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35A - 저압 scr 반응기 - Google Patents

저압 scr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35A
KR20180001235A KR1020160080111A KR20160080111A KR20180001235A KR 20180001235 A KR20180001235 A KR 20180001235A KR 1020160080111 A KR1020160080111 A KR 1020160080111A KR 20160080111 A KR20160080111 A KR 20160080111A KR 20180001235 A KR20180001235 A KR 2018000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housing
catalyst module
catalyst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049B1 (ko
Inventor
김현수
정몽규
박찬도
이상억
장광필
성삼경
김도윤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2Exhaust flow directors or the like, e.g. upstream of catalytic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대기오염물질인 NOx제거용 저압 SCR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선체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압 SCR 반응기는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102)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110)과,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 보강 격벽(120)과,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120)에 고정되는 프레임(131)들과, 각 프레임(131)에 안착되며 촉매모듈(130C)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130)들과, 최상단의 촉매모듈층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102)에 형성된 도어(105)와, 복수의 층으로 위치한 촉매모듈층(130) 중에서 최하위층의 촉매모듈층과 배기가스 유입관(101)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압 SCR 반응기{Low Pressur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Reactor}
본 발명은 선박용 대형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대기오염물질인 NOx제거용 저압 SCR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선체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관련법령의 개정과 대기환경보전법의 시행규칙이 개정 보완되어 오염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법률개정조치들은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런 오랜 시간 동안의 법적규제조치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질소산화물에 대한 배출량 저감은 만족할만한 수준의 성과가 얻어지지 못한 부분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상황이 초래된 가장 큰 요인은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대기오염물 중 질소산화물의 제어가 기술적인 면에서 다른 오염물질에 비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질소산화물의 배출허용기준은 단계적으로 강화될 전망이며 대형 오염시설위주로 적용되었던 오염물질 배출규제가 선박, 중.소형 보일러, 자동차 등의 소형 배출시설에 대해서 확대 적용되고 있다.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처리하는 후처리 시설로는 SCR (selected catalytic reduction) 시스템, 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시스템이 대표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SNCR 시스템은 촉매층이 필요 없는 등 구성상의 단순성이 장점이다. 그러나 고온반응영역에서 환원제가 반응해야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고온상태를 조성하기 어려운 연소로 밖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하다.
SCR 시스템 또한 초기 설비비용과 환원제 투입에 의한 운전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으나 배기가스에 대해 안정적이면서 높은 저감효율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SCR 시스템은 시설운영비용이 고가인 문제점 때문에 주로 대형배출시설에 적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나 질소산화물 규제의 적용범위가 점차 소형배출시설로 확대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소형배출시설에 적용 가능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SCR 시스템의 개발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터보 차져(TC : Turbo Charger) 전단에 설치된 HP-SCR(High Pressur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의 배기가스 온도는 약 330~450도이며 압력은 1.0~5.0bar로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사용됨에 따라 반응기를 원통형으로 설계하는 반면에, 대형 엔진용 LP-SCR(Low Pressur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는 터보 차져 후단에 설치된다.
터보 차져 후단의 배기가스 온도는 약 190~300도이며 압력은 1.5bar 이하의 저압 상태로서 LP-SCR 반응기의 형태가 사각통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LP-SCR 반응기가 사각통 구조를 갖는 이유는 작용 압력이 낮기 때문이며, 사각통 구조의 LP-SCR 반응기의 특성 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선체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각통 구조의 LP-SCR 반응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SCR 반응기(10)는 사각 구조의 반응기 하우징(20)과, 작업자가 하우징(2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20)에 설치된 도어(21H, 21L)와, 하우징(20)의 하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베인(40)과, 하우징(20) 내부에 복수 층으로 위치하는 촉매모듈층(30)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촉매모듈층(30)은 촉매를 지지 및 고정하는 프레임(31)이 수평하게 상하 간격을 두고 복수 층으로 고정되고, 프레임(31)의 상부에 촉매모듈(30C)들을 정렬하여 배치되며,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한 베인(40)을 통해 상부로 유도된 배기가스는 각 촉매모듈층(30)의 촉매모듈(30C)을 통과하면서 촉매반응 후 하우징(20)의 상부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LP-SCR 반응기에 있어서, 도어(21H, 21L)는 작업자가 LP-SCR 반응기(10) 내부의 촉매모듈(30C)들을 교체하거나 이 외의 설비를 정비하기 위해서 하우징(20) 내부로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도어(21H, 21L)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로 진입하여 작업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도어가 성인의 평균 신장 이상의 높이를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촉매모듈층(30)들 또한 작업자가 프레임(31)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층간 간격이 성인의 평균 신장 이상의 높이를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에 형성된 도어(21H, 21L)는 각 촉매모듈층(30)에 대응하게 상부 도어(21H)와 하부 도어(21L)로 구분되며, 설치 및 정비하고 하는 촉매모듈층(30)에 대응하는 도어(21H, 21L)를 통해 작업자가 하우징(20) 내부로 진입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의 높이 및 촉매모듈층의 간격이 제한됨으로써 하우징 즉 LP-SCR 반응기의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발생한다.
LP-SCR 반응기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하우징의 단면적을 넓히는 방법이 있으나 이 또한 선박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1260호(2015년10월19일)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촉매모듈층의 간격을 감소시켜 반응기의 높이를 감축시킴으로써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부 강성을 증가시켜 반응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게 구성한 LP-SCR 반응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SCR 반응기는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과,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보강 격벽과,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에 고정되는 프레임들과, 각 프레임에 안착되며 촉매모듈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격벽은 복수 개로서, 하우징 내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며, 보강 격벽을 기준으로 양측 구역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강 격벽에는 통로 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은 하우징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 빔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촉매모듈층은 촉매모듈들이 장착되는 촉매 지지 프레임과, 촉매 지지 프레임의 외곽을 감싸 하우징의 내측면 또는 보강 격벽의 측면에 접하여 촉매 지지 프레임의 팽창을 보상하는 실링매트를 포함하며, 촉매모듈층은 고정 프레임에 안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SCR 반응기는 복수의 층으로 위치한 촉매모듈층 중에서 최하위층의 촉매모듈층과 배기가스 유입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산판은 다공판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압 SCR 반응기는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프레임들과, 각 프레임에 안착되며 촉매모듈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들과, 최상단의 촉매모듈층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에 형성된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에는 호이스트를 장착하기 위한 호이스트 빔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압 SCR 반응기는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과,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보강 격벽과,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에 고정되는 프레임들과, 각 프레임에 안착되며 촉매모듈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들과, 최상단의 촉매모듈층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에 형성된 도어와, 복수의 층으로 위치한 촉매모듈층 중에서 최하위층의 촉매모듈층과 배기가스 유입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기가스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는 하우징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에 도어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상부에 형성된 도어를 통해 출입하고, 더불어 작업하고자 하는 촉매모듈층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촉매모듈층의 지지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촉매모듈층의 간격을 축소한 것이다. 따라서 LP-SCR 반응기의 높이를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는 촉매모듈층을 연결하는 보강 격벽을 구성하여 반응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강하여 경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구조 특성에 따라 배기가스의 유입을 안내하는 기존의 베인을 다공이 형성된 분산판 구조로 변경할 수 있어 반응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각통 구조의 LP-SCR 반응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LP-SCR 반응기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촉매모듈층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의 유동균일도를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LP-SCR 반응기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촉매모듈층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의 유동균일도를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SCR 반응기(100)는 하부에 배기가스 유입관(101)이 연결되며 상부에 배기가스 배출관(102)이 연결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수직방향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하여 위치하는 보강 격벽(120)과, 보강 격벽(120)과 하우징(11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하우징(110)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촉매모듈층(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최상층의 촉매모듈층(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102)에는 도어(105)가 형성되고, 촉매모듈층(130)은 보강 격벽(120)과 하우징(110) 내측면의 사이 공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31)과, 고정 프레임(131)에 안착되는 촉매 지지 프레임(133)과,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외곽에 위치하여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팽창에 따른 변위를 보상하는 실링매트(135)를 구비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LP-SCR 반응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사각통 구조이며, 사각통 구조의 상하부는 호퍼구조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배기가스 배출관(102)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배기가스 유입관(101)이 연결된다.
한편,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도어(105)는 배기가스 배출관(102) 또는 상부 호퍼부(111)에 설치된다. 즉 최상층 촉매모듈층(130)의 상부에 형성된 도어(105)를 통해 작업자는 하우징(110) 내부로 진입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도어(105)가 배기가스 배출관(10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아래인 하우징(110)의 상부 호퍼부(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가스 배출관(102)의 내부에는 호이스트 빔이 장착되어 도어(105)를 통해 출입되는 자재 및 부품 등을 호이스트 빔에 장착된 호이스트(109)로 옮길 수 있다. 여기에서 호이스트(109)는 LP-SCR 반응기 정비 및 보수 시에만 호이스트 빔에 장착하며, 평상 시에는 호이스트 빔에서 제거된다.
(109)가 장착되어 도어(105)를 통해 출입되는 자재 및 부품 등을 호이스트(109)를 통해 옮길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 즉 배기가스의 유동방향과 대응하여 보강 격벽(120)이 형성되되, 보강 격벽(120)은 종방향의 보강 격벽과 횡방향의 보강 격벽이 상호 직각으로 교차하는 구조이며, 교차지점은 하우징(110)의 수직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종방향의 보강 격벽과 횡방향의 보강 격벽이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크게 4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며,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는 4개의 구역을 통해 상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각 구역에는 촉매모듈층(130)이 복수의 층으로 위치하며 각 구역에 형성된 복수의 촉매모듈층(130)의 레벨은 각 층별로 일치하게 고정된다.
또한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보강 격벽(120)에 있어서, 같은 레벨에 위치한 촉매모듈층(130)으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보강 격벽(120)에는 통로 홀(121)이 형성된다. 즉 보강 격벽(120)에는 통로 홀(121)들이 같은 레벨의 촉매모듈층(130)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되어 작업자는 같은 레벨의 촉매모듈층(130)을 이동하며 정비 및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각 구역에 위치한 촉매모듈층(13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하는 보강 격벽(120)의 측면과 하우징(110)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31)과, 고정 프레임(131)에 안착되며 상면에 촉매모듈(130C)이 안착되는 촉매 지지 프레임(133)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고정 프레임(131)은 보강 격벽(120)의 측면과 하우징(110)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 프레임(131)의 상면에 촉매 지지 프레임(133)이 안착된다. 고정 프레임(131)은 고온에서도 상부에 안착되는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131)의 내측에 보강 빔(131S)이 고정된다.
한편, 촉매 지지 프레임(133)은 보강 격벽(120) 및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하지 않고 단순히 고정 프레임(131)의 상면에 안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촉매모듈층(130)의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촉매 지지 프레임(133)을 들어내고 아래의 촉매모듈층(130)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팽창과 수축을 제한하지 않아 열응력이 축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촉매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팽창과 수축이 원활하도록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외측면에는 실링매트(135)가 고정되며, 실링매트(135)가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 프레임(131)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촉매 지지 프레임(133)이 온도에 의해 팽창할 경우 실링매트(135)가 가압되어 압축되면서 팽창을 보상한다.
촉매 지지 프레임(133)은 바둑판 모양으로 각 사각으로 구획된 공간에 촉매모듈(130C)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는 보강 격벽(120)들이 구획하는 4개의 구역에 복수 층으로 촉매모듈층(130)이 위치하며, 보강 격벽(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각 촉매모듈층(130)의 레벨은 일치하게 구성되며, 레벨이 일치한 촉매모듈층(130)을 이동할 수 있도록 보강 격벽(120)에는 통로 홀(121)이 형성된다.
또한 보강 격벽(120)의 하단에는 다공판 구조의 분산판(140)이 배기가스의 유입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한다. 기존에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배기가스의 유입방향을 안내하는 베인(도 1의 40)이 배기가스의 진행방향으로 위치함에 따라 하우징의 하부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졌으나, 하우징(110)의 하부에 분산판(140)을 위치하여 배기가스 유입관(101)으로부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촉매모듈층(130)의 평단면적 전체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하우징(110)의 하부 길이를 감축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이 장착된 종래의 LP-SCR 반응기는 베인을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층류(도 5의 (a))를 형성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산판(140)이 장착된 LP-SCR 반응기(100)는 분산판(140) 전방에서 난류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도 5의 (b)). 이와 같이 분산판(140)의 전방에 배기가스의 난류가 형성됨에도 배기가스가 분산판(140)과 촉매모듈(130C)을 통과하면서 층류 형태로 유도되어 배기가스 배출관(102)을 통해 배출된다.
SCR의 설계 구조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요소들 중 하나가 배기가스 유입부와 배출부의 압력차이다. 압력차의 측면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베인이 장착된 LP-SCR 반응기는 91mmWC이며 본 발명에 따른 분산판이 장착된 LP-SCR 반응기는 109mmWC로서 압력차가 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16.5% 증가하였지만, 하우징(110)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감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P-SCR 반응기는 작업자가 하우징(110)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105)를 촉매모듈층(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보강 격벽(120)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촉매모듈층(130)을 보강하며, 분산판(140)으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하우징(110)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 LP-SCR 반응기
101 : 배기가스 유입관
102 : 배기가스 배출관
105 : 도어
109 : 호이스트
110 : 하우징
111 : 호퍼부
120 : 보강 격벽
121 : 통로 홀
130 : 촉매모듈층
131 : 고정 프레임
131S : 보강 빔
133 : 촉매 지지 프레임
135 : 실링매트
140 : 분산판

Claims (11)

  1.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102)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110)과,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 보강 격벽(120)과,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120)에 고정되는 프레임들과,
    각 프레임에 안착되며 촉매모듈(130C)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13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 격벽(120)은 복수 개로서, 하우징(110) 내부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며, 보강 격벽(120)을 기준으로 양측 구역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강 격벽(120)에는 통로 홀(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12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31)과, 고정 프레임(131)을 보강하는 보강 빔(131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4. 제3항에 있어서,
    촉매모듈층(130)은 촉매모듈(130C)들이 장착되는 촉매 지지 프레임(133)과,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외곽을 감싸 하우징(110)의 내측면 또는 보강 격벽(120)의 측면에 접하여 촉매 지지 프레임(133)의 팽창을 보상하는 실링매트(135)를 포함하며,
    촉매모듈층(130)은 고정 프레임(131)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층으로 위치한 촉매모듈층(130) 중에서 최하위층의 촉매모듈층과 배기가스 유입관(101)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6. 제5항에 있어서,
    분산판(140)은 다공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7.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102)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프레임들과,
    각 프레임에 안착되며 촉매모듈(130C)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130)들과,
    최상단의 촉매모듈층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102)에 형성된 도어(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8. 제7항에 있어서,
    도어(105)가 형성된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102)에는 호이스트(109)를 장착하기 위한 호이스트 빔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층으로 위치한 촉매모듈층(130) 중에서 최하위층의 촉매모듈층(130)과 배기가스 유입관(101)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10. 제9항에 있어서,
    분산판(140)은 다공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11. 일측에 연결된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연결된 배기가스 배출관(102)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하우징(110)과,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 보강 격벽(120)과,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보강 격벽(120)에 고정되는 프레임(131)들과,
    각 프레임(131)에 안착되며 촉매모듈(130C)들이 장착된 촉매모듈층(130)들과,
    최상단의 촉매모듈층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배기가스 배출관(102)에 형성된 도어(105)와,
    복수의 층으로 위치한 촉매모듈층(130) 중에서 최하위층의 촉매모듈층과 배기가스 유입관(101)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기가스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분산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SCR 반응기.
KR1020160080111A 2016-06-27 2016-06-27 저압 scr 반응기 KR10221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11A KR102219049B1 (ko) 2016-06-27 2016-06-27 저압 scr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11A KR102219049B1 (ko) 2016-06-27 2016-06-27 저압 scr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35A true KR20180001235A (ko) 2018-01-04
KR102219049B1 KR102219049B1 (ko) 2021-02-22

Family

ID=6099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11A KR102219049B1 (ko) 2016-06-27 2016-06-27 저압 scr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637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저압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12403261A (zh) * 2020-11-20 2021-02-26 中煤能源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数字化构建烟气脱硝核心装置scr反应器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417B2 (ja) * 1988-03-29 1997-04-30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収納品の搬出入を行なう収納容器
JPH10151324A (ja) * 1996-11-22 1998-06-09 Babcock Hitachi Kk 排煙脱硝装置
KR20130005311U (ko) * 2012-02-29 2013-09-06 두산엔진주식회사 대용량 선택 환원 촉매장치
KR101380672B1 (ko) * 2013-10-24 2014-04-02 삼건세기(주)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20140067633A (ko) * 2012-11-27 2014-06-05 주식회사 파나시아 부피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갖는 scr반응기
KR101561260B1 (ko) 2014-09-25 2015-10-19 디엠비이엔지 주식회사 최소 면적 설치용 scr반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417B2 (ja) * 1988-03-29 1997-04-30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収納品の搬出入を行なう収納容器
JPH10151324A (ja) * 1996-11-22 1998-06-09 Babcock Hitachi Kk 排煙脱硝装置
KR20130005311U (ko) * 2012-02-29 2013-09-06 두산엔진주식회사 대용량 선택 환원 촉매장치
KR20140067633A (ko) * 2012-11-27 2014-06-05 주식회사 파나시아 부피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갖는 scr반응기
KR101380672B1 (ko) * 2013-10-24 2014-04-02 삼건세기(주)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101561260B1 (ko) 2014-09-25 2015-10-19 디엠비이엔지 주식회사 최소 면적 설치용 scr반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637A (ko) * 2018-06-21 2019-12-3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저압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12403261A (zh) * 2020-11-20 2021-02-26 中煤能源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数字化构建烟气脱硝核心装置scr反应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049B1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0855B2 (ja) 排気ガス処理装置
KR101994915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시스템
CA2015884C (en) Emission control apparatus
US4866932A (en) Apparatus for treating particulate emission from diesel engine
US10036294B2 (en) Aftertreatment module with reduced bypass flow
US11181029B2 (en) Frame elements for containing monoliths
KR20150139968A (ko) 엔진 배기 후처리 시스템
US20170241322A1 (en) Aftertreatment module having replaceable catalyst housing
KR101916049B1 (ko) 촉매가 코팅된 매연 필터
KR102240510B1 (ko) 디젤 엔진용 오염물질 저감 장치
KR20180001235A (ko) 저압 scr 반응기
US10344641B2 (en) Exhaust gas purifying catalyst
WO2013129089A1 (ja) 船舶用排ガス脱硝反応容器および船舶用脱硝設備
EP3101246B1 (en) Catalyst case, exhaust duct, and engine
KR102450817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1561260B1 (ko) 최소 면적 설치용 scr반응기
KR102026940B1 (ko) 대기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건물배치용 필터 간편교체식 매연저감장치
US11614010B2 (en) Panel assembly and aftertreatment assembly including panel assemblies
CN118056060A (zh) 具有scr反应器组件的燃气涡轮和热回收系统的组合以及其组装和使用方法
KR102061216B1 (ko) 배기가스 처리용 일체형 반응기
KR200480137Y1 (ko) 선박 또는 육상 플랜트용 슬라이딩 타입의 scr 시스템
KR102542321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시스템
CN214384164U (zh) 一种scr反应器
KR20060058330A (ko) 촉매 필터가 구비된 이지알 쿨러
KR102578613B1 (ko) 내부 유지보수공간이 구비되는 매연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