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76A - 보행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76A
KR20180001876A KR1020160080903A KR20160080903A KR20180001876A KR 20180001876 A KR20180001876 A KR 20180001876A KR 1020160080903 A KR1020160080903 A KR 1020160080903A KR 20160080903 A KR20160080903 A KR 20160080903A KR 20180001876 A KR20180001876 A KR 20180001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achilles
force
moving
lower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050B1 (ko
Inventor
김성모
김미정
김승종
Original Assignee
김미정
김승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정, 김승종 filed Critical 김미정
Priority to KR102016008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050B1/ko
Priority to PCT/KR2017/004072 priority patent/WO2017179948A2/ko
Priority to US16/093,654 priority patent/US20190125613A1/en
Priority to CN201780023764.4A priority patent/CN109070340A/zh
Publication of KR2018000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4Foot-operate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보행에 큰 보탬이 되어 주고 퇴행성관절염을 앓는 사람, 걸음걸이가 불편한 사람, 하루 종일 쭈그리고 앉아 일하는 사람, 걸음걸이를 많이 해야 하는 사람 등 다양한 상황에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할 때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 보조 장치{WALKING ASSISTIVE DEVIC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보행을 위해 무릎 관절, 발목, 아킬레스건, 장딴지, 허벅지, 여러 가지 인대 및 근육 등의 복합 형성물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중 하나만이라도 기능이 저하되면 보행이 불편해지며 더 나아가 사회활동에까지 커다란 장애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행 보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합 형성물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이를 회복하기 위한 재활훈련을 수행하고, 이러한 재활훈련에서 보행 보조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합 형성물 중 하나가 노화 또는 손상으로 인한 퇴행하는 경우 재활훈련을 통하여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보행 보조 장치를 통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보행 보조 장치는 하부에 바퀴가 달려있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끌고 다님으로써 지지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팔에 힘이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상인의 경우에도 무거운 물체를 운반하는 경우 등에 신체 일부, 즉 다리 부분에 과도한 하중이 장용함으로써 다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436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퇴부에 배치되는 상단 본체; 상기 상단 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종아리에 배치되는 하단 외측 본체; 상기 하단 외측 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하단 내측 본체; 절곡된 일부가 지면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탄성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아킬레스건부; 상기 상단 본체와 상기 하단 외측 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단 본체와 상기 하단 외측 본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절곡된 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단 외측 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부가 아킬레스건부와 접촉하여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제2 탄성부의 절곡된 일부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대퇴부에 배치되는 상단 본체; 상기 상단 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종아리에 배치되는 하단 외측 본체; 상기 하단 외측 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하단 내측 본체; 절곡된 일부가 지면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탄성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아킬레스건부;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하단 내측 본체를 선형 운동하는 제1 선형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는, 대퇴부에 배치되는 상단 본체; 상기 상단 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종아리에 배치되는 하단 외측 본체; 상기 하단 외측 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하단 내측 본체; 절곡된 일부가 지면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탄성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아킬레스건부;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운동에 따라 복원력을 상기 아킬레스건부에 제공하는 제4 탄성부; 및 상기 제4 탄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4 탄성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는, 신발이 안착되는 제1 탄성바디부; 및 상기 제1 탄성바디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제2 탄성바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 탄성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킬레스건부는,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아킬레스건바디부; 및 상기 아킬레스건바디부로부터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력부와 일부가 접촉하여 상기 가력부에 힘을 가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킬레스건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면은 상기 아킬레스건바디부의 형상이 가변하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형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형운동부는,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연결되는 제1 선형운동바디부; 및 상기 제1 선형운동바디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선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4 탄성부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킬레스건부는,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잠금부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부를 운동시켜 상기 제4 탄성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4 탄성부와 제1 와이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탄성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4 탄성부에 힘을 가하는 제5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4 탄성부 및 상기 제5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제4 탄성부 및 상기 제5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의 초기 위치를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가변부는,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고정되는 상단 본체고정부; 상기 상단 본체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4 탄성부 및 상기 제5 탄성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고정되는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내측 본체 및 상기 아킬레스건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5 탄성부와 연결되는 제5 탄성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탄성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6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5 탄성연결부와 접촉하는 제5 탄성가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탄성연결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신발을 고정하는 신발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5 탄성연결부와 상기 신발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7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력부는, 상기 하단 외측 본체의 내부에서 선형 운동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와 연결되는 가력연결부; 상기 가력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이동부의 운동 시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2 이동부; 상기 하단 외측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동부가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로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이동부에 복원력을 가하여 운동시키고,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접촉하여 운동하는 가력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력연결부는 접철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가이드부는 위치 가변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동부가 이동하는 제1 경로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경로가이드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력탄성부가 작동할 때 상기 제1 경로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 이동부의 경로와 상이한 경로로 상기 제2 이동부를 안내하는 제2 경로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력부는, 상기 하단 외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가력탄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력탄성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8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력부는, 상기 하단 외측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력탄성부를 운동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외측 본체와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제2 탄성부와 접촉하는 보조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탄성부의 중심이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탄성부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행에 큰 보탬이 되어 주고 퇴행성관절염을 앓는 사람, 걸음걸이가 불편한 사람, 하루 종일 쭈그리고 앉아 일하는 사람, 걸음걸이를 많이 해야 하는 사람 등 다양한 상황에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할 때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킬레스건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선형운동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4 탄성부, 제4 탄성연결부, 잠금부, 제5 탄성부, 길이가변부, 제5 탄성연결부 및 제6 탄성부의 배열 순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4 탄성부, 제4 탄성연결부, 잠금부, 제5 탄성부, 길이가변부, 제5 탄성연결부 및 제6 탄성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력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력부가 설치되는 경로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제2 탄성부, 보조탄성부 및 결합부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보조탄성부와 탄성력조절부 및 구속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2 탄성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가력부 및 경로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경로가이드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제4 탄성부, 제4 탄성연결부, 잠금부, 제5 탄성부, 길이가변부, 제5 탄성연결부 및 제6 탄성부의 배열 순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킬레스건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선형운동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4 탄성부, 제4 탄성연결부, 잠금부, 제5 탄성부, 길이가변부, 제5 탄성연결부 및 제6 탄성부의 배열 순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4 탄성부, 제4 탄성연결부, 잠금부, 제5 탄성부, 길이가변부, 제5 탄성연결부 및 제6 탄성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보행 보조 장치(100)는 상단 본체(111), 하단 외측 본체(112), 하단 내측 본체(113), 신발고정부(114), 제1 탄성부(120), 아킬레스건부(130), 제2 탄성부(140), 가력부(150), 고정부(190), 제1 선형운동부(160), 제2 연결부(163), 제3 탄성부(171), 제4 탄성부(172), 제4 탄성연결부(172a), 잠금부(173), 제5 탄성부(174), 길이가변부(178), 제5 탄성연결부(174a), 제6 탄성부(176), 제5 탄성가력부(177), 제7 탄성부(180), 쿠션부(181) 및 거리조절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본체(111)는 대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단 본체(111)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단 외측 본체(112)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 외측 본체(11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부피를 갖도록 3차원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단 내측 본체(113)는 하단 외측 본체(112)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 내측 본체(113)는 하단 외측 본체(112)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발고정부(114)는 사용자의 신발, 특히 신발의 앞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신발고정부(114)의 신발을 고정시키는 부분은 밸크로 타입, 끈 타입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발을 감쌀 수 있다.
제1 탄성부(120)는 제1 탄성바디부(121), 제2 탄성바디부(122), 및 제1 탄성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바디부(121)는 신발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탄성바디부(121)는 평평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평평한 부분에 신발이 안착할 수 있다.
제2 탄성바디부(122)는 제1 탄성바디부(12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일부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탄성바디부(122)는 아킬레스건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바디부(122)는 제1 탄성바디부(121)와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시 사용자에게 보행에 필요한 힘을 보조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탄성연결부(123)는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121, 122) 각각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탄성연결부(123)는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121, 122)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여, 변형이 발생하면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부(130)는 하단 외측 본체(112) 및 하단 내측 본체(113)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아킬레스건부(130)는 제1 탄성부(120)의 일단과 연결됨으로써 제1 탄성부(120)의 형상 가변에 따라서 하단 외측 본체(112)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특히 아킬레스건부(130)는 하단 외측 본체(112)의 외면을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부(130)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와 돌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적어도 일부는 하단 외측 본체(112) 및 하단 내측 본체(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아킬레스건바디부(131)는 하단 외측 본체(112) 및 하단 내측 본체(113)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부(130), 특히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재질은 고무, 유연한 금속,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킬레스건부(130)는 사용자가 발을 꺽는 경우 등과 같이 종아리와 발이 형성하는 각도가 가변하는 경우 일부가 접철되거나 가변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아킬레스건부(130)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에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33)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적어도 일부분의 표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곡부(133)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적어도 일부분의 표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어느 정도의 변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돌기부(132)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로부터 하단 외측 본체(112)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가력부(150)와 일부가 접촉하여 가력부(150)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돌기부(132)가 삽입될 수 있으며, 돌기부(132)가 삽입되는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장공이 형성됨으로써 하단 외측 본체(112)의 장공을 통하여 돌기부(132)가 이동할 수 있다.
돌기부(132)의 상측에는 가력부(150)의 일부가 접촉할 수 있으며, 가력부(15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킬레스건부(13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하단 외측 본체(112) 내부로 삽입되는 해제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제돌기(133)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해제돌기(133)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로부터 돌출되어 하단 외측 본체(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선형 운동시 해제돌기(133)가 운동하도록 하단 외측 본체장공(113a)이 하단 외측 본체(11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제돌기(133)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운동에 따라서 잠금부(173)와 접촉하여 잠금부(173)를 운동시킴으로써 잠금부(173)의 제4 탄성부(17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탄성부(140)는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 사이에 배치되어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140)는 사용자의 무릎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다리를 접는 경우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가 다리의 접히는 각도 등에 따라서 상단 본체(111) 및 하단 외측 본체(11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2 탄성부(140)는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가 직선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상단 본체(111)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탄성부(140)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 탄성부(140)는 보조탄성부(미도시)와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 탄성부(14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탄성부(140)를 상기 보조탄성부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차후 다른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력부(150)는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일부와 연결되며, 하단 외측 본체(112)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50)의 일부가 아킬레스건부(130)와 접촉하여 아킬레스건부(130)의 운동에 따라서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일부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력부(15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190)는 상단 본체(111) 및 하단 외측 본체(1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9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상단 본체(111) 및 하단 외측 본체(112)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90)는 상단 본체(111)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허리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90)는 상단 본체(1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대퇴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90)는 하단 외측 본체(112) 및 하단 내측 본체(113)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종아리에 설치되는 제3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90)가 제1 고정부(191) 및 제2 고정부(192)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선형운동부(160)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운동부(160)는 하단 내측 본체(113)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종아리와 하단 내측 본체(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선형운동부(160)는 아킬레스건부(130)의 운동에 따라서 하단 내측 본체(113)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제1 선형운동부(160)는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 및 제1 선형롤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는 아킬레스건부(130)와 연결되어 아킬레스건부(130)의 운동에 따라서 하단 내측 본체(113)의 길이 방향(또는 높이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선형롤러(162)는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의 운동 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선형롤러(162)는 하단 내측 본체(113)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63)는 제1 선형롤러(16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163)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탄성부(171)는 양단이 각각 제2 연결부(163) 및 하단 내측 본체(1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탄성부(171)는 제1 선형운동부(160)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제1 선형운동부(16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탄성부(172)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탄성부(172)는 아킬레스건부(130)와 연결되어 아킬레스건부(130)의 운동에 따라 본원력을 아킬레스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4 탄성부(172)의 상부는 잠금부(173)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탄성연결부(172a)는 제4 탄성부(17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탄성연결부(172a)는 하단 내측 본체(113) 내부를 관통하여 아킬레스건부(130)에 형성된 제4 장공(13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탄성연결부(172a)는 아킬레스건부(130)의 운동에 따라 제4 장공(131a)의 하단 부분에 접촉하여 움직임으로써 제4 탄성부(172)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잠금부(173)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설치되어 제4 탄성부(172)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부(173)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잠금고리(173a) 및 잠금고리(173a)와 하단 내측 본체(113)를 연결하여 잠금고리(173a)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잠금고리탄성부(17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잠금고리탄성부(173b)는 토션 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고리(173a)는 제4 탄성연결부(172a)의 운동에 따라서 제4 탄성부(17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고리(173a)는 아킬레스건부(130)의 해제돌기(133)와 접촉하도록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잠금고리(173a)는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하단 내측 본체(113)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고리(173a) 또는 하단 내측 본체(113) 하나는 잠금고리(173a) 또는 하단 내측 본체(113) 다른 하나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잠금고리(173a) 또는 하단 내측 본체(113)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서 상기 돌기가 홈에 삽입되어 잠금고리(173a)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잠금고리탄성부(173b)가 잠금고리(173a)의 회전 각도가 일정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잠금고리(173a)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잠금고리(173a)가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탄성부(174)는 제4 탄성부(172)와 나란하게 하단 내측 본체(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5 탄성부(174)는 제4 탄성부(172)와 선택적으로 제1 와이어(175)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5 탄성부(174)는 제4 탄성부(172)의 운동에 따라서 제4 탄성부(172)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제5 탄성부(174)의 끝단에는 제5 탄성연결부(174a)가 연결될 수 있다.
제5 탄성연결부(174a)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형성된 제5 장공(미도시) 및 아킬레스건부(130)의 제6 장공(미도시)을 관통하도록 하단 내측 본체(1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탄성부(174) 내부에는 제6 탄성부(176)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6 탄성부(176)는 제4 탄성부(172)와 제1 와이어(175)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6 탄성부(176)는 제4 탄성부(172)와의 사이에서 제1 와이어(175)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5 탄성가력부(177)는 제1 와이어(175)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5 탄성가력부(177)는 제5 탄성연결부(174a)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제5 탄성가력부(177)는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제5 탄성연결부(174a)와 접촉함으로써 제5 탄성부(174)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4 탄성부(172) 및 제5 탄성부(17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길이가변부(178)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탄성부(172)의 내부에 배치되는 길이가변부(미표기)는 제4 탄성부(172)의 초기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특히 제4 탄성부(172)를 초기에 약간 늘어나게 하는 경우 와이어의 장력이 유지되거나 제4 탄성부(172)를 늘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제5 탄성부(174)의 내부에 배치되는 길이가변부(178)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설치되어 제5 탄성부(174)와 제6 탄성부(176)의 상대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제5 탄성부(174) 및 제6 탄성부(176)에서 발생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5 탄성부(174)의 내부에 배치되는 길이가변부(178)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길이가변부(178)는 하단 내측 본체(113)에 고정되는 상단 본체고정부(178a)와, 상단 본체고정부(178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17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78b)의 내부에는 제6 탄성부(17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길이가변부(178)는 회전부(178b)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제5 탄성부(174)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178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길이가변부(178)는 제6 탄성부(176)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78b)가 회전하는 경우 상단 본체고정부(178a)와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178c) 사이의 간격이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상시의 경우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178c)는 A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보다 30Kg의 무게를 더 들은 경우는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178c)가 A 위치보다 낮은 B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평상시보다 50Kg의 무게를 더 들은 경우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178c)는 B 위치보다 더 낮은 C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단 본체고정부(178a)와 하단 외측 본체고정부(178c) 사이의 간격이 서로 상이해짐으로써 제4 탄성부(172)의 초기 탄성력이 상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6 탄성부(176)의 끝단과 제5 탄성부(174)의 끝단 사이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제5 탄성가력부(177)가 제5 탄성연결부(174a)에 접촉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5 탄성부(174)와 제6 탄성부(176)가 동시에 작동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4 탄성부(172)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4 탄성부(172), 제4 탄성연결부(172a), 잠금부(173), 제5 탄성부(174), 길이가변부(178), 제5 탄성연결부(174a) 및 제6 탄성부(176)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중앙 부분에 제4 탄성부(172), 제4 탄성연결부(172a), 잠금부(173)가 각각 2개씩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도록 제5 탄성부(174), 길이가변부(178), 제5 탄성연결부(174a) 및 제6 탄성부(176)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와이어(175)는 하나의 제4 탄성부(172), 제5 탄성부(174) 및 제6 탄성부(176)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하단 내측 본체(113)에는 제4 탄성부(172)와 연결된 제1 와이어(175)를 절곡시켜 제6 탄성부(176)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7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179)는 제1 와이어(175)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7 탄성부(180)는 제5 탄성연결부(174a)와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7 탄성부(180)의 타단은 신발고정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7 탄성부(180)는 신발고정부(114)와 제5 탄성연결부(174a) 중 적어도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7 탄성부(180)는 토션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7 탄성부(180)의 중심 부분에는 제7 탄성부커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쿠션부(181)는 아킬레스건부(130)와 제2 와이어(182)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181)는 아킬레스건부(130)의 돌기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182)는 상단 본체(111) 내지 하단 내측 본체(113)에 각각 설치되는 절곡롤러(183)를 통하여 장력이 유지된 상태일 수 있다.
쿠션부(181)는 아킬레스건부(130)의 이동에 따라서 상단 본체(111)와 대퇴부 사이에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181)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쿠션부(181)는 에어쿠션 등과 같은 완충 작용을 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리조절부(184)는 하단 외측 본체(112)와 제2 탄성부(140)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거리조절부(184)는 하단 외측 본체(112) 및 제2 탄성부(140)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184a)와, 링크(184a)와 연결되며 위치가 가변하는 거리조절위치가변부(184b)와, 거리조절위치가변부(184b)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함로써 거리조절위치가변부(184b)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거리조절회전부(18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리조절위치가변부(184b)는 너트 형태일 수 있으며, 거리조절회전부(184c)는 스크류 또는 볼트 형태일 수 있다.(도 15 및 도 16 참고)
이때, 거리조절부(184)와 하단 외측 본체(112)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가력부(1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력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력부가 설치되는 경로가이드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가력부(150)는 하단 외측 본체(11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력부(150)는 아킬레스건부(130)의 운동에 따라서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일부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가력부(150)는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일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부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가력부(150)는 제1 이동부(151), 가력연결부(152), 제2 이동부(153), 가력탄성부(154), 제8 탄성부(155) 및 접촉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51)는 하단 외측 본체(112)의 내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제1 이동부(151)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제1 이동가이드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동가이드부(112a)는 하단 외측 본체(112)에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이동부(151)가 이동하는 경로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동부(151)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이동가이드부(112a)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제1 이동가이드부(112a)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51)는 제2 탄성부(140)의 중앙 부분과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부(151)의 이동에 따라서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부분(또는 중앙 부분)의 위치가 가변함으로써 제2 탄성부(140)에 복원력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력연결부(152)는 제1 이동부(151)와 연결되어 제1 이동부(151)의 이동 시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력연결부(152)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가력연결부(152a)와 제2 가력연결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력연결부(152a)는 제1 이동부(15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가력연결부(152b)와 힌지 또는 경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력연결부(152b)는 제2 이동부(153)와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제1 가력연결부(152a)와 제2 가력연결부(152b)는 평평한 것이 아닌 연결 지점이 돌출되도록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가력연결부(152a)와 제2 가력연결부(152b)는 특정한 상황에서는 서로 접철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53)는 제1 이동부(15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부(153)는 하단 외측 본체(112)의 내부에 배치된 경로가이드부(112b)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경로가이드부(112b)는 제1 이동가이드부(112a)와 유사하게 하단 외측 본체(112)에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이동부(151)과 제2 이동부(153)는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로가이드부(112b)는 제2 이동부(153)가 이동하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와,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와 연결되는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로가이드부(112b-1)는 제1 이동부(151)의 이동 시 제2 이동부(153)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가이드부(112b-1)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는 제1 경로가이드로부터 돌출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는 가력탄성부(154)가 작동할 때 제1 경로가이드부(112b-1)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153)의 경로와 상이한 경로로 제2 이동부(153)를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는 가력탄성부(154)가 원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가력탄성부(154)의 일단의 이동 경로로부터 회피함으로써 가력탄성부(154)의 일단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경로가이드부(112b)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 및 제2 경로가이드부(112b-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하단 외측 본체(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절부(112b-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112b-3)는 경로가이드부(112b)의 일단에 연결되는 위치조절연결부(112b-4) 및 위치조절연결부(112b-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단 외측 본체(112)에 접촉하여 위치조절연결부(112b-4)를 고정시키는 위치조절고정부(112b-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조절연결부(112b-4)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바 형태일 수 있으며, 위치조절고정부(112b-5)는 너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조절고정부(112b-5)의 회전에 따라서 위치조절고정부(112b-5)가 하단 외측 본체(112)에 접촉함으로써 위치조절연결부(112b-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조절부(112b-3)가 배치되는 경우 경로가이드부(112b)의 일단은 하단 외측 본체(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는 제2 이동부(153)에 복원력을 가하여 제2 이동부(153)를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력탄성부(154)는 아킬레스건부(130)의 돌기부(132)에 접촉하여 운동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는 일단이 하단 외측 본체(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력탄성부(154)는 토션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제8 탄성부(155)는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에 연결되어 가력탄성부(154)의 운동 시 가력탄성부(154)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8 탄성부(155)는 코일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제8 탄성부(155)는 최초 길이보다 인장된 상태일 수 있다.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제8 탄성부(155)가 설치되도록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8 탄성부(155)의 끝단에는 길이가변부(178)과 동일한 구조가 설치되어 제8 탄성부(155)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접촉부(156)는 하단 외측 본체(1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56)는 가력탄성부(154)의 타단과 아킬레스건부(130)의 돌기부(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태적으로 돌기부(132)와 접촉함으로써 가력탄성부(154)를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부(156)는 경우에 따라서 배치되거나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촉부(156)가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가력탄성부(154) 및 접촉부(156)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한정하는 스토퍼(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57)는 하단 외측 본체(112)의 내부에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부(156)의 운동 경로 중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운동 범위 내에 배치됨으로써 가력탄성부(154)의 운동 시 가력탄성부(154)가 탄성력이 없는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제2 탄성부, 보조탄성부 및 결합부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를 연결하는 제2 탄성부(140)에는 보조탄성부(141)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탄성부(141)는 제2 탄성부(140)의 중심과 동일한 부분에 중심이 있을 수 있다. 특히 보조탄성부(141)는 결합부재(142)를 통하여 제2 탄성부(140)와 중심을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42)는 제2 탄성부(140)의 중심에 삽입되어 제2 탄성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42)는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는 제2 탄성부(140)에 결합하고, 일부는 보조탄성부(141)에 결합하여 보조탄성부(141)의 중심을 제2 탄성부(140)의 중심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탄성부(141)의 일단은 하단 외측 본체(11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조탄성부(141)의 타단은 제2 탄성부(14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탄성부(140)의 타단이 회전할 때, 보조탄성부(141)는 제2 탄성부(140)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제2 탄성부(140)의 회전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탄성부(141)는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보행하는 경우 제2 탄성부(140)의 타단의 회전을 적게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무릎을 피거나 보행하는 경우 제2 탄성부(140)와 함께 상단 본체(111)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이나 행동에 필요한 힘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보조탄성부와 탄성력조절부 및 구속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별도의 커버(V)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V)에는 탄성력조절부(185)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조탄성부(141)는 일단이 하단 외측 본체(112)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제2 탄성부(14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탄성부(141)는 제2 탄성부(140)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42)에는 별도로 탄성력조절부(185)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탄성력조절부(185)에는 보조탄성부(141)의 타단이 설치됨으로써 보조탄성부(141)의 타단과 제2 탄성부(140)의 타단의 접촉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력조절부(185)는 결합부재(142) 및 보조탄성부(141)의 타단과 연결되는 탄성력조절바디부(185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조절부(185)는 탄성력조절바디부(185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절돌기(18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절돌기(185b)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력조절부(185)는 구속부(186)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보조탄성부(141)와 제2 탄성부(14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구속부(186)는 하단 외측 본체(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구속돌기부(186a)와 구속돌기부(186a) 및 하단 외측 본체(11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구속돌기부(186a)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속돌기탄성부(18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구속돌기부(186a)는 하단 외측 본체(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 외측 본체(112)에는 구속돌기부(186a)의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속돌기탄성부(186b)는 구속돌기부(186a)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연결되어 구속돌기부(186a)의 회전 시 구속돌기부(186a)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보통의 경우에는 보조탄성부(141)가 제2 탄성부(140)에 접촉하여 같이 운동함으로써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제2 탄성부(140)만을 사용하여 보조탄성부(141)에 의한 효과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 탄성력조절부(18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탄성부(141)의 타단은 탄성력조절바디부(185a)와 함께 회전하고, 조절돌기(185b)는 구속돌기부(186a)와 접촉하여 구속돌기부(186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력조절바디부(185a)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보조탄성부(141)는 제2 탄성부(140)와 분리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조절돌기(185b)와 구속돌기부(186a)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탄성력조절바디부(185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구속돌기부(186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속돌기부(186a)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으며, 별도의 스위치를 통하여 구속돌기부(186a)를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구속돌기부(186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구속돌기탄성부(186b)가 구속돌기부(186a)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구속돌기부(186a)는 조절돌기(185b)의 구속을 해제하고, 일정 범위 움직인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절돌기(185b)의 구속이 해제되면, 탄성력조절바디부(185a)는 보조탄성부(141)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회전하고, 보조탄성부(141)의 타단은 제2 탄성부(140)의 타단과 접촉하여 제2 탄성부(140)의 타단의 회전 시 탄성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거운 짐이 없는 경우 등과 같이 평상시에는 탄성력조절부(185)를 구속돌기부(186a)에 구속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 무거인 짐이 있는 경우나 힘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탄성력조절부(185)를 구속돌기부(186a)로부터 분리하여 보조탄성부(141)를 제2 탄성부(140)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제2 탄성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가력부 및 경로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경로가이드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보행 보조 장치의 제4 탄성부, 제4 탄성연결부, 잠금부, 제5 탄성부, 길이가변부, 제5 탄성연결부 및 제6 탄성부의 배열 순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보행하는 경우 제1 탄성부(120)는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발이 허공에 떠 있는 경우, 제1 탄성부(120)의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121, 12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제1 탄성연결부(123)는 중심각은 초기각을 유지한다. 제2 탄성바디부(122)에 연결된 아킬레스건바디부(131)에 의해 돌기부(132)는 하단 외측 본체(112)의 하측에 배치된다. 가력탄성부(154)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부(156)과 접촉되는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은 하측에 배치된다.
<발 디딤>
사용자 발이 허공에 떠 있다가 지면을 디디는 경우, 제2 탄성바디부(122)는 지면에 닿게 된다. 지면에 닿은 제2 탄성바디부(122)에 의해, 사용자 체중은 제1 탄성바디부(121)를 가력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121, 122)는 서로 근접하여, 제1 탄성연결부(123)는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제1 탄성연결부(123)에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121, 122)를 서로 벌어지게 하는 복원력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탄성연결부(123)가 압축되면, 제2 탄성바디부(122)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를 가력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는 하단 내측 본체(113)를 따라 상승할 수 있으며, 돌기부(132)는 하단 외측 본체(112)의 내부에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기부(132)는 선형 운동하면서 접촉부(156)와 접촉하고 접촉부(156)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접촉부(156)는 가력탄성부(154)의 타단과 접촉하고,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은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에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이 하측으로 회전하게 하는 복원력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8 탄성부(155)는 압축하려는 복원력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허공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무릎은 일자로 펴져 있는 폄 상태와 굽혀져 있는 굽힘 상태가 있을 수 있다. 폄 상태의 경우,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폄 상태의 경우, 제2 이동부(153)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1 이동부(151)는 제1 이동가이드부(112a)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굽힘 상태인 경우, 제2 이동부(153)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상단이 아닌 곳에 배치되고, 제1 이동부(151)는 역시 제1 이동가이드부(112a)의 상단이 아닌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무릎 굽힘 정도가 클수록, 제1 및 제2 이동부(151, 153)는 각각 제1 이동가이드부(112a) 및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하측과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각 상태 별로, 가력탄성부(154) 타단의 상측 회전 이동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무릎이 폄 상태에서 사용자 발이 지면에 디딛는 경우,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측 회전 이동 중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면은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상단에 배치된 제2 이동부(153)에 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 무릎이 굽힘 상태에서 사용자 발이 지면에 디딛는 경우,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측 회전 이동 중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면은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상단 부분이 아닌 곳에 배치된 제2 이동부(153)에 접촉될 수 있다. 이 후, 제2 이동부(153)는 접촉부(156)의 상승 운동으로 인하여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상단까지 상승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53)의 상승은 가력연결부(152)를 상승시키고, 가력연결부(152)에 연결된 제1 이동부(151)를 제1 이동가이드부(112a)를 따라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부(151)는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부분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제2 탄성부(140)는 복원력에 의하여 펴질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140)는 상단 본체(111)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힘에 의하여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면은 경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무릎이 폄 상태 및 굽힘 상태에서 사용자 발이 지면에 디딛는 모든 경우,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측 회전 운동 중,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상면은 제2 이동부(153)에 접촉하게 된다. 가력탄성부(154)의 경사진 형상에 접촉된 제2 이동부(153)는 상기 경사진 형상을 슬라이딩하며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에서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부(153)의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로의 이동(회피) 후, 가력탄성부(154)의 타단 및 접촉부(156)는 더 상측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 후, 제2 이동부(153)는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이동부(153)는 제2 탄성부(140)의 복원력과 가력탄성부(154)의 복원력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14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제2 이동부(153)는 상측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가력탄성부(154)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은 제2 이동부(153)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려 함으로써 제2 이동부(153)의 특정 위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가 상승하는 동안, 아킬레스건바디부(131)에 설치된 해제돌기(133)는 하단 외측 본체장공(113a)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아킬레스건바디부(131)에 형성된 제4 장공(131a)의 하단은 제4 탄성연결부(172a)와 접촉하여 제4 탄성연결부(172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와이어(175)에 연결된 제6 탄성부(176)는 제1 와이어(175)를 하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와이어(175)는 가이드롤러(179)를 통하여 절곡되어 제6 탄성부(176)와 연결됨으로써 제1 와이어(175)의 이동에 따라서 제5 탄성가력부(177)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7(a)참고).
아킬레스건바디부(131)가 상승하는 경우, 제4 장공(131a)의 하단에 의해 제4 탄성연결부(172a)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제5 탄성연결부(174a)는 상기 제6 장공의 하단에 접촉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탄성부(174)는 제4 탄성부(172)와 함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제5 탄성연결부(174a)가 상승하면서, 제5 탄성연결부(174a)는 제5 탄성연결부(174a)에 연결된 제1 선형운동부(16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는 제5 탄성연결부(174a)와 함께 상승할 수 있으며, 제1 선형롤러(162)는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제1 선형롤러(162)가 운동하는 경우 제2 연결부(163)는 제1 선형롤러(162)를 따라서 일단이 올라갈 수 있다. 이때,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와 제2 연결부(163)는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63)의 타단에 연결된 제3 탄성부(171)를 변형시켜 제3 탄성부(171)에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5 탄성연결부(174a)에 연결된 제7 탄성부(180)는 제5 탄성연결부(174a)를 가력함으로써 제5 탄성연결부(174a)가 상기 제6 장공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4 탄성연결부(172a)가 운동하는 경우 제4 탄성부(172)의 끝단은 잠금부(17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탄성부(172)의 끝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잠금부(173)와 접촉하여 잠금부(173)를 회전시키고, 잠금부(173)에 형성된 홈에 제4 탄성부(172)의 끝단이 삽입된 후 잠금부(173)가 다시 회전하여 원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제4 탄성부(172)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경우 쿠션부(181)가 전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32)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2 와이어(182)를 잡아당기면 쿠션부(181)가 전개되어 상단 본체(111)와 대퇴부 사이에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절곡롤러(183)를 통하여 제2 와이어(182)는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어 이동함으로써 쿠션부(181)를 전개할 수 있다.
<발 상승>
한편, 반대로 발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경우 제1 탄성부(120)가 변형되어 지면에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바디부(122)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제2 탄성바디부(122)는 제1 탄성바디부(12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바디부(122)에 연결된 아킬레스건바디부(131)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돌기부(132)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32)가 이동하면, 돌기부(132)는 접촉부(156)에 가했던 힘을 해제할 수 있다. 접촉부(156)와 접촉한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가력탄성부(154)에 연결된 제8 탄성부(155)는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의 회전 및 제8 탄성부(155)의 작동에 따라서 접촉부(156)는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부(153)는 접촉부(156)과 함께 제1 경로가이드부(112b-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부(153)의 이동에 따라서 가력연결부(152) 및 제1 이동부(151)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부분은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부(151)는 제1 이동가이드부(112a)를 따라서 하단 외측 본체(112)의 하측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153)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부(156)와 함께 하강하는 제2 이동부(153)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을 따라 이동하다가 일정 거리 이상 하강하면, 접촉부(156)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 회전반경은 고정되어 있으며, 가력탄성부(154)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접촉부(156)의 회전반경도 고정이다. 제2 이동부(153)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 내에서 접촉부(156)의 고정된 회전반경을 벗어날 수 있다. 이 때 제2 이동부(153)는 접촉부(156)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53)와 접촉부(156)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2 탄성부(140)에 작용하는 제2 이동부(153)에 의해 하강하는 힘이 해제된다. 즉 제2 탄성부(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는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와 제2 경로가이드부(112b-2)는 위치조절부(112b-3)를 통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절부(112b-3)는 제1 경로가이드부(112b-1)의 일단에 연결되며, 하단 외측 본체(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위치조절부(112b-3)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함으로써 경로가이드부(112b)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력부(150)의 상승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112b-3)를 조절함으로써 제2 탄성부(140)의 접철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단 본체(111)와 하단 외측 본체(112)가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력탄성부(154)의 타단은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하다가 스토퍼(157)를 만나면 회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56)도 스토퍼(157)와 접촉하여 선형 운동을 중지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해제돌기(133)도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4 탄성연결부(172a)는 잠금부(173)에 구속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하측 이동에 대응하여 제4 장공(131a)은 하강할 수 있다. 잠금부(173)에 의해 구속된 제4 탄성연결부(172a)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고, 상대적으로 제4 탄성연결부(172a)가 배치된 제4 장공(131a)이 하강함에 따라, 제4 탄성연결부(172a)는 제4 장공(131a)의 상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해제돌기(133)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해제돌기(133)는 잠금부(173)의 일부를 가력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173)는 회전하면서 제4 탄성부(172)의 끝단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4 탄성부(172)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바디부(131)가 하강하는 경우, 제6 탄성부(176)의 복원력에 의해 제5 탄성연결부(174a)는 아킬레스건바디부(131)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5 탄성연결부(174a)가 하강한 후 제4 탄성연결부(172a)가 잠금부(173)에서 해제되면, 제4 탄성부(17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와이어(175)를 잡아당길 수 있다. 제1 와이어(175)의 장력에 의해, 제1 와이어(175)에 연결된 제6 탄성부(176)의 길이가 늘어나고 제1 와이어(175)에 고정된 제5 탄성가력부(177)는 상승할 수 있다.
제5 탄성가력부(177)의 상승에 의해, 제5 탄성가력부(177)에 접촉된 제5 탄성연결부(174a)도 상승할 수 있다 (도 17의 (b)참고). 이때, 제4 탄성부(172)의 길이는 작아지고, 제5 탄성부(174) 및 제6 탄성부(176)의 길이는 늘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제5 탄성연결부(174a)는 상기 제5 장공 및 상기 제6 장공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4 탄성부(172)의 길이 변화 및 제5 탄성가력부(177)의 상승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4 탄성연결부(172a)는 하측에 배치되고, 제5 탄성연결부(174a)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17의 (c)참고).
사용자가 발을 지면에서 들어올리면, 도 17과 같이, 제5 탄성연결부(174a)는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할 수 있다.
제5 탄성연결부(174a) 하강에 대응하여, 제5 탄성연결부(174a)에 연결된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 및 제7 탄성부(180)의 일단은 하강할 수 있다. 제7 탄성부(180) 일단의 하강으로 제7 탄성부(180)의 타단도 하강할 수 있다.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의 하강에 의해 제1 선형롤러(162)는 하강하고, 이에 따라, 제1 선형롤러(162)에 연결된 제2 연결부(163)의 일단은 하강하고, 제3 탄성부(171)에 연결된 제2 연결부(163)의 타단은 상승할 수 있다. 제1 선형운동부(160)와 제3 탄성부(171)의 상대적인 배치에 의해, 제2 연결부(163) 타단이 상승하면, 사용자의 발목은 펴지게 된다. 사용자 발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들어올리는 경우, 사용자 발목 펴짐에 의해 사용자는 강하게 지면을 박찰 수 있다. 제7 탄성부(180)의 하강은 사용자 발목 펴짐을 도와줄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163)는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63)가 이동하는 경우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요철 부분이 형성된 부분은 제2 연결부(163)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꺾일 수 있다. 특히 아킬레스건바디부(131)의 요철 부분은 발목이 꺽일 때 발뒤꿈치 부분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제7 탄성부(180)의 일단과 타단이 이격되면서, 제7 탄성부(180)는 그 일단과 타단의 사이각이 작아지도록 하는 복원력이 저장할 수 있다.
제5 탄성연결부(174a) 상승에 대응하여, 제5 탄성연결부(174a)에 연결된 제1 선형운동바디부(161) 및 제7 탄성부(180)의 일단은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제7 탄성부(180)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은 접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아킬레스건부(130)가 상승하는 경우 상단 본체(111), 하단 외측 본체(112) 및 하단 내측 본체(113)는 일직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완전히 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킬레스건부(130)가 상승하는 경우 각 탄성부에서 복원력 내지 탄성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아킬레스건부(130)가 하강하는 경우 제1 탄성부(120)는 사용자에게 보행에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력부(150), 제2 탄성부(140) 등은 사용자가 무릎을 접을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걸음을 걷는 경우 제1 탄성부(120), 가력부(150) 및 제2 탄성부(140) 등은 사용자에게 앞으로 나갈 수 있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에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행 보조 장치(100)를 착용하고 사용자가 쪼그려 앉는 경우 제2 탄성부(140)의 절곡된 부분은 가력부(150)을 하측으로 가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력연결부(152a) 및 제2 가력연결부(152b)가 서로 접철됨으로써 보행 보조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가해지는 힘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140)는 복원력을 통하여 상단 본체(111)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시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복원력을 제공하여 적은 힘으로 사용자의 직립을 도와줄 수 있다.
따라서 보행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보행에 필요한 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보행 보조 장치(100)는 보행에 큰 보탬이 되어 주고 퇴행성관절염을 앓는 사람, 걸음걸이가 불편한 사람, 하루 종일 쭈그리고 앉아 일하는 사람, 걸음걸이를 많이 해야 하는 사람 등 다양한 상황에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할 때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보행 보조 장치 157: 스토퍼
111: 상단 본체 160: 제1 선형운동부
112: 하단 외측 본체 171: 제3 탄성부
113: 하단 내측 본체 172: 제4 탄성부
114: 신발고정부 173: 잠금부
120: 제1 탄성부 174: 제5 탄성부
130: 아킬레스건부 175: 제1 와이어
140: 제2 탄성부 176: 제6 탄성부
141: 보조탄성부 177: 제5 탄성가력부
142: 결합부재 178: 길이가변부
150: 가력부 179: 가이드롤러
151: 제1 이동부 180: 제7 탄성부
152: 가력연결부 181: 쿠션부
153: 제2 이동부 182: 제2 와이어
154: 가력탄성부 183: 절곡롤러
155: 제8 탄성부 184: 거리조절부
156: 접촉부 185: 탄성력조절부
186: 구속부 190: 고정부

Claims (6)

  1. 대퇴부에 배치되는 상단 본체;
    상기 상단 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종아리에 배치되는 하단 외측 본체;
    상기 하단 외측 본체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하단 내측 본체;
    절곡된 일부가 지면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상기 제1 탄성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단 외측 본체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아킬레스건부; 및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연결되어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하단 내측 본체를 선형 운동하는 제1 선형운동부;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신발이 안착되는 제1 탄성바디부; 및
    상기 제1 탄성바디부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제2 탄성바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바디부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 탄성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킬레스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보행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운동부는,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아킬레스건부와 연결되는 제1 선형운동바디부; 및
    상기 제1 선형운동바디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단 내측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선형롤러;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 장치.
KR1020160080903A 2016-04-15 2016-06-28 보행 보조 장치 KR10190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03A KR101909050B1 (ko) 2016-06-28 2016-06-28 보행 보조 장치
PCT/KR2017/004072 WO2017179948A2 (ko) 2016-04-15 2017-04-14 보행 보조 장치
US16/093,654 US20190125613A1 (en) 2016-04-15 2017-04-14 Walking assistance device
CN201780023764.4A CN109070340A (zh) 2016-04-15 2017-04-14 步行辅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03A KR101909050B1 (ko) 2016-06-28 2016-06-28 보행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76A true KR20180001876A (ko) 2018-01-05
KR101909050B1 KR101909050B1 (ko) 2018-10-17

Family

ID=6100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903A KR101909050B1 (ko) 2016-04-15 2016-06-28 보행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9261A (zh) * 2019-08-28 2019-11-29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辅助老年人行动的腿部外骨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9261A (zh) * 2019-08-28 2019-11-29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辅助老年人行动的腿部外骨骼装置
CN110509261B (zh) * 2019-08-28 2022-05-03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辅助老年人行动的腿部外骨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050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966B2 (en) Motion assistance apparatus
KR101508973B1 (ko) 무게중심 이동을 위한 수동 메커니즘을 갖는 보행 재활 로봇
US20190125613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KR20180030551A (ko) 다리 지지 외골격의 디자인 및 사용
US5399149A (en) Knee hinge with selectively limited motion
KR101909048B1 (ko) 보행 보조 장치
JP2011193899A (ja) 下肢装具
KR20230000723A (ko) 인체 굴 신 보조장치
JP2010110381A (ja) 歩行補助装置
CN108686337B (zh) 步行训练器械和步行训练辅助装置
KR101909050B1 (ko) 보행 보조 장치
KR20180123938A (ko) 보행 보조 로봇
KR20170118574A (ko) 보행 보조 장치
KR101909051B1 (ko) 보행 보조 장치
WO2009122557A1 (ja) 運動補助装置
JP2012115566A (ja) 下肢屈伸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101736329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보행 장치
US20240058197A1 (en) Hip joint and ankle connecting type gait assistance apparatus
US6355071B1 (en) Knee joint capable of rotating rapidly in one direction but slowly in the other
KR20100134867A (ko) 보행안정성 증대를 위한 적응형 보행 보조 장치
JP5561688B2 (ja) 底屈制動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短下肢装具
KR20160057034A (ko) 이동식 보행 훈련 장치
US10561898B1 (en) Gait assistive device
CN210611618U (zh) 一种用于穿戴式随坐椅的起身装置
KR101940898B1 (ko) 외골격 로봇의 하강보행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