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55U -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 Google Patents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55U
KR20180001655U KR2020170004581U KR20170004581U KR20180001655U KR 20180001655 U KR20180001655 U KR 20180001655U KR 2020170004581 U KR2020170004581 U KR 2020170004581U KR 20170004581 U KR20170004581 U KR 20170004581U KR 20180001655 U KR20180001655 U KR 201800016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piece
tongue
clea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355Y1 (ko
Inventor
김홍태
Original Assignee
김홍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태 filed Critical 김홍태
Publication of KR20180001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혀크리너 손잡이에 치약을 짜내어 배출하는 치약배출부를 더 구비하여 하나의 혀크리너를 이용하여 혀를 청소함은 물론 치약을 쉽고 용이하게 짜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치약배출부를 혀크리너와 일체로 구비하되 치약용기의 인입 및 배출이 탄성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부와 손잡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머리부에 구비되어 혀를 청소하는 크리너부와 손잡이에 구비되는 치약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배출부는 치약용기가 인입되는 가압공간부,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공간부 일측에 형성된 제1호형홈과 상기 가압공간부 타측에 형성된 제2호형홈, 상기 제1호형홈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1지지편, 상기 제1지지편 상단과 이어지게 상기 가압공간부 일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편, 상기 제1연장편으로부터 절곡 연장되고 제1경사가이드면을 갖는 제1탄성편, 상기 제2호형홈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2지지편, 상기 제2지지편 상단과 이어지게 상기 가압공간부 타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편, 상기 제2연장편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편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경사가이드면에 대향되는 제2경사가이드면을 갖는 제2탄성편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크리너부를 통해 혓바닥을 긁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의 파지력에 간섭을 주지않게 추가결합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결합구는 상기 가압공간부를 통해 상기 몸체 외부로 인출된 상기 치약용기가 굴곡지게 상기 몸체에 다수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편과 상기 제2탄성편은 상기 치약용기가 상기 가압공간부로 인입되기 이전에는 서로 맞닿게 모아져 있되 상기 가압공간부로 상기 치약용기가 인입시에만 탄성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치약용기 외면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tongue cleaner with toothpaste squeezer}
본 고안은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혀크리너 손잡이에 치약을 짜내어 배출하는 치약배출부를 더 구비하여 하나의 혀크리너를 이용하여 혀를 청소함은 물론 치약을 쉽고 용이하게 짜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치약배출부를 혀크리너와 일체로 구비하되 치약용기의 인입 및 배출이 탄성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혀는 표면의 주름과 수분과 영양분에 의해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으며, 증식된 세균은 잇몸과 치아 사이에 침투해 치주질환이나 충치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음식이나 침을 삼킬 때 증식된 세균이 몸속으로 유입되며, 노화에 의해 침샘 기능이 저하될 경우에는 침 분비가 줄어들게 되어 세균이 더욱 몸 속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세균은 몸 속의 각종 신체 장기에서 세균성 질환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음주와 흡연을 즐기거나 구내염이 있거나 위장병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혀의 표면에 설태가 자주 끼게 되는 바, 이와 같이 혀의 표면에 끼게 되는 설태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혀 속에 있는 잇몸병을 일으키게 되고 뼈를 손실시키게 되며 구강암의 발생위험을 증대시키고, 구취가 심하게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혀크리너를 이용하여 혀의 표면을 닦아내어 설태를 제거하고 있으며, 종래 혀크리너는 대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혀의 표면을 긁어내는 주걱형의 크리너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혀크리너를 이용하여 혀를 닦아내는 방법은, 입을 크게 벌린 후 혀를 길게 내밀고 주걱형의 크리너를 혀뿌리 부분 가장 깊은 곳에 넣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이용하여 혀크리너를 앞으로 쓸어내리는 동작에 의해 혀를 닦아내고 있다.
한편, 치아건강이나 잇몸건강을 위해 적어도 하루 세 번의 칫솔질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칫솔은 물론 치약이 자주 사용된다.
종래 치약은 대개 튜브형 용기에 담겨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치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튜브형 용기를 눌러 튜브형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치약을 밖으로 배출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 대개의 치약이 구입한 상태에서는 튜브형 용기를 눌러 치약을 배출하는데에 큰 무리가 없으나, 치약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는 튜브형 용기를 눌러 치약을 배출함이 어렵고 또한 치약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눌러지지 않은 튜브형 용기부분에 치약이 그대로 잔류하게 되어 치약을 완전히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치약이 담겨진 튜브형 용기를 눌러 짜내기 위한 치약짜개가 제안되고는 있으나, 칫솔이나 혀크리너와는 별도로 구입해야 함에 따라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은 물론 칫솔과 혀크리너와 치약짜개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좁은 세면실에 비치됨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크게 떨어지고 세면실이 지저분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261127호인 접이식 혀크리너가 부착된 칫솔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모판과 상기 모판에 식재된 칫솔모를 갖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이루어진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양 측면의 적소에 힌지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칫솔 및 일부가 개방된 테형상의 혀크리너 날부 및 상기 개방 부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적소에 상기 힌지홈에 결합되는 힌지핀이 형성된 연장부를 구비한 혀크리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혀크리너가 상기 힌지핀에 지지된 채로 상기 힌지홈을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칫솔질을 할 때 혀크리너를 회동시킴에 따라 칫솔의 손잡이를 파지함이 용이하지 못하고,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혀크리너가 사용자의 치아 또는 잇몸 또는 입술 주변에 닿게 되어 칫솔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혀를 청소하는 혀크리너에 치약을 짜내어 배출할 수 있는 치약배출부를 더 구비하여 혀크리너와 치약배출부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혀크리너의 손잡이를 잡고 혀를 청소함에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치약배출부의 탄성작용에 의해 치약 용기를 넣고 빼냄이 용이하도록 한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는 머리부와 손잡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머리부에 구비되어 혀를 청소하는 크리너부와 손잡이에 구비되는 치약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배출부는 치약용기가 인입되는 가압공간부, 상기 손잡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공간부 일측에 형성된 제1호형홈과 상기 가압공간부 타측에 형성된 제2호형홈, 상기 제1호형홈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1지지편, 상기 제1지지편 상단과 이어지게 상기 가압공간부 일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편, 상기 제1연장편으로부터 절곡 연장되고 제1경사가이드면을 갖는 제1탄성편, 상기 제2호형홈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2지지편, 상기 제2지지편 상단과 이어지게 상기 가압공간부 타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편, 상기 제2연장편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편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경사가이드면에 대향되는 제2경사가이드면을 갖는 제2탄성편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크리너부를 통해 혓바닥을 긁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의 파지력에 간섭을 주지않게 추가결합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결합구는 상기 가압공간부를 통해 상기 몸체 외부로 인출된 상기 치약용기가 굴곡지게 상기 몸체에 다수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편과 상기 제2탄성편은 상기 치약용기가 상기 가압공간부로 인입되기 이전에는 서로 맞닿게 모아져 있되 상기 가압공간부로 상기 치약용기가 인입시에만 탄성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치약용기 외면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리너부는 상기 몸체의 머리부에 구비되는 크리너구멍 및 상기 크리너구멍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되 상기 머리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긁어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회사의 로고나 상호 또는 문양이나 모양이 표현되는 표현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는 걸이구멍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혀크리너 손잡이에 치약배출부가 더 구비됨에 따라 혀크리너를 이용한 혓바닥 청소는 물론 치약배출부를 이용한 치약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혀크리너와 치약배출부가 하나의 몸체에 구비됨에 따라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은 물론 주변환경에 대한 정리정돈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치약배출부가 탄성에 의해 벌어지고 모아짐이 가능하여 치약용기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를 이용하여 혓바닥을 청소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에 치약용기가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에 의해 치약용기가 끼워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의 몸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에 대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는, 머리부(10)와 손잡이(20)를 갖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머리부(10)에 구비되어 혀를 청소하는 크리너부(40)와 손잡이에 구비되는 치약배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배출부(50)는, 치약용기가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탄성에 의해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치약배출부(50)측으로 치약용기(60)를 끼울 때 상기 치약배출부(50)가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치약용기(60)가 끼워지면 벌어진 치약배출부(50)가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모아지면서 치약용기(60)를 강하게 압착한다.
또한, 치약배출부(50)에 끼워진 치약용기(60)를 빼내는 과정에서 치약용기(60)를 강하게 압착하고 있던 치약배출부(50)가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벌어짐에 따라 치약용기(60)를 치약배출부(50)로부터 쉽게 인출하여 빼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치약배출부(50)는, 상기 손잡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제1호형홈(51) 및 제2호형홈(52)과, 상기 제1호형홈(51)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1지지편(53)과, 상기 제1지지편(53)의 우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제1연장편(54)과, 상기 제1연장편(54)으로부터 절곡연장되고 제1경사가이드면(551)을 갖는 제1탄성편(55)과, 상기 제2호형홈(52)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2지지편(56)과, 상기 제2지지편(56)의 좌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제2연장편(57)과, 상기 제2연장편(57)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편(55)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경사가이드면(551)에 대향되는 제2경사가이드면(581)을 갖는 제2탄성편(58)과, 상기 제1탄성편(55)과 제2탄성편(58)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공간부(5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호형홈(51) 및 제2호형홈(52)가 상기 손잡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이유는, 상기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상기 손잡이(2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상기 손잡이(20)로부터 돌출될 경우, 상기 손잡이(20)를 잡고 크리너부(40)를 이용하여 혓바닥을 긁어 청소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돌출된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에 의해 손잡이(20)를 견고하게 파지하지 못함은 물론 손잡이(20)를 파지한 후의 손잡이(20)의 파지력을 간섭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치약배출부(50)는, 상기 가압공간부(59)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및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서로 대향되게 벌어졌다가 오므려지기 때문에 자체 탄성력 및 자체 탄성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이는 상기 가압공간부(59)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은 상기 제1호형홈(51)과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은 제2호형홈(52)과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공간부(59)측으로 치약용기(60)가 끼워져 인입될 때, 상기 가압공간부(59)를 중심으로 상기 제1호형홈(51)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지지편(53),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및 상기 제2호형홈(52)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자체 탄성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치약용기(60)가 완전히 끼워지면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벌어진 상기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및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다시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모아진다.
또한, 상기 가압공간부(59)측으로 치약용기(60)가 인출될 때, 상기 가압공간부(59)를 중심으로 상기 제1호형홈(51)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1지지편(53),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및 상기 제2호형홈(52)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자체 탄성에 의해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치약용기(60)가 완전히 끼워지면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벌어진 상기 제1지지편(53)과, 제1연장편(54), 제1탄성편(55) 및 제2지지편(56), 제2연장편(57), 제2탄성편(58)이 다시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모아진다.
이때, 가압공간부(59)는 치약용기(60)가 삽입되기 이전에 서로 면 접촉하도록 모아져 해당 치약용기(60)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치약배출부(50)측으로 치약용기(60)를 용이하게 인입하여 끼움은 물론 치약배출부(50)로부터 치약용기(60)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빼낼 수 있기 때문에, 크리너부(40)를 이용하여 혓바닥을 청소할 경우에는 치약용기(60)를 치약배출부(50)로부터 빼내어 사용하고, 치약용기(60)를 짜내어 치약을 배출할 경우에는 치약배출부(50)에 치약용기(60)를 끼워 사용하면 된다.
또한, 치약용기(60)가 상기 치약배출부(50)가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모아지면서 치약용기(60)를 강하게 압착하기 때문에 치약용기(60)를 눌러 치약용기(60)에 들어 있는 치약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크리너부(40)는, 상기 몸체(30)의 머리부(10)에 구비되는 크리너구멍(41)과, 상기 크리너구멍(4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크리너구멍(41)에 대해 횡설되는 스크래퍼(42)로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스크래퍼(42)는, 상기 크리너구멍(41) 내측에 1개 이상으로 구비되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지는 크리너부(40)의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해 상기 스트래퍼(42)는 크리너구멍(41)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 모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래퍼(42)의 개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스크래퍼(42)는, 1개, 2개, 3개, 4개, 5개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스크래퍼 사이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면 상기 스크래퍼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크리너구멍(41)을 횡설하여 스크래퍼(42)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20)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앞쪽으로 반복적으로 전진 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스크래퍼(42)에 의한 혓바닥 긁음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42)가 상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혓바닥 긁음 작용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혓바닥의 설태의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20)에는 회사의 로고나 상호 또는 문양이나 모양이 표현되는 표현부(2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표현부(21)에는 예를 들어, 상표나 상호 또는 스크래퍼나 치약배출부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문구가 인쇄되거나 또는 스티커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0)에는 걸이구멍(2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이구멍(22)이 구비됨에 따라 본 고안인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를 예를 들어 세면실의 행거에 걸어 보관하거나 할 수 있어 보관에 따른 주변환경을 깔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혀크리너는 머리부(10)와 몸체(30)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머리부(10) 또는 몸체(30) 중 어느 하나가 파손시에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구조를 만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10)에 형성된 결합홈(11)과 본체(30)에 형성된 결합돌기(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머리부(10) 및 몸체(30)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보다 견고하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의 혀크리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결합구(32)가 몸체(30)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결합구(32)는 상술한 가압공간부(59)를 통해 몸체(30) 외부로 인출된 치약용기(60) 즉, 상기 가압공간부(59)를 통해 가압이 이미 이루어져 상기 치약용기(60) 내부의 치약이 그 가압에 의해 모아진 이후의 상기 치약용기(60) 외부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즉, 가압공간부(59)에 치약용기(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크리너부(40)로 혀의 청결을 유지하고자 할 때, 해당 치양용기(60)의 결합에 의해 사용자의 몸체(30) 파지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여, 상기 가압공간부(59)를 통해 몸체(30) 외부로 인출된 치약용기(60)가 굴곡지게 상기 몸체(3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추가결합구(32)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크리너부(4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추가결합구(32)의 천공된 폭은 치약용기(60)가 끼워져 가압될 수 있게 벌어지는 가압공간부(59)의 최대로 벌어지는 폭보다 더 좁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가압공간부(59)의 가압으로 모아지지 못한 치약용기(60) 내부의 치약이 해당 추가결합구(32)에 의해 모아지도록 하여, 치약의 낭비를 방지하는 장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머리부 11: 결합홈
20 : 손잡이 21 : 표현부
22 : 걸이구멍 30 : 몸체
31: 결합돌기 32: 추가결합구
40 : 크리너부
41 : 크리너구멍 42 : 스크래퍼
50 : 치약배출부 51 : 제1호형홈
52 : 제2호형홈 53 : 제1지지편
54 : 제1연장편 55 : 제1탄성편
56 : 제2지지편 57 : 제2연장편
58 : 제2탄성편 59 : 가압공간부
551 : 제1경사가이드면 581 : 제2경사가이드면

Claims (4)

  1. 머리부(10)와 손잡이(20)를 갖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머리부(10)에 구비되어 혀를 청소하는 크리너부(40)와 손잡이에 구비되는 치약배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배출부(50)는,
    치약용기(60)가 인입되는 가압공간부(59), 상기 손잡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공간부(59) 일측에 형성된 제1호형홈(51)과 상기 가압공간부(59) 타측에 형성된 제2호형홈(52), 상기 제1호형홈(51)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1지지편(53), 상기 제1지지편(53) 상단과 이어지게 상기 가압공간부(59) 일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편(54), 상기 제1연장편(54)으로부터 절곡 연장되고 제1경사가이드면(551)을 갖는 제1탄성편(55), 상기 제2호형홈(52)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제2지지편(56), 상기 제2지지편(56) 상단과 이어지게 상기 가압공간부(59) 타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편(57), 상기 제2연장편(57)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탄성편(55)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경사가이드면(551)에 대향되는 제2경사가이드면(581)을 갖는 제2탄성편(5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30)는 상기 크리너부(40)를 통해 혓바닥을 긁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20)의 파지력에 간섭을 주지않게 추가결합구(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결합구(32)는 상기 가압공간부(59)를 통해 상기 몸체(30) 외부로 인출도니 상기 치약용기(60)가 굴곡지게 상기 몸체(30)에 다수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편(55)과 상기 제2탄성편(58)은 상기 치약용기(60)가 상기 가압공간부(59)로 인입되기 이전에는 서로 맞닿게 모아져 있되 상기 가압공간부(59)로 상기 치약용기(60)가 인입시에만 탄성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치약용기(60) 외면에 가해지는 압착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부(40)는,
    상기 몸체(30)의 머리부(10)에 구비되는 크리너구멍(41); 및
    상기 크리너구멍(41)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되 상기 머리부(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긁어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42);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부(10)는 상기 몸체(30)에 형성된 결합돌기(31)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에는 회사의 로고나 상호 또는 문양이나 모양이 표현되는 표현부(2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에는 걸이구멍(2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KR2020170004581U 2016-11-25 2017-08-30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KR2004893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6852 2016-11-25
KR2020160006852 201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55U true KR20180001655U (ko) 2018-06-04
KR200489355Y1 KR200489355Y1 (ko) 2019-06-07

Family

ID=6259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81U KR200489355Y1 (ko) 2016-11-25 2017-08-30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27A (ko) * 2021-05-03 2022-11-10 위덴주식회사 혀클리너겸용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2794A1 (en) * 2004-05-20 2005-12-01 Da Conceicao Mauricio Duarte Lay-out in tongue cleaner
KR20090006117U (ko) * 2007-12-17 2009-06-22 이찬봉 치약짜개 홀이 구비된 혀크리너
KR20130110227A (ko) * 2011-02-01 2013-10-08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2794A1 (en) * 2004-05-20 2005-12-01 Da Conceicao Mauricio Duarte Lay-out in tongue cleaner
KR20090006117U (ko) * 2007-12-17 2009-06-22 이찬봉 치약짜개 홀이 구비된 혀크리너
KR20130110227A (ko) * 2011-02-01 2013-10-08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27A (ko) * 2021-05-03 2022-11-10 위덴주식회사 혀클리너겸용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55Y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152A (en) Oral cleaning apparatus
US6571417B1 (en) Dentition cleaning device and system
US6015293A (en) Oral cleaning apparatus
US7073225B1 (en) Plaque eradicating system utilizing a plurality of double-sided toothbrushes or toothbrush heads
US20050066456A1 (en) Dentition cleaning device and system
US20150257519A1 (en) Toothbrush with interdental brush storage
US8549693B2 (en) Tooth cleaning device
US5704379A (en) Disposable flossing and debrider device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0489355Y1 (ko)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CN104824966A (zh) 一种多功能口腔护理工具的反冲板
WO2017213388A1 (ko) 교체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CN221949986U (zh) 一种口腔清洁设备
JP3079573U (ja)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JP3206395U (ja) 口腔内清掃用具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CN211833292U (zh) 一种医用口腔刷
KR200206545Y1 (ko) 혀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205564Y1 (ko) 칫솔
KR200246706Y1 (ko) 혀 청소구
KR200292905Y1 (ko) 설태 제거기
JP2001061849A (ja) 舌垢の擦り取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