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73A -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73A
KR20180001773A KR1020160080601A KR20160080601A KR20180001773A KR 20180001773 A KR20180001773 A KR 20180001773A KR 1020160080601 A KR1020160080601 A KR 1020160080601A KR 20160080601 A KR20160080601 A KR 20160080601A KR 20180001773 A KR20180001773 A KR 2018000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electric skateboard
load
pressure sensing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규
Original Assignee
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규 filed Critical 정민규
Priority to KR102016008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73A/ko
Publication of KR2018000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2017/1463Foot or toe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2Electrically powered or heated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체중 이동을 감지하여 속도를 조절하고 방향 전환 시 가속을 방지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형태로서, 탑승자가 올라서는 데크; 상기 데크의 양쪽 하부 끝단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트럭; 상기 데크와 상기 트럭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데크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 및 이 하중의 중심이동을 감지하는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감지부로부터 전송된 탑승자의 하중과 관련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Electric skateboard and method for speed control of electric skateboard}
본 발명은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체중 이동을 감지하여 속도를 조절하고 방향 전환 시 가속을 방지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가늘고 긴 널빤지의 저면 전후에 4개의 휠을 달아 달릴 수 있도록 한 놀이기구로, 한 발은 널빤지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땅을 차거나 두 발을 널빤지에 올려놓고 그 중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 추진력을 얻거나, 추진력을 얻어 달리는 놀이기구이다.
스케이트보드는 상면에 사용자가 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되 양단이 상향으로 절곡된 판상의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 부재의 저면 전후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부재와, 중앙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사프트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발판부재의 상면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차서 추진력을 얻은 후, 어느 정도 속도가 붙으면 두 발을 모두 발판부재에 올려놓고 주행을 하게 된다. 한편, 주행 중인 스케이트보드의 방향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 주행방향을 제어하되, 급격한 회전이 요구될 때에는 발판부재 뒤쪽을 살짝 눌러 뒤쪽 휠을 중심으로 스케이트보드를 약간 들어 올려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케이트보드는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발로 땅을 차거나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야 하므로 동작이 매우 어렵고 힘이 많이 들며, 중심을 잡기도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여 스케이트보드를 손쉽게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케이트보드는 움직이기 위해 체력소모가 심하여 속도를 조작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어려워 배우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스케이트보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동 스케이트보드가 개발되었지만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무선조종기로 속도를 조작한다. 하지만 무선조종기는 전파 방해로 인한 조작불능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일반 스케이트보드와 다르게 손의 자유로움이 없으며 무선조종기를 따로 챙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주행 시 대부분 전진방향 발에 하중을 두어 방향을 전환하는데 체중이동 조작만으로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한다면 방향전환 시에도 가속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기존 전동스케이트보드는 무선조종기를 손으로 조작함으로 조작의 일체감, 몰입감이 떨어지게 되며 체중이동 조작방식은 방향 전환 시 가속되며 회전반경이 커져 원하는 만큼 방향을 조작하기 힘들어 넘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US 9302173 B2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동 스케이트보드가 탑승자의 체중 이동을 감지하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방향을 전환할 때에 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형태로서, 탑승자가 올라서는 데크; 상기 데크의 양쪽 하부 끝단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트럭; 상기 데크와 상기 트럭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데크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 및 이 하중의 중심이동을 감지하는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감지부로부터 전송된 탑승자의 하중과 관련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압력센서가 고정된 고정부를 덮으며 상기 데크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압력센서가 동작되도록 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는 상기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탄성 계수가 달라지도록 강도 및 두께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으로서, (a) 데크의 전방 및 후방에 압력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탑승자의 하중을 판독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의 판독 결과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좌우로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좌우로의 중심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방향전환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b)에서부터 단계 (d)까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와 단계 (c) 사이에 후방으로의 중심이동인 경우, 감속이라 이에 대응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주행 시 대부분 전진방향 발에 하중을 두어 방향을 전환하는데 체중이동 조작만으로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한다면 방향전환 시에도 가속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압력센서의 신호차를 바탕으로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좌우 무게이동 판단으로 방향전환 상태를 검출하여 이 경우에는 가속되지 않도록 함으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압력 감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센서위치와 변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탑승자의 중심이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스케이트보드(100)는 데크(110)와, 이 데크(110)와 결합된 트럭(120a, 120b)과, 데크(110)와 각각의 트럭(120a, 120b) 사이에 마련된 압력 감지부(130a, 130b)와, 데크(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동 스케이트보드(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데크(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긴 널빤지 형태이며, 탑승자가 올라서도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성체이다. 일반적으로 단단한 목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방과 후방을 디자인적으로 달리하여 구분지어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데크(110)의 양쪽 하부 끝단, 즉 전방 하부에는 전방 트럭(120a)이, 후방 하부에는 후방 트럭(120b)이 결합된다. 또한 데크(110)의 중심쪽 하부에는 전자장비부(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10)의 중심부가 데크(110)의 양쪽 끝단보다 지면과 가깝게 설계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탑승자가 데크(110)위에 올라섰을 때 안정감을 주기 위함이며, 다른 한편은 데크(110)가 트럭(120a, 120b)과 결합되므로 양쪽 끝단을 중심부보다 높게 제작한다.
전방 트럭 및 후방 트럭(120a, 120b)은 데크(110)의 양쪽 끝단 하부에 연장되어 결합되는데, 결합수단(150)인 나사에 의하여 데크(110)의 전방에는 전방 트럭(120a)이 후방에는 후방 트럭(120b)이 결합된다. 이때 전방 트럭 및 후방 트럭(120a, 120b)이 데크(1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위치되도록 지지해준다. 그리고 전방 트럭 및 후방 트럭(120a, 120b)은 모터가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는데 바퀴는 트럭(120a, 120b)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지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통하여 회전하여 구동된다.
압력 감지부(130a, 130b)는 데크(110)의 양쪽 하부 끝단과 이 데크(110)의 양쪽 하부 끝단에 결합된 각각의 전방 트럭(120a)및 후방 트럭(120b) 사이에 마련된다. 이때 전방에 마련되면 전방 압력 감지부(130a)이고, 후방에 마련되면 후방 압력 감지부(130b)이다.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130a, 130b)는 데크(110)위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을 측정 감지한다. 또한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130a, 130b)는 탑승자의 하중 및 이 탑승자의 하중이 전방으로 이동하는지 후방으로 이동하는지와 우측으로 이동하는지 좌측으로 이동하는지를 감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압력 감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한 전방 압력 감지부(130a)와 후방 압력 감지부(130b)에 도 4의 구조가 동일하게 구비되지만 본 도 4의 설명에서는 전방 압력 감지부(130a)의 구조로만 설명한다.
전방 압력 감지부(130a)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131a)와, 이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131a)를 고정하는 고정부 밑판(132a)과, 이 고정부 밑판(132a)을 덮는 고정부 덮개(133a)와 고정부 덮개(133a) 위를 덮는 완충부(134a)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131a)는 로드셀(Load Cell)로 힘(Force)이나 하중(Load)등의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힘이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Transducer)이다. 물체는 힘이나 하중에 의하여 이에 비례하는 변형이 발생하며 단위길이당 발생하는 변형량을 변형률(Strain)이라고 한다. 이때 발생되는 변형률은 힘이나 하중의 크기에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학적 필요에 의하여 변형률의 측정이 요구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개발된 측정소자(Sensor)가 스트레인 게이지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물체의 전기 저항값은 길이와 단면 변화에 의하여 변화한다."는 원리를 기초로 한다. 로드셀은 힘이나 하중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변형을 발생시키는 탄성 변형체(Elastic Strain Member)의 수감부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전기저항 변화로 변환시키고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정밀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압력 센서(131a)를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130a, 130b) 각각에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를 사용하였으며, 이 4개의 압력센서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부 밑판(132a)에 배열하여 고정시키는데 일정거리를 두고 전방을 향하여 2열 2행으로 배열하였다. 앞뒤로 1행이 아닌 2행을 배열한 것은 조금 더 세밀한 전후방 무게이동을 판단하기 위함이며, 좌우도 1열이 아닌 2열로 배열한 것 또한 좌우 무게이동을 세밀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압력 센서(131a)는 요철형태 이거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 밑판(132a) 및 고정부 덮개(133a)는 강체이며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철일 수 있고, 고정부 밑판(132a)위에 압력센서(131a) 4개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열하여 위치시키고, 고정부 덮개(133a)로 덮어 완전히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 밑판(132a)과 고정부 덮개(133a)는 압력 센서(131a)의 형태에 따라(본 발명에서는 요철 형태) 고정부 밑판(132a)과 고정부 덮개(133a)로 나누어서 압력 센서(131a)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요철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일 경우에는 압력 센서(134a)의 형태에 대응되는 일체형이거나 다른 고정부의 형태로 이 압력 센서(131a)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 덮개(133a) 위에 연질의 완충부(134a, 134b)를 덮어 상기 데크(110)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압력센서(131a)가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 밑판(132a)위에 압력센서(131a) 4개를 부착하여 설치하고 고정부 덮개(133a)로 고정할 때, 고정부 덮개(133a)로 압력센서(131a)를 둘러쌓아 포함하는 구멍(원모양)의 내주면이 압력센서(131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공간이 자리하지 않도록 꽉 채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고정부 덮개(133a)위에 덮어지는 완충부(134a)로 압력센서(131a)를 둘러쌓아 포함하는 구멍(원모양)의 내주면이 압력센서(131a)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고 공간이 자리하도록 하여 하중에 의하여 완충부(134a)에 변형이 생길 경우 압력센서(131a)의 하중변형 측정이 자유롭도록 제작한다.
완충부(134a)는 연질의 고무로써, 데크(110) 위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체중에 의하여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데크(110)위에 탑승자가 올라서면 압력 감지부(130a)의 고무(134a)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하여 사방으로 늘어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이 이루어지며 이는 탑승자의 체중에 따라 변형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이때 압력 센서(131a)는 고무의 변형 즉 탄성 변형율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완충부(134a)의 재질은 탄성을 가지며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탄성 계수가 달라지므로 강도 및 두께를 달리 할 수 있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데크(110) 하부의 중앙쪽에 마련된 전자장비부(140) 내부에 구비된다. 전자장비부(140)에는 제어부 외에 배터리도 함께 구비된다. 전자장비부(140)가 데크(110) 하부의 중앙쪽에 마련되는 것은, 데크(110)에 탑승자가 올라서는 경우, 이 올라선 탑승자의 체중으로부터 발생하는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수평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전자장비부(140)의 무게를 바탕으로 데크(110) 하부의 중앙쪽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압력 센서 위치와 변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압력 센서 위치와 변수를 설명하면,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방 및 후방 압력감지부(130, 130b)는 각각이 4개의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전방 압력감지부(130a)의 4개의 압력센서는 전방을 시작으로 우측과 좌측에 2개씩 배열되며 전방의 우측 압력센서는 f1, f2이고, 전방 좌측 압력센서는 f3, f4이다. 그리고 후방 우측 압력센서는 r1, r2이고, 후방 좌측 압력센서 r3, r4이다. 이때, 전방 압력센서인 f1, f2, f3, f4의 합은 fs 이고, f1과 f2를 합한 값인 fr은 전방 우측 압력 센서 값의 합이다. 그리고 f3와 f4를 합한 값인 fl은 전방 좌측 압력센서 값의 합이 된다. 또한 r1, r2, r3, r4를 모두 합한 rs는 후방 압력센서 값의 합이고, 전방 압력센서 값의 합인 fs에서 후방 압력센서 값의 합인 rs를 뺀 A의 값이 양수이면 가속이 되고, 음수이면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A의 값이 양수로 가속이 이루어질 때 전방 우측 압력센서 값의 합인 fr에서 전방 좌측 압력센서 값의 합인 fl을 뺀 절대값 D가 좌우 중심이동 판단값이라 한다.
도 6을 바탕으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전방 및 후방 압력감지부(130a, 130b)의 압력 센서들을 초기화시킨다(S100). 여기서 압력 센서들의 초기화는 데크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함으로 전방 및 후방 압력감지부(130a, 130b)의 완충부(134a, 134b)는 연질형태로 변형을 가지므로 사용에 의하여 변질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압력 센서(131a, 131b)들의 변형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134a, 134b)의 사용 상태로 인한 압력 센서들의 초기화 값을 전동 스케이트보드 사용 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초기화함으로 고무(134a, 134b)의 변형으로 인한 압력 센서(131a, 131b)들의 초기화값을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 (S100)에서의 압력센서들을 초기화시킨 후, 데크의 전방과 후방의 두지지점으로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을 감지한다(S110). 두지지점에서의 압력센서 신호들의 합은 일정하며, 탑승자의 체중과 같다. 전방 압력감지부의 압력센서 신호와 후방 압력감지부의 압력센서 신호차의 최대는 (+)값의 탑승자의 체중이 되며, 최저는 탑승자 체중의 (-)값을 가진다. 즉 (-)탑승자 체중값에서 (+)탑승자 체중값이 가감속 입력범위가 되지만, 사람의 체중은 모두 다르므로 탑승자 체중값을 100%로 환산하여 출력값으로 정한다.
상기 단계(S110)에서 탑승자의 하중이 감지되면 탑승자 체중값으로 환산하여 출력값이 정해지면 데크의 전방과 후방의 두 지지점으로부터 가해지는 탑승자의 하중에서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판단 결과(S120), 탑승자의 하중에서 중심이동이 있을 경우에는, 앞서 도 6에서의 전방 압력센서 값의 합(fs)에서 후방 압력센서 값의 합(rs)의 차가, 전방 압력감지부의 값이 큰 양수일 경우에는 하중의 중심이 전방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방 압력센서 값의 합(fs)에서 후방 압력센서 값의 합(rs)의 차가 전방 압력감지부의 값이 작을 경우에는 하중의 중심이 후방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심이동이 전방으로의 이동이면 전방 압력감지부의 값이 큰 경우이므로 가속상태가 된다(S150).
그러나 탑승자의 하중으로부터 중심이동이 있는지 판단하여(S120), 중심이동이 있을 경우,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전방으로의 중심이 있을 경우, 좌우로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40).
상기 단계(S140)에서의 판단결과, 좌우로의 중심이동이 있는 경우 방향전환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고 탑승자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여기서 좌우 중심 이동이 있다는 것은 전방 우측 압력센서의 합과 전방 좌측 압력센서의 합 중 어느 한쪽의 합이 큰 경우로, 이는 좌우 무게 이동값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방향전환 상태로 간주한다.
반면, 중심이동이 있으나(S120), 전방 압력감지부의 값이 크지 않고 후방 압력감지부가 값이 커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아니고, 후방으로의 중심이동이면(S160) 감속 상태로 모터를 동작시킨다(S170).
도 7은 본 발명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을 이용한 탑승자의 방향전환 자세를 나타낸 도면으로 전동 스케이트보드 탑승자가 우측방향으로 턴을 하고자 몸이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우측방향으로 체중이동이 옮겨가기 때문에 우측압력센서의 신호가 더 커지게 되며, 전동 스케이트보드 탑승자가 좌측방향으로 턴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좌측방향으로 체중이동이 옮겨가기 때문에 좌측압력센서의 신호가 더 커져 좌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방향 전환 시에는 가속을 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전동 스케이트보드
110: 데크
120a, 120b: 전방 및 후방 트럭
130a, 130b: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
131a: 압력 센서
132a: 고정부 밑판
133a: 고정부 덮개
134a: 완충부
140: 전자장비부

Claims (6)

  1.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형태로서, 탑승자가 올라서는 데크;
    상기 데크의 양쪽 하부 끝단에 결합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전방 및 후방 트럭;
    상기 데크와 상기 트럭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데크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로부터 전송된 탑승자의 하중과 관련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속도 조절이 가능한 전동 스케이트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로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압력 감지부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압력센서가 고정된 고정부를 덮으며 상기 데크에 올라선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압력센서가 동작되도록 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탄성 계수가 달라지도록 강도 및 두께가 달라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5.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으로서,
    (a) 데크의 전방 및 후방의 압력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탑승자의 하중을 판독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의 판독 결과,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전방으로의 중심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좌우로의 중심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좌우로의 중심이동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방향전환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b)에서부터 단계 (d)까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단계 (c) 사이에 후방으로의 중심이동인 경우, 감속이라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KR1020160080601A 2016-06-28 2016-06-28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KR20180001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01A KR20180001773A (ko) 2016-06-28 2016-06-28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601A KR20180001773A (ko) 2016-06-28 2016-06-28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73A true KR20180001773A (ko) 2018-01-05

Family

ID=6100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601A KR20180001773A (ko) 2016-06-28 2016-06-28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6559A (zh) * 2018-02-27 2019-09-03 深圳市奕博科技有限公司 体感滑板车及其驱动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00026020A (ko) * 2018-08-31 2020-03-10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 감응모듈, 힘 센서와 스쿠터
US11406890B1 (en) 2017-08-25 2022-08-09 David Jackson Skateboard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6890B1 (en) 2017-08-25 2022-08-09 David Jackson Skateboard assembly
CN110196559A (zh) * 2018-02-27 2019-09-03 深圳市奕博科技有限公司 体感滑板车及其驱动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0196559B (zh) * 2018-02-27 2020-12-15 深圳市奕博科技有限公司 体感滑板车及其驱动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00026020A (ko) * 2018-08-31 2020-03-10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 감응모듈, 힘 센서와 스쿠터
US10850182B2 (en) 2018-08-31 2020-12-01 Ninebot (Beijing) Tech Co., Ltd. Resistance strain sheet, sensing assembly, force sensor and skate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3044B1 (en) Portable two-wheeled self-balancing personal transport vehicle
US10308306B2 (en) Vehicle rider detection using strain gauges
US11484775B2 (en) Electric skateboard with strain-based controls and methods
US20200215419A1 (en) Weight sensing suspension truck for electric skateboard
US9999827B2 (en) Self-balancing skateboard with strain-based controls and suspensions
WO2003068342A1 (fr) Planche a roulettes autonome
US20100025139A1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coaxial two-wheel vehicle
US9526977B2 (en) Powered skate with automatic motor control
JP5024652B2 (ja) 車両
KR20180001773A (ko) 전동 스케이트보드 및 이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속도 조절 방법
US10160503B1 (en) Electric skateboard with motion assistant gravity control
CN106585805A (zh) 基于应变控制的自平衡电动车
US20100017106A1 (en) Vehicle
US20150008058A1 (en) One-man riding mobile apparatus
KR100737394B1 (ko) 트레드밀의 자동속도조절장치 및 그 조절 방법
KR20090048584A (ko) 전기 운송수단의 속도 제한
CA3029079A1 (en) Single wheel self-balancing vehicle with tire permitting carving motion
JP2006217952A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JP5167077B2 (ja) 移動体、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26975B1 (ko) 인체유도장치를 구비한 이륜차
WO2018069967A1 (ja) 一人乗り移動機器
CN111591382A (zh) 人机互动体感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