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9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 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 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92A
KR20180001492A KR1020170079995A KR20170079995A KR20180001492A KR 20180001492 A KR20180001492 A KR 20180001492A KR 1020170079995 A KR1020170079995 A KR 1020170079995A KR 20170079995 A KR20170079995 A KR 20170079995A KR 20180001492 A KR20180001492 A KR 2018000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hange
specific
serv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047B1 (ko
Inventor
유수안 구오
멍휘 오우
Original Assignee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0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에서, 사용자 단말(UE)(예를 들어, 모바일폰)은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UE가 사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 빔들에 관한 표시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UE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UE 빔들을 사용한다. 특정 조건이 충족된다면, 예를 들어 빔 추적 실패가 존재한다면, UE는 특정 UE 빔을 통해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상기 특정 UE 빔은 네트워크에 의해 표시되었던 하나 이상의 UE 빔들과는 상이하며, 그리고 UE에 의해 선택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 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6월 24일에 출원된 "Method and apparatus for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란 명칭의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2/354,301호의 우선권을 함유하며, 상기 임시특허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개시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셀(예를 들어, 5G 셀)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UE)(예를 들어, 모바일 폰)에 의한 빔 포밍과 관련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차세대 액세스 기술인 5G를 위한 기술 구성 요소를 조사하고 개발하려는 그룹이다. 3GPP는 2015년 3월에 5G와 관련된 표준화 활동을 시작하였다. 3GPP는 5G에 대한 제안서, 레퍼런스 아키텍처 모델 및 연구 항목을 설명하는 회의록을 정기적으로 게시한다. 예를 들어, 3GPP는 다수의 TRP들(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이라고도 함)을 포함하고 UE가 TRP들 사이를 이동할 때 UE의 셀내 이동성(intra-cell mobility)을 지원하는 단일 셀 아키텍처를 구상한다. 이 아키텍처는 본원에 개시된 발명이 해결책을 제공하는 많은 문제점을 제시한다.
다음은 본 명세서의 일부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본 명세서에 대한 광범위한 개요(overview)가 아니다. 이는 본 명세서의 주요 요소 또는 중요한 요소를 식별하거나 본 명세서의 임의의 실시예들의 특정 범위 또는 청구항들의 청구범위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다. 이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의 서두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다음의 용어는 각각의 약어에 의해 언급될 수 있다 :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5G); Beam Specific Reference Signal (BRS); Base Station (BS); Cloud RAN (C-RAN); Connected State (CON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Closed Subscriber Group (CSG); Central Unit (CU); Downlink (DL); Distributed Unit (DU); Evolved Node B (eNB 또는 eNodeB);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Frequency-Division Duplex (FD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ong Term Evolution (LTE); Medium Access Control (MAC);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New RAT (NR); Network (NW); Physical (PHY)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Radio Access Technology (RAT); Radio Frequency (RF); Radio Resource Control (RRC);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Reception (Rx);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Tracking Area (TA); Tracking Area Code (TAC); Tracking Area Identity (TAI) 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TRP Group (TRPG); Technical Specification (TS); Transmission (Tx); User Equipment (UE)(또는 UE 기기라고도 함) an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다양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UE)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UE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하나 이상의 UE 빔들에 관한 표시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UE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UE 빔들을 사용한다. 특정 조건(condition)이 충족된다면, UE는 특정 UE 빔을 사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상기 특정 UE 빔은 UE에 의해 선택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UE 빔들과는 상이하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과 관련된 측정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한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에 관한 표시를 포함한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특정 신호는 스케줄링 요청을 포함한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조건은 상기 하나 이상의 UE 빔들 모두의 변경, UE 빔 오정렬(misalignment), 서빙 빔 오정렬, 빔 추적 실패, 또는 업링크 타이밍 비-정렬을 포함한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특정 UE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특정 UE 빔으로부터 공통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공통 신호는 동기화 신호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일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시그널링의 견고한(robust) 송신 또는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기기 및/또는 다른 제조 물품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특허 대상(subject matter)의 이러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개시된 특허 대상(subject matter)의 기기들, 컴포넌트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
도 1은 5G에서의 빔 개념을 도시하며, 각 TRP는 예를 들어 빔 스위핑의 일부로서 다수의 좁은 빔(narrow beam)을 생성한다.
도 2는 3GPP가 예를 들어 독립형(stand-alone), LTE와 함께 배치된(co-sited with LTE), 중앙 집중형(centralized) 베이스밴드 아키텍처들을 포함하는 NR을 이용하여 지원하고자하는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3은 3GPP가 예를 들어 저성능 송신을 갖는 중앙 집중형 및 공유 RAN을 포함하는 NR을 이용하여 지원하고자하는 보다 많은 예시적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단일 TRP를 갖는 셀들의 배열을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배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수의 TRP들을 갖는 셀들의 배열을 위한 다양한 예시적 배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 5G 셀을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 4G 셀 및 예시적 5G 셀을 나란히 놓고 비교한다.
도 8은 UE 기기와 네트워크 간의 초기 액세스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빔 포밍에 의한 이득 보상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고주파 HF-NR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빔 포밍에 의한 약화된 간섭(weakened interference)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HF-NR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은 (UE 검출에 기초하여) 셀 변경 없이 연결 상태에서의 UE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네트워크 검출에 기초하여) 셀 변경 없이 연결 상태에서의 UE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은 UE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로의 UL 송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네트워크로부터 UE 기기로의 DL 송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스위핑 서브프레임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16은 BS 빔들과 PRACH 자원들 간의 연관을 도시한다.
도 17은 조건에 기초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수신 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8은 조건에 기초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수신 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9는 동시 UL 송신 및 동시 DL 송신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고 예시한다.
도 2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네트워크, TRP 및 UE에 관한 다양한 양태들의 통합에 적합한 송신기 시스템(본원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함) 및 수신기 시스템(본원에서는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라고도 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적 MIMO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양상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예시적인 비-제한적 기기 또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개시서의 다양한 양상들의 통합에 적합한 예시적인 비-제한적 통신 기기의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개시서의 다양한 양상들의 통합에 적합한,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된 예시적인 프로그램 코드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비-제한적인 양태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예시적인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이동식 핸드셋, 사용자 기기, 사용자 장비, 또는 액세스 단말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5G 기술은 다음의 세 가지 사용 시나리오 군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리고 특히 ITU-R IMT-2020에 명시된 긴급한 시장 요구 사항과 장기적인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i)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ii)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iii)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에 관한 3GPP의 5G 연구 항목의 목적은 저주파에서부터 적어도 100 GHz에 이르는 모든 스펙트럼 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시스템을 위한 기술 구성 요소들을 식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높은 캐리어 주파수(예를 들어, 100 GHz까지)를 지원하고자하는 무선 시스템은 무선 전파 영역에서 많은 문제점을 겪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경로 손실 또한 증가할 것이다.
R2-162366(3GPP TSG-RAN WG2 Meeting #93bis)에 따르면,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현재 LTE 대역 < 6GHz)에서, 필요한 셀 커버리지는 다운링크 공통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넓은 섹터 빔을 형성함으로써 제공된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 6GHz)에서 넓은 섹터 빔을 이용하는 것은 동일한 안테나 이득에 대해 셀 커버리지가 감소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필요한 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이 필요하다. 넓은 섹터 빔에 대한 안테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안테나 요소들의 수가 수십에서 수백에 이르는 더 큰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되어 고 이득 빔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고 이득 빔은 전형적인 넓은 섹터 빔보다 좁게 형성되며, 따라서 필요한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다운링크 공통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다수의 고 이득 빔들이 필요하다. 액세스 포인트가 형성할 수 있는 동시 고 이득 빔들의 수는 이용된 트랜스시버 아키텍처의 비용 및 복잡성에 의해 제한된다. 실제로, 고주파수의 경우, 동시 고 이득 빔들의 수는 셀 영역을 커버하는데 필요한 빔들의 총 수보다 훨씬 적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서 빔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셀 영역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R2-163716(3GPP TSG-RAN WG2 Meeting #94)에 따르면, 빔 포밍은 방향성 신호 송신/수신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에서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술이다. 빔 포밍에서, 빔은 특정 각도의 신호가 보강 간섭을 경험하고 다른 신호가 상쇄 간섭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안테나의 위상 배열의 요소들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서로 다른 빔들은 다중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동시에 형성된다. R2-162709 (3GPP TSG RAN WG2 Meeting #93bis)에 따르면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셀(100)은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형일 수 있는 다수의 송신/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120, 124, 128)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eNB(evolved Node B, 110)를 포함한다. 각각의 TRP(120, 124, 또는 128)는 다수의 빔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빔들을 형성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TRP(120, 124, 또는 128)에 의해 형성된 빔의 수 및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동시 빔의 수는 TRP(120, 124, 또는 128)에 의해 이용되는 무선 주파수(RF) 및 안테나 어레이 요소의 수에 의존한다.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R)에 대한 잠재적 이동성 유형은 TRP 내 이동성, TRP 간 이동성 및 NR 간 eNB 이동성을 포함한다. R2-162762 (TSG RAN WG2 Meeting #93bis)에 따르면, 순전히 빔 포밍에 의존하고 더 높은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의 신뢰성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의 커버리지가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LTE 보다 좁은) 링크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은 LTE의 경우보다 훨씬 빨리 떨어질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에서 수백 개의 요소들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들을 사용함으로써, 노드마다 서빙 빔들에 대한 수십 또는 수백개의 후보들을 갖는 상당히 규칙적인 그리드-오브-빔 커버리지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어레이로부터의 개별 서빙 빔의 커버리지 영역은 수십 미터 정도의 폭으로 작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재 사용 중인 서빙 빔 영역 외부의 채널 품질 저하는 넓은 영역 커버리지(예를 들어, LTE에 의해 제공됨)의 경우보다 빠르게 발생할 수 있다.
R3-160947 (3GPP TR 38.801 V0.1.0 (2016-04))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시나리오는 3GPP가 NR을 이용하여 지원하고자하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는 3 개의 예시적 네트워크 아키텍처들(210, 230, 25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아키텍처(210)에서, 코어 네트워크(212)는 2 개의 NR 기지국들(214, 21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communicably coupled)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조번호 230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코어 네트워크(232)는 Site A(234) 및 Site B(23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Site A(234) 및 Site B(236)는 NR 및 LTE 기능을 모두 지원한다. 참조번호 250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코어 네트워크(252)는 아키텍처(252)의 중앙 유닛으로서 작용하고 중앙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베이스밴드 유닛(254)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communicably coupled)된다. 그 다음, 중앙 베이스밴드 유닛(254)은 고성능 송신 링크에 의해 NR 기지국들(256, 258, 260)의 하위 계층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은 3GPP가 NR을 이용하여 지원하고자하는 2 개의 예시적인 무선 아키텍처들(310, 340)을 도시한다. 참조번호 310의 아키텍처에서, 코어 네트워크(312)는 NR 기지국의 상위 계층들을 포함하는 중앙 유닛(314)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다음, 상기 중앙 유닛(314)은 저성능 송신 링크를 통해 NR 기지국들(316, 318, 320)의 하위 계층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참조번호 340의 아키텍처에서,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342, 344 및 346)는 NR 기지국들(348, 350) 모두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R2-164306 (3GPP TSG-RAN WG2#94)에 따르면, 3GPP는 매크로셀, 이종 셀(heterogeneous cell) 및 소형 셀에서의 독립형 NR을 위한 셀 레이아웃 배치를 연구하고자 한다. 2016년 5월 23-26일 회의의 3GPP TSG-RAN WG2 #94회의록에 따르면, 하나의 NR eNB는 하나 이상의 TRP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로 제어되는 이동성은 두 가지 레벨을 포함한다. 하나의 레벨에서, 이동성 제어는 셀 레벨에서 RRC에 의해 구동된다. 다른 레벨에서, (예를 들어, MAC/PHY 계층들에서) RRC의 관여가 전혀 없거나 최소한이다. R2-162210 (3GPP TSG-RAN WG2 Meeting #93bis)에 따르면, 3GPP는 NR에서 2-레벨 이동성 처리 원칙을 유지하고자 한다. 하나의 레벨은 셀 레벨 이동성을 포함할 것이며, 다른 레벨은 빔 레벨 이동성 관리를 포함할 것이다. 셀 레벨 이동성과 관련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은 UE(또는 모바일 기기)가 IDLE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하고 UE 또는 모바일 기기가 접속(CONN) 상태에 있을 때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이동성 제어는 CONN 상태에서 RRC에 의해 구동된다. 빔 레벨 관리와 관련하여, 계층 1 (L1 또는 물리 계층)은 UE(또는 모바일 기기)에 의해 사용될 TRP의 적절한 선택을 처리하고 또한 최적의 빔 방향을 처리한다.
5G 시스템은 종래의 핸드오버 기반 UE 이동성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UE 이동성을 처리하기 위해 "빔 기반 이동성"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MIMO, fronthauling, C-RAN 및 NFV와 같은 기술을 통해 단일 5G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므로 빔 레벨 관리를 위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증가시키고 셀 레벨 이동성의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5G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내 모든 이동성은 빔 레벨 관리에 기반하여 처리될 수 있다. 그 시나리오에서, 핸드오버는 하나의 5G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또 다른 5G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UE 이동성의 경우에만 발생할 것이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5G NR에서 셀 디자인의 몇 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단일 TRP 셀을 갖는 예시적 배치를 도시한다. 배치(400)는 단일 TRP를 갖는 다수의 셀들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참조번호 410의 셀은 참조번호 412의 TRP를 포함하고, 참조번호 420의 셀은 참조번호 422의 TRP를 포함한다. 일부 셀들은 함께 모여있고(clustered), 나머지 셀들은 격리되어 있다. 도 5는 다수의 TRP 셀들을 갖는 예시적 배치를 도시한다. 배치(500)는 다수의 TRP들(512, 514 및 516)을 갖는 셀(5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치(500)는 TRP들(522 및 524)을 갖는 셀(520)도 포함한다. 도 6은 5G 노드(630) 및 다수의 TRP들(612, 614 및 616)을 포함하는 하나의 5G 셀(610)을 갖는 예시적 배치(600)를 도시한다. 도 7은 LTE 셀(710) 및 5G NR 셀(750) 간의 비교를 도시한다. 상기 LTE 셀(710)은 다수의 셀들(714, 71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eNB(712)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714의 셀은 참조번호 720의 TRP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번호 716의 셀은 참조번호 722의 TRP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NR 셀(750)은 단일 셀(756)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중앙집중형 유닛(752)을 포함한다. 상기 단일 셀(756)은 다수의 분산 유닛(DU)(762, 764)을 포함한다. RRM(Radio Research Management) 측정에 기초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 외에, 3GPP는 5G UE가 UE 인트라 셀 이동성 그리고/또는 빔 품질 변동의 경우에도 5G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서빙 빔을 조정할 수 있어야하는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하기 위해, 5G Node-B 및 UE는 서빙 빔을 적절히 추적하고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이후 빔 추적(beam tracking)이라 칭함).
일부 용어 및 가정은 다음에 명시되어 이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BS)이란 용어는 하나 또는 다수의 셀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다수의 TRP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NR의 네트워크 중앙 유닛을 지칭한다. BS와 TRP(들) 간의 통신은 프런트홀(fronthaul) 연결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BS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eNB 또는 NodeB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TRP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UE들과 직접 통신하는 송신 및 수신 포인트이다. TRP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셀은 하나 또는 다수의 연관된 TRP들로 구성된다. 즉, 셀의 커버리지는 셀과 관련된 모든 개별 TRP(들)의 커버리지의 상위집합(superset)이다. 하나의 셀은 하나의 BS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셀은 TRP 그룹(TRPG)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빔 스위핑(beam sweeping)은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가능한 모든 방향들을 커버하는데 사용된다. 빔 스위핑을 위해, 수많은 빔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빔들 모두를 동시에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빔 스위핑은 하나의 시간 인터벌에서 이러한 빔들의 서브세트를 생성하고 다른 시간 인터벌(들)에서 빔(들)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말하면, 빔 스위핑은 시간 영역에서 빔들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여러 시간 인터벌 후에, 가능한 모든 방향들이 커버된다. 빔 스위핑 수는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한 번 모든 가능한 방향으로 빔들을 스위핑하는데 필요한 시간 인터벌(들)의 수를 나타낸다. 빔 스위핑과 관련된 제어/명령 시그널링은 "빔 스위핑 수"를 포함할 것이다. 빔 스위핑 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빔들의 다양한 상이한 서브세트들이 원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생성되어야하는 횟수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측면에서, 빔 포밍을 사용하는 NR은 독립형일 수 있다. 즉, UE가 직접 NR에 캠프 온(camp on)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빔 포밍을 사용하는 NR 및 빔 포밍을 사용하지 않는 NR은, 예를 들어 상이한 셀들에서, 공존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그리고 이점이 있다면, TRP는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 송신 및 수신 모두에 빔 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TRP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는 빔의 수는 TRP의 기능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셀 내의 상이한 TRP들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빔들의 최대 개수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한 셀들 내의 상이한 TRP들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빔들의 최대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빔 스위핑은 예를 들어 제어 시그널링을 모든 방향으로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셀 내의 TRP들의 다운링크 타이밍은 동기화된다. 네트워크 측의 RRC 계층은 BS 내에 위치한다. TRP는 UE 빔 포밍을 갖는 UE들 및 UE 빔 포밍이 없는 UE들 모두를 지원해야하는데, 이는 TRP가 상이한 성능들의 UE들을 지원하고 상이한 UE 릴리즈들에 기초하여 UE 설계들을 지원해야함을 의미한다.
UE 측에서, 가능하다면 그리고 이점이 있다면, UE는 수신 및/또는 송신을 위해 빔 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UE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는 빔의 수는 UE의 성능에 의존할 것이다(예를 들어 UE가 하나 이상의 빔을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존). UE에 의해 생성된 빔(들)은 전형적으로 eNB에 의해 생성된 빔(들) 보다 더 넓다.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한 빔 스위핑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지만, 다른 시그널링(예를 들어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에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성능으로 인해 또는 UE 빔 포밍이 NR의 최초의 몇 가지 릴리즈(들)에 의해 지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UE가 UE 빔 포밍을 지원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하나의 UE는 동일한 셀의 하나 또는 다수의 TRP들로부터의 다수의 빔들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DL 데이터는 다이버시티 또는 처리량 이득을 위해 상이한 서빙 빔들을 통해 동일한 무선 자원 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적어도 2 개의 UE(RRC) 상태가 존재한다 : 연결 상태(또는 활성 상태라고 함) 및 비-연결 상태(또는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상태(idle state)).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UE 기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캠프 온(camp on)할 셀을 찾아야 한다. 셀에 캠프 온 한 후, UE 기기는 등록 및/또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자신과 네트워크 간의 연결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페이징(paging)을 통해 UE 기기에게 네트워크와의 연결 설정을 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UE 기기에게 DL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UE 기기에게 연결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도 8은 UE 기기가 네트워크에 대한 초기 액세스를 생성/시도하는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흐름도(800)의 단계 802에서, UE 기기는 그것이 캠프 온할 수 있는 셀을 검색한다. 이 단계는 예를 들어 UE 기기의 전원이 켜질 때 발생할 수 있다. 캠프 온 할 셀을 찾기 위해, UE 기기는 가능한 캐리어 주파수들을 스캔할 수 있다. 셀은 UE 기기들이 셀을 식별하기 위한 시그널링, 예를 들어 동기화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상기 셀은 빔 스위핑에 의해 상기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셀의 상이한 TRP들은 동일한 시간 인터벌(들) 동안 동일한 유형의 시그널링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804에서, 상기 UE 기기는 상기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의 획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E 기기는 (예를 들어 셀 선택과 관련된)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로부터 획득한다.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시스템 정보는 빔 스위핑에 의해 상기 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셀의 BS에 의해 TRP(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TRP(들)은 상기 UE 기기에 상기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 806에서, 상기 UE 기기는 셀 측정 및 선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E가 캠프 온 가능한 셀을 찾은 후, 상기 UE는 상기 셀의 무선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셀에 캠프 온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셀은 빔 스위핑에 의해 측정을 위한 시그널링, 예를 들어 기준 시그널링(reference signaling)을 제공한다. 동일한 셀의 상이한 TRP들은 동일한 시간 인터벌(들) 동안 상기 시그널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808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UE 기기를 페이징한다. 이는 옵션 단계이며, 상기 페이징은 네트워크가 UE 기기에게 UE 특정 시그널링/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할 때 그리고 UE가 비-연결 상태에 있을 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UE가 페이징을 수신할 때, UE는 네트워크와의 연결 설정을 개시하여 연결 상태로 진입하고 그리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UE 특정 시그널링/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셀은 빔 스위핑에 의해 페이징을 수행한다. 상기 페이징은 BS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할 때 상기 TRP(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UE 기기 및 네트워크 간의 연결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UE는 연결 설정 절차를 통해 상기 BS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절차 동안, 상기 UE 기기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여 네트워크에게 UE 기기의 존재를 인지하도록 통지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데이터 전달을 개시하기 위해 UE 기기들에 의해 사용된다. UE들은 초기 핸드 셰이크(handshake)(또는 프리앰블)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정보를 획득한다. 그 다음, 네트워크는 UE 기기에게 UL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제공한다. 연결이 설정된 후, UE 기기는 연결 상태에 진입한다.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UE가 셀에 캠프 온 한 후, 상기 UE는 상기 UE가 비-연결 상태(또는 유휴 모드(idle mode))에 있을 때 셀의 상이한 TRP들 또는 상이한 빔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UE는 상기 셀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상이한 셀의 커버리지로 이동할 수 있다. 비-연결 상태의 UE의 이동성은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셀 재선택을 유발할 수 있다. UE 빔 포밍이 사용된다면, 상기 UE 빔 변경은 예를 들어 UE 기기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UE가 비-연결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상기 UE는 UE 빔 변화로 인한 임의의 신호의 누락/무시를 피하기 위해 빔 스위핑을 계속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서빙 빔 변경과 관련하여,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은 동일한 셀의 TRP들 또는 서빙 빔들 간에 발생할 수 있다. UE가 캠프 온한 셀과 관련하여, UE는 시그널링이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TRP(들)에 의해 서빙된다. 서빙 TRP(들)의 서빙 빔(들)은 UE 이동성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서빙 TRP(들)은 UE가 캠프 온 되어 있는 셀 내에서 이동할 때 변경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UE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어떠한 시그널링도 누락하지 않도록, 비-연결 상태의 UE에게 필요한 시그널링을 제공하는 서빙 TRP(들)의 상이한 빔들에 대한 모든 가능한 시간 인터벌들 동안 필요한 시그널링을 계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셀 재선택과 관련하여, UE는 전형적으로 UE가 캠프 온하고 있는 서빙 셀에 대한 측정들을 연속적으로 또는 반-연속적으로 수행하며 그리고 그 인접 셀들에 대한 측정들을 연속적으로 또는 반-연속적으로 수행하고, 그리고 서빙 셀을 재선택할지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에는 셀의 다양한 속성들(attributes), 특성들(characteristics), 강점 및 품질에 대한 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UE는 인접 셀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UE가 인접 셀이 더 최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인접 셀을 새로운 서빙 셀로서 재선택할 수 있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UE 기기는 네트워크로부터 셀들의 평가를 위한 파라미터들을 획득한다.
R2-162251 (3GPP TSG-RAN WG2 Meeting #92bis)에 따르면, 빔 포밍은 eNB 및 UE 측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고주파수(HF) NR 시스템에서 빔 포밍에 의한 이득 보상의 개념을 도시한다. 예시적 셀(900)에서, 빔 포밍은 eNB(910) 및 UE(920) 모두에 의해 수행된다. 하나의 실제적인 예에서, 3GPP는 eNB(910)에서의 빔 포밍 안테나 이득이 약 15 dBi 내지 30 dBi일 것으로 예상하며, UE(920)에서의 예상 빔포밍 안테나 이득이 약 3 dBi 내지 20 dBi일 것으로 예상한다.
SINR 관점에서, 도 10은 빔 포밍으로 인해 간섭이 약화된 셀(10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동작 동안, 샤프 빔 포밍(sharp beamforing)은 인접한 간섭원들 eNB A(1030) 및 eNB B(1040)로부터의 서빙 eNB(1010)에서의 간섭 전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인접한 eNB들(1030, 1040)에 연결된 UE들로부터의 간섭 전력은 빔 포밍 때문에 감소된다. TX 빔 포밍의 경우, 현재의 빔(들)이 또한 RX의 방향으로 향해지는 다른 TX들에 의해서만 유효 간섭이 야기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되어야한다. 유효 간섭은 간섭 전력이 유효 잡음 전력 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RX 빔 포밍의 경우, 빔(들)이 UE(1050)의 현재 RX 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지는 다른 TX들에 의해서만 유효 간섭이 야기될 것이다.
UE 빔 포밍은,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 예를 들어 안테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신 및/또는 송신에 유익하다. UE가 연결 상태에 있을 때, UE 빔 포밍은 안테나 이득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UE 빔 스위핑으로 인해 UE 전력 소비 및 지연이 증가되어 비용이 든다. 따라서 UE 빔 포밍을 사용하는 것과 UE 빔 포밍을 사용하지 않는 것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가 존재한다. 필요한 경우 UE 빔 포밍이 사용되어야 한다. 불필요한 경우 UE 빔 포밍을 피해야한다.
네트워크가 일반적으로 UE가 UE 빔 포밍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그리고/또는 생성될 UE 빔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된 측정, UE에 의해 수행된 측정의 피드백 등에 의존하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관련된 구성 및 UE 빔 포밍의 변경은 RRC 메시지, MAC 제어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LTE 내의 PDCCH) 및/또는 그 밖의 것에 의해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셀 변경이 없는 연결 상태에서의 이동성은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UE가 연결 상태에 있을 때, UE는 동일한 서빙 셀의 상이한 빔들 또는 상이한 TRP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UE 빔 포밍이 사용된다면, 또한 UE 빔(들)은, 예를 들어 UE 회전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셀 변경 없는 연결 상태에서의 이동성의 예는 다음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
- 변경 검출을 위한 시그널링 : UE 빔(들), 서빙 TRP(들)의 서빙 빔(들) 및 서빙 TRP(들)의 변경은 UE 및/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변경을 검출하기 위해, TRP(들) 또는 UE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TRP(들)은 시그널링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해 주기적으로 빔 스위핑을 수행한다. UE 빔 포밍이 사용된다면, UE는 시그널링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해 주기적으로 빔 스위핑을 수행한다.
- UE 빔 변경 : 변경이 UE에 의해 검출된다면, UE 자체는 다음 수신( 및 예를 들어 TDD에 대한 송신)을 위해 적절한 UE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네트워크에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로부터 UE로 UE 빔 변경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변경이 네트워크에 의해 검출된다면, 네트워크로부터 UE로의 UE 빔 변경의 표시가 요구될 수 있다. UE는 다음 송신( 및 예를 들어 TDD에 대한 수신)을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표시된 UE 빔(들)을 사용한다.
- 서빙 빔 및/또는 서빙 TRP 변경 : UE가 변경 검출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UE는 네트워크에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DL) 서빙 빔(들) 및/또는 서빙 TRP(들)를 변경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TRP(들)가 변경 검출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는 UE에 대한 서빙 빔(들) 및/또는 서빙 TRP(들)를 변경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셀 변경 없는 연결 상태에서의 이동성에 대한 흐름도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1의 흐름도(1100)는 UE 검출에 기초한 이동성을 도시한다. 흐름도(1100)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에 따르면, UE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DL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빔 또는 TRP 변경을 검출한다(1102). UE는 예를 들어 사용되어야하는 적절한 빔에 관한 피드백을 네트워크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1104), 그리고 UE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피드백을 확인 응답하는(acknowledging) 표시(indication)를 수신한다(1106). 도 12의 흐름도(1200)는 네트워크 검출에 기초한 이동성을 도시한다. 흐름도(1200)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UE로부터 수신된 UL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빔 변경을 검출하고(1202), 그리고 네트워크는 UE에게 빔 변경을 확인 응답하는 표시를 발송한다(1204).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UE가 연결 상태,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네트워크와 UE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연결 상태에 있을 때, UE는 UL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UE에 UE가 네트워크에 발송하기를 원하는 새로운 데이터가 도착할 때 UL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사용자는 텍스트 또는 음성 메시지를 UE에 입력할 수 있고, UE는 그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발송하기를 원한다.
도 13은 UE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로의 UL 데이터 송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흐름도(1300)의 단계 1302에서, UE 기기는 그것이 네트워크로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UL 데이터를 가지지만 상기 송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UL 자원들을 갖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그러한 자원들을 획득하기 위해, 단계 1304에서, UE 기기는 네트워크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발송(또는 송신)하며, UL 자원들을 요청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UE 기기의 UL 타이밍은 UE가 상기 요청을 송신할 때 네트워크/셀과 동기화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UE 기기는 빔 포밍에 의해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UE 기기는 상기 요청을 송신하기 위해 빔 스위핑을 사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1306에서, 네트워크는 UL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UE 기기의 스케줄링 요청은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TRP들에 의해 수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TRP는 UE 기기가 UL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UL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TRP는 네트워크의 기지국(BS)과 협력하여 적절한 UL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TRP는 UE 기기의 요청을 BS에 발송하고, BS는 적절한 UL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며, 그 정보를 TRP에게 전달한다. 그 다음, TRP는 UL 자원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UE 기기에 제공한다. UE 기기의 UL 타이밍은 UL 자원 스케줄링과 함께 조정될 수 있다. TRP는 빔 포밍에 의해 UL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1308에서, UE 기기는 UL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UE 기기가 UL 자원 스케줄링을 수신한 후, UE 기기는 UL 자원들을 사용하여 보류중인(pending) UL 데이터를 송신한다. UE 기기는 UL 송신을 위해 UE 빔 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TRP는 빔 포밍을 사용하여 상기 UE 기기로부터 UL 송신을 수신한다. 다른 정보, 예를 들어 CSI, 버퍼 상태 보고(BSR),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는 UL 데이터와 함께 TRP 또는 BS에 송신될 수 있다. 단계 1310에서, BS 또는 TRP를 의미하는 네트워크는 UE 기기에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을 제공하여 UL 송신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네트워크가 UL 송신을 수신하지 못하면 UE는 재송신을 수행해야할 수 있다.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UE 기기가 연결 상태,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 네트워크와 UE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이 발생하지 않는 연결 상태에 있을 때, BS(네트워크 측을 의미함)는 네트워크에 새로운 데이터 도달 시에 UE 기기로의 DL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UE 기기에 발송하기를 원하는 UE 기기의 사용자를 위한 텍스트 또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네트워크로부터 UE 기기로의 DL 데이터 송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흐름도(1400)의 단계 1402에서, 네트워크는 UE 기기로의 DL 송신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가 UE 기기로 송신될 DL 데이터를 가질 때, 네트워크는 UE 기기에 도달하기 위해 적절한 TRP(들) 및 빔(들)을 결정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빔 추적(또는 빔 탐색(beam finding))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E 기기의 UL 타이밍은 DL 송신을 수행하기 전에 네트워크/셀과 동기화되어야 한다. DL 데이터 도착은 랜덤 액세스(RA) 절차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단계 1404에서, 네트워크는 BS 또는 TRP를 통해 DL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적절한 DL 자원들을 선택하고, DL 할당을 통해 DL 데이터를 기대하고 수신하도록 UE에게 알린다. 단계 1406에서, DL 할당 및 DL 데이터의 송신이 발생한다. DL 할당 및 DL 데이터는 UE 기기에 도달할 수 있는 빔(들)에서 빔 포밍에 의해 제공된다. UE 빔 포밍은 DL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L 할당은 TRP 또는 BS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408에서, UE 기기는 DL 송신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네트워크에게 HARQ 피드백을 제공한다. UE 기기가 DL 송신을 수신하지 못하면 네트워크는 재송신을 수행해야할 수 있다.
R1-165364 (3GPP TSG-RAN WG1#85)에 따르면, 3GPP는 스위핑 공통 제어 평면 기능을 스위핑 서브프레임이라고 불리는 특정 서브 프레임에 집중(concentrating)(또는 삽입)할 것을 제안했다. 3GPP가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송신하기를 원하는 공통 제어 시그널링은 동기화 신호(DL), 기준 신호(DL), 시스템 정보(DL) 및 랜덤 액세스 채널 정보(UL)를 포함한다. 도 15는 스위핑 서브 프레임의 원리를 도시하고, 그리고 상이한 시간에 송신된 DL 스위핑 블록들(1502) 및 UL 스위핑 블록들(1504)을 도시한다. 다운링크 스위핑의 주요 사용 케이스들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셀 검색(cell search),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 획득, 필수 시스템 정보 시그널링 및 셀/빔 측정들(예를 들어, RRM 측정들)을 위한 신호들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디스커버리 시그널링이다. UL PRACH(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에 대해, 3GPP는 BS 빔 상호성(reciprocity)을 이용하고 BS가 송신 UE를 향하는 높은 어레이 이득을 갖는 빔(들)에 의해 수신할 때 UE가 PRACH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즉, PRACH 자원들은 DL 디스커버리 시그널링을 통해 주기적으로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되는 BS 빔들과 관련된다. DL 디스커버리 시그널링은 빔 특정 기준 신호들을 운반한다. 도 16은 BS 빔들(1602)과 PRACH 자원들(1604) 간의 연관을 도시한다.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UE 빔(들)의 표시와 관련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어느 UE 빔(들)이 사용되는지는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된다. 네트워크는 상이한 UE 빔들의 채널 품질, 네트워크 빔들의 로드 밸런싱 또는 혼잡(congestion)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UE에 의해 사용될 UE 빔(들)에 관해 UE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대안은, 예를 들어 LTE에서 PDCCH와 같은 물리 계층 시그널링에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UE 빔(들)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표시는 어느 UE 빔(들)이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지에 기초할 수 있다. UE 빔마다의 UE 빔 특정 구성은 상이한 UE 빔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모드의 UE는, 예를 들어 빔 추적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표시에 기초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에 사용될 UE 빔(들)에 관한 정보를 유지해야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예를 들어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이전에 사용된 모든 UE 빔(들)이 변경될 때 또는 빔 추적 실패로 인해, 네트워크는 UE 빔 변경에 관해 UE에게 표시할 수 없고, 그리고 UE는 어떤 UE 빔이 사용 가능한지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또한, 때로는, UE 빔 정보는 구식(out-of-date)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E 빔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까지, 구식인 UE 빔 정보를 사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UE 빔 변경을 인지하거나 일부 시그널링의 수신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UE는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 빔 변경의 표시,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의 표시 또는 UL 기준 신호의 송신 요청 등을 수신하기 위해 UE 빔 스위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을 위한 UE 빔 스위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주기성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신을 위한 UE 빔 스위핑은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UE는 몇몇 이벤트의 검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무선 링크 실패, 빔 오정렬,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신이 없거나 또는 업링크 타이밍이 정렬되지 않은 것의 검출에 기초하여, 수신을 위해 UE 빔 스위핑을 트리거할 수 있다.
UE는 D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D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UE가, 예를 들어 D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UE 빔 스위핑을 수행함으로써, 어떤 UE 빔이 수신에 사용되는지를 검출하는 수단을 갖는다면, UE는 UE 빔 스위핑을 이용하지 않고 검출된 UE 빔 상에서 시그널링을 모니터링 또는 수신할 수 있다. UE는 다수의 UE 빔들로부터 공통 신호를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고, 그리고 검출된 UE 빔은 공통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UE 빔일 수 있다. 공통 신호는 동기화 신호, 기준 신호, 또는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일부 시그널링의 송신 신뢰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네트워크에게 측정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UE는 특정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 빔,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측정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피드백, UE 빔,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표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UL 기준 신호, 스케줄링 요청 등을 송신하기 위해, UE 빔 스위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을 위한 UE 빔 스위핑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UE 빔 스위핑을 적용하기 위한 시그널링 또는 타이밍은, 예를 들어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사전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동적으로 요청될 수 있다. UE는 몇몇 이벤트를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어 무선 링크 실패, 빔 오정렬,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신이 없음, 또는 업링크 타이밍이 정렬되지 않음을 검출함으로써, 송신을 위해 UE 빔 스위핑을 트리거할 수 있다.
UE는 U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U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UE가, 예를 들어 DL 스위핑 서브프레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UE 빔 스위핑을 수행함으로써, 어떤 UE 빔이 송신에 사용되는지를 검출하는 수단을 갖는다면, UE는 검출된 UE 빔 상으로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UE 빔 스위핑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UE는 다수의 UE 빔들로부터 공통 신호를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고, 그리고 검출된 UE 빔은 공통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UE 빔일 수 있다. 공통 신호는 동기화 신호, 기준 신호, 또는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UE는 UE 빔 포밍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장치(central unit; CU), 분산 장치(distributed unit; DU), 송신/수신 지점(TRP), 기지국(BS) 또는 5G 노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흐름도(1700)의 단계 1702에서, UE는 조건에 기초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해 빔 스위핑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1704에서, 상기 조건이 충족된다면, UE는 UE 빔 스위핑으로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한다. 도 18은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흐름도(1800)의 단계 1802에서, UE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 빔들을 검출한다. 단계 1804에서, 조건이 충족된다면, UE는 상기 하나 이상의 UE 빔들 중 하나의 UE 빔을 이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방법들은 다음의 명확한,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예시 단계들로 구현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UE 빔에 관한 표시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UE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을 사용한다. 그 다음, 조건이 충족된다면,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 중 하나가 아닌 특정 UE 빔을 사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상기 특정 UE 빔은 UE에 의해 선택된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상기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해 UE 빔 스위핑을 사용하지 않는다. 비-제한적 예에서, UE 빔 스위핑으로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은 특정 신호를 여러 번 송신하거나 수신(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이한 UE 빔(들)은 상이한 송신, 수신 또는 모니터링 시간에서 사용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에서,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에 관한 표시,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에 관한 표시일 수 있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에서, 특정 신호는 UL 기준 신호의 전송 요청, UE 빔 변경, 서빙 빔 및/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측정의 피드백, 그리고/또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및/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표시를 포함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특정 신호는 UL 기준 신호 또는 스케줄링 요청이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UE가 상기 특정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때, 상기 UE가 UL 승인을 수신할 때, 또는 UE가 확인(confirmation)을 수신할 때, 상기 특정 신호에 대한 상기 UE 빔 스위핑이 중단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UE는 특정 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한다. 비-제한적 예에서, 상기 송신 또는 수신의 주기성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상기 논의된 충족될 조건은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또는 모니터링)하는 주기성이 도달되는 것, 무선 링크가 실패된 것, UE 및/또는 서빙 빔이 오정렬되는 것,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이전에 사용된 모든 UE 빔(들)이 변경되는 것, 빔 추적 실패가 존재하는 것,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것, 업링크 타이밍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상기 논의된 충족된 조건은 특정 신호가 무엇인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신호가 UE 빔 변경에 관한 표시,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에 관한 표시, UL 기준 신호 전송 요청, UE 빔 변경에 대한 측정의 피드백,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측정의 피드백, UE 빔 변경에 대한 표시, 서빙 빔 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표시, UL 기준 신호 및/또는 스케줄링 요청이라면, 상기 조건은 충족된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특정) UE 빔으로부터 공통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함으로써 (특정) UE 빔을 선택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공통 신호는 동기화 신호, 기준 신호, 디스커버리 신호, 또는 빔 특정 기준 신호이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UE 빔을 검출한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D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또는 모니터링)한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UL 스위핑 서브프레임(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사전 정의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동적으로 요청되거나, 또는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상기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타이밍은 사전 정의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동적으로 요청되거나,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 송신 또는 사용자 데이터 수신을 위해 빔 스위핑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양한 비-제한적 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장치(central unit; CU), 분산 장치(distributed unit; DU), 송신/수신 지점(TRP), 기지국(BS) 또는 5G 노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UE 빔 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연결 모드에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UE는 제어 회로,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 그리고 제어 회로에 설치되고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도 17 및 도 18을 포함하여 상기 논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기술된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기기들에 적용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주로 3GPP 아키텍처 기준 모델(reference model)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당업자는 3GPP2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에서도 본 개시서의 사용 및 구현 측면에서 쉽게 적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기기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코드분할 다중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액세스, 3GPP LTE-A 무선 액세스,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WiMax, 5G를 위한 3GPP NR(New Radio) 무선 액세스, 또는 기타 다른 변조 기법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9는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비-제한적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19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1902)는 다중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데, 참조번호 1904 및 1906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 참조번호 1908 및 1910을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그룹, 그리고 참조번호 1912 및 1914를 포함하는 추가 그룹이 그것들이다. 도 19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오직 두 개의 안테나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이보다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참조번호 1916의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AT)는 참조번호 1912의 안테나 및 참조번호 1914의 안테나와 통신하는데, 이 때 상기 안테나들(1912, 1914)은 참조번호 1918의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1916)로 정보를 전송하고, 참조번호 1920의 역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19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참조번호 1922의 액세스 단말기(AT)는 참조번호 1906의 안테나 및 참조번호 1908의 안테나와 통신하는데, 이 때 상기 안테나들(1906, 1908)은 참조번호 1924의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AT)(19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참조번호 1926의 역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AT)(19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 링크들(1918, 1920, 1924 및 1926)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918의 순방향 링크는 참조번호 1920의 역방향 링크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종종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라고 불린다. 비-제한적 양상들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9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에 있는 액세스 단말기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순방향 링크들(1918, 1924)을 통한 통신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902)의 전송 안테나들은 서로 다른 액세스 단말기들(1916, 19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잡음 비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빔 포밍(beamformin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액세스 단말기들에게 전송하기 위해 빔 포밍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모든 액세스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비하여 인접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에 대해 적은 간섭을 발생시킨다.
액세스 네트워크(AN)는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지국 또는 고정국일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기지국, 증강 기지국, eNB(evolved Node B)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AT)는 또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UE 기기, 통신 기기, 무선 통신 기기, 모바일 기기, 모바일 통신 기기,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도 불릴 수 있다.
도 20은 전송기 시스템(2002)(본원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지칭됨) 및 수신기 시스템(2004)(본원에서 액세스 단말기(AT)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도 지칭됨)의 예시적 실시예를 묘사하는 예시적인 비-제한적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2000)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비-제한적인 양상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전송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 TX 데이터 프로세서(2006)는, 그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부호화 기법에 기초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formatting), 부호화, 그리고 인터리빙(interleaving)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부호화된 데이터는 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그리고 채널 응답을 예측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2004)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된 데이터 및 상기 다중화된 파일럿은 그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변조 기법(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PSK(M-ary or higher-order PSK) 또는 M-QAM(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기초하여 변조(예를 들어, 심볼 매핑)되어, 변조 심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전송률, 부호화 및 변조는 프로세서(2008)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2010)에게 제공되고, 이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TX MIMO 프로세서(2010)는 다수의(NT)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 개의 전송기들(TMTR)(2012a 내지 2012t)에게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TX MIMO 프로세서(201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과, 그 심볼을 전송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빔형성 가중치(beamforming weights)를 적용한다.
각각의 전송기(2012)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추가로 그 아날로그 신호들에 조정 처리(conditioning)(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터링(upconverting) 등)를 하여서, 상기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그 후 전송기들(2012a 내지 2012t)로부터의 NT 개의 변조 신호들은 각각 NT 개의 안테나들(2014a 내지 2014t)로부터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2004)에서,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다수의(NR) 개의 안테나들(2016a 내지 2016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016)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2018a 내지 2018r)에게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018)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조정처리(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터링(upconverting))를 하고, 이 조정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020)는 NR 개의 수신기들(2018)로부터 NR 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특정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이들을 처리하여서, NT 개의 "검출"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그 후, 상기 RX 데이터 프로세서(2020)는 각각의 검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복호하여서,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020)에 의한 처리는 전송기 시스템(2002)의 TX MIMO 프로세서(201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006)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참조번호 2022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느 프리-코딩(pre-coding)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상기 프로세서(2022)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순위 값 부분(rank value portion)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상기 통신 링크 및/또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2026)로부터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024)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028)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들(2018a 내지 2018r)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전송기 시스템(2002)으로 다시 전송된다.
상기 전송기 시스템(2002)에서, 상기 수신기 시스템(2004)으로부터의 상기 변조 신호들은 안테나(201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201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203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032)에 의해 처리되어, 상기 수신기 시스템(2004)에 의해 전송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 후, 참조번호 2008의 프로세서는 빔 포밍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결정하며, 그 다음 그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참조번호 2034의 메모리는 프로세서(2008)를 통해 2030 또는 2032로부터의 몇몇 버퍼링된/계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소스(2036)로부터의 몇몇 버퍼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특정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참조번호 2038의 메모리는 프로세서(2022)를 통해 RX 데이터 프로세서(2020)로부터의 몇몇 버퍼링된/계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소스(2026)로부터의 몇몇 버퍼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특정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고려하여, 개시된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기기들 및 시스템들은 도 17 및 도 18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예시적인 기기들 및 시스템들은 블록들의 집합으로서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청구된 특허 대상은 그 블록들의 순서, 배열 및/또는 개수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부 블록들은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는 상이한 순서, 배열들로 발생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다른 블록들 또는 그와 연관된 기능과 결합 및/또는 분배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예시적 기기들 및 시스템들을 구현하는데 모든 도시된 블록들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그리고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개시된 예시적인 기기들 및 시스템들 및/또는 기능은, 예를 들어 본원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방법들을 컴퓨터에 전송 및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조 물품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제조 물품 등의 용어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등 기기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또는 적절한 경우에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기", "컴포넌트",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는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기기", "컴포넌트", 서브컴포넌트, "시스템"부분 등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터는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라이징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둘 이상의 컴퓨터 간에 분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시나리오들 그리고/또는 기기들의 간략한 개요가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특허 대상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추가 및/또는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더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실시예들의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원에서 벗어나지 않고, 유사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거나 설명된 실시예들에 수정 및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1은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양상들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비-제한적 기기 또는 시스템(2100)을 도시한다. 상기 기기 또는 시스템(2100)은 독립형 기기 또는 그것의 일부,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팅 기기 또는 그것의 일부(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결합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유지하는 메모리), 그리고/또는 본원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여러 기기들 사이에 분산된 하나 이상의 협력 컴포넌트들(cooperating components)을 포함하는 복합 기기 또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예시적인 비-제한적 기기 또는 시스템(2100)은,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또는 도 22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추가로 후술되는 기기들 및/또는 시스템들 중 임의의 예시적 기기 및/또는 시스템, 또는 그것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은 UE 기기(1916 또는 1922)일 수 있는 예시적 기기(2100)를 도시한다. 또 다른 비-제한적 예에서, 도 21은 액세스 네트워크(1902), eNB(110), 또는 TRP(120, 124 또는 128)일 수 있는 예시적 기기(2100)를 도시한다. 상기 기기(2100)는 도 1 내지 도 18 및 관련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 기기와 네트워크 간의 연결, 빔 포밍, 빔 스위핑, 셀 선택, 셀 측정 및 셀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기 또는 시스템(2100)은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2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러한 명령들은 프로세서(210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E(2100)는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UE 빔들에 관한 표시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2100)는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UE 빔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2100)는 특정 조건이 충족된다면 특정 UE 빔을 사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특정 UE 빔은 UE에 의해 선택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UE 빔들과 상이하다.
도 22는 본 개시서의 다양한 양상들의 결합에 적합한, UE 기기(예를 들어, AT(1916), AT(1922), 수신기 시스템(2004), 또는 그것의 일부분들을 포함하는 빔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 기기, 그리고/또는 도 10 내지 도 21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UE 기기 등), 기지국(예를 들어, 빔 처리(beam handling)를 위해 구성된, 액세스 네트워크(1902), 전송기 시스템(2002), 그리고/또는 그것의 일부분들과 같은 기지국) 등과 같은 예시적인 비-제한적 통신 기기(2200)의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통신 기기(2200)는 예를 들어 도 19의 UE들(또는 AT들)(1916, 1922)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적인 예로서, 도 19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시스템, NR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기기(2200)는 입력 기기(2202), 출력 기기(2204), 제어 회로(2206), 중앙처리유닛(CPU)(2208), 메모리(2210), 프로그램 코드(2212) 및 트랜스시버(transceiver)(22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제어 회로(2206)는 CPU(2208)를 통해 상기 메모리(2210) 내의 프로그램 코드(2212)를 실행하여, 상기 통신 기기(2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기기(22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상기 입력 기기(220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모니터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상기 출력 기기(2204)를 통해 이미지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 트랜스시버(2214)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상기 제어 회로(220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 회로(2206)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을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추가의 비-제한적 실시예들은 예시적 제어 회로(2206), 상기 제어 회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06의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08의 CPU 등), 상기 제어 회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06의 제어 회로)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08의 CPU 등)에 연결된 메모리(예를 들어, 참조번호 2210의 메모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UE 기기(예를 들어, 빔 처리(beam handling)를 위해 구성되고 AT(1916), AT(1922), 수신기 시스템(2004), 또는 그것의 일부분들을 포함하는, 그리고/또는 도 1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본원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은, UE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08의 CPU 등)는 상기 메모리(예를 들어, 참조번호 2210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12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본원에 설명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시적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12의 프로그램 코드)는 도 1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능들을 달성하도록 구성된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에 추가하여, 도 21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 그것의 일부들 및/또는 그것에 대한 보완적 또는 보충적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서의 다양한 양상들의 결합(incorporation)에 적합한, 도 22에 도시된 예시적 프로그램 코드(2212)의 단순화된 블록도(23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예시적 프로그램 코드(2212)는 애플리케이션 계층(2302), 계층 3 부분(2304) 및 계층 2 부분(23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계층 1 부분(230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계층 3 부분(2304)은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계층 2 부분(2306)은 일반적으로 링크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계층 1 부분(2308)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접속을 수행한다. LTE, LTE-A, 또는 NR 시스템을 위해, 계층 2 부분(2306)은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및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층 3 부분(2304)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참조번호 2212의 프로그램 코드)는 도 1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기능들을 달성하도록 구성된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에 추가하여, 도 2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명령들, 그것의 일부분들, 그리고/또는 그것에 대한 보완적 또는 보충적 명령들, 그리고/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비-제한적 양상들을 용이하게할 수 있는 예시적 모바일 기기(2400)(예를 들어, 모바일 핸드셋, UE, AT 등)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원에 모바일 핸드셋(2400)이 예시되어 있지만, 다른 기기들은 예를 들어 다수의 다른 모바일 기기들 중 임의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모바일 핸드셋(2400)은 단지 본원에 설명된 특허 대상의 실시예들에 대한 배경(context)을 제공하기위해 예시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논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환경(2400)의 예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구현된 컴퓨터-실행 가능 명령들의 일반적인 내용을 포함하지만, 당업자라면 특허 대상이 다른 프로그램 모듈과 조합하여 그리고/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이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미니 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기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 가전제품 등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 구성들로 실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시스템 구성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관련 기기들에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기기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제한 없이 예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및/또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또는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 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기기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대조적으로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구현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란 용어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 임의의 것의 조합 또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구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통신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핸드셋(2400)은 모든 온보드 동작 및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24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4)는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2406)(예를 들어,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저장을 위해 프로세서(2402)에 인터페이스한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및/또는 금융 통신 프로토콜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406)은 메모리(2404) 및/또는 펌웨어(2408)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메모리(2404) 및/또는 펌웨어(2408) 중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프로세서(24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펌웨어(2408)는 또한 핸드셋(2400)을 초기화할 때 실행을 위한 시작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410)는 셀룰러 네트워크, VoIP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의 유선/무선 통신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프로세서(2402)와 인터페이스한다. 본원에서, 통신 컴포넌트(2410)는 대응하는 신호 통신을 위한 적절한 셀룰러 트랜스시버(2411)(예를 들어, GSM 트랜스시버, CDMA 트랜스시버, LTE 트랜스시버 등) 및/또는 비인가(unlicensed) 트랜스시버(2413)(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TM), 와이맥스(WiMax®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셋(2400)은 셀룰러 전화기, 이동 통신 기능을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그리고 메시징-중심 기기들 같은 기기일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2410) 또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디지털 위성 무선 네트워크 및 인터넷-기반 무선 서비스 네트워크 등으로부터의 통신 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핸드셋(2400)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전화 기능(예를 들어, 발신자 정보(Caller ID) 기능 등), 설정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리고 사용자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24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412)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음악 메타 데이터, 메시지, 배경화면, 그래픽 등)의 제시(presentation)를 수용할 수 있는 "스크린"이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12)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리고 비디오 인용(video quote)의 생성, 편집 및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리얼 I/O 인터페이스(2414)는 하드와이어 접속 그리고 다른 직렬 입력 기기(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 및 마우스)를 통한 유선 및/또는 무선 직렬 통신(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494)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2402)와 통신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어 핸드셋(2400)의 업데이트 및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을 지원한다. 오디오 기능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피드백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 적절한 키 또는 키 조합을 눌렀다는 표시와 관련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는 오디오 I/O 컴포넌트(2416)와 함께 제공된다. 오디오 I/O 컴포넌트(2416)는 또한 데이터 및/또는 전화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화 대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해 오디오 신호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핸드셋(2400)은 카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유니버설 SIM(2420)의 폼 팩터에 SIC(Subscriber Identity Component)를 수용하고 SIM 카드(2420)를 프로세서(2402)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슬롯 인터페이스(24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SIM 카드(2420)는 핸드셋(2400)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업데이트 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핸드셋(2400)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또는 광대역 케이블 제공자를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 회사 인트라넷, 홈 네트워크, PAN(person area network), 셀룰러 네트워크 등과 같은 IP 네트워크로부터의 IP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통신 컴포넌트(2410)를 통해 IP(Internet Protocol)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VoIP 트래픽은 핸드셋(24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며, IP-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인코딩된 포맷으로 또는 디코딩된 포맷으로 수신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 컴포넌트(2422)(예를 들어, 카메라 및/또는 관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는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 컴포넌트(2422)는 비디오의 생성 및/또는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핸드셋(2400)은 배터리 및/또는 교류(AC) 전력 서브시스템의 형태의 전력원(2424)을 포함하는데, 전력원(2424)은 전력 I/O 컴포넌트(2426)에 의해 외부 전력 시스템 또는 충전 장비(미도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핸드셋(2400)은 또한 수신된 비디오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해 그리고 비디오 컨텐츠를 기록하고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컴포넌트(24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컴포넌트(2430)는 비디오의 생성, 편집 및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컴포넌트(2432)는 핸드셋(2400)의 지리적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24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 그리고/또는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2434)는 자금 이체를 위한 각각의 수신자를 선택하는 것, 전송 요청된 금액을 입력하는 것, 계정 제한(account restriction) 및/또는 한정(limitation)을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내용(context)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메시지 및 다른 사용자 입력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2434)는 예를 들어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및/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종래의 입력 기기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참조번호 2406의 애플리케이션을 참조하면, 히스테리시스 컴포넌트(2436)는 히스테리시스 데이터의 분석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하며, 이는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될 시기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WiFiTM 트랜시버(1813)가 액세스 포인트의 비콘을 검출할 때 히스테리시스 컴포넌트(2438)의 트리거링을 용이하게하는 소프트웨어 트리거 컴포넌트(2436)가 제공될 수 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2440)는 핸드셋(2400)이 SIP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가입자를 SIP 레지스트라 서버에 등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406)은 다른 가능성들 중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통신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이언트(24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개시내용의 여러 측면들이 상술되었다. 여기서 분명히 알아야 할 점은 본원의 교시들은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이다. 본원의 교시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한 측면이 임의의 다른 측면들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과 이러한 측면들 중 2 가지 이상의 측면들이 여러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 중 임의의 개수의 측면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원에 기재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추가해서, 또는 본원에 기재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들 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위의 개념들 중 몇몇 개념들의 일례로서,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concurrent channel)들은 펄스 반복 주파수(pulse repetition frequency)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들은 펄스 위치 또는 오프셋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들은 시간 호핑 시퀀스(time hopping sequence)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들은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그리고 시간 호핑 시퀀스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정보 및 신호들은 다른 여러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instruction)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그리고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optical field)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그리고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예컨대, 소스 부호화 또는 다른 어떤 기법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 두 가지 구현들의 조합), (편의상 본원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언급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통합 명령어들,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interchangeability)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여러 예시적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그리고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대하여 위에서 전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강제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원의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그 외에도,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그리고 회로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집적 회로(IC), 액세스 단말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IC는, 본원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전기 구성요소들, 광학 구성요소들, 기계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IC 내부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상기 IC 내부 및 외부에 존재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state machine)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체,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해할 점은 상기에 개시된 임의의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어떠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라도 예시적인 접근 예이라는 점이다. 설계상의 선호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라면 상기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원의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수반되는 방법 청구항들은 여러 단계 요소들을 예시적인 순서로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청구항들에 기재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 2가지의 조합으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데이터 메모리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프로세서(편의상 본원에서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음)와 같은 기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측면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본원의 개시내용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packaging material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여러 측면들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추가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따르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들, 이용들 또는 개조(adaptation)를 포괄하고자 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그리고 관례적인 실시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본원의 개시내용으로부터의 그러한 이탈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기기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을 기술하고, 이후 기술된 기기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을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관행을 사용하는 것이 당업계에서 일반적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즉, 본원에 기술된 기기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의 적어도 일부는 합리적인 양의 실험을 통해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유닛 하우징, 비디오 디스플레이 기기,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운영체제와 같은 계산 엔티티(computational entities), 드라이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터치 패드 또는 스크린 같은 하나 이상의 상호 작용 기기들, 그리고/또는 피드백 루프 및 제어 기기(예를 들어, 위치 및/또는 속도 감지를 위한 피드백; 파라미터들을 이동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제어 기기들)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시스템은 데이터 컴퓨팅/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때때로 다른 컴포넌트들 내에 포함되거나 다른 컴포넌트들과 연결되는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설명한다. 그러한 도시된 아키텍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실제로, 동일한 그리고/또는 등가의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아키텍처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 의미에서, 동일 그리고/또는 등가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배열의 컴포넌트들은 효과적으로 "관련"되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된 임의의 2 개의 컴포넌트들은 아키텍처 또는 중개 컴포넌트들과 관계 없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관련된 임의의 2 개의 컴포넌트들은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operably connected)",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operably coupled)",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communicatibely connected)",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communicatively coupled)"것으로 볼 수 있고, 이와 같이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2 개의 컴포넌트들은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동작 가능하게 결합 가능(operably couplable)"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 가능(communicatively couplable)"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작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또는 통신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특정 예들은 물리적으로 결합 가능한(physically mateable)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컴포넌트들, 무선 상호 작용 가능한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 작용하는 컴포넌트들, 그리고/또는 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 작용 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사실상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의 용어와 관련하여, 당업자는 문맥 및/또는 적용에 적합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에서 단수로 그리고/또는 단수에서 복수로 번역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 치환은, 제한 없이, 본원에서 명확히 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그리고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 본문)에 사용된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개방된" 용어로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예를 들어,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하며, "갖는"이란 용어는 "적어도 갖는"으로 해석되어야하며,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정수의 도입된 청구항 인용(recitation)의 의도된다면, 그러한 의도는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인용될 것이며, 그러한 인용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첨부된 청구항은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도입 문구를 사용하여 청구항 인용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어구의 사용은 부정 관사 "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인용의 도입이 그와 같이 도입된 청구항 인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동일 청구항이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라는 도입 문구 및 "하나의(a)" 또는 "an"같은 부정 관사를 포함할 때조차(예를 들어, "a" 및/또는 "an"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오직 하나의 그러한 인용을 포함하는 실시예들로 제한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청구항 인용을 도입하는데 사용된 정관사들의 사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특정수의 도입된 청구항 인용이 명시적으로 인용되더라도, 당업자는 그러한 인용이 적어도 인용된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예를 들어, 다른 수정자 없이 "2 개의 인용"은 적어도 두 개의 인용 또는 두 개 이상의 인용들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A, B,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례를 이해한다는 의미에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 B만, C만, A 및 B 모두, A 및 C 모두, B 및 C 모두, 그리고/또는 A, B, C 모두를 갖는 시스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A, B 또는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례를 이해한다는 의미에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 B만, C만, A 및 B 모두, A 및 C 모두, B 및 C 모두, 그리고/또는 A, B, C 모두를 갖는 시스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설명, 청구범위, 도면에서 2 개 이상의 대안 용어를 제시하는 사실상 임의의 이원적인 단어 및/또는 문구는 용어들 중 하나, 용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용어들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용어는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서의 특징들 및 양상들이 마쿠시 그룹(Markush group)으로 기술되는 경우, 당업자는 본 개시서가 또한 마쿠시 그룹의 임의의 개별 구성원 또는 구성원들의 하위 그룹의 관점에서 기술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술된 설명을 제공하는 관점에서와 같이, 임의의 목적 및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범위는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하위 범위 및 그 하위 범위의 조합을 포함한다. 나열된 범위는 동일한 범위를 적어도 반반, 3분의 1, 4분의 1, 5분의 1, 10분의 1 등으로 세분화하는 것을 충분히 설명하고 세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원에 논의된 각 범위는 하위 3분의 1, 중앙 3분의 1,상위 3분의 1 등으로 쉽게 나누어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까지", "적어도" 등의 모든 언어는 언급된 개수를 포함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하위 범위로 연속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범위들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범위는 각 개별 멤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1 내지 3 개의 셀들을 갖는 그룹은 1, 2, 또는 3 개의 셀들을 갖는 그룹들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1 내지 5 개의 셀들을 갖는 그룹은 1, 2, 3, 4, 또는 5 개의 셀들을 갖는 그룹들을 의미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으며, 본 개시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유의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되는 진정한 범위 및 사상과 함께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예시적" 및 "제-제한적"이란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example, instance, illustration)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본원에 개시된 특허 대상은 그러한 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an example, an illustration, example)" 및/또는 "비-제한적(non-limiting)"로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양상 또는 설계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으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등가의 예시적인 구조 및 기술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될 필요도 없다. 또한, "포함한다(include)", "갖는다(has)", "함유한다(contain)" 및 다른 유사한 단어들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한도 내에서,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그러한 용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임의의 부가적인 또는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 이행부 단어(open 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또는 적절하다면 이들의 조합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시스템" 등의 용어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실행중인 소프트웨어 중 하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터는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라이징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2 대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들은 여러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컴포넌트들 또는 지정된 서브-컴포넌트들, 상기 지정된 컴포넌트들 또는 서브 컴포넌트 중 일부, 또는 그것의 일부분들 그리고/또는 추가 컴포넌트들, 그리고 전술한 것의 다양한 치환 및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서브-컴포넌트들은 상위 컴포넌트(계층적) 내에 포함되지 않고 다른 컴포넌트들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집합 기능(aggregate funtionality)을 제공하는 단일 컴포넌트로 결합되거나 여러 개의 개별 하위-컴포넌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의 유의되어야 하며, 그리고 관리 계층과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중간 컴포넌트 계층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통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그러한 하위-컴포넌트들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컴포넌트들은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지만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들을 고려하여, 기술된 특허 대상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방법들은 다양한 도면들의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본 방법들은 일련의 블록도들로서 도시 및 기술될 수 있지만, 청구된 특허 대상은 블록들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일부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묘사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그리고/또는 다른 블록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비-연속적(non-sequential) 또는 분기(branched) 흐름이 흐름도를 통해 도시되는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들, 흐름 경로들 및 블록의 순서가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도시된 블록들이 이후에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특허 대상이 개시된 실시예들 및 다양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특허 대상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시된 특허 대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유사한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거나 설명된 실시예들에 변형 및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수의 처리 칩들 또는 다수의 기기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의 성능을 공유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저장은 다수의 기기들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된 구조들, 기기들 및 방법들을 더 최적화하기 위해,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구성, 컴포넌트들의 수, 컴포넌트들의 집합, 프로세스 단계 타이밍 및 순서, 프로세스 단계들의 추가 및/또는 삭제, 전처리 및/또는 후처리 단계들의 추가 등)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구조 및/또는 기기들뿐만 아니라 관련된 방법들은 개시된 특허 대상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많은 응용들을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서는 임의의 단일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라 폭(breadth), 사상 및 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 단말(UE)을 위한 방법으로서,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UE 빔에 관한 표시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을 사용하는 단계; 및
    조건(condition)이 충족된다면, 특정 UE 빔을 사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UE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과 상이하며,
    상기 특정 UE 빔은 상기 UE에 의해 선택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과 관련된 측정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스케줄링 요청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 모두의 변경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UE 빔 또는 서빙 빔의 오정렬(misalignment)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빔 추적 실패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이 정렬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UE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UE 빔으로부터 공통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통 신호는 동기화 신호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방법.
  11. 사용자 단말(UE)로서,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coupled)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켜서 다음의 동작들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UE 빔에 관한 표시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을 사용하는 동작; 및
    조건(condition)이 충족된다면, 특정 UE 빔을 사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동작,
    상기 특정 UE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과 상이하며,
    상기 특정 UE 빔은 상기 UE에 의해 선택되는, 사용자 단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과 관련된 측정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UE 빔 변경, 서빙 빔 변경 또는 서빙 TRP 변경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신호는 스케줄링 요청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빔 모두의 변경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UE 빔 또는 서빙 빔의 오정렬(misalignment)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빔 추적 실패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이 정렬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특정 UE 빔으로부터 공통 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상기 특정 UE 빔을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공통 신호는 동기화 신호 또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70079995A 2016-06-24 2017-06-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 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67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4301P 2016-06-24 2016-06-24
US62/354,301 201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92A true KR20180001492A (ko) 2018-01-04
KR101967047B1 KR101967047B1 (ko) 2019-04-09

Family

ID=5915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995A KR101967047B1 (ko) 2016-06-24 2017-06-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 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55342B2 (ko)
EP (1) EP3261269B1 (ko)
JP (1) JP6633572B2 (ko)
KR (1) KR101967047B1 (ko)
CN (1) CN107548119B (ko)
ES (1) ES2877125T3 (ko)
TW (1) TWI6376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01B1 (ko) 2021-10-22 2022-07-14 이강원 고구마 수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55366T3 (es) 2015-05-13 2020-04-22 Ericsson Telefon Ab L M Formación de haz
WO2017146755A1 (en) * 2016-02-24 2017-08-31 Intel IP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systems based on uplink link identifier
WO2018026218A1 (ko) * 2016-08-05 2018-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03329B2 (en) * 2016-08-11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system characterized by measurement, report, and change procedure by terminal for changing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base station procedure for supporting same
US10779306B2 (en) 2016-08-12 2020-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8062845A1 (ko) * 2016-09-27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6720408B2 (ja) * 2016-10-07 2020-07-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で動作する通信デバイス向けのビームカバレッジの提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US11395169B2 (en) * 2016-10-13 2022-07-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10999745B2 (en) * 2017-01-06 2021-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86844B1 (ko) * 2017-05-12 2022-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클라우드 랜 환경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들 간의 통신 방법 및 장치
EP3530068A2 (en) * 2017-06-16 2019-08-28 Ofinno, LLC Distributed unit configuration update
US10447374B2 (en) 2017-06-28 2019-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sweep or sca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55359B2 (en) 2017-08-10 2020-12-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y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and uplink channels
US11950287B2 (en) 2017-08-10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configuration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0887939B2 (en) 2017-08-10 2021-0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s
US11337265B2 (en) 2017-08-10 2022-05-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1277301B2 (en) 2017-09-07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beam management
US11611468B2 (en) 2017-09-28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management with DRX configuration
US10123218B1 (en) * 2017-10-23 2018-11-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controlled beam sweeping
CA3024596A1 (en) 2017-11-16 2019-05-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paging assistance
US10863570B2 (en) 2018-01-09 2020-12-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selec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transmission
BR112020014396A2 (pt) * 2018-01-22 2021-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e de medições de sinal em dispositivos sem fio de formação de feixe
US11728871B2 (en) * 2018-01-22 2023-08-15 Nokia Technologies Oy Higher-layer beam management
EP3525516B1 (en) 2018-02-09 2022-08-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in carrier aggregation
CN111742579A (zh) * 2018-02-15 2020-10-02 株式会社Ntt都科摩 执行波束失败恢复过程的方法及用户装置
US11419066B2 (en) 2018-02-15 2022-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port
CA3038605A1 (en) 2018-03-30 2019-09-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1039350B2 (en) 2018-04-02 2021-06-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CN110710276B (zh) * 2018-04-04 2021-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物理随机接入信道prach的方法和设备
CN110418357B (zh) * 2018-04-26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US11095355B2 (en) 2018-05-10 2021-08-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iza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GB2573569B (en) 2018-05-11 202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andom acces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756874B2 (en) * 2018-05-15 2020-08-25 Google Llc Beam search pilots for paging channel communications
US11343755B2 (en) * 2018-06-11 2022-05-24 Honda Motor Co., Ltd. Node selection for network sharing
US20210234752A1 (en) * 2018-07-12 2021-07-29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US11012137B2 (en) 2018-08-09 2021-05-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CA3056500A1 (en) 2018-09-24 2020-03-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EP3629492A1 (en) 2018-09-25 2020-04-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s
CN110972143B (zh) * 2018-09-28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US10476577B1 (en) * 2018-11-05 2019-11-12 Google Llc User equipment-initiated beam search for fifth generation new radio
EP3871461A4 (en) * 2019-01-25 2022-08-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ALLOCATION OF CHANNEL RESOURCES IN A CLOUD RADIO ACCESS NETWORK
CN111526546B (zh) * 2019-02-03 2023-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小区切换方法及装置、用户处理方法及装置
US10980028B2 (en) 2019-03-29 2021-04-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ve beam sweeping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WO2021045598A1 (en) * 2019-09-06 2021-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with prioritization
CN112584443A (zh) * 2019-09-27 2021-03-30 苹果公司 辅助小区链路恢复请求传输
EP3799518A1 (en) * 2019-09-27 2021-03-31 Apple Inc. Secondary cell link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20230284038A1 (en) * 2020-04-07 2023-09-07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eeping
US11387875B2 (en) * 2020-04-16 2022-07-12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for enhanced page performance
US20220039139A1 (en) * 2020-07-31 2022-02-03 Qualcomm Incorporated Beam specific rmsi transmission
US11784697B1 (en) * 2022-07-25 2023-10-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hroughput-constrained beam selection with self-correction and virtual serving beam trac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2683A1 (en) * 2012-01-17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uplink beams in beamforming-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58885A1 (en) * 2012-03-27 201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04898A1 (en) * 2012-06-29 201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US20160099763A1 (en) * 2014-10-07 2016-04-07 Mediatek Inc.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5539B1 (en) * 2009-04-28 2018-01-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electronic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544013B2 (ja) * 2009-06-30 2014-07-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器の優先順位付け動作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800221B1 (ko) * 2011-08-11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US9425923B2 (en) * 2012-07-27 2016-08-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fast feedback and response handling in wireless networks
JP5738338B2 (ja) * 2013-03-29 2015-06-2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
EP3084980B1 (en) * 2013-12-16 2020-07-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beam 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18168A1 (en) * 2014-07-28 2016-02-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eam alignment on directional wireless links
US9578644B2 (en) * 2014-09-26 2017-02-21 Mediatek Inc. Beam misalignment de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WO2016172841A1 (en) * 2015-04-28 2016-11-03 Mediatek Inc. A spatial diversity scheme in communication systems of beamforming
WO2016179804A1 (en) * 2015-05-12 2016-1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beam selection
CN106304120A (zh) 2015-06-08 2017-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识别方法、系统和网络节点
WO2017218794A1 (en) * 2016-06-15 2017-12-21 Convida Wireless, Llc Upload control signaling for new radi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2683A1 (en) * 2012-01-17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uplink beams in beamforming-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58885A1 (en) * 2012-03-27 201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04898A1 (en) * 2012-06-29 201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US20160099763A1 (en) * 2014-10-07 2016-04-07 Mediatek Inc. Beam Administration Methods for Cellular/Wireless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222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01B1 (ko) 2021-10-22 2022-07-14 이강원 고구마 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1269B1 (en) 2021-05-19
TWI637609B (zh) 2018-10-01
US10855342B2 (en) 2020-12-01
JP6633572B2 (ja) 2020-01-22
ES2877125T3 (es) 2021-11-16
TW201801485A (zh) 2018-01-01
EP3261269A1 (en) 2017-12-27
KR101967047B1 (ko) 2019-04-09
US20170373731A1 (en) 2017-12-28
JP2017229069A (ja) 2017-12-28
CN107548119B (zh) 2020-10-23
CN107548119A (zh)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04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 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37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 빔 포밍 및 빔 스위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979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빔이 무효가 될 때에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519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670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 빔포밍을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201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s via multiple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55312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測定を扱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62225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ビームフォーミング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