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77A -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77A
KR20180001977A KR1020160081194A KR20160081194A KR20180001977A KR 20180001977 A KR20180001977 A KR 20180001977A KR 1020160081194 A KR1020160081194 A KR 1020160081194A KR 20160081194 A KR20160081194 A KR 20160081194A KR 20180001977 A KR20180001977 A KR 2018000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oating
water glass
solution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6008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977A/ko
Publication of KR2018000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0Inorganic materials
    • A61L27/306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27/303 - A61L27/3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은, 픽스츄어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픽스츄어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픽스츄어를 열처리하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와, 픽스츄어를 산성 용액으로 에칭하는 산 에칭(acid etching)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Ticket issue machine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츄어의 표면에 워터글라스를 코팅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지대주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한 구성요소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되어야 한다.
이에,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 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나사산)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는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 특히 초기 고정력(initial stability)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어 골융합이 진행되면 픽스츄어에 지대주를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인공 치아(보철물)를 씌우는 단계로 진행된다.
한편, 식립된 픽스츄어는 체내에서 주위 골조직과 빠른 시간 내에 골융합되어야 하는데, 식립된 픽스츄어의 골유착 성능을 높이기 위해 픽스츄어의 표면에 골유착성 코팅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 이러한 코팅막의 재료로 워터글라스(WG, sodium silicate)가 제안되고 있다. 티타늄 재질의 픽스츄어의 표면에 코팅된 워터글라스 재질은 코팅막은 Si-OH 또는 Ti-OH와 같은 히드록시기 그룹(hydroxyl group)을 함유할 수 있고 히드록시기 그룹(hydroxyl group)을 함유하는 코팅막은 체내에서 골유착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워터글라스 코팅막이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유착을 촉진하는 효과는 인정되고 있지만, 픽스츄어에 워터글라스를 코팅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코팅품질이 낮아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코팅막이 박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얇은 두께와 우수한 표면 거칠기 및 높은 박리강도를 가지는 워터글라스 코팅막이 형성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작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91619호, (2012.10.1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얇은 두께와 우수한 표면 거칠기 및 높은 박리강도를 갖는 워터글라스 코팅부가 마련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픽스츄어를 열처리하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를 산성 용액으로 에칭하는 산 에칭(acid etching)단계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이 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픽스츄어를 워터글라스 용액에 담그는 딥핑(diping)단계; 및 상기 워터 글라스 용액에서 꺼낸 상기 픽스츄어를 회전시키는 스피닝(spinning)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닝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의 회전속도는 10,000 내지 30,0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피닝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의 회전시간은 10 내지 40초(s)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팅단계는 스피닝 코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스피팅 코터는, 상기 픽스츄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워터글라스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부를 상기 지그부에 대하여 상대이동시키는 수용부용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워터글라스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부; 및 상기 용액 수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픽스츄어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딥핑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용액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스피닝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픽스츄어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용 이동부는,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를 제1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축 이동부; 및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축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딥핑단계 후 상기 제2축 이동부가 상기 용액 수용부가 상기 픽스츄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축 이동부가 상기 픽스츄어 수용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축 이동부가 상기 픽스츄어 수용부가 상기 픽스츄어에 접근되도록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블라스팅하는 블라스팅단계;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에칭하는 에칭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를 열처리하는 코팅 전 열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라스팅단계에서는 알루미나(Alumina, Al2O3) 분말로 픽스츄어의 표면을 블라스팅하며, 상기 알루미나 분말의 알갱이 크기는 100 내지 450 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알루미나 분말의 분사압력은 대략 2 내지 5 메가파스칼(MPa)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칭단계에서는 염산(HCl)&황산(H2SO4) 수용액으로 픽스츄어의 표면을 에칭하며, 상기 염산&황산 수용액의 농도는 4 내지 6 몰농도(M)이며, 에칭온도는 80 내지 100 도이고, 에칭시간은 4 내지 15분(mi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전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 온도는 550 내지 650도 이며, 승온 속도는 3 내지 7(도/min)이고, 열처리 시간은 50 내지 70분(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팅 후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 온도는 550 내지 650도 이며, 승온 속도는 3 내지 7(도/min) 이고, 열처리 시간은 100 내지 140분(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은 0.1 내지 0.2몰농도(M)의 염산(HCl) 수용액이며, 에칭시간은 50 내지 70분(mi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속 나사부의 표면에는 코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속 나사부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직선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직선부를 연결하며,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선단부의 상면을 형성하며, 오목하게 굴곡진 상부 곡면부; 및 상기 선단부의 하면을 형성하며, 오목하게 굴곡진 하부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곡면부와 상기 하부 곡면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픽스츄어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와, 픽스츄어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픽스츄어를 열처리하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와, 픽스츄어를 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산 에칭(acid etching)하는 산 에칭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코팅부의 두께가 얇고 코팅부의 표면 거칠기가 우수하며 코팅부의 박리 강도가 높은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연속 나사부의 나사산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전처리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블라스팅단계 후의 픽스츄어의 표면 거칠기와 코팅단계 후의 워터글라스의 층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코팅단계 후의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산 에칭단계 전,후의 코팅부(150)의 표면 거칠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염산(HCl)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코팅부의 두께를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코팅단계에 사용되는 스피닝 코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지그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지그부가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스피닝 코터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연속 나사부의 나사산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는, 몸체부(120)와, 몸체부(12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 나사부(130)와, 몸체부(120)와 연속 나사부(130)의 표면에 마련되는 코팅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팅부(150)는 워터글라스(WG, sodium silicate) 재질을 포함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팅부(1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몸체부(120)는, 본 실시예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에서 중심 스템(stem)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식립의 편의성을 위해 식립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외면이 테이퍼지게 마련된다.
이때, 몸체부(120)는 그 외면의 전 영역에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고, 혹은 일부 구간만이 테이퍼진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라면 도 1 및 도2를 기준으로 몸체부(120)의 상단부에서 중앙 영역에 이르는 구간은 테이퍼진 기울기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마치 원기둥과 같은 직선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경우에는 초기 식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20)의 상단부 영역에는 골 손상 저지부(170)가 마련된다. 골 손상 저지부(170)는 몸체부(12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가 치초골에 식립될 때 연속 나사부(130)로 인해 치조골에 드릴링된 홀(미도시)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골 손상 저지부(170)는 몸체부(120)의 상단부 외면에서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형성되며, 몸체부(120)의 일단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몸체부(120)에 일체로 형성되다. 특히, 골 손상 저지부(170)는 도 1에 확대된 부분처럼 몸체부(1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비직선형 외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몸체부(120)의 상단부 영역에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으로서의 골 손상 저지부(170)가 마련되면, 치조골에 드릴링된 홀(미도시)의 개구부 영역에 존재하는 치조골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부(120)의 하단부 영역에는 진입 방향 안내부(160)가 마련된다. 이러한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몸체부(120)가 식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몸체부(120)의 하단부로부터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구간만큼 형성되어 몸체부(120)에 대한 초기의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몸체부(120)에는 연속 나사부(130)가 없는 비나사구간으로서 진입 방향 안내부(160)가 마련됨으로써, 진입 방향 안내부(160)가 제1 연속 나사부(130)의 간섭 없이 홀(미도시)로 그대로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 식립 시 식립 진입 방향이 틀어 질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하단부 영역에서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비나사구간은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의 제작 시 일체로 가공되도록 하여도 좋고, 몸체부(120)의 외면 전영역에 연속 나사부(130)를 만든 다음에 후가공을 통해 가공해도 좋다. 이러한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몸체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1 mm 내지 3 mm의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진입 방향 안내부(160)는, 수평 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는 평탄부(161)와, 평탄부(161)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반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62)와, 경사부(162)와 연속 나사부(130)를 연결하되 적어도 일 영역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만곡부(163)를 포함한다. 이때, 만곡부(163)와 경사부(162)는 도면과 달리 하나의 아크(arc) 라인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20)의 상단부 코너 영역에는 베벨부(121)가 형성된다. 베벨부(121)는 치조골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강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베벨부(121)가 형성된 몸체부(120)의 상단부 내부 영역에는 지대주(Abutment, 미도시)가 결합되는 지대주 결합부(140)가 마련된다.
한편, 연속 나사부(130)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가 나사 방식에 의해 식립될 수 있도록 몸체부(120)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에서 연속 나사부(130)는 단절되는 구간 없이 몸체부(120)의 외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종래의 픽스츄어(미도시)의 몸체부(120) 외면에는 나사부의 일정 구간을 단절시킨 후, 즉 나사부가 연속되지 않도록 단절시키고 이 영역에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를 하나 또는 다수개 형성하였지만, 커팅 에지부의 날카로운 에지부로 인해 오히려 픽스츄어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질 우려가 높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에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가 없기 때문에 몸체부(120)의 외면에는 단절되지 않은 연속된 연속 나사부(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연속 나사부(130)로 인해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의 식립 방향이 요구되는 방향에서 틀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연속 나사부(130)는 골 손상 저지부(170)와 진입 방향 안내부(160) 영역을 제외하고 몸체부(120)의 외면 둘레방향을 따라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연속 나사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을 형성하는 선단부(131)를 포함한다. 선단부(131)는, 선단부(131)의 측면을 형성하는 직선부(131a)와, 몸체부(120)와 직선부(131a)를 연결하며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131b, 13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곡면부(131b, 131c)는, 선단부(131)의 상면을 형성하며 오목하게 굴곡진 상부 곡면부(131b)와, 선단부(131)의 하면을 형성하며 오목하게 굴곡진 하부 곡면부(131c)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속 나사부(130)의 나사산의 형태는 통상적인 삼각나사나 사각나사의 형태에서 벗어나 선단부(131)의 상면 및 하면이 직선이 아닌 볼록한 형태로 가공된다.
부연하면, 직선부(131a)는 실질적으로 거의 수직인 직선형으로 마련되는데 반해, 선단부(131)의 상부 및 하부를 형성하는 상부 곡면부(131b) 및 하부 곡면부(131c)는 각각 오목한 형태로 마련된다.
물론, 선단부(131)에는 상부 곡면부(131b) 및 하부 곡면부(131c) 중 어느 하나만이 마련될 수도 있지만, 상부 곡면부(131b) 및 하부 곡면부(131c)는 본 실시예와 같이 직선부(131a)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적 또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질 경우,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의 식립 시 저항 토크가 적게 걸려 식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상부 곡면부(131b) 및 하부 곡면부(131c)를 이루는 가상의 직선 라인(도 3의 점선 참조)이 상호 벌어진 각도(θ)는 대략 42도 정도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때, 연속 나사부(130)의 나사산 사이의 피치 간격(P)은 대략 0.8밀리미터(mm) 정도 일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또한 연속 나사부(130)의 나사산의 높이(H)는 대략 0.45 밀리미터(mm) 정도 일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한편, 몸체부(120)와 연속 나사부(130)의 표면에는 코팅부(150)가 마련된다. 본 실시에의 코팅부(150)는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 작용기를 함유한다.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 작용기를 함유하는 본 실시예의 코팅부(150)는, 인체의 골조직을 이루는 HA(hydroxyapatite, 수산화아파타이트)의 핵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가 주변의 치조골에 빠르고 용이하게 유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코팅부(150)는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생성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따라 픽스츄어의 표면에 코팅부(150)를 형성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완제품이 완성되기 전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즉, 코팅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제품)를 단순히 픽스츄어라고 기술한다. 또한 후술할 스피닝단계(S21)후에 픽스츄어에 코팅된 워터글라스를 워터글라스 층이라 한다.
도 4는 도 1의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전처리단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블라스팅단계 후의 픽스츄어의 표면 거칠기와 코팅단계 후의 워터글라스의 층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코팅단계 후의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산 에칭단계 전,후의 코팅부(150)의 표면 거칠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은, 픽스츄어(미도시)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10)와,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하는 코팅단계(S20)와, 픽스츄어(미도시)를 열처리하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S30)와, 픽스츄어(미도시)를 산성 용액으로 에칭하는 산 에칭(acid etching)단계(S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처리단계(S10)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물리적 기구를 이용하는 방식(machined type), 픽스츄어(미도시)에 전기적 자극을 가해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훼손하여 거칠기 증가를 유도하는 에노다이징 방식(anodizing type),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샌드 블라스팅하는 알비엠 방식(RBM type). 샌드 블라스팅 후 에시드 에칭(acid etching)을 하는 SLA 방식(Sand blast Large grit Acid etch type) 및 샌드 블라스팅된 표면에 Ca 이온을 특수처리하는 Xpeed 방식이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의 전처리단계(S10)가 SLA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처리단계(S10)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블라스팅하는 블라스팅단계(S11)와,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에칭하는 에칭단계(S12)와, 픽스츄어(미도시)를 열처리하는 코팅 전 열처리단계(S13)를 포함한다.
블라스팅단계(S11)에서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블라스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나(Al2O3) 분말로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블라스팅한다. 본 실시예에서 알루미나 분말의 알갱이 크기는 대략 100 내지 450 마이크로미터이며, 분사압력은 대략 2 내지 5메가파스칼(MPa) 정도이다.
에칭단계(S12)에서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에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염산(HCl)&황산(H2SO4) 수용액으로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을 에칭하며, 염산&황산 수용액의 농도는 대략 4 내지 6몰농도(M)이며, 에칭온도는 대략 80 내지 100도 이고, 에칭시간은 대략 4 내지 15분(min)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칭단계(S12)에 사용되는 수용액이 염산(HCl) 또는 황산(H2SO4) 수용액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염산(HCl) 또는 황산(H2SO4) 수용액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염산 수용액 또는 황산 수용액은 대략 4 내지 6몰농도(M)를 가진다. 염산 수용액 또는 황산 수용액의 에칭온도 및 에칭시간은 상술한 염산&황산 수용액의 경우와 같다.
한편, 코팅 전 열처리단계(S13)에서는 픽스츄어(미도시)를 열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코팅 전 열처리단계(S13)에서 열처리 온도는 대략 600도 이며, 승온 속도는 대략 5(도/min)이고, 열처리 시간은 대략 60분(min)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단계(S10)는 블라스팅단계(S11) 전에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폴리싱(polishing)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처리단계(S10)를 통해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이후 워터글라스의 코팅 시 공기방울 또는 크랙 없이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단계(S20)에서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한다. 본 실시예에서 워터글라스(WG, sodium silicate)는 여러 가지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알카리 염과 실리카의 중량비가 1:1 내지 4 또는 1:2 내지 3 인 워터글라스가 사용되는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코팅단계(S20)는, 픽스츄어(미도시)를 워터글라스 용액에 담그는 딥핑(diping)단계(S21)와, 워터글라스 용액에서 꺼낸 픽스츄어(미도시)를 회전시키는 스피닝(spinning)단계(S22)를 포함한다.
도 10은 도 4의 코팅단계에 사용되는 스피닝 코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지그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지그부가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1의 스피닝 코터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코팅단계(S20)에 사용되는 스피닝 코터(200)는, 도 10 내지 1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P)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부(210)와, 지그부(21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그부(21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20)와, 워터글라스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230)를 지지하며 수용부(230)를 지그부(210)에 대하여 상대이동시키는 수용부용 이동부(240)를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스피닝 코터(200)에 사용되는 픽스츄어(P)를 "P"로 표시한다.
지그부(210)는, 장봉 형태로 마련되는 지그 몸체부(211)와, 지그 몸체부(211)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픽스츄어(P)의 지대주 결합부(1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스츄어 결합부(212)와, 지그 몸체부(211)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회전 구동부(2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구동부용 연결부(213)를 포함한다. 회전 구동부용 연결부(213)에는 후술할 거치부(K)의 거치용 핀(K1)이 삽입되는 홀(미도시)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부(210)는 긴 장봉 형태의 지그 몸체부(211)를 구비되고 회전 구동부(2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코팅단계(S20) 후 작업자가 픽스츄어(P)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픽스츄어(P)를 회전 구동부(22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픽스츄어(P)를 도13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부(210)에 연결된 상태로 거치부(K)에 거치시킬 수 있어 픽스츄어(P)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회전 구동부(220)는 지그부(21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그부(21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구동부(220)는 회전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수용부(230)는 워터글라스 용액을 수용한다. 수용부(230)는, 워터글라스 용액이 수용하는 용액 수용부(231)와, 용액 수용부(23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내부가 중공되며 스피닝단계(S22) 시 내부에 픽스츄어(P)가 배치되는 픽스츄어 수용부(232)를 포함한다. 용액 수용부(231) 및 픽스츄어 수용부(232)의 상부는 개구되어 픽스츄어(P)가 내부로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부용 이동부(240)는, 수용부(230)를 지지하는 트레이(241)와, 트레이(241)에 연결되며 트레이(241)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축 이동부(242)와, 제1축 이동부(242)를 지지하며 제1축 이동부(242)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축 이동부(243)를 포함한다.
제1축 이동부(242)는 트레이(241)를 제1축 방향, 즉 도 1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픽스츄어(P)의 하부에 용액 수용부(231) 또는 픽스츄어 수용부(232)가 위치되도록 한다.
제2축 이동부(243)는 트레이(241)를 제2축 방향, 즉, 도 1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픽스츄어(P)가 용액 수용부(231)의 내부 또는 픽스츄어 수용부(23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딥핑(diping)단계(S21)에서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P)를 워터글라스 용액이 담긴 용액 수용부(231)에 담긴다. 이후 수용부용 이동부(240)의 동작에 의해 도 14(e)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 수용부(232)의 내부에 위치된 픽스츄어(P)는 회전 구동부(2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스피닝(spinning)단계(S22)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은, 딥핑단계(S21) 후 제2축 이동부(243)가 용액 수용부(231)가 픽스츄어(P)에서 이격되도록 제1축 이동부(242)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1축 이동부(242)가 픽스츄어 수용부(232)가 픽스츄어(P)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트레이(241)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2축 이동부(243)가 픽스츄어 수용부(232)가 픽스츄어(P)에 접근되도록 제1축 이동부(242)를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닝단계(S22)에서는 워터 글라스 용액에서 꺼낸 픽스츄어(미도시)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의 스피닝단계(S22)에서는 픽스츄어(미도시)를 대략 10,000 내지 30,0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스피닝단계(S22)에서의 회전속도는 여러 가지 인자들에 의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양산성은 좋아진다. 그렇다고 스피닝단계(S22)에서의 회전속도를 무조건 빠르게 할 수는 없는데, 도 6의 실험결과를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도 6은 블라스팅단계(S11) 후의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 거칠기와 코팅단계(S20) 후의 워터글라스의 층의 표면 거칠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에서 파란 막대는 블라스팅단계(S11) 후의 표면 거칠기이고, 붉은 막대는 코팅단계(S20) 후의 워터글라스 층의 표면 거칠기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표면 거칠기는 접촉 면적을 높여 골유착 성능을 높여준다. 따라서 블라스팅단계(S11) 후의 표면 거칠기가 코팅단계(S20) 후의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 거칠기가 많이 감소하면 골유착 성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블라스팅단계(S11) 후의 표면 거칠기와 코팅단계(S20) 후의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 거칠기 감소가 작은 10,000 내지 30,000RPM의 속도를 스피닝단계(S22)에서의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속도로 선정한다.
또한, 이러한 스피닝단계(S22)에서의 회전속도를 결정하는 인자는 코팅단계(S20) 후의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이다. 코팅단계(S20) 후의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는 3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도 7은 코팅단계(S20) 후의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0RPM의 경우에는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가 11마이크로미터 내외이고, 10,000 내지 30,000RPM의 경우에 워터글라스 층의 두께가 3마이크로미터 이내이므로 10,000 내지 30,000RPM의 속도를 스피닝단계(S22)에서의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속도로 선정한다.
한편, 도 6에서 위의 표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시간이 대략 30초인 경우이고, 아래의 표는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시간이 대략 60초인 경우이다.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시간이 대략 30초인 경우가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시간이 대략 60초인 경우보다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 거칠기 감소가 작으므로, 픽스츄어(미도시)의 회전시간을 대략 30초 선정한다.
코팅 후 열처리단계(S30)에서는 워터글라스 코팅된 픽스츄어(미도시)를 열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코팅 후 열처리단계(S30)에서 열처리 온도는 대략 600도 이며, 승온 속도는 대략 5(도/min) 이고, 열처리 시간은 대략 120분(min)이다.
한편 산 에칭단계(S40)에서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S30) 후 픽스츄어(미도시)를 산성 용액으로 산 에칭(acid etching)한다.
도 8은 산 에칭단계(S40) 전후의 코팅부(150)의 표면 거칠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산 에칭단계(S40)에 의해 코팅부(150)의 표면 거칠기가 높아지는데, 코팅부(150)의 높은 표면 거칠기는 코팅부(150)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골 유착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산 에칭단계(S40)에서 산성 용액은 염산(HCl) 수용액이고, 염산 수용액의 농도는 대략 0.1 내지 0.2몰농도(M)이며, 에칭시간은 대략 60분(min)이다.
코팅부(150)의 두께는 1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코팅부(150)의 두께는 염산(HCl) 수용액의 농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염산(HCl) 수용액의 농도에 따른 코팅부(150)의 두께를 도시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산 수용액의 농도가 대략 0.1 내지 0.2몰농도(M)일 때 코팅부(150)의 두께가 대략 600 내지 900 나노미터(nm)이므로, 본 실시예의 염산 수용액의 농도는 대략 0.1 내지 0.2몰농도(M)로 선정한다.
본 실시예의 산 에칭단계(S40)에서 염산 수용액을 통해 워터글라스 코팅층을 에칭함에 따라 워터글라스의 Na+이온과 염산수용액의 H3O+이온 사이에 치환반응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코팅단계(S20)를 거쳐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에 코팅된 워터글라스 코팅층이 산 에칭단계(S40)를 거쳐 Si-OH 그룹을 함유하는 도 2의 코팅부(150)로 변화한다.
이렇게 Si-OH 그룹, 즉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 작용기를 함유하는 코팅부(150)는, 체내에 식립된 후 인체의 골조직을 이루는 HA(hydroxyapatite, 수산화아파타이트)의 핵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가 주변의 치조골에 빠르고 용이하게 유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의 코팅부(150) 두께는 대략 638나노미터(nm)이고, 코팅부(150)의 표면 거칠기는 대략 1.62마이크로미터(μm)이며, 코팅부(150)의 접합박리강도는 대략 505.5메가파스칼(MPa)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는, 코팅부(150)의 두께가 얇고, 코팅부(150)가 우수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며, 코팅부(150)가 높은 박리강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은, 픽스츄어(미도시)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S10)와, 픽스츄어(미도시)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하는 코팅단계(S20)와, 픽스츄어(미도시)를 열처리하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S30)와, 픽스츄어(미도시)를 산성 용액으로 세척하는 산 에칭(acid etching)하는 산 에칭단계(S40)를 구비함으로써, 코팅부(150)의 두께가 얇고 코팅부(150)의 표면 거칠기가 우수하며 코팅부(150)의 박리 강도가 높은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11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120: 몸체부
121: 베벨부 130: 연속 나사부
131: 선단부 131a: 직선부
131b: 상부 곡면부 131c: 하부 곡면부
140: 지대주 결합부 150: 코팅부
160: 진입 방향 안내부 161: 평탄부
162: 경사부 163: 만곡부
170: 골 손상 저지부

Claims (18)

  1. 픽스츄어 표면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에 워터글라스(water glass)를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픽스츄어를 열처리하는 코팅 후 열처리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를 산성 용액으로 에칭하는 산 에칭(acid etching)단계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워터글라스 용액에 담그는 딥핑(diping)단계; 및
    상기 워터글라스 용액에서 꺼낸 상기 픽스츄어를 회전시키는 스피닝(spinning)단계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의 회전속도는 10,000 내지 30,0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의 회전시간은 10 내지 40 초(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스피닝 코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스피팅 코터는,
    상기 픽스츄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워터글라스 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지지하며, 상기 수용부를 상기 지그부에 대하여 상대이동시키는 수용부용 이동부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워터글라스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 수용부; 및
    상기 용액 수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픽스츄어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딥핑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용액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며,
    상기 스피닝단계에서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픽스츄어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용 이동부는,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며, 상기 트레이를 제1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축 이동부; 및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축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딥핑단계 후 상기 제2축 이동부가 상기 용액 수용부가 상기 픽스츄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축 이동부가 상기 픽스츄어 수용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축 이동부가 상기 픽스츄어 수용부가 상기 픽스츄어에 접근되도록 상기 제1축 이동부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블라스팅하는 블라스팅단계;
    상기 픽스츄어의 표면을 에칭하는 에칭단계; 및
    상기 픽스츄어를 열처리하는 코팅 전 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팅단계에서는 알루미나(Al2O3) 분말로 픽스츄어의 표면을 블라스팅하며,
    상기 알루미나(Al2O3) 분말의 알갱이 크기는100 내지 450 마이크로미터이고,
    상기 알루미나(Al2O3) 분말의 분사압력은 대략 2 내지 5 메가파스칼(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단계에서는 염산(HCl)&황산(H2SO4)수용액으로 픽스츄어의 표면을 에칭하며,
    상기 염산(HCl)&황산(H2SO4) 수용액의 농도는 4 내지 6 몰농도(M)이며,
    에칭온도는 80 내지 100도이고,
    에칭시간은 4 내지 15분(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전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 온도는 550 내지 650도 이며, 승온 속도는 3 내지 7(도/min)이고, 열처리 시간은 50 내지 70분(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후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 온도는 550 내지 650도 이며, 승온 속도는 3 내지 7(도/min) 이고, 열처리 시간은 100 내지 140분(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용액은 0.1 내지 0.2몰농도(M)의 염산(HCl) 수용액이며, 에칭시간은 50 내지 70분(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 둘레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마련되되, 단절되는 구간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연속 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연속 나사부의 표면에는 코팅부가 마련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나사부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직선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직선부를 연결하며, 식립 시의 저항 토크를 감소시키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선단부의 상면을 형성하며, 오목하게 굴곡진 상부 곡면부; 및
    상기 선단부의 하면을 형성하며, 오목하게 굴곡진 하부 곡면부를 포함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곡면부와 상기 하부 곡면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KR1020160081194A 2016-06-28 2016-06-28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KR2018000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94A KR20180001977A (ko) 2016-06-28 2016-06-28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194A KR20180001977A (ko) 2016-06-28 2016-06-28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52A Division KR101878228B1 (ko) 2018-04-06 2018-04-06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77A true KR20180001977A (ko) 2018-01-05

Family

ID=6100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194A KR20180001977A (ko) 2016-06-28 2016-06-28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9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7769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46399A1 (en) Two-part ceramic dental implant
ES2249640T3 (es) Implante dental ceramico.
US10426577B2 (en) Surface treatment for an implant surface
US20130209960A1 (en) Assembly of a dental implant and a prosthetic element
KR101878228B1 (ko)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EP2482753B1 (en) Dental implant having improved osseointegration characteristics
KR20190065621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EP3609547B1 (en) Dental implant
KR20180001977A (ko)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
JPH06304186A (ja) 骨内インプラント
KR20190003266A (ko) 교정용 미니스크류
KR101308945B1 (ko) 치과용 픽스쳐
CZ2017809A3 (cs) Dvoudílný zubní nitrokostní implantát a způsob přípravy
EP3823552B1 (en) Surface treatment for an implant surface
US20240050201A1 (en) Modular dental implant
ES2363021A1 (es) Aditamiento protésico mejorado.
KR20100004970U (ko)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파절 제거용 기구
WO2017085725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storing the use of a damaged dental implant
KR200333544Y1 (ko) 파절된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스쿠루 제거기구 및 이를 적용한 장치
CZ31432U1 (cs) Dvojdílný zubní nitrokostní implantát
US10470850B2 (en) Re-sterilization by recoating the infected implant using a sleeve
EP3949895A1 (en) Custom implant fix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ustom implant system using same
Lim et al. Histological response of anodized titanium implant
YURTTUTAN Manufacturing processes and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s of dental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