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78U -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178U
KR20180001178U KR2020160006032U KR20160006032U KR20180001178U KR 20180001178 U KR20180001178 U KR 20180001178U KR 2020160006032 U KR2020160006032 U KR 2020160006032U KR 20160006032 U KR20160006032 U KR 20160006032U KR 20180001178 U KR20180001178 U KR 201800011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ipe
water
hole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70Y1 (ko
Inventor
박동식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동식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식, 박재원 filed Critical 박동식
Priority to KR2020160006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7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하는 냄새를 변기 내에서 바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관(19)의 상단에 결합되는 직관(31)으로서 측벽에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상단에 장착된 피벗핀(33)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어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아 선회방식으로 떠올라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열고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지 않는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하향 선회되어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닫고 있음으로써 양변기의 용변 냄새가 양변기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는 부력체(34)를 구비한 오버플로우관(3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양변기 냄새배출장치{Toilet Odor Exhaust Device}
본 고안은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하는 냄새를 변기 내에서 바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 출원인들의 선등록 실용실안 제20-0469426호(공고일자 2013. 10. 29)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냄새는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냄새가 대부분이며 화장실 용변 냄새는 화장실 사용자들에게 불쾌함을 느끼게 한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의 용변 냄새를 배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화장실 천장에 환기용 팬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환기용 팬은 화장실 실내 전체에 퍼진 냄새를 천장 상부로 흡입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지 못해 다른 사람이 바로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 선사용자의 용변 냄새에 의한 불쾌감이 여전하다.
종래 환풍기 외에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변기의 주위 벽면에 방향제를 설치하여 볼 일을 다 본 후 다음 사람을 위해서 방향제를 자동 분무하는 방식이 있는데 화장실에 방향제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방향제의 향기에 의해 빠른 시간 안에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나, 실제 냄새제거가 아니라 방향제의 냄새와 섞여 희석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그 혼합냄새 자체도 유쾌하지 않을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방향제 액의 잔량 여부를 확인하여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제때에 교체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방향제의 구입비용 자체도 경제적으로 부담을 준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김영배의 등록특허 10-767287호에서는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냄새를 변기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흡입하여 수조 내부에 배출구 마개가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연도(煙道)를 형성한 연결관,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고, 용변을 다 본 후에는 물을 내리기 위해 개폐 레버를 내리면 와이어에 연결된 배출구 마개가 상부로 당겨지면서 배출구가 개방되어 수조에 담아진 물을 수로를 통해 변기로 통해 배출하는 구조인데 이 기술은 수로를 통해 냄새를 흡입하는 것은 우수하나, 수조 내에 설치된 부상체에 이상이 있어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김영배가 발명한 등록특허 10-0852847호에 의한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는 수조 내에 설치된 부상체에 이상이 있어 물이 과잉 공급되어 수조 밖으로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록특허 10-767287에 의한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물 흡입 개폐부와 공기 흡입 개폐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워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들은 양변기 용변냄새를 변기 내에서 바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조절하는 부상체에 이상이 있어 수조에 물이 과도하게 공급될 때 그 과공급되는 물을 배수관을 통해 변기의 수로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단가가 낮은 도 1(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용실안등록 제20-0469426호(공고일자 2013. 10. 29)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를 고안하였다. 본 출원인들의 이 실용실안등록 제20-0469426호 기술은 상부에 배출구(2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변기의 수로(29)와 연결되는 체결관(27); 개폐 레버(2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22)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배출구 마개(21); 일단이 상기 체결관(27)에 연결되며, 타단이 T자형 관(40)의 제1단(40a)과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20); 상기 T자형 관(40)의 제2단(40b)과 연결되며, 배수홀(34)이 형성된 배수판(32)과 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수홀(34)을 개폐하는 배수볼(36)로 이루어진 배수장치(30); 및 일단이 상기 T자형 관(40)의 제3단(40c)에 연결되는 배출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들의 실용실안등록 제20-0469426호에서는 그 배수홀(34)을 개폐하는 배수볼(36)이 배수판(32)에 레일삽입식으로 끼워져서 상하로 승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배수볼(36)의 배수판(32)에 대한 체결이 뻑뻑하거나 또는 배수볼(36)이 배수판(32)에 끼워진 레일부분에 물 때가 끼거나 물과의 접촉영향 등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그 승강 작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수조 내에 설치된 부상체에 이상이 있어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경우에 비상의 오버플로우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냄새를 실외로 배출하기 못하고 실내로 누출하는 문제점를 드러내고 있다.
등록특허 10-767287호(공고일자 2007. 10. 17) 등록특허 10-0852847호(공고일자 2008. 8. 18) 실용실안등록 제20-0469426호(공고일자 2013. 10. 29)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들의 실용실안등록 제20-0469426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전통적인 양변기의 물공급 잠금용 부양체에 이상이 생겨 양변기 물탱크 내에 물이 과공급되더라도 그 과공급되는 물을 확실하게 오버플로우시켜 변기내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양변기 용변냄새를 확실하게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작동확실성이 크게 개선된 새로운 형상과 구조의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 치는, 그 일 특징에 따라
상부에 배출구(2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부(26)가 형성되고, 변기의 수로(29)에 나사연결된 체결관(27)과;
개폐 레버(2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22)의 타단이 연결되어 개폐 레버(28)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배출구 마개(21)와;
일단이 상기 체결관(27)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외기와 연통하는 수직관(19)과;
상기 수직관(19)의 상단에 결합되는 직관(31)으로서 측벽에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상단에 장착된 피벗핀(33)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어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아 선회방식으로 떠올라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열고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지 않는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하향 선회되어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닫고 있음으로써 양변기의 용변 냄새가 양변기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는 부력체(34)를 구비한 오버플로우관(30); 및
상기 오버플로우관(30)의 상단에 연결된 화장실 용변냄새 배출용 배출관(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는, 그 또다른 일 특징에 따라,
상기 부력체()는 봉형(棒形), 구형(球形), 육면체형(六面體形)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부력체에는 오버플로우 구멍을 막는 둘레를 따라 오버플로우관(30)의 외주면 곡률과 일치하는 밀착 착좌시트(3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는, 그 또다른 일 특징에 따라, 상기 부력체(34)는 부력을 크게 받게 하기 위하여 그 내부가 비어 있되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폐형 중공체(中空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 및 구성에 따라 오버플로우 구멍(32)을 선회방식으로 여닫는 부력체의 작동확실성 및 구멍 밀페성능이 크게 개선됨으로써 종래 전통적인 양변기의 물공급 잠금용 부양체에 이상이 생겨 양변기 물탱크 내에 물이 과공급되더라도 그 과공급되는 물을 언제든지 확실하게 오버플로우시켜 변기내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 부력체가 오버플로우 구멍()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음으로써 양변기 용변냄새를 확실하게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작동신뢰성이 크게 높아지고 구조가 극히 간단해진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자들의 선등록 실용신안 제20-0469426호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의 전체 단면 구성 및 주요부 발췌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가 설치된 양변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의 주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가 설치된 물탱크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버플로우구멍 막음용 부력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의 주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가 설치된 물탱크의 정단면도이다.
도 2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는 종래 통상의 양변기와 동일하게 좌대가 설치된 양변기(2)의 후방에는 내부에 물을 담아놓은 수조(3)가 위치하고, 수조(3)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 화장실 용변냄새 배출용 배출관(50)이 형성된다. 이 배출관(50)은 수조(3)의 뚜껑이나 물탱크 후벽 상단부를 관통하여 화장실 밖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장실 벽이나 천정에 설치된 배출팬(미도시)에 의해 배출관(50)을 통해 배출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화장실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배출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조(3)의 뚜껑 또는 물탱크의 후면벽에 양변기 제조시에 배출관(50)이 관통하는 홀을 미리 형성할 수도 있고, 이미 제조된 수조(3)의 뚜껑이나 물탱크 후벽에 양변기 설치 현장에서 홀을 낼 수도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는 체결관(27), 배출구 마개(21), 오버플로우관(30) 및 배출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체결관(27)은 상부에 물탱크에 담긴 물을 양변기로 공급하는 배출구(2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변기의 수로(29)와 나사 연결된다. 체결관(27)이 수조(3) 내부에 체결될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체결관(27)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26) 상단에 고무패킹을 삽입할 수 있다. 배출구 마개(21)에는 개폐레버(2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22)의 타단이 연결되어 배출구(23)를 개폐한다. 배출구 마개(21)에 형성된 연결고리가 수직관(19)의 외측벽에 형성된 힌지에 결합된다. 수직관(19)은 그 일단이 체결관(27)에 연결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오버플로우관(30)과 연결된다.
수직관(19)의 상단에는 오버플로우관(30)이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오버플로우관(30)은 수직관(19)의 상단에 축방향으로 결합되는 직관(31)으로서 그 측벽에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상단에 장착된 피벗핀(33)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어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아 선회방식으로 떠오르는 부력체(34)를 구비한다. 이 부력체(34)는 물의 부력을 받지 않는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하향 선회되어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닫고 있음으로써 양변기의 용변 냄새가 양변기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겸한다.
오버플로우관(30)에 형성되는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의 형성 위치 및 이 구멍(32)을 작동적으로 덮는 부력체(34)의 장착위치는 양변기 물탱크 내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급수관 물공급 노즐 제어용 메인부구의 최대 상승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로서, 이 메인부구가 고장나 급수관 물공급노즐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이 과공급될 경우 비로소 부력체(34)가 부력을 받아 선회상승하여 그 막고 있던 오버플로우용 구멍(32)를 엶으로써 이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통해 과공급되는 물이 양변기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 급수관 물공급 노즐 제어용 메인부구가 정상작동하는 평상시에는 그 수면의 최대 상승 높이가 항상 부력체(34)의 장착 위치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은 부력체(34)에 의해 닫혀 있게 되며, 이로써 전술한 수직관(19)과 이에 직결된 오버플로우관(30) 및 오버플로우관(30)의 상단에 연결되는 배출관(50)은 전체로서 양변기 용변냄새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통기관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버플로우구멍(32) 막음용 부력체(34)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오버플로우구멍 막음용 부력체(34)는 그 형상이 물의 부력을 잘 받을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지만 봉형(A), 구형(B) 또는 다면체형(C)이 바람직하며 중량에 비해 부피를 크게 하여 부력을 잘 받을 수 있도록 내부가 비되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폐쇄된 중공체(中空體)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코르크나 스티로폼과 같이 충분히 부력을 받아 잘 떠오르는 소재하면 그 내부가 채워진 중실체(中實體)이어도 무방하다.
도면부호 35는 부력체(34)의 일측 둘레에 마치 모자의 테두리처럼 뻗어 형성된 날개로서 부력체가 하강선회된 위치에 있을 때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의 둘레를 충분히 둘러싸 그 구멍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착좌시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는 오버플로우 구멍(32)을 선회방식으로 여닫는 부력체(34)의 작동확실성 및 구멍(32)에 대한 밀폐성능이 크게 개선됨으로써 종래 전통적인 양변기의 물공급 잠금용 부양체에 이상이 생겨 양변기 물탱크 내에 물이 과공급되더라도 그 과공급되는 물을 언제든지 확실하게 오버플로우시켜 변기내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 부력체(34)가 오버플로우 구멍(32)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음으로써 양변기 용변냄새를 확실하게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작동신뢰성이 크게 높아지고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 제20-0469426호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에 비해서도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해진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냄새배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9 : 수직관 30: 오버플로우관
32 : 오버플로우구멍 33 : 피벗핀
34 : 부력체

Claims (3)

  1. 상부에 배출구(23)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부(26)가 형성되고, 변기의 수로(29)에 나사연결된 체결관(27)과;
    개폐레버(2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22)의 타단이 연결되어 개폐레버(28)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배출구 마개(21)와;
    일단이 상기 체결관(27)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자유단인 수직관(19)과;
    상기 수직관(19)의 상단에 결합되는 직관(31)으로서 측벽에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상단에 장착된 피벗핀(33)에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어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아 선회방식으로 떠올라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열고 양변기용 물탱크에 담기는 물의 부력을 받지 않는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하향 선회되어 상기 오버플로우용 구멍(32)을 닫고 있음으로써 양변기의 용변 냄새가 양변기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는 부력체(34)를 구비한 오버플로우관(30); 및
    상기 오버플로우관(30)의 상단에 연결된 화장실 용변냄새 배출용 배출관(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34)는 봉형(棒形), 구형(球形), 다면체형(多面體形) 중의 어느 하나이며, 이 부력체(34)에는 오버플로우 구멍(32)의 둘레를 따라 오버플로우관(30)의 외주면 곡률과 일치하는 밀착 착좌시트(3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34)는 부력을 크게 받게 하기 위하여 그 내부가 비어 있되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폐형 중공체(中空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냄새배출 장치

KR2020160006032U 2016-10-19 2016-10-19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KR200489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32U KR200489470Y1 (ko) 2016-10-19 2016-10-19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32U KR200489470Y1 (ko) 2016-10-19 2016-10-19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78U true KR20180001178U (ko) 2018-04-27
KR200489470Y1 KR200489470Y1 (ko) 2019-06-24

Family

ID=6207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32U KR200489470Y1 (ko) 2016-10-19 2016-10-19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979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87B1 (ko) 2006-03-20 2007-10-17 김영배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0852847B1 (ko) 2007-02-22 2008-08-18 김영배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
KR200469426Y1 (ko) 2012-09-17 2013-10-29 박재원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
KR101382693B1 (ko) * 2013-02-22 2014-04-08 김상규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87B1 (ko) 2006-03-20 2007-10-17 김영배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0852847B1 (ko) 2007-02-22 2008-08-18 김영배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
KR200469426Y1 (ko) 2012-09-17 2013-10-29 박재원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
KR101382693B1 (ko) * 2013-02-22 2014-04-08 김상규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70Y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101B1 (en) Toilet flushing and cleaning device
US5802628A (en) Pressure flushing device discharge extension
US20040064884A1 (en) Toiler odor blocking system
KR200489470Y1 (ko)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US20120311775A1 (en) Part of toilet bowl for removing foul odor of excrement
KR200401803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100852847B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
KR100767287B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JPH09126333A (ja) 排水用通気弁装置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30599Y1 (ko) 좌변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2130170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JP2503745B2 (ja) 脱臭装置を設けた簡易水洗便器
KR101270214B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GB2589304A (en) Toilet system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US5179738A (en) R. V. toilet venting system
CN201347573Y (zh) 座便器除味装置
JP2000104303A (ja) 改良された空気インデュ―サ―を備えたパワ―洗浄タンク
KR200469426Y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 장치
KR200381138Y1 (ko) 좌변기 악취제거 장치
JPH09296495A (ja) 真空水洗便器
KR20110126946A (ko) 양변기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