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334U -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334U
KR20180002334U KR2020170000437U KR20170000437U KR20180002334U KR 20180002334 U KR20180002334 U KR 20180002334U KR 2020170000437 U KR2020170000437 U KR 2020170000437U KR 20170000437 U KR20170000437 U KR 20170000437U KR 20180002334 U KR20180002334 U KR 201800023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illow
frame
fixing protrusion
frame fix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566Y1 (ko
Inventor
박두혁
Original Assignee
박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혁 filed Critical 박두혁
Priority to KR2020170000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6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3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높이에 무관하고,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자연스럽게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사용자의 어깨 위에 얹혀져 목부위를 지지하는 하부측 목베개와,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해주는 상부측 목베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은 하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부측 목베개를 사용자가 원하는 상.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Neck pillow with adjustable angle funtion }
본 고안은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높이에 무관하고,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자연스럽게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목베개는 사용자의 목부위를 받쳐주는 베개로서, 목베개의 일 례로 공개특허 제2016-0136611호(2016.11.30.공개.) "분리가능한 휴대용 목베개"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분리가능한 휴대용 목베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목베개(110)와, 상기 휴대용 목베개(110)에 착탈되어 휴대폰을 지지하는 지지부(130)로 구성되는 분리가능한 휴대용 목베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목베개(110)의 내부에는 와이어(120)가 휴대용 목베개(110)의 형상을 따라 삽입되되, 상기 와이어(120)의 양단부는 휴대용 목배개(110)의 양단부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와이어(120)의 양끝단부에는 각각 지지부(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는 와이어(120)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131)과, 상기 지지판(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휴대폰의 높이를 조절하는 고정판(132)과, 상기 고정판(132)의 일측면에 결합되되,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휴대폰을 거치하는 거치부(30)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목베개(110)의 상면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지지부재(1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12)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움부재(114)가 결합되되, 상기 끼움부재(114)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삽입고정되어, 끼움부재(114)가 지지부재(112)로부터 착탈됨에 따라 블루투스 스피커도 함께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통상적으로 목베개는 누워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부위를 받쳐주거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머리 뒤쪽에 목베개를 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누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불편함이 없으나, 의자에 앉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예컨대, 의자의 등받이가 사용자의 머리보다 너무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무리하게 머리를 뒤쪽으로 젖혀야만 되므로 자세의 불안정으로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오히려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6-0136611호(2016.11.30.공개.) "분리가능한 휴대용 목베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 높이에 무관하고,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자연스럽게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베개에 온열 기능을 부여하여 해당 부위의 혈행을 개선하고 신속한 피로 회복과 충분한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목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목베개의 한 형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얹혀져 목부위를 지지하는 하부측 목베개와,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해주는 상부측 목베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은 하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부측 목베개를 사용자가 원하는 상.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상부측 목베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의 단부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다수의 원호형의 클릭치형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제1 프레임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환형의 제1 프레임 고정돌부와; 상기 하부측 목베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의 단부 내측에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에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의 외경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가지며, 중앙부에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단부측에만 나사선이 형성된 고정나사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폴을 갖는 환형의 판스프링이 구비된 제2 프레임 고정돌부와;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 및 제1 프레임을 관통한 고정나사의 나사선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측 목베개는 열선이 내재되고, 상기 열선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USB 충전포트를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함께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은 상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내측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내부에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 위에 얹혀져 목부위를 지지하는 하부측 목베개와,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해주는 상부측 목배게로 분리 구성하고, 상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이 하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각도조절부에 의해서 상부측 목베개를 사용자가 원하는 상.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자연스럽게 편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간편성 및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측 목베개에 열선을 내재하고, USB 충전포트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열로 인한 혈행 개선 및 신속한 피로회복으로 충분한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함께 이어폰이 구비되어 보다 편안하게 음악을 들으면서 숙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분리 가능한 휴대용 목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측 목베개(1)와 하부측 목베개(2)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목베개(1)의 선단부 양측은 하부측 목베개(2)의 선단부 양측에 각도조절부(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하부측 목베개(2)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얹혀져 목부위를 지지하고, 상부측 목베개(1)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편하게 받쳐주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목베개는 의자의 등받이 쪽에 얹혀지거나 놓여지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얹혀져 사용되는 것이므로 의자의 등받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3)는 상부측 목베개(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31)의 단부 내측에 환형의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호형의 클릭치형부(32a)를 다수 형성하였다.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는 중앙부에 제1 프레임(31)을 관통하는 관통홀(33)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측 목베개(2)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35)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에 대향되는 환형의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의 내경은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외경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가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의 중앙부에는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관통홀(33)을 관통하는 고정나사(38)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31)을 관통한 고정나사(38)는 고정너트(34)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38)는 단부에만 나사선을 형성되어 있어 제2 프레임(35) 상에서 제1 프레임(31)이 회전하는데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다.
이와 함께 상기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와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에 삽입된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사이에 환형의 판스프링(37)이 내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환형의 판스프링(37)은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의 내측에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 측으로 내향 돌출되게 복수개의 고정폴(37a)이 형성되어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클릭치형부(32a)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제1 프레임(31)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각도조절부(3)는 제1 프레임(31)을 강제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외측에 형성된 클릭치형부(32a)가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의 내측에 구비된 판스프링(37)의 고정폴(37a)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되어 상부측 목베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강제 회전력을 해제하면,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의 내측에 구비된 판스프링(37)의 고정폴(37a)이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외측에 형성된 클릭치형부(32a) 사이의 협곡에 삽입됨으로써 상부측 목베개를 조절된 원하는 각도로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부측 목베개(1)는 열선(6)이 내재되어 온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혈행을 개선하고 신속한 피로 회복과 충분한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열선(6)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미도시됨) 및 USB 충전포트(7)도 더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8)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8)와 함께 이어폰(9)도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어폰(9)은 상부측 목베개(1)의 내측에 형성된 절개선(10)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내부에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는 전원스위치이고, 5는 블루투스 표시부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어깨 위에 얹혀져 목부위를 지지하는 하부측 목베개와,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해주는 상부측 목배게로 분리 구성하고, 상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이 하부측 목베개의 선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각도조절부에 의해서 상부측 목베개를 사용자가 원하는 상.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자연스럽게 편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간편성 및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측 목베개에 열선을 내재하고, USB 충전포트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열로 인한 혈행 개선 및 신속한 피로회복으로 충분한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함께 이어폰이 구비되어 보다 편안하게 음악을 들으면서 숙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상부측 목베개 2: 하부측 목베개
3: 각도조절부
31: 제1 프레임 32: 제1 프레임 고정돌부
32a: 클릭 치형돌부 33: 관통홀
34: 고정너트 35: 제2 프레임
36: 제2 프레임 고정돌부 37: 판스프링
37a: 고정폴(pawl) 38: 고정나사

Claims (3)

  1. 사용자의 어깨 위에 얹혀져 목부위를 지지하는 하부측 목베개(2)와, 사용자의 머리 뒤쪽을 지지해주는 상부측 목배게()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목베개(1)의 선단부 양측은 하부측 목베개(2)의 선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조절부(3)에 의해 상부측 목베개(1)를 사용자가 원하는 상.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3)는, 상기 상부측 목베개(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프레임(31)의 단부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반복적으로 다수의 원호형의 클릭치형부(32a)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제1 프레임(31)을 관통하는 관통홀(33)을 포함하는 환형의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와;
    상기 하부측 목베개(2)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35)의 단부 내측에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에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외경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가지며, 중앙부에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의 관통홀(33)을 관통하고 단부측에만 나사선이 형성된 고정나사(38)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폴(37a)을 갖는 환형의 판스프링(37)이 구비된 제2 프레임 고정돌부(36)와;
    상기 제1 프레임 고정돌부(32) 및 제1 프레임(31)을 관통한 고정나사(38)의 나사선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목베개(1)는 열선(6)이 내재되고, 상기 열선(6)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USB 충전포트(7)를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8)와 함께 이어폰(9)이 구비되고, 상기 이어폰(9)은 상기 이어폰(9)은 상부측 목베개(1)의 선단부 내측에 형성된 절개선(10)을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내부에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KR2020170000437U 2017-01-24 2017-01-24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KR200487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37U KR200487566Y1 (ko) 2017-01-24 2017-01-24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37U KR200487566Y1 (ko) 2017-01-24 2017-01-24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34U true KR20180002334U (ko) 2018-08-01
KR200487566Y1 KR200487566Y1 (ko) 2018-11-30

Family

ID=6320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37U KR200487566Y1 (ko) 2017-01-24 2017-01-24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6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122A (ko) * 2005-07-12 2005-08-11 전영환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KR20160136611A (ko) 2015-05-20 2016-11-30 김동혁 분리가능한 휴대용 목베개
WO2016197178A1 (en) * 2015-06-09 2016-12-15 Hairy Turtle Pty Ltd Portable cushioned suppo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122A (ko) * 2005-07-12 2005-08-11 전영환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KR20160136611A (ko) 2015-05-20 2016-11-30 김동혁 분리가능한 휴대용 목베개
WO2016197178A1 (en) * 2015-06-09 2016-12-15 Hairy Turtle Pty Ltd Portable cushioned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66Y1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8742B (zh) 可调头枕、可调理疗床头枕、可调椅背头枕及可调桌面头枕
US6030041A (en) Back pad adjusting structure
US8042775B1 (en) Head and neck support for a seated person
US8459737B2 (en) Spinal supporting chair attachment
US20160089083A1 (en) Posture Monitor
US9289070B2 (en) Chair having a dynamically-flexible back and seat
KR200487566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목베개
KR100862508B1 (ko) 등과 요추가 밀착되는 의자
KR101303263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JP5479649B1 (ja) 車椅子用身体支持具
KR101769269B1 (ko) 지압 및 안마 기능을 갖는 건강증진장치가 구비된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160082334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20110048973A (ko) 높이 조절 베개
US2019012679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CN203563933U (zh) 一种用于靠背及头枕和椅座之间的挠性连接装置
KR200275786Y1 (ko) 의자용 머리받침
KR20130000622U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N201422156Y (zh) 头戴式耳机的改良结构
KR200476173Y1 (ko) 의자등받이의 등받이 쿠션 체결구조
KR200457483Y1 (ko) 의자의 가슴받이부 지지용 연결지지대 체결구조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101134683B1 (ko) 교정기능을 갖는 의자
KR200377433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