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39U -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39U
KR20180001739U KR2020160007024U KR20160007024U KR20180001739U KR 20180001739 U KR20180001739 U KR 20180001739U KR 2020160007024 U KR2020160007024 U KR 2020160007024U KR 20160007024 U KR20160007024 U KR 20160007024U KR 20180001739 U KR20180001739 U KR 20180001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assembly
external operation
opera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윤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39U/ko
Publication of KR20180001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6Distinguishing marks, e.g. colour co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01H71/1018Interconnected mechanisms with only external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패널 도어에 설치되어 패널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차단기의 On/Off/Trip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조작홈이 형성되는 조작 어셈블리; 패널 도어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핸들 어셈블리; 일단이 상기 조작홈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1 샤프트;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1 샤프트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External Rotary Handl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패널 도어에 설치되어 패널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차단기의 On/Off/Trip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와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및 전원측에서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개폐 기구에는 수동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핸들이 구비된다.
배선용 차단기에는 사용의 편의성이나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내, 외부에 부속장치(Accessories)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속장치의 하나로 외부조작 핸들(External Rotary handle)이 있다. 외부조작 핸들은 배전반의 패널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차단기의 상태(ON, OFF, TRIP)를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조작 핸들이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조작 핸들의 부착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표면부착형 핸들이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로서, 표면부착형 핸들(2)이 배선용 차단기(1)의 외함에 직접 결합된다. 사용자는 표면부착형 핸들(2)에 표시되는 차단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핸들을 회전시켜 차단기를 조작할 수 있다. 표면부착형 핸들(2)을 설치하는 경우, IP보호등급에 따른 기준에 있어서 '지름 1mm의 긴 물체(탐침)가 통과하지 못한다'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확장형 핸들이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와 패널 도어와의 거리가 멀어서 핸들을 패널 도어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확장형 핸들을 설치하는 경우, IP보호등급에 따른 기준에 있어서 '먼지와 물이 어떤방향에서도 들어가지 못한다'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확장형 외부 조작핸들의 구성은 배선용 차단기(1)의 외함에 직접 설치되는 조작 어셈블리(3), 패널 도어(6)에 부착하는 핸들 어셈블리(4), 그리고 핸들 어셈블리(4)와 조작 어셈블리(3)를 연결하는 샤프트 어셈블리(5)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용 차단기를 배전반 내부에 설치 후 외부조작 핸들을 부착하는 순서는, 먼저 조작 어셈블리(3)는 배선용 차단기(1)에 결합시킨 후 샤프트 어셈블리(5)를 조작 어셈블리(3)에 조립하고, 패널 도어(6)의 외부에 핸들 어셈블리(4)를 부착하여 패널 도어(6)를 닫을 때 핸들 어셈블리(4)와 샤프트 어셈블리(5)가 결합되도록(샤프트 어셈블리(5)가 핸들 어셈블리(4)에 자동적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패널 도어(6)의 외부에서 핸들 어셈블리(4)를 조작할 때 핸들 어셈블리(4)의 회전력이 샤프트 어셈블리(5)를 통해 조작 어셈블리(3)에 전달되어 패널 내부에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의 ON/OFF/TRIP 동작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샤프트 어셈블리(5)의 상세도로서, 샤프트 어셈블리(5)는 샤프트(5a)와 샤프트 핀(5b)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용 차단기(1)를 배전반 등에 설치한 후 패널 도어(6)에 외부 조작 핸들을 설치하는 경우, 조작 어셈블리(3)와 핸들 어셈블리(4)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샤프트(5a)를 사용하여야 한다. 샤프트(5a)의 길이가 길거나 짧으면 외부조작 핸들의 사용시, 패널 도어(6)를 닫는 경우 조작 어셈블리(3)와 샤프트 어셈블리(5)의 결합 부분 또는 샤프트 어셈블리(5)와 핸들 어셈블리(4)의 결합 부분에서 불량이 발생하여 배선용 차단기(1)를 적절히 조작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샤프트(5a)의 길이가 특정한 몇 개로 정해져 있어서, 설치상의 자유도가 감소하고, 사용상에 있어 조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또한, 설치시 샤프트의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샤프트를 커팅 가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샤프트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배전반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가 자유롭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한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조작홈이 형성되는 조작 어셈블리; 패널 도어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핸들 어셈블리; 일단이 상기 조작홈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1 샤프트;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1 샤프트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에는 제1 고정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홀에 연결되는 제2 고정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홀의 갯수는 상기 제1 고정홀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샤프트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관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각각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2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샤프트의 제2핀과 타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2핀 삽입홈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고정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핀 삽입홈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에 의하면 샤프트 어셈블리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로 구분 구성되어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임의의 길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면부착형 외부조작 핸들이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확장형 외부조작 핸들이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샤프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조작 핸들이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각각 조작 어셈블리의 상부사시도 및 핸들 어셈블리의 하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샤프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결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적용된 샤프트 어셈블리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도 4에서 제2 샤프트와 회전자 결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 조작핸들이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조작 어셈블리 및 핸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은 도 4에서 샤프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은 배선용 차단기(10)의 외함(11)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조작홈(23)이 형성되는 조작 어셈블리(20); 패널 도어(19)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끼움홈(33)이 형성되는 핸들 어셈블리(30); 일단이 상기 조작홈(23)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43)이 형성되는 제1 샤프트(40);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홈(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끼움홈(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샤프트(45); 및 상기 제2 샤프트(45)를 상기 제1 샤프트(40)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선용 차단기(10)는 전기 회로상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선용 차단기(10)는 내부에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로 구성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회동시키는 개폐기구부, 회로에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개폐기구를 작동시키는 트립부,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를 소호하고 배출하는 소호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배선용 차단기(10)는 대략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외함(11)을 갖고 있다. 외함(11)의 상부에는 수동으로 개폐기구를 조작할 수 있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조작 어셈블리(20)는 배선용 차단기(10)의 핸들을 조작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조작 어셈블리(20)의 상부에는 연결핸들(22)이 구비된다. 연결핸들(22)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On, Off, Trip 작동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연결핸들(22)의 일부는 돌출되어 표시부(21)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21)는 연결핸들(22)의 현재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핸들(22)의 현재 위치는 배선용 차단기(10)의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 상태는 On, Off, Trip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결핸들(22)에는 상부에 제1 샤프트(40)를 끼울 수 있는 조작홈(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작홈(23)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조작홈(23)의 횡단면은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샤프트(40)가 조작홈(23)에 끼워지면 제1 샤프트(40)의 회전력에 의해 연결핸들(22)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조작홈(23)의 일부에는 제1핀홀(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핀홀(24)에 삽입되는 제1핀(미도시)에 의해 제1 샤프트(40)는 연결핸들(22)에 핀결합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샤프트(40)의 횡단면이 원형이어도 미끄러짐 없이 제1 샤프트(40)의 회전력이 연결핸들(22)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핸들 어셈블리(30)는 패널 도어(19)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수동 조작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핸들 어셈블리(30)에는 외부핸들(31)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외부핸들(31)을 회전시켜 조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외부핸들(31)의 하부에는 회전자(32)가 마련된다. 회전자(32)는 핸들 어셈블리(3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자(32)는 제2 샤프트(45)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회전자(32)의 하부에 끼움홈(33)이 형성된다. 끼움홈(33)에 제2 샤프트(45)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끼움홈(3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제2핀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제2핀 삽입홈(34)에 결합되는 제2핀(49a)에 의해 제2 샤프트(45)는 핸들 어셈블리(30)에 (구체적으로는 회전자(32)에) 결합된다.
도 4,7을 참조하여, 샤프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샤프트 어셈블리는 제1 샤프트(40)와 제2 샤프트(45) 및 결합부재(50)를 포함한다.
제1 샤프트(40)는 적절한 길이로 마련된다. 제1 샤프트(40)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제1 샤프트(40)는 조작 어셈블리(20)의 조작홈(23)에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결합부(41)와 제2 샤프트(45)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43)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결합부(42)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41)는 제1 샤프트(4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제1 슬라이딩 결합부(42)는 제1 샤프트(40)의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샤프트(40)에서 제1 결합부(41)와 제1 슬라이딩 결합부(42)의 길이는 적절하게 배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결합부(42)에는 축방향을 따라 중공(hollow)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3)이 마련된다. 이때, 슬라이딩홈(43)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43)에는 제2 샤프트(45)가 삽입된다.
제1 슬라이딩 결합부(42)에는 제1 고정홀(44)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제1 고정홀(44)은 결합부재(50)를 이용하여 제2 샤프트(45)를 제1 샤프트(40)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제1 고정홀(44)은 제1 샤프트(40)의 타단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는 최대한 확보될 수 있다.
제1 고정홀(44)은 제1 슬라이딩 결합부(42)의 일부, 즉 제1 샤프트(40)의 타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고정홀(44)이 3개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고정홀(44)에 있어서 각 제1 고정홀(44) 간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샤프트(45)는 적절한 길이로 마련된다. 제2 샤프트(45)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샤프트(45)는 제1 샤프트(40)의 슬라이딩홈(43)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와 핸들 어셈블리(3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47)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는 제2 샤프트(45)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제2 결합부(47)는 제2 샤프트(45)의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샤프트(45)에 있어서,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와 제2 결합부(47)의 길이는 적절하게 배분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의 횡단면은 제1 샤프트(40)의 슬라이딩홈(43)의 횡단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샤프트(45)가 제1 샤프트(40)의 슬라이딩홈(43) 내에서 무리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의 횡단면의 가로,세로 길이는 슬라이딩홈(43)의 횡단면의 가로,세로 길이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에는 제2 고정홀(48)이 복수 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고정홀(48)의 각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홀(48)의 간격은 제1 고정홀(44)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1 고정홀(44)은 각각의 제2 고정홀(48)에 연통될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40)에 제2 샤프트(45)가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될 때, 어느 하나의 제1 고정홀(44)이 어느 하나의 제2 고정홀(48)에 연통할 경우에는 나머지 제1 고정홀(44)도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고정홀(48)에 인접한 제2 고정홀(48)에 연통된다.
제2 고정홀(48)은 제2 슬라이딩 결합부(46)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홀(48)은 제1 고정홀(44)의 갯수보다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홀(48)이 형성된 부분이 길어질수록 샤프트 어셈블리의 신축 범위는 늘어나게 된다.
제2 결합부(47)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7)의 횡단면의 형상은 핸들 어셈블리(30)의 끼움홈(33)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부(47)의 횡단면 및 끼움홈(33)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결합부(47)의 횡단면의 직경은 끼움홈(33)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부(47)에는 제2핀홀(49)이 형성된다. 제2핀홀(49)에는 제2핀(49a)이 삽입된다. 제2핀홀(49)에는 제2핀(49a)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결합부(47)에는 제2핀홀이 형성되지 않고, 단지 제2핀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4에서 샤프트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결합부분의 단면도, 도 9는 샤프트 어셈블리의 조립도이다.
결합부재(50)는 제2 샤프트(45)를 제1 샤프트(40)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결합부재(50)는 제1 샤프트(40)의 제1 고정홀(44) 및 제2 샤프트(45)의 제2 고정홀(48)에 삽입된다. 결합부재(50)는 제1 고정홀(44)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50)는 제1 고정홀(44) 및 제2 고정홀(48)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재(50)의 길이는 제1 샤프트(4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결합부재(50)는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5)는 결합부재(50)에 의해 제1 샤프트(40)와 제2 샤프트(45)가 연결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지지부재(55)는 제1 샤프트(40)의 타단부의 외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지지부재(55)는 관(pi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5)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홀(56)의 단면은 제1 샤프트(40)의 외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5)의 일단은 그대로 개방되고, 타단에는 걸림부(57)가 형성된다. 걸림부(57)는 제1 샤프트(40)의 타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일 수 있다. 걸림부(57)는 리브 또는 돌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어셈블리의 조립 및 길이조절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샤프트(45)를 제1 샤프트(40)의 특정한 위치에서 놓은 후(물론, 이때 제1 고정홀(44)과 제2 고정홀(48)은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결합부재(50)를 제1 고정홀(44) 및 제2 고정홀(48)에 끼우고, 지지부재(55)를 제2 샤프트(45)를 거쳐 제1 샤프트(40)의 타단부에 끼운다. 지지부재(55)의 걸림부(57)가 제1 샤프트(40)의 타단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끼워 고정시킨다. 결합부재(50)는 지지부재(55)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이탈하지 않으며, 제1 샤프트(40)와 제2 샤프트(45) 간의 결합상태는 안정되게 유지된다. 배전반 또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10)에 결합된 조작 어셈블리(20)와 패널 도어(19)에 설치된 핸들 어셈블리(30)간의 거리에 적절한 길이로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과 도 10을 참조하여 제1 고정홀(44) 간의 간격에 대한 보정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더라도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는 제1 고정홀(44) 간의 간격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홀(44) 간의 간격이 1cm로 설정되어 있다면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는 1cm 단위로 신축되므로 임의의 길이에 대한 미세한 조절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임의의 길이에 대해 적용하기 위한 보완 작용을 위해, 제2 샤프트(45)의 제2핀홀(49)과 타단 사이의 길이(L)는 핸들 어셈블리(30)의 제2핀 삽입홈(34)의 깊이(D)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핀(49a)은 제2핀 삽입홈(34)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제2핀(49a)이 제2핀 삽입홈(34) 내에서 위치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제1 고정홀(44)(또는 제2 고정홀(48)) 사이의 간격(G)은 제2핀 삽입홈(34)의 깊이(D)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인접한 제1 고정홀(44) 간의 간격(G)이 1cm로 설정되고, 제2핀 삽입홈(34)의 깊이(D)는 1.5cm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샤프트 어셈블리에서 미세하게 조절되지 못하는 부분은 제2핀 삽입홈(34) 내에서 보완된다. 다시 말하면,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가 조작 어셈블리(20)의 조작홈(23)과 핸들 어셈블리(30)의 끼움홈(33) 사이의 거리에 설정 간격(예를 들어 1cm) 이내의 범위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2핀(49a)은 제2핀 삽입홈(34) 내에 존재하게 되므로 작동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결국,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조작 핸들에 의하면, 임의의 거리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샤프트 어셈블리가 제1 샤프트(40)와 제2 샤프트(45)로 구분 구성되어 샤프트 어셈블리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임의의 길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140)의 슬라이딩홈(143)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2 샤프트(145)의 제2 슬라이딩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딩홈(143)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샤프트(140)의 외면은 전 실시예처럼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따. 또한, 결합부재(150) 및 지지부재(55)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45)의 제2 슬라이딩 결합부와 슬라이딩홈(143)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 제2 샤프트(145)를 제1 샤프트(140)에 끼울 때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이 90도 어긋나게 결합되는 오류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배선용 차단기 19 패널 도어
20 조작 어셈블리 21 표시부
22 연결핸들 23 조작홈
24 제1핀홀 30 핸들 어셈블리
31 외부핸들 32 회전자
33 끼움홈 34 제2핀 삽입홈
40 제1 샤프트 41 제1 결합부
42 제1 슬라이딩 결합부 43 슬라이딩홈
44 제1 고정홀 45 제2 샤프트
46 제2 슬라이딩 결합부 47 제2 결합부
48 제2 고정홀 49 제2핀홀
49a 제2핀 50 결합부재
55 지지부재 56 관통홀
57 걸림부

Claims (12)

  1. 배선용 차단기의 외함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조작홈이 형성되는 조작 어셈블리;
    패널 도어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핸들 어셈블리;
    일단이 상기 조작홈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는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제1 샤프트;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1 샤프트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에는 제1 고정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홀에 연결되는 제2 고정홀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의 갯수는 상기 제1 고정홀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고정홀 및 제2 고정홀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샤프트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관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부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각각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제2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제2핀과 타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2핀 삽입홈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고정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핀 삽입홈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KR2020160007024U 2016-12-02 2016-12-02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KR201800017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24U KR20180001739U (ko) 2016-12-02 2016-12-02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24U KR20180001739U (ko) 2016-12-02 2016-12-02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39U true KR20180001739U (ko) 2018-06-12

Family

ID=6259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24U KR20180001739U (ko) 2016-12-02 2016-12-02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004B2 (en)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retractable power connector and interlocks including a power connector position interlock
US10720761B2 (en) Motor control center (MCC) units with slidable shutters
EP3259769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interfac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KR101853859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터미널 구조
AU2018357310B2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KR101830669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유닛
KR20180069580A (ko)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US20150041293A1 (en) Circuit breaker
US10256052B2 (en) Integrated inter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269853B1 (ko) 배전반 변압기실의 변압기 위치조절 방지장치
KR20180001739U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
US10141129B2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200443235Y1 (ko) 누전 차단기를 구비하는 멀티탭
US9754751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20160069338A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KR10166802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유닛
US8780534B2 (en) Swing out mount
KR101825062B1 (ko) 일체형 아크 프리 모듈이 구비된 모터컨트롤센터
KR1025177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20160090684A (ko) 링메인유닛(rmu)의 인터록 장치
CN109712832B (zh) 一种防误操作系统及插接箱
US8076600B2 (en) Contact actuat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
KR200487464Y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81047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메커니즘 연결 구조
KR101759600B1 (ko)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