 상벽의 양 측에 각각 450㎜의 플레이트가 마련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측벽 및 플레이트는 각각 측벽 및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요철이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지붕창 및 측면창은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이때, 측벽은 외측에서 내측 순으로, 철판 층, 난연 3급 난연스티로폼 층, 라미날합판 층 순으로 구성하였다. 하벽은 외측에서 내측 순으로, 철판 층, 우레탄발포 층, EGI plate 층, 합판 층, 코튼망사발열체 층, 고무타일 층 순으로 구성하였다. 상벽은 외측에서 내측 순으로, 철판 층, 난연 3급 난연스티로폼 층, 라미날합판 층 순으로 구성하였다. 측면창 및 지붕프레임에 체결된 지붕창은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실험예 1: 측벽의 열관류율 측정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에서, 측벽의 열저항을 Fourier 법칙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 열전도율(W/mK) 두께(㎜) 열저항(m2k/W)
실내 외벽 -- -- 0.11
철판 53 1.4 0.000
스티로폼 0.028 100 3.57
마그네슘보드 0.2 3 0.015
실외 외벽 -- -- 0.11
합계 3.806
상기 표 1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으로부터 열관류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성 열관류율(W/m2k) 열관류율 기준값(W/m2k) 성능
측벽 0.263 0.320 합격
상기 열관류율은 상기 열저항 합계의 역수로 계산된다. 한편, 상기 열관류율 기준값은 대한민국 중부지역의 열관류율을 지칭하며, 상기 중부지역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삼척시, 고성군, 양양군 제외), 충청북도(영동군 제외), 충청남도(천안시), 경상북도(청송군)를 지칭한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는 몸체의 크기, 측면창부재의 크기, 개수, 배열형태, 플레이트의 크기를 제어하고, 측벽을 구성하는 각 층의 종류 및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측벽의 열관류율이 기준값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단열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건조실 내 건조물의 건조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하벽의 열관류율 측정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에서, 상기 하벽의 열저항을 Fourier 법칙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성 열전도율(W/mK) 두께(㎜) 열저항(m2k/W)
실내 바닥면 -- -- 0.086
고무타일 0.4 4 0.010
코튼망사발열체 0.19 5 0.026
방습막PE필름 0.05 5 0.100
합판 0.17 18 0.106
철판 53 1.4 0.000
우레탄발포 0.024 65 2.708
실외 외벽 -- -- 0.15
합계 3.187
상기 표 3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으로부터 열관류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성 열관류율(W/m2k) 열관류율 기준값(W/m2k) 성능
하벽 0.314 0.350 합격
상기 열관류율은 상기 열저항 합계의 역수로 계산된다. 한편, 상기 열관류율 기준값은 대한민국 중부지역의 열관류율을 지칭하며, 상기 중부지역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삼척시, 고성군, 양양군 제외), 충청북도(영동군 제외), 충청남도(천안시), 경상북도(청송군)를 지칭한다.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는 하벽을 구성하는 각 층의 종류 및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하벽의 열관류율이 기준값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는 단열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건조실 내 건조물의 건조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측면창의 열관류율 측정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에서, 상기 측면창의 열저항을 Fourier 법칙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성 열전도율(W/mK) 두께(㎜) 열저항(m2k/W)
실내 외벽 -- -- 0.11
폴리카보네이트 복층 0.12 10 0.83
실외 외벽 -- -- 0.11
합계 0.303
상기 표 5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으로부터 열관류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성 열관류율(W/m2k)
측면창 3.297
상기 열관류율은 상기 열저항 합계의 역수로 계산된다.
실험예 4: 방열손실 측정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서 측정된 열관류율로부터 하기 표 7과 같이 방열손실을 측정하였다. 한편, 방열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단위변환 계수는 0.86을 적용하였다.
구성 열관류율(W/m2k) 방열손실(kcal/㎡hr ℃) 방열면적(m2) 방열손실(kcal/㎡hr ℃)
측벽 0.263 0.226 67.820 15.323
하벽 0.314 0.270 27.000 7.287
측면창 3.297 2.835 25.900 73.431
합계 96.041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동식 컨테이너는 몸체의 크기, 측면창부재의 크기, 개수, 배열형태, 플레이트의 크기를 제어하고, 상벽과 측벽을 구성하는 각 층의 종류 및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의 이송 중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가해질 때 응력 내지 기타 충격이 분산되어 측면창과 지붕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연채광의 입사각이 변하여도 건조실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양이 영향을 받지 않고, 건조실 내 공기의 대류가 원활하도록 하는 형태가 적용되는 동시에, 방열손실 정도가 우수하여 군부대 등이 위치한 혹한 지역에서도 자체 난방 시스템을 위한 불필요한 전력 낭비 없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0: 몸체
111: 출입문
112: 돌출판
120: 열풍기
121: 덕트
122: 열풍구
130: 가습기
140: 기계실
141: 전원공급장치
142: 기계실도어
150, 250: 측면창
160: 지붕창
161: 지붕프레임
170: 건조대
171: 코튼망사발열체
180: 광원
190: 와류팬
210: 제어부
211: 습도센서
212: 표시장치
161a, 161b: 지붕프레임 말단
310: 몸체
311: 하벽
312: 측벽
312a: 측벽 요철
313: 상벽
313a: 상벽 요철
314: 상벽의 모서리
315: 플레이트
320: 건조실
350: 측면창
350a: 상부 측면창
350b: 하부 측면창
350c: 측면창부재
360: 측벽 지지부
361: 제1 지지부
362: 제2 지지부
363: 제3 지지부

Claims (5)

  1. 하벽, 측벽 및 상벽으로 정의된 공간이 마련되어 내부에 건조실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된 출입문;
    상기 측벽에 배치되되 빛이 투과되는 복수의 측면창; 및
    상기 상벽에 배치되어 빛이 투과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지붕프레임 및 상기 지붕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창;
    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프레임은 복수개가 마련되되 한 쌍의 지붕프레임 말단이 상벽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250 ㎜ 내지 1750 ㎜ 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상벽은 상기 한 쌍의 지붕프레임 말단과 상기 상벽의 모서리 사이에 마련된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상벽 요철을 포함하여, 상기 상벽에 전달되는 응력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벽 요철에 흡수되어 상기 지붕창의 파손 방지가 가능하며,
    상기 측면창은 이 열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상부 측면창 및 하부 측면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하부 측면창의 하부에 마련된 150 ㎜ 내지 450 ㎜ 높이의 제1 지지부, 상기 하부 측면창과 상기 상부 측면창의 사이에 마련된 365 ㎜ 내지 1095 ㎜ 높이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측면창의 상부에 마련된 160 ㎜ 내지 480 ㎜ 높이의 제3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는 측벽 요철을 포함하여, 상기 측벽에 전달되는 응력이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측벽 요철에 흡수되어 상기 지붕창의 파손 방지가 가능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길이가 4500 ㎜ 내지 13500 ㎜ 이고, 두께가 1500 ㎜ 내지 4500 ㎜ 이고, 높이가 1300 ㎜ 내지 3900 ㎜ 이며,
    상기 상부 측면창 및 상기 하부 측면창은 각각 2개 내지 10개의 측면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창부재는 길이가 650 ㎜ 내지 2000 ㎜ 이고, 높이가 250 ㎜ 내지 750 ㎜ 이며, 상기 상벽에서 상기 지붕프레임의 한 쌍의 말단에 의해 정의된 영역은 길이가 3500 ㎜ 내지 10500 ㎜ 이고, 두께가 1000 ㎜ 내지 3000 ㎜ 인 구성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실에 조사되는 자연채광의 양이 자연채광의 입사각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붕프레임의 최고점은 상기 상벽으로부터의 높이가 200 ㎜ 내지 600 ㎜ 인,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벽은 두께가 30 내지 100 ㎜ 인 우레탄발포 층, 두께가 1 내지 10 ㎜ 인 폴리에틸렌필름 층 및 두께가 1 내지 10 ㎜ 인 코튼망사발열체 층을 포함하는,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벽은 코튼망사발열체 층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실 내 온도 제어가 가능한, 이동식 건조 컨테이너.
KR2020170003535U 2017-02-10 2017-07-07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 KR2018000250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700 2017-02-10
KR20170000700 2017-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07U true KR20180002507U (ko) 2018-08-20

Family

ID=6340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35U KR20180002507U (ko) 2017-02-10 2017-07-07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50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38Y1 (ko) * 2020-07-22 2021-05-12 주식회사 라플람 방역을 위한 스피드게이트
KR102353925B1 (ko) 2021-06-09 2022-01-21 김형태 인터넷방송용 컨테이너 박스
WO2022016253A1 (en) * 2020-06-24 2022-01-27 Blue Horseshoe Manufacturing Inc. Portable sterilization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253A1 (en) * 2020-06-24 2022-01-27 Blue Horseshoe Manufacturing Inc. Portable sterilization container
KR200493638Y1 (ko) * 2020-07-22 2021-05-12 주식회사 라플람 방역을 위한 스피드게이트
WO2022019579A1 (ko) * 2020-07-22 2022-01-27 주식회사 라플람 방역을 위한 스피드게이트
KR102353925B1 (ko) 2021-06-09 2022-01-21 김형태 인터넷방송용 컨테이너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507U (ko) 건조용 이동식 컨테이너
US20160278517A1 (en) Retractable vented attic storage system
US9340994B2 (en) Portable shelter with outer vinyl and low emissivity layers
US9271571B2 (en) Retractable vented attic storage system
US20140354126A1 (en) Retractable attic storage system
CN204594113U (zh) 一种新型真空干燥箱
US9630472B2 (en) System and method of ventilated transport
KR101558041B1 (ko) 태양열 난방장치
JP7220019B2 (ja) 倉庫
CN104080296B (zh) 一种防雨防火的户外通信机柜
JP2006334823A (ja) 低温乾燥装置及びパネル体並びにパネル体の組立方法
KR102033724B1 (ko) 임시 주거용 컨테이너 하우스
CN104976879A (zh) 红外干燥机
CN104332862A (zh) 一种双层门结构的高效散热配电柜
CN212386915U (zh) 一种铅笔软化板储存装置
CN206970882U (zh) 一种防静电面料的烘干装置
CN216271063U (zh) 一种医药生产用化工原料储存装置
CA3142768A1 (en) Article sanitizing device and system
CN203953011U (zh) 防震床
KR101367377B1 (ko) 미생물발효차 발효시설
KR20130060958A (ko) 배기덕트를 구비한 이중외피 커튼월
US112416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polystyrene waste
JP6675911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80079055A (ko) 소금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CN211081153U (zh) 一种具有隔热效果的可移动集装箱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