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227A - 구강 관리기구 - Google Patents

구강 관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227A
KR20130110227A KR1020137023081A KR20137023081A KR20130110227A KR 20130110227 A KR20130110227 A KR 20130110227A KR 1020137023081 A KR1020137023081 A KR 1020137023081A KR 20137023081 A KR20137023081 A KR 20137023081A KR 20130110227 A KR20130110227 A KR 2013011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re
pad
major surface
prong members
care orga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듀아르도 제이. 지메네즈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11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원의 구강 관리기구는 연성 구강조직을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일 면에서, 본 발명의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와;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 및 제2주 표면을 갖고,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관리기구{ORAL CARE IMPLEMENT}
본 발명은 구강 관리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혀(tongue)와 같은 구강의 연조직(oral soft tissue)을 세척하기 위한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미국 치과협회에 따르면, 건강한 사람이 내는 악취의 주 근원지는 혀에 있는 미생물 침적지이며, 혀에서 세균 코팅물이 악취를 내뿜는 유기체와 함께 표적물이 은폐된다. 혀는 혀 표면상의 돌기의 성질이 구강 박테리아가 축적하는데 바람직한 매우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는 독특한 생태 부위로 이루어져서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아주 좋은 곳이다. 혓바닥에 사는 무산소 식물과 세균은 일반적으로 구취(halitosis)라고 불리는 고질적인 나쁜 입냄새를 발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는 휘발성 황 화합물(VSC: volatile sulfur compounds)을 생성한다. 황 화합물이 충분히 축적되었으면, 나쁜 입냄새나 구강 악취를 초래할 것이다.
과거에는 혀에서 박테리아를 제거하는데 블레이드형 혀 스크랩퍼(bladed tongue scrapers)가 사용되었는데, 이런 스크랩퍼는 혀의 연조직 면(soft tissue surface)에서 효과적이지 않았다. 넓고 평탄한 스크랩핑 블레이드는 박테리아와 미세 표적물(microdebris)이 모여있는 돌기 사이에 미치는 능력에 제약을 받는다. 또한, 혀를 세척하는 능력에 의해 얻게 되는 이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용자는 혀 표면상에서 나타나는 불편함으로 인해서, 블레이드의 사용을 싫어한다.
블레이드형 혀 스크랩퍼 뿐만 아니라, 칫솔 헤드에 조직 클렌저(tissue cleanser)를 가진 칫솔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런 구강 관리기구는 조직 클렌저가 헤드의 일 면의 주 표면(major surface)에만 제공되는 제한된 것이다.
또한, 알려진 혀 스크랩퍼와 연조직 클렌저는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린이와 같이 작은 입을 가진 사람에 대해서, 종래 알려진 장치는 사용하는데 효율적이지 않거나 불편한 것이다. 폭을 조절하는 혀 스크랩퍼가 알려져 있지만, 그런 폭 조절식 혀 스크랩퍼는 제조 및 사용 면에서 불편하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한 것이어서, 제조비가 많이 들고 및/또는 사용하기도 불편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면서 박테리아 및 그 밖의 다른 표적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사용자의 입 안의 연조직을 세척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의 연조직과 접촉하는 장치의 세척부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입 안의 연조직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입 안의 연조직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연성 구강조직을 세척하기 위한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강 관리기구는 손잡이와 손잡이로부터 신장되는 프롱(prong)부재를 포함한다. 연조직과 계합하는 패드(pad)는 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는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며, 그 각각이 종축을 따라 갈라져 나오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와;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주(major) 표면과 제2주 표면을 갖고,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된 패드; 및 패드의 제1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는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와;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주 표면과 제2주 표면을 갖고, 축 위치(the axial location)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된 패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프롱부재는: (1)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의 제1거리를 갖는 정상상태와; (2)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의 제2거리를 갖는 수축상태 사이에서 조절가능하며, 제2거리가 제1거리보다 짧아서, 패드가 구부러질(bowing)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르는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와;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주 표면과 제2주 표면을 갖고,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는 제1재료로 형성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재료로 형성된 층(layer)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재료는 제2재료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추가 영역은 이하에 기재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 것으로, 설명을 목적으로 기재한 것이어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에 따른 정상상태의 구강 관리기구의 정면도이다.
도2는 손잡이와 프롱부재의 구조가 제거된 도1의 구강 관리기구의 패드의 사시도이며, 패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체로 평탄한 상태로 있다.
도3은 도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된 횡단면도이다.
도4는 수축 상태에 있는 도1의 구강 관리기구의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V-V선을 따라 절취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다음과 같이 기술되는 기재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도 또는 사용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실시예를 통한 설명을 본원의 전체 명세서의 일부로 판단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에서, 방향에 대한 임의적인 표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표현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하여", "하향하여", "상향하여" 등과 같은 표현으로부터 파생된 "하향", "상향", "수평", "직교", "위", "아래", "상(up)", "하(down)", "좌", "우", "상부(top)", "하부(bottom)", "전방" 및 "후방"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인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장치가 그와 같이 분명하게 나타낸 것 이외에 특별한 방향으로 장치를 구성하거나 작동할 필요는 없다. "부착", "고정", "연결", "계합", "상호 연결"과 같은 용어는, 다르게 표현된 것을 제외하고는 양쪽 이동성이나 단단한 부착 또는 상호관계와 같이, 구조가 개입 구조(interving structures)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상호관계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득이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명의 특징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것과 조합하여 있을 수 있는 특징의 가능한 제한적이지 않은 조합을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100)를 설명한다. 구강 관리기구(100)는 일반적으로 손잡이(110), 제1프롱부재(120), 제2프롱부재(130) 및 패드(140)를 포함한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구강 관리기구(100)를 쉽게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손잡이(110)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를 위한 상당한 제어를 제공하는 인체공학적인 특징을 갖고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10)는 종축(A-A)을 따라 기부근방(proximal) 단부(111)로부터 말단부(112)까지 신장된다. 손잡이(110)는 기부근방 단부(111) 근처에서 구멍(113)을 포함하여, 구강 관리기구(100)를 물품을 거는데 사용될 수 있는 걸이(hook), 못, 또는 다른 돌출부재 또는 지주(post)에 매달아 둘 수 있다. 물론, 특정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의해 구멍(113)이 손잡이(110)에서 생략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포크형식(forked-manner)으로 손잡이(110)의 말단부(112)로부터 신장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손잡이(110)의 말단부(112)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종축(A-A)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가 갈라지는 포크형식으로 손잡이(110)의 말단부(112)로부터 신장된다. 그 결과, 손잡이(110)의 말단부(112)로부터의 거리가 늘어날수록,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 사이의 횡방향 거리는 커진다.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가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종축(A-A)으로부터 갈라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가 그 길이의 일부 만이 종축(A-A)으로부터 갈라질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손잡이(110)의 말단부(112)로부터 그 길이의 일부만이 종축(A-A)으로부터 갈라질 수 있고, (1)그 나머지 부분은 사실상 평행한 형식(parallel manner)으로 직선으로 이어지고; 및/또는 (2)그 나머지 부분은 종축(A-A)을 향해 수렴하기 시작한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손잡이(11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단일 구조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손잡이(110)는 손잡이(110)의 말단부(112)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로 바로 변환된다. 따라서, 손잡이(11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경성이면서 열가소성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단일 부품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손잡이(11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사실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손잡이(11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손잡이(11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분리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부품은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열 용접, 억지끼움(tight-fit) 조립, 나사 결합, 커플링 슬리브, 접착, 파스너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적당한 기술에 의해 제조 공정의 후 단계에서 연결된다. 특정하게 명시되지 않았다면, 손잡이(11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단일 부품 또는 다수 부품 구조(연결기술 포함)로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본 발명이 제한하지는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손잡이(110) 및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손잡이(110), 제1프롱부재(120) 및/또는 제2프롱부재(130)의 각각의 일 부분을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덮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례의 실시예에서, 손잡이(110), 제1프롱부재(120), 및/또는 제2프롱부재(130)의 코어(또는 기초부)는 경성이면서, 유연한, 연성의 탄성재료로 덮어진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조립체는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롱부재(120, 130)를 용이하게 그립하고, 수축하고(flexing), 압착(squeezing)하게 한다.
프롱부재(120, 130)에는 핑거 그립 돌기(115)가 제공된다. 핑거 그립 돌기(115)는 물결모양 표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에 형성된 일련의 돌출부이다. 핑거 그립 돌기(115)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일 수 있는 표면을 생성한다. 핑거 그립 돌기(115)는 덮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탄성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핑거 그립 돌기(115)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경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특정 실시예에서는 핑거 그립 돌기(115)가 모두 생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의 표현은 형성공정과 관계없이 구성요소들이 1개의 분리되지 않은 단일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가 성형, 밀링, 기계가공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을 사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롱부재(120)는 말단부(121)까지 이어지며, 외부 면(12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프롱부재(130)는 말단부(131)까지 이어지며, 외부 면(132)을 포함한다. 패드(140)는 아래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패드(140)는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말단부(121, 131) 또는 그 근방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패드(140)는 축방향으로 제1 및 제2프롱부재 (120, 130)의 말단/종료 단부(121, 131)를 넘어 신장된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패드(140)의 엣지(145)가 축방향으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말단/종료 단부(121, 131)를 넘어 신장된다. 이런 배치는 특정 실시예에서 패드(140)가 프롱부재(120, 130)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추가 폭으로 제한되지 않고 구강 내의 더 먼 부위에 도달할 수 있게 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기술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필요한 경우 패드(140)는 다른 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제 도2와 도3을 함께 참조하여 패드(140)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패드(140)는 제1주 표면(141)과 상기 제1주 표면(141)과 반대편의 제2주 표면(142)을 갖는다.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은 구강 관리기구(100)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연성 구강조직과 계합하는 패드(140)의 부분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제2주 표면(142)은 사용자의 연조직 면과 계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은 연성 구강조직과 계합하기 위한 돌기를 가진 제1연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패드(140)의 제2주 표면(142)은 연성 구강조직과 계합하기 위한 돌기를 가진 보다 경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제1 및 제2주 표면(141, 142)은, 패드(140)의 제1 및 제2주 표면(141, 142)이 동종 또는 이종 재료로 형성되는 여부와 관계없이, 다른 지형을 형성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의 그런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의 돌기는 너브(nub)이며, 반면에 패드(140)의 제2주 표면(142)상의 돌기는 횡방향으로 신장되는 릿지(ridge)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패드(140)는 평탄한 구조이며, 그 결과로, 제1 및 제2주 표면(141, 142)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있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패드(140)가 타원형 또는 가늘고 긴 계란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런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패드(140)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기타 다른 불규칙하거나 원하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다른 모양을 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44)가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에 돌출하여 제공된다. 복수의 돌기(144)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세정을 제공하도록 혀와 같은 사용자의 입의 연성 구강조직과 계합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특히,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이 혀와 같은 원하는 연성 구강조직에 대항하거나 가로질러 계합하거나 다르게 당겨졌을 때, 연성 구강조직의 리세스, 크레바스 및/또는 포켓 안으로 하향하여 도달하면서, 돌기(144)가 연성 구강조직을 침투하여 계합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144)는 축 열(axial rows)에 제공되며, 인접한 축 열과 엇갈려 배치된다.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상의 돌기(144)의 수와 배열은 본 발명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은 단단히 포장된 돌기(144)의 단일 축 열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144)는 엇갈려 배치되기 보다는 정렬된 열로 배치된다. 그 밖에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144)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돌기(144)는 너브(nub)로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너브"는 구강 관리기구(100)의 제1주 표면(141)과 같은 기초 면으로부터 직립하는 기둥(column)형 돌기(돌기의 단면 형상에 대한 제한은 없음)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일례의 구조에서 상기 너브는 너브의 기초부에서 긴 길이방향으로 측정했을 때의 폭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그러나, 너브는 폭과 높이가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높이가 기초부의 폭보다 약간 작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분위기에서는(예를 들면,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너브가 말단부쪽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너브가 소형 돌기로 좁혀지는 기초부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기초부 폭이 대체로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물론, 돌기(144)는 기둥형 또는 원통형 너브로 국한되지 않으며, 돌기(144)는 원추형, 막대형, 반구형, 불규칙한 형태 등,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양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돌기(144)가 릿지와 같은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주 표면(141)상의 돌기(144)가 릿지 및 너브의 조합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144)는 필요한 경우 패드(140)의 제2주 표면(142)에 더해질 수 있다.
패드(140)는 또한 상부 엣지(145), 하부 엣지(146), 및 제1 및 제2측면 엣지(147, 148)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엣지(145, 146)는 서로를 향해 수렴하며, 측면 엣지(147, 148)의 각각에서 만난다. 제1슴베(tang)(160)는 횡방향으로 패드(140)의 제1측면 엣지(147)로부터 신장하고 그리고 제2슴베(165)는 횡방향으로 제1슴베(160)와 반대방향으로, 패드(140)의 제2측면 엣지(148)로부터 신장된다. 제1슴베(160)는 제1지주부재(161)와 제1환형 플랜지(162)를 포함하고, 반면에 제2슴베(165)는 제2지주부재(166)와 제2환형 플랜지(167)를 포함한다.
제1지주부재(161)의 기부근방 단부는 패드(140)의 제1측면 엣지(147)에 연결되고, 반면에 제1환형 플랜지(162)는 제1지주부재(161)의 말단부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지주부재(166)의 기부근방 단부는 패드(140)의 제2측면 엣지(147)에 연결되고, 반면에 제2환형 플랜지(167)는 제2지주부재(165)의 말단부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6)는 개별적으로 패드(140)의 제1 및 제2측면 엣지(147, 148)에서 신장되는 막대(rod)모양의 구조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6)와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패드(140)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1구멍(123)은 제1프롱부재(120)의 말단부(121) 또는 그 근방에서 제1프롱부재(120)를 통해 신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구멍(133)은 제2프롱부재(130)의 말단부(131) 또는 그 근방에서 제2프롱부재(130)를 통해 신장된다. 제1 및 제2구멍(123, 133)의 개구는 그 안으로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6)를 수용하는 크기로,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가 그곳을 통해 지나가는 것을 막는다. 즉,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6)의 횡 단면적이 구멍(123, 133)의 횡 단면적에 상당하여(물론 필요한 공차를 가짐) 지주부재(161, 166)가 구멍(123, 133) 안에 설치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는 제1 및 제2구멍(123, 133)의 횡 단면적보다 큰 횡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는 구멍(123, 133)을 통해 활주할 수 없다. 이런 구성은 패드(140)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패드(140)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고정되면, 제1지주부재(161)는 제1구멍(123) 안에 위치하고 그리고 제2지주부재(166)는 제2구멍(133) 안에 위치한다. 제1환형 플랜지(162)는 제1구멍(123)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1프롱부재(120)의 외부 면(122)에 맞붙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환형 플랜지(167)도 제2구멍(133)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2프롱부재(130)의 외부 면(132)에 맞붙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슴베(160, 165)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계란형상의 패드(140)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보다 많은 슴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40)가 직사각형 모양인 경우, 4개 이상의 슴베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패드(140)를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패드(140)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슴베의 수는 패드(140)의 형상, 원하는 패드(140)의 사용, 및 패드(14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사이에서 원하는 자유도의 수(th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에 따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패드(140)는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피벗가능하게(pivotably) 고정된다. 슴베(160, 165)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 사이의 부착은 종축(A-A)에 대해 수직하는 축을 중심으로 패드(140)가 360°회전을 할 수 있게 한다. 프롱부재(120, 130)에 대한 패드(140)의 회전성(rotatability)은 패드(140)가 회전을 통해 계합 각도의 변경을 허용하여 구강 공동 및 연성 구강조직면의 다른 영역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모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패드(140)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대한 이동이나 회전을 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이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가 구멍(123, 133)을 통해 설치할 수 없는 것을 기술하였더라도, 특정 실시예에서는 패드(140)를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가 공차를 갖게 설계되어 적당한 힘이 가해졌을 때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가 구멍(123, 133)을 통과할 수 있다. 그 힘은 구강 관리기구를 사용하는 중에 잘못 분리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정상적인 구강 관리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휘되는 힘보다 월등히 커야할 것이다. 패드(140)가 프롱부재(120, 130)로부터 제거되고 교체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성과 구성요소 간의 협력동작을 활용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터 핀(cotter pins), 나사 연결, 스냅-피트 연결, 및/또는 억지끼워 맞춤(interference fits)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거 및 대체기능을 실천하기 위해, 구멍(123, 133)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말단부(121, 131)에 형성된 개방 단부 슬롯으로 형성 될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6)는 슬롯(123, 133)의 개방 단부의 안밖으로 활주하여 패드(140)의 삽입 또는 제거를 할 수 있다. 적당한 구조를 사용하여 활주 삽입 후 제자리에 패드(140)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는 각각의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환형 플랜지(162, 167)는 제1 및 제2지주부재(161, 167)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나사부재로 사용할 수 있는 나선형으로 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4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패드(140)는 제1재료로 형성된 기초부(170)와 제2재료로 형성된 층(171)을 포함한다. 층(171)은 기초부(170)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위치하여 연조직면을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세정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드(140)는 필요에 따라 제1재료 또는 제2재료의 단일 재료 및/또는 단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슴베(160, 165)가 패드(140)의 기초부(17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패드(14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 사이에 안정된 연결을 제공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슴베(160, 165)는 특정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층(171)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슴베(160, 165)는, 패드(140)와 분리하여 제조되어 나중에 당업자에게 알려진 적당한 기술인,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열 용접, 억지끼워맞춤(tight-fit) 조립, 커플링 슬리브, 접착, 파스너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부착되는 부품일 수 있다.
제1재료는 제2재료의 경도 값보다 큰 경도 값을 갖는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제1재료는 80 ~ 100쇼어A의 경도 값을 갖고 그리고 제2재료는 대략 30 ~ 50쇼어A의 경도 값을 갖는다. 1개 이상의 특정 실시예에서, 제1재료는 대략 90쇼어A의 경도 값을 갖고 그리고 제2재료는 대략 40쇼어A의 경도 값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초부(170)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경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층(171)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다른 적당한 재료가 기초부(170)와 층(171)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패드(140)는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로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일례의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기초부(170)는 일체적으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형성되며, 나중에 층(171)으로 덮여져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층(171)이 모두 생략될 수 있다. 일체적으로 형성되었을 때, 패드(140)는 프롱부재(120, 130)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비회전성 패드(140)를 가진 경우에는, 패드(140)가 회전성일 때보다 패드(140)는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돌기(144)가 깊은 침투를 할 수 있다.
기초부(170)는 사용 중에 패드(140)를 더 효과적으로 만드는 어느 정도 강성(rigidity)의 성질을 패드(140)에 제공한다. 특히, 기초부(170)는 돌기(144)의 침투력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강성을 제공하면서, 또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드(140)가 연성 구강 조직면의 윤곽에 맞게 구부러지고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144)는 층(17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돌기(144)는 층(17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그런 실시예에서는 층(171)이 연성의 탄성재료인 경우, 돌기(144)도 연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층(171)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을 형성한다. 따라서,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과 상기 표면으로부터 신장되는 돌기(144)는 연성 구강조직과 접촉하여 계합하며, 연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층(171)의 연성의 탄성재료는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이 매우 밀접하게 사용자의 혀, 뺨, 입술, 및 잇몸과 같은 연성 구강조직의 자연적인 윤곽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돌기(144)의 연성의 탄성재료는 구강 관리기구(100)를 사용할 때 연성 구강조직을 침투하여 세정하는데 필요한 가요성을 돌기(144)가 갖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층(171)은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두 생략할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는 돌기(144)가 기초부(170)상에 직접 및/또는 기초부(170)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돌기(144)는 기초부(170)의 경성재료로 형성될 것입니다. 경성 기초부(170)의 재료로 돌기(144)를 형성하여 연조직면을 쓸어내어 철저히 세정하는 매우 강성인 세정면을 패드(140)에 제공할 수 있다.
도1, 도3, 도4 및 도5를 함께 참조하여, 구강 관리기구(100)의 폭의 조절성능을 설명한다. 도1 및 도3은 정상상태에서의 구강 관리기구(100)를 나타낸다. 정상상태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은 없고 그리고 구강 관리기구(100)는 그 본래의 형상으로 있다. 정상상태에서, 패드(140)의 제1 및 제2주 표면(141, 142)은 대체로 평탄한 표면이다.
패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축 위치는 종축(A-A)을 따라 측정되는 바로서 패드(140)와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 사이의 부착 지점의 위치이다. 정상상태에서, 제1거리(D1)는 제1축 위치에서 제1프롱부재(120)의 외부 면(122)과 제2프롱부재(130)의 외부 면(132) 사이의 거리이다.
도4 및 도5는 수축상태의 구강 관리기구(100)를 나타낸다. 구강 관리기구(100)는 정상상태로부터 수축상태로 예를 들어 핑거 그립 돌출부(115)에 압력을 가하는 것과 같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에 힘(F)을 가하여 조절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힘(F)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향하여 핑거 그립 돌출부(115)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을 사용자의 손(150)이 압착하여 생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기술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힘(F)은 다른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힘(F)은 종축(A-A)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에 가해진다. 도4에 나타낸 완전 수축된 상태에서, 제2거리(D2)는 제1축 위치에서 제1프롱부재(120)의 외부 면(122)과 제2프롱부재(130)의 외부 면(132)의 사이이다. 제2거리(D2)는 제1거리(D1)보다 짧아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가 정상상태에서보다 수축상태에서 서로 더 가까이에 있다.
도4는 구강 관리기구(100)가 완전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구강 관리기구(100)는 완전 수축된 상태보다 덜하게 수축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에 작용하는 힘(F)이 클수록,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상호 접근성도 커질 것이다. 적은 힘(F)으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를 누르면, 작게 신장할 것이다. 즉, 제2거리(D2)는 힘(F)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힘(F)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에 가해지고 그리고 제1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사이의 거리가 D1에서 D2로 또는 그 사이의 임의적인 거리로 변하면서, 패드(140)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힘(F)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에 가해져서, 패드(140)가 구부러져,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이 오목하게 되어(도5) 패드(140)가 사용자의 혀 또는 연조직 면의 윤곽에 적합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기술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패드(140)가 구부러져서 패드의 제1주 표면(141)이 볼록하게 되어 사용자의 연조직 면에 돌기의 깊은 침투를 제공한다. 패드(140)가 구부러져서 패드(140)의 제1주 표면(141)이 수축상태에서 오목 또는 볼록하게 되는 것을, 원하는 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실현하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1 또는 제2주 표면(141, 142)에 미리 힘을 가하여 제어할 수 있다.
힘(F)을 받지 않게 되는 즉시,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도1에 나타낸 정상상태로 다시 편향(bias)된다. 즉, 힘(F)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의 외부 면(122, 132)에 가해지지 않게 되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힘(F)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제1 및 제2프롱부재(120, 130)는 자동적으로 정상상태로 복귀하고, 패드(140)는 그에 따라서 대체로 평탄한 형태로 돌아온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가 기재되었고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그 기재내용은 본원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설명을 위해 기재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용이하게 다양한 변경 및 개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화가 상기 방법, 조성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은 상술된 모든 메커니즘 및/또는 상호 작용 모드를 포함하여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기재된 사용 범위는 그 범위 내에서 각각의 모든 값을 기술하기 위해 짧게 설정하여 사용된 것이다. 그 범위 내의 임의적 값은 범위의 말단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참조는 전체적으로 참고되어 포함된 것이다. 본원의 기재와 인용된 참고 기재와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본원의 기재가 우선한다.

Claims (21)

  1. 구강 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되는 손잡이;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주 표면과 제2주 표면을 갖고,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된 패드; 및
    패드의 제1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제1재료로 형성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제2재료로 형성된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재료는 제2재료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갖고, 복수의 돌기가 제2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강 관리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강 관리기구는 패드의 제2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도 포함하며, 제2주 표면의 돌기는 제1주 표면의 돌기와는 다른 지형을 형성하는,
    구강 관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제2주 표면의 돌기는 릿지이고 그리고 제1주 표면의 돌기는 너브인,
    구강 관리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롱부재는 (1)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의 제1거리를 갖는 정상상태와, (2)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의 제2거리를 갖는 수축상태와의 사이에서 조절가능하고;
    상기 제2거리는 제1거리보다 짧아서, 패드가 구부러지는,
    구강 관리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의 각각의 외부 면에 힘이 가해지면 정상상태로부터 수축상태로 조절되는,
    구강 관리기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제1주 표면은 정상상태에서 평탄한 면이며, 수축상태에서 오목한 면인,
    구강 관리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구강 관리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롱부재의 각각은 추가로 복수의 핑거 그립 돌출부도 포함하는,
    구강 관리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와 제1 및 제2프롱부재는 단일 구조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강 관리기구.
  11. 구강 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와;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주 표면과 제2주 표면을 갖고, 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패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프롱부재는: (1)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의 제1거리를 갖는 정상상태와; (2)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의 제2거리를 갖는 수축상태 사이에서 조절가능하며;
    제2거리는 제1거리보다 짧은,
    구강 관리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롱부재는 정상상태로 편향되는,
    구강 관리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롱부재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의 각각의 외부 면에 힘을 가하여 수축위치로 조절되는,
    구강 관리기구.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드는 정상상태에서 대체로 평탄하고, 수축상태에서 구부려지는,
    구강 관리기구.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강 관리기구는 추가로 패드의 제1주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도 포함하는,
    구강 관리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구강 관리기구는 추가로 패드의 제2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도 포함하며;
    제2주 표면의 돌기는 제1주 표면의 돌기와는 다른 지형을 형성하는,
    구강 관리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주 표면의 돌기는 릿지이고 그리고 제1주 표면의 돌기는 너브인,
    구강 관리기구.
  18. 구강 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말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1 및 제2프롱부재와;
    연조직과 계합하며, 제1주 표면과 제2주 표면을 갖고, 제1 및 제2프롱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는 제1재료로 형성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재료로 형성된 층(layer)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재료는 제2재료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갖는,
    구강 관리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고 그리고 제2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구강 관리기구.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구강 관리기구는 추가로 패드의 제1주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구강 관리기구.
  21. 제21항에 있어서,
    구강 관리기구는 추가로 패드의 제2주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도 포함하며;
    제2주 표면의 돌기는 제1주 표면의 돌기와는 다른 지형을 형성하는,
    구강 관리기구.
KR1020137023081A 2011-02-01 2011-02-01 구강 관리기구 KR20130110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23356 WO2012118472A1 (en) 2011-02-01 2011-02-01 Oral care imp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227A true KR20130110227A (ko) 2013-10-08

Family

ID=4462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81A KR20130110227A (ko) 2011-02-01 2011-02-01 구강 관리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282987B2 (ko)
EP (3) EP2670316B1 (ko)
KR (1) KR20130110227A (ko)
CN (1) CN103370018B (ko)
AU (1) AU2011360948B2 (ko)
BR (1) BR112013019660A2 (ko)
CA (1) CA2824540A1 (ko)
ES (1) ES2528233T3 (ko)
HK (3) HK1190591A1 (ko)
HU (1) HUE024113T2 (ko)
MX (1) MX2013008687A (ko)
RU (1) RU2553933C1 (ko)
TW (1) TW201244666A (ko)
WO (1) WO20121184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59B1 (ko) * 2017-02-03 2018-0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극량 조절이 가능한 혀 자극치료기
KR20180001655U (ko) * 2016-11-25 2018-06-04 김홍태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0095S1 (en) * 2013-08-13 2016-10-25 William J. Wall Flossing tool head
CN106236056A (zh) * 2016-08-26 2016-12-2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海拔地区直升机内工作人员生活状态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2068A (en) * 1930-12-05 1932-12-27 Robert J Metzler Massage device
US5984935A (en) * 1998-07-10 1999-11-16 Welt; Teodor Tongue cleaner
US6056763A (en) * 1998-11-18 2000-05-02 Parsons; Lorna Tongue scraper
US6083235A (en) * 1999-05-10 2000-07-04 Dental Concepts, Llc Breath system appliance with dorsal applicator and scraper
JP2001008734A (ja) * 1999-06-30 2001-01-16 Takanori Tsuji 舌面清掃具
US6092536A (en) * 1999-08-13 2000-07-25 Owens; Brian K. Flossing tool
US6625839B2 (en) * 2000-01-18 2003-09-30 Ultradent Products, Inc. Flocked tongue cleaning device
US7607189B2 (en) * 2004-07-14 2009-10-27 Colgate-Palmolive Oral care implement
GB2386557A (en) * 2002-03-19 2003-09-24 Peri Dent Ltd Tongue Scraper
US7721376B2 (en) * 2002-09-20 2010-05-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594293B2 (en) * 2002-09-20 2009-09-29 Colgate-Palmolive Co. Oral care implement
US7090687B1 (en) * 2003-05-19 2006-08-15 Patrick Gwen Tongue cleaner apparatus with an abrasive tablet
US7273327B2 (en) * 2003-06-20 2007-09-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A2563664C (en) * 2004-04-20 2011-08-16 Wm. Wrigley Jr. Company Breath freshening confectionery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MX2007001321A (es) * 2004-08-11 2007-03-28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oral.
US20060052805A1 (en) * 2004-09-07 2006-03-09 Cwik James L Tongue scraper and brush
US20060058821A1 (en) * 2004-09-15 2006-03-16 Jansheski John M Tongue scraper
GB0500575D0 (en) 2005-01-12 2005-02-16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Novel device
CN201055404Y (zh) * 2007-03-16 2008-05-07 饶宏生 舌苔清洁器
US20090236454A1 (en) * 2008-03-19 2009-09-24 Schmidt Tobi Kitchen utensil
US7967230B2 (en) * 2008-06-15 2011-06-28 Freshlink Product Development, Llc Kitchen tool
NL2002311C2 (nl) * 2008-12-11 2010-06-14 Smooles B V Inrichting voor het reinigen van de tong, tablet voor een dergelijke inrichting, en samenstel van een inrichting voor het reinigen van de tong en een met de inrichting gekoppeld tablet.
CN201668454U (zh) * 2010-04-30 2010-12-15 东莞市欣来商贸有限公司 一种舌苔清洁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55U (ko) * 2016-11-25 2018-06-04 김홍태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KR101822859B1 (ko) * 2017-02-03 2018-0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극량 조절이 가능한 혀 자극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8472A1 (en) 2012-09-07
US20130310860A1 (en) 2013-11-21
CA2824540A1 (en) 2012-09-07
CN103370018B (zh) 2015-11-25
HK1198623A1 (en) 2015-05-22
CN103370018A (zh) 2013-10-23
HK1198624A1 (en) 2015-05-22
BR112013019660A2 (pt) 2016-10-11
RU2553933C1 (ru) 2015-06-20
ES2528233T3 (es) 2015-02-06
EP2670316A1 (en) 2013-12-11
EP2762093B1 (en) 2015-10-07
HUE024113T2 (en) 2016-02-29
HK1190591A1 (en) 2014-07-11
AU2011360948A1 (en) 2013-05-09
TW201244666A (en) 2012-11-16
EP2670316B1 (en) 2014-10-29
EP2762092A1 (en) 2014-08-06
AU2011360948B2 (en) 2014-11-20
EP2762093A1 (en) 2014-08-06
US9282987B2 (en) 2016-03-15
MX2013008687A (es)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11B1 (ko)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EP2793647B1 (en) Tissue cleaner and oral care implement
KR20080063527A (ko) 구강 위생 기구
KR20130114213A (ko) 구강 관리 기구
KR20130110227A (ko) 구강 관리기구
KR20130099196A (ko) 구강 관리기구
JP2021151493A (ja) 義歯から義歯接着剤を除去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道具を備えた口腔清掃器具
US20150216291A1 (en) Tissue cleaner and oral care implement
JP3206162U (ja) 歯ブラシのヘッド
AU2014265065B2 (en) Oral care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