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38U -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 Google Patents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38U
KR20180001338U KR2020160006304U KR20160006304U KR20180001338U KR 20180001338 U KR20180001338 U KR 20180001338U KR 2020160006304 U KR2020160006304 U KR 2020160006304U KR 20160006304 U KR20160006304 U KR 20160006304U KR 20180001338 U KR20180001338 U KR 201800013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ble
electric car
charger
wir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114Y1 (ko
Inventor
정민교
Original Assignee
대영채비(주)
정민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채비(주), 정민교 filed Critical 대영채비(주)
Priority to KR2020160006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1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1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3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gravity-loaded or spring-loaded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11/18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건을 파지한 상태로 위치 이동할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과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권출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충전완료 후 자동 릴 장치가 가지는 자중(SELF LOAD)을 통해 자동 릴 장치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긴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수납함에 있어 수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AUTOMATIC REEL APPARATUS CAPABLE OF TRANSLATIONAL MOVEMENT FOR CHARGER OF ELECTRIC CAR}
본 고안은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과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권출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의 중심부를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충전완료 후 자동 릴 장치가 가지는 자중(SELF LOAD)을 통해 자동 릴 장치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긴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수납함에 있어 수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경우, 5m 이상의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높이를 그에 상응하도록 높게 제작하고 있는데, 충전 케이블의 일측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최상측부에 고정시키고 충전 케이블을 위에서 아래로 길게 늘어뜨린 후 타측의 충전 건을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종래에는 5m 이상의 충전 케이블로 인해 반드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높이가 그에 상응하게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공간 및 면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된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 및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건을 파지한 상태로 위치 이동할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과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권출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의 중심부를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고안은 충전완료 후 자동 릴 장치가 가지는 자중(SELF LOAD)을 통해 자동 릴 장치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긴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수납함에 있어 수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070호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건을 파지한 상태로 위치 이동할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과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권출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의 중심부를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공간은 충전완료 후 자동 릴 장치가 가지는 자중(SELF LOAD)을 통해 자동 릴 장치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긴 길이의 충전 케이블을 수납함에 있어 수납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상측부에 마련되되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몸체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을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권출되되, 상기 인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 내측에 마련된 탄성체가 가지는 탄성력을 토대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권취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로부터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의 특정 영역과 체결되는 충전 케이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방을 향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인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는 자중(SELF LOAD)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측면 상측부에 제공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방으로 갈수록 각도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휠(WHEEL),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 마련된 고정축, 외측에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회전 드럼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회전 드럼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가 상기 몸체부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입 방지부재, 상기 인입 방지부재와 연결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고리, 상기 제1 고리와 연결되는 제2 고리 및 일측이 상기 제2 고리에 체결되며, 상기 충전 케이블의 외측이 매달려 고정되는 제3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고리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상기 충전 케이블의 1/2 길이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 드럼의 외측에 권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가 자중(SELF LOAD)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측면부에 마련된 정리 가이드 내측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건을 파지한 상태로 위치 이동할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과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권출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의 중심부를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완료 후 몸체부가 자중(SELF LOAD)에 의해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자동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충전 케이블이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측면부에 마련된 정리 가이드 내측 방향으로 수용되어 거추장스러운 충전 케이블을 보다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특히 이때 충전 케이블의 전체적인 부피가 압축되어 수납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레일부(110)의 전체적인 형태 및 가이드레일부(110)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몸체부(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충전 건(4)이 충전 건 소켓(5)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와이어(130)가 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경우, 5m 이상의 길이에 해당하는 충전 케이블(2)의 일측 단부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최상측부에 마련된 충전 케이블 고정부(3)와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 케이블(2)의 타측 단부에는 충전 건(4)이 연결된 채 충전 건 소켓(5)에 결속되어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2)의 일부 영역은 바닥에 늘어뜨려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충전 케이블(2)의 전체 길이에 상응하여 늘어뜨려진 충전 케이블(2)의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전체적인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후술되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가 가지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레일부(110)의 전체적인 형태 및 가이드레일부(110)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몸체부(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100)는 크게 가이드레일부(110), 몸체부(120), 와이어(130) 및 충전 케이블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가이드레일부(110)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측면 상측부에 돌출 형성된 프레임(110a)과, 상기 프레임(110a)의 내측을 가로 질러 형성되는 경사면(110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a)은 상기 경사면(110b)을 지지하는 역할과, 후술되는 몸체부(120)가 가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사면(110b)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전방으로 갈수록 각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후술되는 몸체부(120)의 휠(120b)이 상기 경사면(110b)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경사면(110b)이 가지는 각도 및 후술되는 몸체부(120)가 가지는 자중(SELF LOAD)에 의하여, 몸체부(120)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후술되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몸체부(120)는 상기 경사면(110b)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와이어(130)가 권출 및 권취되기 위한 수용 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20)는 하우징(120a), 상기 경사면(110b)에 안착되는 휠(120b) 및 하우징(120a)과 휠(120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20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a)의 내측에는 하우징(120a)의 중심부에 마련된 고정축(미도시), 후술되는 와이어(130)가 감겨진 회전 드럼(미도시)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하는 탄성체(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탄성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회전 드럼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와이어(130)가 하우징(120a)의 외측 방향으로 권출 되더라도 탄성체(스파이럴 스프링)이 가지는 탄성력을 통해 하우징(120a)의 내측 방향으로 다시 권취 되게 된다.
휠(120b)은 상기 경사면(110b)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때 내측에는 베어링 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경사면(110b)을 따라 회전 시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휠(120b)은 종래의 공지된 휠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휠(120b)이 상기 경사면(110b)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120a)이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측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병진 운동(왕복 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130)는 몸체부(12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a)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는데, 이때 와이어(130)는 회전 드럼의 외측에 최초로 감겨진 상태에서 회전 드럼이 고정축을 따라 회전하는 동작과 상응하게 권출될 수 있고, 이때 와이어(130)의 길이는 적어도 충전 케이블(2)의 1/2 길이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케이블 체결부(140)는 상기 와이어(130)의 말단부에 마련되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충전 케이블 고정부(3)로부터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2)의 특정 영역(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케이블(2)의 중심부 영역)과 체결되어 충전 케이블(2)을 매달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 체결부(140)는 와이어(130)의 말단부와 연결되며 와이어(130)의 말단부가 하우징(120a)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입 방지부재(140a), 상기 인입 방지부재(140a)와 연결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고리(140b), 상기 제1 고리(140b)와 연결(혹은 체결)되는 제2 고리(140c) 및 일측이 상기 제2 고리(140c)에 체결되며 충전 케이블(2)의 외측이 매달려 고정되는 제3 고리(140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입 방지부재(140a)는 충전 케이블(2)의 말단부가 하우징(120a) 내측의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우징(120a)의 내측으로 완전히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1 고리(140b)는 충전 케이블(2)의 이동 반경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고리(140d)는 충전 케이블(2)의 직경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서로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충전 케이블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를 살펴보면, 하우징(120a)과 연결된 휠(120b)은 프레임(110a)의 경사면(110b)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도 4를 기준으로 좌측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전방을 의미할 수 있고 우측은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10b)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인장력이 발생하여 몸체부(120)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전방을 향해 이동한 후, 충전이 완료되어 인장력이 제거될 경우 몸체부(120)가 가지는 자중에 의해 휠(120b)이 상기 경사면(110b)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를 통해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로부터 충전 건(4)이 분리될 경우 와이어(130)가 권출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충전 건(4)이 충전 건 소켓(5)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와이어(130)가 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외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충전 건(4)이 파지되어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이 발생되어 충전 건(4)이 충전 건 소켓(5)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충전 케이블(2)은 충전 케이블 체결부(140)과 중심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2)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충전 케이블 체결부(140) 및 와이어(130)를 통해 하우징(120a)에 전달된다.
이 경우, 가이드레일부(110)의 경사면(110b)을 따라 휠(120b)이 회전하면서 몸체부(120)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충전 건(4)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하우징(120a) 내측의 탄성체가 가지는 탄성력을 토대로 와이어(130)가 하우징(120a) 내측으로 권취됨으로써, 충전 케이블(2)의 중심부 영역은 다시 본래의 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120)가 가지는 자중(SELF LOAD)에 의하여 가이드레일부(110)의 경사면(110b)을 따라 휠(120b)이 회전하면서 몸체부(120)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2)의 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자동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며, 이때 충전 케이블(2)의 중심부 영역이 충전 케이블 체결부(140)의해 매달려 거치됨에 따라 충전 케이블(2)의 외측면은 바닥면에 닿거나 끌리지 않고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원고안에 따른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100)를 적용할 경우,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높이를 보다 낮게 제작할 수 있어, 충전 케이블의 효율적인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충전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특히 몸체부가 가지는 자중에 의해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몸체부가 자동으로 위치 이동하여 거추장스러운 충전 케이블을 보다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2: 충전 케이블
3: 충전 케이블 고정부 4: 충전 건
5: 충전 건 소켓
100: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110: 가이드레일부
110a: 프레임
110b: 경사면
120: 몸체부
120a: 하우징
120b: 휠
120c: 연결 프레임
130: 와이어
140: 충전 케이블 체결부
140a: 인입 방지부재
140b: 제1 고리
140c: 제2 고리
140d: 제3 고리

Claims (8)

  1.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상측부에 마련되되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몸체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을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권출되되, 상기 인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 내측에 마련된 탄성체가 가지는 탄성력을 토대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방향으로 권취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로부터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의 특정 영역과 체결되는 충전 케이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방을 향해 위치 이동되며, 상기 인장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는 자중(SELF LOAD)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측면 상측부에 제공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전방으로 갈수록 각도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휠(WHEEL);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 마련된 고정축;
    외측에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회전 드럼;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가 상기 회전 드럼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가 상기 몸체부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입 방지부재;
    상기 인입 방지부재와 연결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고리;
    상기 제1 고리와 연결되는 제2 고리; 및
    일측이 상기 제2 고리에 체결되며, 상기 충전 케이블의 외측이 매달려 고정되는 제3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리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상기 충전 케이블의 1/2 길이 이상에 해당하는 길이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 드럼의 외측에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자중(SELF LOAD)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후방을 향해 자동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측면부에 마련된 정리 가이드 내측 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KR2020160006304U 2016-10-28 2016-10-28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KR200489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04U KR200489114Y1 (ko) 2016-10-28 2016-10-28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04U KR200489114Y1 (ko) 2016-10-28 2016-10-28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38U true KR20180001338U (ko) 2018-05-09
KR200489114Y1 KR200489114Y1 (ko) 2019-05-03

Family

ID=6216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304U KR200489114Y1 (ko) 2016-10-28 2016-10-28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14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8943A (zh) * 2018-10-26 2019-01-18 江苏宏胜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功能的可拼接式充电桩
CN109384103A (zh) * 2018-12-01 2019-02-26 刘焱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的正反向助力绕线装置
KR20200022570A (ko) * 2018-08-23 2020-03-04 (주)대륜엔지니어링 교통 약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CN111890964A (zh) * 2020-08-06 2020-11-06 黄凌锋 一种新能源汽车用充电线自动收纳箱
GB2597071A (en) * 2020-07-13 2022-01-19 E Park Solutions Ltd Cable-tid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220019171A (ko) * 2020-08-07 2022-02-16 김창원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CN114123440A (zh) * 2021-12-24 2022-03-01 天长市东宇电子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电动车充电器
KR20230151311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기차량 충전 케이블 이송 장치
KR102604177B1 (ko) * 2023-01-04 2023-11-20 (주)키솔루션 전기차 충전기에 사용되는 발란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408A (ja) * 2010-10-19 2012-05-10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用充電装置
KR20120005070U (ko) 2011-01-03 2012-07-11 (주)비엘씨테크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장치
JP2012244707A (ja) * 2011-05-17 2012-12-10 Toyota Motor Corp 充電システム
JP2013121238A (ja) * 2011-12-07 2013-06-17 Alpha Corp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941053B2 (ja) * 2011-10-07 2016-06-29 中央発條株式会社 収容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408A (ja) * 2010-10-19 2012-05-10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用充電装置
KR20120005070U (ko) 2011-01-03 2012-07-11 (주)비엘씨테크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장치
JP2012244707A (ja) * 2011-05-17 2012-12-10 Toyota Motor Corp 充電システム
JP5941053B2 (ja) * 2011-10-07 2016-06-29 中央発條株式会社 収容装置
JP2013121238A (ja) * 2011-12-07 2013-06-17 Alpha Corp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570A (ko) * 2018-08-23 2020-03-04 (주)대륜엔지니어링 교통 약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CN109228943A (zh) * 2018-10-26 2019-01-18 江苏宏胜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功能的可拼接式充电桩
CN109384103A (zh) * 2018-12-01 2019-02-26 刘焱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的正反向助力绕线装置
GB2597071A (en) * 2020-07-13 2022-01-19 E Park Solutions Ltd Cable-tid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1890964A (zh) * 2020-08-06 2020-11-06 黄凌锋 一种新能源汽车用充电线自动收纳箱
KR20220019171A (ko) * 2020-08-07 2022-02-16 김창원 이동식 전기차 충전시스템
CN114123440A (zh) * 2021-12-24 2022-03-01 天长市东宇电子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电动车充电器
KR20230151311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전기차량 충전 케이블 이송 장치
KR102604177B1 (ko) * 2023-01-04 2023-11-20 (주)키솔루션 전기차 충전기에 사용되는 발란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14Y1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14Y1 (ko) 병진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KR20180001337U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CN107864689B (zh) 用于电缆的存储
US10252630B2 (en) Retractable cable or hose system
KR102180632B1 (ko) 교통 약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JP5955702B2 (ja) 充電装置
KR20180115963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180128557A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감김장치
JP2011521615A (ja) 自動位置決めワインダー
US20190181738A1 (en) Co-constructed power generation device
CN105173922A (zh) 电线卷收装置及汽车
CN111568149A (zh) 减震耐用的电动窗帘
KR10235825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KR20180001649U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CN105480790A (zh) 数据线收纳盒
CN202103284U (zh) 卷线器的收放线结构
JP5609698B2 (ja) 充電装置および充電設備
JP6305189B2 (ja) 電気自動車充放電装置
CN113734914A (zh) 车载线缆自动伸缩收纳设备及具有其的车辆
KR20200043074A (ko) 충전 케이블용 릴 장치
JP2006246958A (ja) 走行可能な電気機器
CN107758448B (zh) 一种电缆用盘线架
CN211169368U (zh) 被覆线快速收放装置
CN206976551U (zh) Gps‑rtk移动站的收缩天线装置
CN215710866U (zh) 车载线缆自动伸缩收纳设备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