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35U -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 Google Patents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35U
KR20180001435U KR2020160006457U KR20160006457U KR20180001435U KR 20180001435 U KR20180001435 U KR 20180001435U KR 2020160006457 U KR2020160006457 U KR 2020160006457U KR 20160006457 U KR20160006457 U KR 20160006457U KR 20180001435 U KR20180001435 U KR 201800014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rame
coupled
support rods
elb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아
Original Assignee
홍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아 filed Critical 홍현아
Priority to KR2020160006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435U/ko
Publication of KR20180001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4Beds constituted by the tent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는, 제1하우스; 및 상기 제1하우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하우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침대와 텐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아늑한 놀이공간과 휴식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Children's bed tents}
본 고안은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늑한 놀이공간과 휴식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취학 전의 유아들이나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시판되는 제품들 중에서 아이들이 들어가서 놀 수 있는 제품으로는 천과 철사 등을 이용한 일종의 텐트 방식으로 제작된 볼풀류의 제품과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분리된 몇 개의 조각을 조립하여 구체적인 형상의 집을 만들도록 하는 제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천과 철사를 이용한 텐트방식의 제품은 운반의 용이성과 함께 쉽게 공간이 형성되고 접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천이 지니는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견고한 구조와 구체적 형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놀이용 집의 경우는 견고성과 집이 지니는 구체적인 형상을 제공하는 반면,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고, 보통의 주거 공간에서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부담이 크고, 쉽게 분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관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제품들은 단순히 아이들에게 들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만 제공할 뿐 이를 통한 입체 공간의 이해 및 공간 지각 능력의 향상, 협동하여 조립함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침대는 휴식과 수면을 취하는 공간이며, 취학 전의 유아들이나 어린이의 경우에 침대는 휴식과 수면은 물론 놀이 공간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린이 침대의 경우에 어린이들에게 아늑한 놀이 공간과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텐트를 부가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2011-05405호에서와 같이 침대 상부에 텐트를 부가 설치하여서 어린이들이 아늑한 놀이 공간과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어린이 침대는 침대 상부에 일반 텐트를 단순히 부가 설치하는 구조이어서 텐트의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침대 상부에서 일부 공간으로 텐트를 설치 사용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충분한 놀이 공간과 휴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늑한 놀이공간과 휴식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1694호(2014.02.28)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늑한 놀이공간과 휴식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이들이 진입하여 놀 수 있는 공간을 견고하면서도 구체적인 형상으로 제공하고 쉽게 분해하여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2명의 어린이가 각각 개별적인 주거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별적인 주거공간을 결합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는, 제1하우스; 및 상기 제1하우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하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2하우스는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덮는 텐트 및 상기 텐트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리스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은 3개의 삽입구가 서로 직각으로 형성된 4개의 수직 엘보와, 상기 4개의 수직엘보에 직사각형 형태로 결합된 4개의 바닥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의 4개의 수직 엘보에 그 하단이 결합되는 4개의 측면 지지봉과, 3개의 삽입구 중에 2개의 삽입구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구는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 중 하나에 측면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는 2개의 제1절곡 엘보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제1절곡 엘보의 직각으로 형성된 삽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의 4개의 지지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수평 지지봉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제1절곡 엘보의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4개의 정면지지봉과, 3개의 삽입구 중에 2개의 삽입구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구는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에 4개의 정면지지봉이 결합되는 2개의 제2절곡 엘보와, 상기 2개의 제2절곡 엘보의 직각으로 형성된 삽입구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트는 상기 프레임의 정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정면을 향해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트는,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과 좌우측면으로 창이 형성된 제1텐트와, 후면과 좌우측면으로 창이 형성되며 정면으로 도어가 구비된 제2텐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텐트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텐트는 1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와 상기 제2텐트의 개방된 단부는 각각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벨크로 테입이 구비되어 있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의 하단 일부를 마감하는 범퍼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와 상기 범퍼는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벨크로 테입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의 하단은 제1텐트에 고정되고 양측면의 결합만 해제되어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범퍼는 매트리스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에는 커튼이 설치되며, 상기 제1,2텐트의 창문에는 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텐트의 개방된 단부는 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감싸는 벨크로 테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의 바닥과 상기 제1,2텐트의 바닥은 벨크로 테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에 따르면, 침대와 텐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아늑한 놀이공간과 휴식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의 집 형태를 유지하여 아이들이 진입하여 놀 수 있는 공간을 견고하면서도 구체적인 형상으로 제공하고 쉽게 분해하여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2하우스로 구성되어 있어 분해시에는 2명의 어린이가 각각 개별적인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2하우스를 결합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2하우스를 결합한 상태에서 적어도 한 면에는 유아 및 어린이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는 도어를 마련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2하우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2하우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T)는, 제1하우스(A) 및 상기 제1하우스(A)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하우스(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하우스(A,B)는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을 덮는 텐트(200) 및 상기 텐트(200)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리스(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은 바닥 프레임(110)과, 상기 바닥 프레임(110)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120)과,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120)은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00)의 전후좌우 측 4면을 형성하며, 상기 지붕 프레임(130)은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100)의 아치형 상부 지붕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 프레임(110)은 3개의 삽입구(111a,111b,111c)가 서로 직각으로 형성된 4개의 수직 엘보(111)와, 상기 4개의 수직엘보(111)에 직사각형 형태로 결합된 4개의 바닥 지지봉(1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120)은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4개의 수직 엘보(111)에 그 하단이 결합되는 4개의 측면 지지봉(121)과, 3개의 삽입구(122a,122b,122c) 중에 2개의 삽입구(122a,122b)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구(122c)는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122a,122b)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122a,122b) 중 하나에 측면 지지봉(121)의 상단과 결합되는 2개의 제1절곡 엘보(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 프레임(130)은 상기 측면 프레임(110)의 제1절곡 엘보(122)의 직각으로 형성된 삽입구(122c)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110)의 4개의 지지봉(112)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수평 지지봉(131)과,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제1절곡 엘보(122)의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122a,122b)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4개의 정면지지봉(132)과, 3개의 삽입구(133a,133b,133c) 중에 2개의 삽입구(133a,133b)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구(133c)는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133a,133b)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133a,133b)에 4개의 정면지지봉(132)이 결합되는 2개의 제2절곡 엘보(133)와, 상기 2개의 제2절곡 엘보(133)의 직각으로 형성된 삽입구(133c)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봉(1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00)에 의해 다면체의 골결을 이루며 텐트(200)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직 엘보(111), 제1,2절곡 엘보(122,133)는 전술한 다수의 지지봉들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끼움 결합된다. 반면, 엘보들의 내측으로 지지봉이 삽입하는 형태로 끼움 결합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텐트(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정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에서 정면을 향해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2하우스(A,B)는 정면 또는 후면이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텐트(200)는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과 좌우측면으로 창(201)이 형성된 제1텐트(200A)와, 후면과 좌우측면으로 창(201)이 형성되며 정면으로 도어(202)가 구비된 제2텐트(200B)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02)는 해정 수단을 구비하여 잠금 또는 개방상태를 변경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텐트(200A)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텐트(200B)는 1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하우스(A,B)의 프레임(100)에 제1텐트(200A)를 각각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2하우스(A,B)를 독립된 공간을 가지도록 사용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텐트(200A)의 개방된 단부와 상기 제2텐트(200B)의 개방된 단부는 각각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벨크로 테입이 구비되어 있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된다. 슬라이드 파스너와 벨크로 테입은 공지의 구성으로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제1,2하우스(A,B)를 결합하여 제1,2하우스(A,B)를 독립된 형태로 사용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제1하우스(A)의 텐트는 제1텐트(200A)이고, 제2하우스(B)의 텐트는 제2텐트(200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본 고안의 텐트를 거치하는 거치공간의 크기에 따라 또는 유아와 어린이들의 놀이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제1,2하우스(A,B)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공간활용성 및 놀이공간으로서의 재미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텐트(200A)의 개방된 단부의 하단 일부를 마감하는 범퍼(2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텐트(200A)의 개방된 단부와 상기 범퍼(210)는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벨크로 테입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범퍼(210)의 하단은 제1텐트(200A)에 고정되고 양측면의 결합만 해제되어 범퍼(210)는 제1텐트(200A)에 대해 펼쳐지고, 개방된 상기 범퍼(210)는 매트리스(300)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매트리스(300)를 범퍼에 의해 연장하여 누울수 있는 침대 공간을 확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텐트(200A)의 개방된 단부에는 커튼(220)이 설치되며, 상기 제1,2텐트(200A,200B)의 창(201)에는 커버(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튼(220)과 커버(230)에는 별도의 끈 또는 벨크로 테입 등에 의해 걷은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2텐트(200A,200B)의 개방된 단부는 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지나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연장부위에는 벨크로 테입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300)의 바닥과 상기 제1,2텐트(200A,200B)의 바닥은 벨크로 테입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침대와 텐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아늑한 놀이공간과 휴식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형의 집 형태를 유지하여 아이들이 진입하여 놀 수 있는 공간을 견고하면서도 구체적인 형상으로 제공하고 쉽게 분해하여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2하우스(A,B)로 구성되어 있어 분해시에는 2명의 어린이가 각각 개별적인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2하우스(A,B)를 결합하여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2하우스(A,B)를 결합한 상태에서 적어도 한 면에는 유아 및 어린이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는 도어(202)를 마련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 -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A - 제1하우스
B - 제2하우스
100 - 프레임 200 - 텐트
300 - 매트리스

Claims (9)

  1. 제1하우스; 및
    상기 제1하우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하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2하우스는 다면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덮는 텐트 및 상기 텐트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리스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은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붕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은 3개의 삽입구가 서로 직각으로 형성된 4개의 수직 엘보와, 상기 4개의 수직엘보에 직사각형 형태로 결합된 4개의 바닥 지지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의 4개의 수직 엘보에 그 하단이 결합되는 4개의 측면 지지봉과, 3개의 삽입구 중에 2개의 삽입구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구는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 중 하나에 측면 지지봉의 상단과 결합되는 2개의 제1절곡 엘보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제1절곡 엘보의 직각으로 형성된 삽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의 4개의 지지봉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측면수평 지지봉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제1절곡 엘보의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4개의 정면지지봉과, 3개의 삽입구 중에 2개의 삽입구는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삽입구는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둔각을 이루는 2개의 삽입구에 4개의 정면지지봉이 결합되는 2개의 제2절곡 엘보와, 상기 2개의 제2절곡 엘보의 직각으로 형성된 삽입구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상기 프레임의 정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정면을 향해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과 좌우측면으로 창이 형성된 제1텐트와, 후면과 좌우측면으로 창이 형성되며 정면으로 도어가 구비된 제2텐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텐트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텐트는 1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와 상기 제2텐트의 개방된 단부는 각각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벨크로 테입이 구비되어 있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침대 겸용 텐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의 하단 일부를 마감하는 범퍼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와 상기 범퍼는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벨크로 테입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의 하단은 제1텐트에 고정되고 양측면의 결합만 해제되어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범퍼는 매트리스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트의 개방된 단부에는 커튼이 설치되며, 상기 제1,2텐트의 창문에는 커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텐트의 개방된 단부는 그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감싸는 벨크로 테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바닥과 상기 제1,2텐트의 바닥은 벨크로 테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KR2020160006457U 2016-11-04 2016-11-04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KR201800014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7U KR20180001435U (ko) 2016-11-04 2016-11-04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7U KR20180001435U (ko) 2016-11-04 2016-11-04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5U true KR20180001435U (ko) 2018-05-14

Family

ID=6216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57U KR20180001435U (ko) 2016-11-04 2016-11-04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43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694A (ko) 2001-11-30 2004-08-12 비 앤드 에이치 리서치 리미티드 고수압직조법를 사용하는 시트 물질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694A (ko) 2001-11-30 2004-08-12 비 앤드 에이치 리서치 리미티드 고수압직조법를 사용하는 시트 물질의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6987B2 (en) Multi-purpose convertible bed assembly
US20050273928A1 (en) Combination co-sleeper and changing table
JPS61185208A (ja) 組合せ式化粧テ−ブルおよびそれ用の取りはずし可能なモジユ−ル
US20150305296A1 (en) Collapsible and Portable Pet Crate
US6957464B1 (en) Crib bumper
US20160242567A1 (en) Bed tent kit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101606847B1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US9914064B2 (en) Children's foam play den
KR101623918B1 (ko) 기능성 실내 범퍼 플레이하우스 텐트
US3188661A (en) Knockdown structure for use with a child's enclosure, such as a crib
KR200489766Y1 (ko) 조립식 놀이집
KR20180001435U (ko) 어린이 침대 겸용 텐트
KR101347434B1 (ko) 기능성 매트
US5754993A (en) Convertible crib and twin bed wherein the headboard and footboard are rotated by 90°
KR20200085518A (ko)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장치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KR200491483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170004222U (ko) 유아용 매트
US2355525A (en) Infant's crib and the like
KR101383077B1 (ko) 피라미드형 하우스 전환이 가능한 매트 구조
JP2002177076A (ja) 組替式家具
US20220296005A1 (en) Convertible crib
KR200489408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