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89A -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89A
KR20180001389A KR1020160080470A KR20160080470A KR20180001389A KR 20180001389 A KR20180001389 A KR 20180001389A KR 1020160080470 A KR1020160080470 A KR 1020160080470A KR 20160080470 A KR20160080470 A KR 20160080470A KR 20180001389 A KR20180001389 A KR 2018000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converter
dimming control
contro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형
Original Assignee
정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형 filed Critical 정대형
Priority to KR102016008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89A/ko
Publication of KR2018000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1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5B33/08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성분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의 출력을 받아 부스트 컨버팅하며,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직렬 연결되어 입력 전류를 상승시키는 부스트 인덕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 온 시에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출력을 받아 동작하며 상기 LED 램프의 동작을 위한 온/오프 스위칭 소자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밍 제어부; 및 상기 디밍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D)은 아래의 (수학식 7)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7)
Figure pat00043

여기서,
Figure pat00044
는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고,
Figure pat00045
는 상기 LED 램프에 사용되는 LED의 문턱 전압이고,
Figure pat00046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변화분이고,
Figure pat00047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의 인덕턴스값과 상기 PWM 제어신호의 주기를 내포하는 상수값이고,
Figure pat00048
은 상기
Figure pat00049
에 포함된 리플 성분의 sin 함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버터의 직류 출력 성분에 포함된 저주파 리플 성분의 역수의 함수로 LED 램프의 PWM 제어값을 결정함으로써, 추가의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LED 램프의 디밍값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LED 램프에서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LED LAMP DIMMING CONTROL DEVICE WITH FLICKER 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엘이디 램프의 디밍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버터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리플성분의 역수의 함수로 디밍 제어값을 결정하여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존의 형광램프를 대체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다양한 분야의 조명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LED 램프는 형광램프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장수명화가 가능하며, 전력 소모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LED 램프는 구동 전압이 정전압이 아닐 경우, LED 소자의 특성 상 밝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구동 전압이 변동됨에 따라 LED 소자의 밝기가 불균일하게 되어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되며,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장시간 노출될 경우 피로감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논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용교류전원을 부스트 컨버팅하는 경우 인덕터가 사용되며, 이 인덕터에서 저주파 리플이 발생되어 플리커 현상을 유발하는데, 컨버터의 출력단에 DC-DC 컨버터를 설치하여 정전압을 출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추가로 DC-DC 컨버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되며, 다단계의 전력변환으로 인해 조명기기의 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094호는 AC/DC 컨버터 이외에 플리커 방지를 위해 DC/DC 컨버터를 추가로 사용하고 있으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기 내에 DC 출력 전압의 최대 및 최소값 간의 차이인 전압 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커패시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여 플리커 현상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를 사용함에 따른 원가 상승 및 효율 저하의 문제점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으며,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전압 와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플리커 현상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094호
본 발명은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리플 성분을 입력단에서 억제하는 방법이 아니라, 저주파 리플 성분의 역수의 함수로 LED 램프의 PWM 제어값을 결정함으로써, 추가의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LED 램프의 디밍값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성분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의 출력을 받아 부스트 컨버팅하며,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직렬 연결되어 입력 전류를 상승시키는 부스트 인덕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 온 시에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출력을 받아 동작하며 상기 LED 램프의 동작을 위한 온/오프 스위칭 소자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밍 제어부; 및 상기 디밍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D)은 아래의 (수학식 7)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7)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고,
Figure pat00003
는 상기 LED 램프에 사용되는 LED의 문턱 전압이고,
Figure pat00004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변화분이고,
Figure pat00005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의 인덕턴스값과 상기 PWM 제어신호의 주기를 내포하는 상수값이고,
Figure pat00006
은 상기
Figure pat00007
에 포함된 리플 성분의 sin 함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상기 정류 회로부의 입력단에는 불평형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 필터(LF)와, 상기 라인 필터(LF)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 필터 회로부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상기 컨버터의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상기 컨버터의 상기 부스트 인덕터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는 평활용 커패시터(C3)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상기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저주파 리플이 상승할수록 감소하고 하강할수록 증가한다.
본 발명의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에 따르면, 컨버터의 직류 출력 성분에 포함된 저주파 리플 성분의 역수의 함수로 LED 램프의 PWM 제어값을 결정함으로써, 추가의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LED 램프의 디밍값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LED 램프에서의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를 예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DC 입력 파형과 PWM 제어신호의 파형 간 상관관계를 예시한 파형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WM 제어신호의 펄스 파형을 예시한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전원 공급부(100)와, 디밍 제어부(200)와, LED 램프(300)로 구성된다.
전원 공급부(100)는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디밍 제어부(200)의 전원으로 제공하며, 이때 DC 전원을 부스팅하는 과정에서 저주파 리플 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디밍 제어부(200)는 원격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LED 램프(3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LED 램프(300)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는 PWM 제어신호이다. 예를 들어, 원격의 리모컨으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LED 램프(300)를 일정한 밝기로 점등 제어하거나,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LED 램프(300)의 밝기를 조정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리플 성분을 추가의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PWM 제어신호에서 펄스 폭을 조정하여 저주파 리플 성분을 보상함으로써 LED 램프(300)를 일정한 밝기(즉, 디밍값)로 점등 제어하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00)는 필터 회로부(110)와, 정류 회로부(120)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컨트롤러(130)와, 컨버터(140)로 구성된다.
필터 회로부(110)는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조파 성분 및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용교류전원의 입력단에 설치되어 낙뢰와 같은 서지(surge) 전압을 중성선 혹은 접지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리스터(VAR)와,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용단되어 회로를 보호하는 퓨즈(F1)와, 입력단에서 불평형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 필터(LF)와, 라인 필터(LF)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1)로 구성된다.
정류 회로부(120)는 필터 회로부(110)를 거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 성분으로 정류하는 회로로서, 브리지 다이오드(BD)와 브리지 다이오드(BD)에서 정류된 전원을 평활하는 평활용 커패시터(C2)로 구성된다.
컨버터(140)는 정류 회로부(120)의 출력을 받아 부스트 컨버팅하며, 스위칭 소자(Q1)와, 스위칭 소자(Q1)에 직렬 연결되어 입력 전류를 상승시키는 부스트 인덕터(L)와, 스위칭 소자(Q1)의 턴 온 시에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연결되는 다이오드(D)를 포함한다. 여기에 부스트 인덕터(L)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평활용 커패시터(C3)가 더 설치된다. 컨버터(140)의 스위칭 소자(Q1)는 SMPS 컨트롤러(13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컨버터(140)로서 벅 컨버터를 예시하였으나, 컨버터(140)는 다른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위칭 소자(Q1)가 온(on) 될 때에는 부스트 인덕터(L)에 전류가 흐르면서 에너지가 축적되며 스위칭 소자(Q1)가 오프(off) 될 때 부스트 인덕터(L)에 축적된 에너지가 더해져서 다이오드(D)를 지나는 전압이 승압된다.
이러한 부스트 과정에서 저주파 리플 성분이 발생되며, 디밍 제어부(200)를 구성하는 디밍 제어 컨트롤러(210)는 온/오프 스위칭 소자(Q2)의 게이트 단자에 PWM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DC 입력의 저주파 리플 성분을 보상하여 PWM 제어신호의 펄스 폭을 조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는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입력의 저주파 리플 성분의 역수의 함수로 결정한다. 따라서, DC 입력에 포함된 저주파 리플 성분의 증감에 반대 방향으로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킴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디밍값을 얻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의 컨버터(140)에서 부스트 인덕터에서의 기전력을 통하여 듀티 사이클을 산정하는 것은 아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8
여기서,
Figure pat00009
은 부스트 인덕터에서의 기전력이고,
Figure pat00010
은 부스트 인덕터의 인덕턴스이고,
Figure pat00011
는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정의되는 부스트 인덕터(L)에서의 기전력은 아래의 (수학식 2)로 일반화 시킬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2
여기서,
Figure pat00013
는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변화분이고,
Figure pat00014
는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이고,
Figure pat00015
는 PWM 제어신호의 주기를 나타낸다.
(수학식 2)를 듀티 사이클에 관한 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6
한편, 부스트 인덕터(L)의 인덕턴스 "L"과 PWM 제어신호의 주기 "Ts"는 회로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값이다.
부스트 인덕터(L)에서의 기전력 "VL"에는 DC 전원에 포함된 저주파 리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전력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DC 전원의 직류전압에서 LED램프(300)에 사용되는 LED의 문턱 전압을 뺀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LED의 문턱 전압은 상수값이므로 부스트 인덕터(L)에서의 기전력에는 DC 전원의 리플 성분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7
여기서,
Figure pat00018
는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고,
Figure pat00019
는 상기 LED 램프에 사용되는 LED의 문턱 전압을 나타낸다.
위의 (수학식 3)을 (수학식 4)의 관점으로 다시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20
여기서,
Figure pat00021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의 인덕턴스값과 상기 PWM 제어신호의 주기를 내포하는 상수값을 나타낸다.
이때, DC 전원에 포함된 저주파 리플 성분이 LED 램프(300)로 흐르는 전류에 리플을 야기함에 있어서, 플리커 제거를 위한 인자는 DC 전원의 DC 레벨이 아닌 도 3에서와 같은 저주파 리플 성분이 되므로, (수학식 5)에서 리플을 야기하는 매개변수를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2
여기서,
Figure pat00023
은 상기
Figure pat00024
에 포함된 리플 성분의 sin 함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5)에서 매개변수만을 살펴본다면,
Figure pat00025
는 상수값이므로 매개변수에 포함되지 아니하며,
Figure pat00026
는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리플을 의미하지만 결과적으로는 LED 램프로 흐르는 출력전류와 동일하므로 무시될 수 있고, 회로 상수 K 또한 무시할 수 있게 되어 매개변수를 (수학식 6)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으로 표현된 이유는, 전원 공급부(100)의 역률이 1에 가??고 전원이 sin wave라면, DC 전원에 포함된 리플 성분 역시 sin wave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매개변수를 1로 만드는 역수를 (수학식 5)dp 곱해주는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구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29
여기서,
Figure pat00030
는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고,
Figure pat00031
는 상기 LED 램프에 사용되는 LED의 문턱 전압이고,
Figure pat00032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변화분이고,
Figure pat00033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의 인덕턴스값과 상기 PWM 제어신호의 주기를 내포하는 상수값이고,
Figure pat00034
은 상기
Figure pat00035
에 포함된 리플 성분의 sin 함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7)에 의해 얻은 듀티 사이클로 PWM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 파형을 얻을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PWM 제어신호의 펄스 폭은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저주파 리플이 상승할수록 감소하고 하강할수록 증가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전원의 저주파 리플 성분에 대하여 역수의 함수와 같은 파형을 갖게 되며, 저주파 리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디밍값으로 LED 램프를 점등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전원 공급부 110 : 필터 회로부
120 : 정류 회로부 130 : SMPS 컨트롤러
140 : 컨버터 200 : 디밍 제어부
210 : 디밍 제어 컨트롤러 300 : LED 램프

Claims (5)

  1.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성분으로 정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의 출력을 받아 부스트 컨버팅하며,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직렬 연결되어 입력 전류를 상승시키는 부스트 인덕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의 턴 온 시에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출력을 받아 동작하며 상기 LED 램프의 동작을 위한 온/오프 스위칭 소자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밍 제어부; 및
    상기 디밍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D)은 아래의 (수학식 7)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수학식 7)
    Figure pat00036

    여기서,
    Figure pat00037
    는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고,
    Figure pat00038
    는 상기 LED 램프에 사용되는 LED의 문턱 전압이고,
    Figure pat00039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 변화분이고,
    Figure pat00040
    는 상기 부스트 인덕터의 인덕턴스값과 상기 PWM 제어신호의 주기를 내포하는 상수값이고,
    Figure pat00041
    은 상기
    Figure pat00042
    에 포함된 리플 성분의 sin 함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회로부의 입력단에는 불평형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 필터(LF)와, 상기 라인 필터(LF)의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용 커패시터(C1)를 포함하는 필터 회로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의 상기 부스트 인덕터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는 평활용 커패시터(C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WM 제어신호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저주파 리플이 상승할수록 감소하고 하강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KR1020160080470A 2016-06-27 2016-06-27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KR20180001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70A KR20180001389A (ko) 2016-06-27 2016-06-27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70A KR20180001389A (ko) 2016-06-27 2016-06-27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89A true KR20180001389A (ko) 2018-01-04

Family

ID=6099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70A KR20180001389A (ko) 2016-06-27 2016-06-27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34896A1 (en) Lighting control circuit, illuminating lamp using the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illuminating lamp
US20130127356A1 (en) Led driv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9681503B2 (en) Transformer for a lamp, LED converter, and transformer operation method
KR20110049682A (ko) 개방 루프 디밍 제어를 갖는 led 드라이버
CN106028496B (zh) Led点亮装置以及led照明装置
TW201440574A (zh) 直流電源裝置
US9125258B2 (en)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ght source driving method of the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WO2018137240A1 (en) Power converter circuit
JP6235720B2 (ja) Led照明装置用の電力回路及び調光制御方法
GB2497213A (en)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light sources
TWI505746B (zh) 發光二極體光源的供電電路、電力轉換器及供電方法
JP6023414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132188B1 (ko) 엘이디 등기구용 전원회로의 리플제거장치
KR20190016382A (ko) Led 조명용 컨버터의 역률 개선 장치 및 방법
JP2013045754A (ja) Led照明駆動用電源回路
KR100952920B1 (ko) 단일단의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KR101185534B1 (ko) 엘이디 램프의 플리커 방지용 전원공급장치
JP5691495B2 (ja) Led駆動電源装置およびled照明装置
JP6244971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6123195A (ja) 非絶縁型電源装置
KR101087375B1 (ko) Led전등용 전원공급기
WO2018123056A1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80001389A (ko) 플리커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램프 디밍 제어장치
JP6300610B2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6134492B2 (ja) 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