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600B1 -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600B1
KR101759600B1 KR1020150187744A KR20150187744A KR101759600B1 KR 101759600 B1 KR101759600 B1 KR 101759600B1 KR 1020150187744 A KR1020150187744 A KR 1020150187744A KR 20150187744 A KR20150187744 A KR 20150187744A KR 101759600 B1 KR101759600 B1 KR 10175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ar
fixing bracket
button
base plat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645A (ko
Inventor
한대수
양승필
김종두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6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또는 배전반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크래들 도어의 외부에서 안전하게 차단기 본체를 On/Off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는 크래들 도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크래들 도어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온/오프 버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온/오프 버튼에 의해 눌러지면 진공차단기 본체의 온,오프 버튼을 작동시키는 한 쌍의 푸시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Apparatus for Operation of On/Off Button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또는 배전반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크래들 도어의 외부에서 차단기 본체를 안전하게 On/Off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 VI)에서 진공 소호방식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 설치되며, 배전반에 고정되는 크래들(배전함, Cradle, Compartment) 내부에 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과 도 2에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 크래들과 진공차단기 본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크래들에 진공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 진공차단기 본체는 테스트 위치 및 운전 위치에 놓여 있다.
크래들(1)에는 전면부에 크래들 도어(3)가 구비되고, 후면부에 전원 및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크래들 터미널(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크래들 도어(3)에는 차단기 본체(5)의 본체 전원(On/Off) 버튼(6) 조작을 위하여 조작 로드(9)를 삽입할 수 있는 조작홀이 형성되고, 조작홀에는 조작홀 커버(4)가 구비된다.
차단기 본체(5)에는 전면부에 본체 전원(On/Off) 버튼(6)이 구비되고, 후면부에 터미널(8)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차단기 본체(5)를 인입출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7)가 구비된다.
크래들(1) 내부에는 차단기 본체(5)의 터미널(8)이 크래들 터미널(2)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Serive) 위치, 차단기 본체(5)의 터미널(8)이 크래들 터미널(2)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시험(Test) 위치를 가지고 있다.
도 4에 차단기 본체(5)가 운전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크래들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로드(9)를 이용하여 본체 전원 버튼(6)을 조작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크래들 도어(3)는 생략되고 조작홀 커버(4)만 도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에 있어서는 차단기 본체(5)가 운전 위치에 있고 크래들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 전원 버튼(6)을 조작하기 위해 조작홀 커버(4)를 열고 조작 로드(9)를 삽입하여 본체 전원 버튼(6)을 작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한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조작홀 커버(4)를 개방한 상태로 운전할 가능성 있다. 이 경우, 크래들 도어(3)의 밀폐성이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둘째, 조작 로드(9)의 조작 중에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조작홀의 틈새로 아크가 유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조작 로드(9)가 분실된 경우 긴급 상황 발생시 대처능력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크래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차단기 본체의 On/Off 작동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는 크래들 도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크래들 도어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온/오프 버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온/오프 버튼에 의해 눌러지면 진공차단기 본체의 온,오프 버튼을 작동시키는 한 쌍의 푸시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온/오프 버튼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을 회동시켜주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축브래킷; 상기 한 쌍의 축브래킷 및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 및 상기 회전축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돌출되는 회전축핀; 및 상기 핸들의 후방에 돌출되는 핸들샤프트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핀을 움직일 수 있는 샤프트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수직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수평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각도조절수단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 설치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끼워지는 각도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푸시 바의 일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푸시 바를 복귀시킬 수 있는 푸시 바 복귀스프링;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바의 일단에는 상기 온/오프 버튼이 접촉할 수 있는 접촉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바의 일단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온/오프 버튼과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푸시 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길이조절용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이 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의하면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크래들 도어에 상시적으로 설치되므로 유지되므로 별도의 부속 장치없이 차단기 본체의 On/Off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응급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크래들 도어에 조작홀을 형성하지 않고 외부와 완벽한 차단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핸들을 수직으로 놓은 상태에서는 본체 전원 버튼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On/Off 버튼에 대한 선택적 동작만 가능하도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체 전원 버튼에 대한 정확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장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 조절 수단과 각도 조절 수단이 구비되므로 스트로크의 과부족이나 및 방향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차단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크래들에 진공차단기 본체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진공차단기 본체는 테스트 위치에 놓여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진공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푸시 바를 이용하여 진공차단기 본체의 On/Off 버튼을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크래들 도어는 생략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설치된 진공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크래들 도어와 측면부는 생략되었다. 또한, 진공차단기 본체는 테스트 위치에 있다.
도 6은 도 5에서 진공차단기 본체가 운전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서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의 핸들을 돌려 On/Off 동작 가능 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도어의 전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는 On/Off 동작 불가 위치에 놓여 있다.
도 9는 도 8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On/Off 동작 가능 위치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비상 전원스위치는 On/Off 동작 불가 위치에 놓여 있다.
도 13은 도 1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비상 전원스위치는 On/Off 동작 가능 위치에 놓여 있다.
도 15는 도 14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설치된 진공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진공차단기 본체의 위치가 테스트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7은 운전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크래들 도어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는 크래들 도어(11)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크래들 도어(11) 및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온(On)/오프(Off) 버튼(30,3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에 설치되고, 상기 온(On)/오프(Off) 버튼(30)에 의해 눌러지면 진공차단기 본체(16)의 본체 온,오프 버튼(17,18)을 작동시키는 한 쌍의 푸시 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기실을 이루는 크래들(10)은 배전반(미도시)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차단기 본체(16)가 수납되는 공간이 된다. 크래들(10)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에는 크래들 터미널(10a)이 마련된다.
크래들(10)의 전면에는 크래들 도어(11)가 마련된다. 크래들 도어(11)를 열고 차단기 본체(16)를 수납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6)에는 전면부에 본체 온/오프 버튼(17,18)이 구비되고, 후면부에 터미널(19)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차단기 본체(16)를 인입출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16a)가 구비된다.
크래들 도어(1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가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가 크래들 도어(11)의 후면에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온/오프 버튼(30,31)을 설치할 수 있는 받침부(21)가 마련된다.
온/오프 버튼(30,31)이 크래들 도어(11) 및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온/오프 버튼(30,31)의 버튼부(30a,31a)는 크래들 도어(11)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온/오프 버튼(30,31)에서 온/오픈 버튼 바(30b,31b)는 크래들(10)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온/오프 버튼 바(30b,31b)는 받침부(21)에 관통 설치되어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즉, 온/오프 버튼(30,31)은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받침부(21)에 관통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차단기 본체(16)의 본체 온/오프 버튼(17,18)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푸시 바(50)가 한 쌍 마련되며, 푸시 바(50)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에 설치될 수 있다.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은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접촉하는 측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접촉부(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41)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이 수직 위치에 놓일 때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접촉부(41)의 하부에는 스프링 고정부(42)가 마련된다. 스프링 고정부(42)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각도조절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 설치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각도조절수단 설치부(43)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일단 또는 양단에 벤딩 형성되고, 각도조절수단 설치부(43)에는 나사홀(43a)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수단은 나사홀(43a)에 끼워지는 각도조절나사(47)로 구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나사(47)를 조이는 저도에 따라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이 수평상태로 놓일 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에는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중간판(48)이 마련될 수 있다.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전면판(45)과 중간판(48)에는 각각 푸시 바(50)를 관통 설치할 수 있도록 제1 푸시바 관통홀(46)과 제2 푸시바 관통홀(49)이 형성된다.
푸시 바(50)는 중간판(48)의 제2 푸시바 관통홀(49)과 전면판(45)의 제1 푸시바 관통홀(46)을 통하여 삽입 설치된다. 푸시 바(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푸시 바(50)의 일부에는 고정링(51)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링(51)이 중간판(48) 또는 전면판(45)에 접촉하여 푸시 바(50)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푸시 바(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푸시 바 복귀스프링(55)이 마련된다. 또한, 푸시 바 복귀스프링(55)이 동작할 수 있도록 푸시 바(50)에는 전면판(45)과 중간판(48) 사이의 일부에 스프링 고정링(52)이 설치된다. 푸시 바 복귀스프링(55)은 전면판(45)과 스프링 고정링(52) 사이에 설치되어 푸시 바(50)가 눌러지는 경우 탄성력이 저장되고,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 복원력이 작용하여 푸시 바(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푸시 바(50)의 일단에는 접촉판(56)이 마련된다. 접촉판(56)은 푸시 바(50)에 수직한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판(56)은 온/오프 버튼(30,31)의 온/오프 버튼 바(30b,31b)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시 바(50)의 일단에는 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된다. 길이조절수단은 푸시 바(50)와 온/오프 버튼(30,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의 실시예로 상기 접촉판(56)이 푸시 바(50)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푸시 바(50)의 일단에는 길이조절용 너트(54)가 구비되고, 접촉판(56)은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판(56)을 돌려서 푸시 바(50)에 끼우는 정도에 따라 푸시 바(50)(여기서는 접촉판(56))과 온/오프 버튼(30,3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푸시 바(50)와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결합을 푸시 바 어셈블리(40,50)라고 하기로 한다. 푸시 바 어셈블리(40,5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회동수단이 마련된다. 회동수단의 일 실시예는 핸들(12). 축브래킷(25), 회전축(35), 복귀스프링(3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핸들(12)은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일측에 크래들 도어(11)와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핸들(12)의 손잡이부(13)는 크래들 도어(11)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잡고 힘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핸들(12)의 핸들샤프트(14)는 크래들 도어(11)의 내부에 돌출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핸들샤프트(14)에는 핸들샤프트(14)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샤프트핀(15)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35)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축브래킷(25)이 마련된다. 축브래킷(25)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ㄱ'자형 브래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브래킷(25)은 나사결합이나 용접결합 등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축브래킷(25)에는 회전축(35)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제1 축관통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5)이 축브래킷(25) 및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전축(35)은 축브래킷(25)의 제1 축관통홀(26) 및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제2 축관통홀(44)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회전축(35)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축고정링(36)이 마련된다. 축고정링(36)은 축브래킷(25)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하도록 회전축(35)에 끼워진다.
회전축(35)에는 일단에 회전축핀(37)이 회전축(35)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38)이 회전축(35)에 구비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38)은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을 원위치(수직위치)로 복귀시키시 위하여 마련된다. 복귀스프링(38)은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의 측면과 축브래킷(2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38)은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을 수직위치와 수평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키기 위하여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38)의 일단은 스프링 고정부(42)에 끼워질 수 있다.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이 수평위치로 움직이는 경우 복귀스프링(38)에는 탄성력이 저장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푸시 바 고정 브래킷(4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핸들샤프트(14)와 회전축(35)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핸들(12)의 동력을 회전축(35)에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 방향 전환 수단이 마련된다. 회전 방향 전환 수단의 일 실시예로 핸들샤프트(14)에 구비된 샤프트핀(15)과 회전축(35)에 구비되는 회전축핀(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들(12)의 손잡이부(13)를 돌려 핸들샤프트(14)가 회전하면 샤프트핀(15)이 따라 돌면서 회전축핀(37)을 누르게 되고, 회전축핀(37)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축(35)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 방향 전환 수단은 이외에도 베벨 기어 등 회전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공지의 수단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핸들(12)의 손잡이부(13)가 수직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는 푸시 바 어셈블리(40,50)가 차단기실 내부에서 수직으로 놓인 상태에 있다. 이 경우, 푸시 바(50)는 본체 온,오프 버튼(17)에 대한 작용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도 7과 같이 차단기 본체(16)의 운전 위치에서 핸들(12)의 손잡이부(13)를 잡고 회전시켜 수평방향으로 놓으면, 핸들(12)의 동력은 회전 방향 전환 수단(15,37)을 거쳐 회전축(35)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푸시 바 어셈블리(40,50)는 수평방향으로 놓인다. 이때, 각도조절수단(각도조절나사(47))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닿게 된다. 이 경우, 푸시 바 어셈블리(40,50)는 본체 온,오프 버튼(17)에 대해 작용이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이때, 온/오프 버튼(30,31)을 누르게 되면 푸시 바(50)가 직진 이동하여 본체 온,오프 버튼(17,18)을 눌러 회로를 연결 혹은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에 의하면 크래들 도어에 고정 설치되므로 별도의 부속 장비 없이 크래들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본체 온,오프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응급 상황시 빠른 대처가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도어홀 커버를 열고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항상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작동을 하게 되므로 아크 발생 등 위험상황에서도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푸시 바 어셈블리가 수직상태에 놓여 본체 온/오프 버튼을 작동시킬 수 없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푸시 바 어셈블리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 및 푸시 바와 온/오프 버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정확한 작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크래들 10a 크래들 터미널
11 크래들 도어 12 핸들
13 손잡이부 14 핸들샤프트
15 샤프트핀 16 차단기 본체
16a 이송장치 17,18 본체 온/오프 버튼
19 터미널 20 베이스 플레이트
21 받침부 25 축브래킷
26 제1 축관통홀 30,31 온/오프 버튼
30a,31a 버튼부 30b,31b 온/오프 버튼 바
35 회전축 36 축고정링
37 회전축핀 38 복귀스프링
40 푸시 바 고정 브래킷 41 접촉부
42 스프링 고정부 43 각도조절수단 설치부
43a 나사홀 44 제2 축관통홀
45 전면판 46 제1 푸시바 관통홀
47 각도조절나사 48 중간판
49 제2 푸시바 관통홀 50 푸시 바
51 고정링 52 스프링 고정링
54 길이조절용 너트 55 푸시 바 복귀스프링
56 접촉판

Claims (12)

  1. 크래들 도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크래들 도어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온/오프 버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시 바 고정 브래킷;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온/오프 버튼에 의해 눌러지면 진공차단기 본체의 온,오프 버튼을 작동시키는 한 쌍의 푸시 바;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바의 일단에는 상기 온/오프 버튼이 접촉할 수 있는 접촉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온/오프 버튼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을 회동시켜주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축브래킷;
    상기 한 쌍의 축브래킷 및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 및
    상기 회전축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돌출되는 회전축핀; 및
    상기 핸들의 후방에 돌출되는 핸들샤프트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핀을 움직일 수 있는 샤프트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수직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바 고정 브래킷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수평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각도조절수단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 설치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 끼워지는 각도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푸시 바의 일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푸시 바를 복귀시킬 수 있는 푸시 바 복귀스프링;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바의 일단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온/오프 버튼과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푸시 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길이조절용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이 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KR1020150187744A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KR10175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744A KR101759600B1 (ko)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744A KR101759600B1 (ko)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645A KR20170077645A (ko) 2017-07-06
KR101759600B1 true KR101759600B1 (ko) 2017-07-20

Family

ID=5935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744A KR101759600B1 (ko) 2015-12-28 2015-12-28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3479B (zh) * 2020-04-17 2022-05-06 亨斯迈(杭州)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五防闭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645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265B1 (ko)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EP2492944B1 (en) Circuit breaker
CN103608883B (zh) 开关装置和开关设备
KR101759600B1 (ko) 진공차단기의 전원버튼 조작장치
CA3079901A1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KR200420983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진공차단기 링크구조
KR200482658Y1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KR101667639B1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EP3343710B1 (en) Position indicator of air circuit breaker
KR101105212B1 (ko) 배선용차단기의 스위치레버 전환장치
US9754751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20160081717A (ko) 배전반 변압기실의 변압기 위치조절 방지장치
KR101158639B1 (ko) 차단기의 개폐기구
KR100480386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101922156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20160039082A (ko) 접지 스위치
KR1018793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100311532B1 (ko)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장치
WO2014109089A1 (ja) 真空遮断器
KR101797023B1 (ko)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KR200486925Y1 (ko)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200283349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수동버튼 스위치 차단구조
KR20028174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오픈방지구조
KR100574424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301490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