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51U -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51U
KR20180002451U KR2020170000610U KR20170000610U KR20180002451U KR 20180002451 U KR20180002451 U KR 20180002451U KR 2020170000610 U KR2020170000610 U KR 2020170000610U KR 20170000610 U KR20170000610 U KR 20170000610U KR 20180002451 U KR20180002451 U KR 201800024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member
ring
neck
coupl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경
송상민
Original Assignee
박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경 filed Critical 박민경
Priority to KR2020170000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51U/ko
Publication of KR20180002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제 1견인부재; 제 2견인부재; 연결고리가 구비된 제 1연결고리; 연결고리가 구비된 제 2연결고리;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견인부재는 인체의 뒷목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목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제 2견인부재는 인체의 뒷머리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머리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견인부재와 상기 제2견인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겹쳐 일측은 상기 제 1연결고리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제 2연결고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연결고리 및 상기 제 2연결고리의 결합부의 반대측에 연결고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로프는 연결줄로 형성되며, 몸체 일측은 상기 제 1연결고리의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반대측은 상기 제 2연결고리의 연결고리에 결합되어 연결되며, 몸체 중심부는 외부의 고정대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된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휴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특별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앉아서 목을 뒤로 제쳐 편안한 자세에서 목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장기간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목이 앞으로 약간 숙여지고 근육이 이완되어 긴장된 상태가 되어 목근육 강화 운동이 이루어짐으로서 노인이나 힘이 없는 환자도 편안한 상태에서 목 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Nec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본 고안은 목을 강제 이완하되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목 운동이 가능한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부통증(neck pain)은 현대인의 장시간 컴퓨터 작업이나, 불안정한 자세와 습관적인 자세고정에 의한 경추 주위 근육의 경직화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최근 그 발병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부통증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력훈련과 스트레칭훈련 등을 실시할 경우 경추 주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근육이 강화되어 기능회복과 통증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목 근육 강화를 위한 등척성운동은 특별한 장소에 구애없이 할 수 있어서 권장된다.
하지만, 등척성운동은 머리의 네 방향, 즉 앞과 뒤 및 좌우측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실시하여야 목 강화가 균형있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손을 깍지 끼어 머리 뒷부분을 손바닥으로 감싸 잡아야 하므로 자세잡기는 물론 운동을 실시하는 데에도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많았으며, 네 방향 모두 같은 힘으로 운동하기에는 더욱 어려움이 있으며, 손과 목에 동시에 힘을 주어야하므로 경부통증환자에게는 운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가 쉽지가 않으며, 특히 장기 입원환자, 재활운동이 필요한 노인,환자들에게는 매우 힘든 도전이 된다.
이에, 경추 주변 근육을 이완시켜 경추 관련 통증 및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546974호의 목 운동기구,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506278호의 가정용 목 근육 운동기구,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272196 호의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가 기술이 되어 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516호의 분리형 목 디스크 치료장치에서는 마치, 다층의 도너츠 형상으로 목 전방 둘레에 배치되어 공기로 팽창하는 다층의 전방 튜브에 압축공기를 충전하여 목을 견인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목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상기 10-1546974호 및 10-1506278호의 기술은 기계적 장치를 조작하거나 일정한 면적이 요구되는 특정장소에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부피가 크고.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못할 뿐아니라 휴대가 불가능하며, 상기 10-1296516호의 기술은 휴대는 용이하나 튜브에 충전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악골(아래턱)에 압박을 가하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경부통증을 해결하고자 하는 자에게 있어서 목 근육 강화 운동은 지속적으로 장기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목 운동기가 지니고 있는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을 중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 및 취급이 용이하며, 목을 강제 이완하되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자동으로 목근육이 이완되어 긴장되고, 또한 목 운동을 함으로써 목 근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는 제 1견인부재; 제 2견인부재; 제 1연결고리; 제 2연결고리;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견인부재는 인체의 뒷목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목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제 2견인부재는 인체의 뒷머리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머리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견인부재와 상기 제2견인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겹쳐 일측은 상기 제 1연결고리의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제 2연결고리의 제1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연결고리의 제2결합부 및 상기 제 2연결고리의 제2결합부에는 연결줄로 형성된 로프의 양끝이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며, 로프 몸체 중심부는 외부의 고정대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된 결합장치;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는 인장강도가 2 ~ 50 gran/denior(g/d) 정도로서 밴드, 튜브, 로프, 체인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는 두께 : 0.01 ~ 5 Cm, 폭 : 0.1 ~ 20 Cm, 길이: 20 ~ 20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의 재질은 섬유,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라텍스고무, 우레탄고무, 가죽, 레자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이 합성, 조합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는 그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고리 및 상기 제 2연결고리는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의 양측면이 서로 겹쳐 봉재기로 봉재하거나 끈, 테이블타이, 실, 철사 중 어느하나 이상에 의해 묶는 방법에 의해 결합하며, 또한 반대측에는 로프와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고리 및 상기 제 2연결고리의 재질은, 금속, 목재, 가죽, 레자, 섬유, 고무, 플라스틱, 세라믹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고리 및 상기 제 2연결고리의 형상은 대략 링형으로서, D형, 일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다각형, 둥근형, 타원형, 반달형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1 ~ 5M의 높의 지점의 링, 고리, 못, 파이프 등이 설치된 문틀 위의 고정장치나 문도어 등의 고정대에 몸체의 중심부가 걸림, 묶인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결합수단과 고정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재질은 금속, 섬유, 수지, 연질의 플라스틱. 천연고무, 우레탄고무, 라텍스고무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이 합성, 조합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특별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앉아서 목을 뒤로 제쳐 편안한 자세에서 목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장기간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목이 앞으로 약간 숙여지고 근육이 이완되어 긴장된 상태가 되어 목근육 강화 운동이 이루어짐으로서 노인이나 힘이 없는 환자도 편안한 상태에서 목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외관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대용사진.
도 2 및 도3은 도 1에 따른 연결고리의 외관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대용사진.
도 4는 도 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인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동작 예시도 대용사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과 도 2와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의 외관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대용사진이고, 도 2 및 도3은 도 1에 따른 연결고리의 외관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대용사진이며, 도 4는 도 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인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동작 예시도 대용사진이다.
우선,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100)는 제 1견인부재(10); 제 2견인부재(20); 제 1연결고리(30); 제 2연결고리(40); 로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견인부재(10)는 인체의 뒷목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목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제 2견인부재(20)는 인체의 뒷머리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머리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견인부재(10)와 상기 제2견인부재(20)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겹쳐 일측은 상기 제 1연결고리(30)의 제1결합부(31)에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제 2연결고리(40)의 제1결합부(41)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연결고리(30)의 제2결합부(32) 및 상기 제 2연결고리(40)의 제2결합부(42)에는 연결줄로 형성된 로프(50)의 양끝이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며, 로프 몸체 중심부는 외부의 고정대(A)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된 결합장치(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는 인장강도가 2 ~ 50 gran/denior(g/d)정도로서 밴드, 튜브, 로프, 체인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견인부재(10)는 인체에 착용 시 인체에 착용 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목을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되도록하고, 상기 제 2견인부재(20)는 인체에 착용 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머리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되도록하는 것이다.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는 두께 : 0.01 ~ 5 Cm, 폭 : 0.1 ~ 20 Cm, 길이: 20 ~ 200 Cm로서 재질 및 형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예컨대, 섬유로 형성된 밴드일 경우 두께는 0.01 ~ 5 Cm, 바람직하게는 0.1 ~ 3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 Cm정도이다. 튜브일 경우 두께는 0.1 ~ 2 Cm, 바람직하게는 0.1 ~ 1 Cm정도이다. 로프일 경우 두께는 0.3~ 2 Cm, 바람직하게는 0.5 ~ 1 Cm정도이다. 상기 보다 지나치게 작으며 본 고안의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재질의 부실로인해 수명이 너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보다 과도하게 클경우 인체의 뒷목이나 뒷머리에 착용 시 착용이 어렵거나 착용 후 견인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의 폭은 0.1 ~ 20 Cm 바람직하게는 2 ~ 1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 Cm정도이다. 상기 보다 지나치게 작으며 인체의 뒷목이나 뒷머리에 착용 시 뒷목이나 뒷머리의 피부에 압박감이 가중되어 착용감이 떨어지게되며, 반대로 상기 보다 과도하게 클경우 인체의 뒷목이나 뒷머리에 착용 시 착용은 좋으나, 지나치게 넓은 이유로 뒷목 및 뒷머리를 각각 독립되게 착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선택된 재질 및 형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의 길이는 20 ~ 200 Cm, 바람직하게는 40 ~ 10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0 Cm정도이다. 상기 보다 지나치게 작으며 인체의 뒷목이나 뒷머리에 착용 시 길이가 너무 짧아 착용하기 어렵거나 착용하여 운동시 귀에 압박을 가하여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상기보다 지나치게 길어지게되면 인체의 뒷목이나 뒷머리에 착용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의 재질은 섬유,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라텍스고무, 우레탄고무, 가죽, 레자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이 합성, 조합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미세한연질의 강한 철사가 내부에 구비된 호수형태의 튜브 등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물론,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의 두께, 폭, 길이는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는 각각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견인부재(10)와 상기 제2견인부재(20)는 양측 끝단부를 서로겹쳐 일측은 상기 제 1연결고리(30)의 제1결합부(31)에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제 2연결고리(40)의 제1결합부(41)에 결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 1연결고리(30) 및 상기 제 2연결고리(40)는,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제 2견인부재(20)를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 몸체는 상기 제 1견인부재 및 상기 제 2견인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 1연결고리(30)의 제 1결합부(31) 및 제 2연결고리(40)의 제 1결합부(41) 및 상기 로프(50)의 양끝단과 각각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고리(30)의 제 2결합부(32) 및 제 2연결고리(40)의 제 2결합부(4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 1연결고리(30) 및 상기 제 2연결고리(40)의 재질은 금속, 목재, 가죽, 레자, 섬유, 고무, 세라믹, 플라스틱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며, 몸체의 형상은 대략 링형으로서, D형, 일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다각형, 둥근형, 타원형, 반달형 등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로프(50)는 상기 제 1연결고리(30)의 제 2결합부(32) 및 제 2연결고리(40)의 제 2결합부(42)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견고하게 묶거나 결합하고, 몸체 중심부는 외부의 고정대(A), 즉 링, 고리, 못, 파이프 등이 설치된 문틀 위의 고정대나 문도어 등에 걸림, 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하는 링, 고리, 등의 결합장치(5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각 연결고리(30, 40) 및 고정대(A) 사이를 보다 쉽게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로프(50)의 재질은 금속, 섬유, 수지, 연질의 플라스틱. 탄성력이 적은 고무 등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섬유로프나 고무줄을 섬유로 피복한 로프 등 등반용 로프가 바람직하며, 금속와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로프의 길이는 2 ~ 20M 정도이나 바람직하게는 고정대(A)로부터 바닥면 까지의 길이, 이룰테면 1 ~5M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프(50)에 구비된 결합장치(55)의 형상은 링, 고리 등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으며, 재질은 금속, 프라스틱, 세라믹, 목재, 고무, 섬유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이러한 결합장치(55)는 고정대(A)에 삽임, 걸림, 결합 등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대(A)는, 상기 로프(50)와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컫대, 문도어, 문틀 위의 고정대, 나무가지, 구조물의 파이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4 와같이, 먼저, 상기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100)의 로프(50)의 결합장치(55)를 고정대(A)에 결합한 후, 취급자가 고정대(A) 방향으로 앉아서 양 다리를 뻣은 상태에서 상기 제 1견인부재(10)의 몸체 중심부를 운동을 원하는 뒷목에 위치토록하고 뒷목을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착용하며, 또한 상기 제 2견인부재(20)의 몸체 중심부가 뒷머리 부분에 위치토록하고 뒷머리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착용한 후, 로프(50)가 최대로 이완될때까지 몸을 뒤로 서서히 뒤로 제치면서 운동하기 편한 자세를 취한다.
이때, 상기 제 1견인부재(10) 및 상기 제 2견인부재(20)에 의해, 목은 앞으로 약간 숙여진 자세에서 경추를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 이완되어 긴장된 상태가 된다. 이룰테면 발을 뻣어 벽에 기대고 있는 자세 또는 거의 드러누운자세(일종의 손과 팔을 사용하기 않은 상태에서 윗몸일으키기 자세)로서 목은 앞으로 약간 숙여지고 근육이 이완되어 긴장된 상태로서 뒷목 및 뒷머리 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떠 있게 된다.
이후, 머리를 뒤로 체쳐 힘을 주어다 빼기를 반복하게 되면 상기 제 1견인부재(10)와 상기 제 2견인부재(20)에 의해서 목은 뒤로 제쳐졌다가 앞으로 숙여지는 운동을 반복하거나, 상기 제 1연결고리(30) 및 상기 제 2연결고리(40)와 연결된 로프(50)부분을 양손으로 각각 잡고 양방향으로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하는 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견인부재(10)와 상기 제 2견인부재(20) 사이에 위치한 목 근육도 이완 및 수축이 반복됨으로써 목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복근도 이완 및 수축이 반복되어 복근을 단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 고안의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100)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목이 앞으로 약간 숙여지고 근육이 이완되어 긴장된 상태가 되어 목근육 강화 운동이 이루어짐으로서 노인이나 힘이 없는 환자도 편안한 상태에서 목 운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100)는 휴대 및 취급이 용이하며, 특별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앉아서 목을 뒤로 제쳐 편안한 자세에서 목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장기간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속하는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100)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구현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기술도 본 고안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제 1 견인부재
20 : 제 2 견인부재
30 : 제 1연결고리
31 : 제 1연결고리의 제1결합부 32 : 제 1연결고리의 제2결합부
40 : 제 2연결고리
41 : 제 2연결고리의 제1결합부 42 : 제 2연결고리의 제2결합부
50 : 로프 55 : 로프의 결합장치
100 :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A : 고정대

Claims (4)

  1. 제 1견인부재(10); 제 2견인부재(20); 제 1연결고리(30); 제 2연결고리(40); 로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견인부재(10)는 인체의 뒷목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목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제 2견인부재(20)는 인체의 뒷머리에 착용시 몸체의 중심부가 뒷머리의 일부를 받쳐주며 감싸도록 밀착하여 견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견인부재(10)와 상기 제2견인부재(20)의 양측 끝단부를 서로겹쳐 일측은 상기 제 1연결고리(30)의 제1결합부(31)에 결합되고, 반대측은 상기 제 2연결고리(40)의 제1결합부(41)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연결고리(30)의 제2결합부(32) 및 상기 제 2연결고리(40)의 제2결합부(42)에는 연결줄로 형성된 로프(50)의 양끝이 각각 결합되어 연결되며, 로프 몸체 중심부는 외부의 고정대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된 결합장치(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제 1견인부재 및 제 2견인부재는 밴드, 튜브, 로프, 체인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3. 상기 제 1항 및 2항에 있어서,
    제 1견인부재 및 제 2견인부재의 재질은 섬유,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라텍스고무, 우레탄고무, 가죽, 레자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제 1연결고리 및 제 2연결고리의 형상은 대략 링형으로, D형, 일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다각형, 둥근형, 타원형, 반달형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20170000610U 2017-02-04 2017-02-04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800024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10U KR20180002451U (ko) 2017-02-04 2017-02-04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10U KR20180002451U (ko) 2017-02-04 2017-02-04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51U true KR20180002451U (ko) 2018-08-14

Family

ID=6320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610U KR20180002451U (ko) 2017-02-04 2017-02-04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5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397B2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JP3763840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9259605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20070232468A1 (en) Endless elastic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10143612B2 (en) Stretching device
US20160339285A1 (en) Stretching Device
JP2008546460A (ja) 人体のための処理装置
JP2009268896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20210038940A1 (en) Adjustable shoulder exercise device
US20110275493A1 (en) Dynamic anchor strap for use with a pole for stretching exercise
KR20180002452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JP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KR20180002451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80002450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20180002449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JP2007021160A (ja) ストレッチ体操具
KR20180090943A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JP3094822U (ja) チューブを用いた健康用具
CA2801763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20180002454U (ko) 목 근육 강화 운동기구
JP3157654U (ja) トレーニング用足具及びトレーニング器具
JP2006325634A (ja) 運動具
US11745052B2 (en) Exercise equipment
EP2799119A1 (en) Exerci device
KR20200120124A (ko) 타이마사지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타이요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