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170B1 -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170B1
KR102130170B1 KR1020180057068A KR20180057068A KR102130170B1 KR 102130170 B1 KR102130170 B1 KR 102130170B1 KR 1020180057068 A KR1020180057068 A KR 1020180057068A KR 20180057068 A KR20180057068 A KR 20180057068A KR 102130170 B1 KR102130170 B1 KR 10213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pening
closing
blower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973A (ko
Inventor
양병철
Original Assignee
양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철 filed Critical 양병철
Priority to KR102018005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1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변기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물탱크의 함몰부에 설치된 블로워(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는 함몰부(벽)에 장비설치실을 형성하여 물탱크의 하측부에 장비설치실을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비설치실에는 블로워(에어펌프)와 안전밸브뭉치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블로워(에어펌프)의 흡입구와 안전밸브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용변실의 냄새를 세척수급수공과 세척수급수로 및 흡출관을 통해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안전밸브뭉치로 흡입되도록 하며;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블로워(에어펌프)의 배출구와 양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의 용변배출로의 배출하단부와 냄새배출관을 통해 연통시켜 블로워(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안전밸브뭉치에서 흡입되는 냄새를 용변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된 양변기 냄새제거장치이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하측의 함몰부에 형성된 장비설치실에 블로워(에어펌프)와 좌우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전밸브뭉치는 상면과 밑면에 유통공이 각각 뚫어진 안전밸브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중간유통공이 뚫어진 중간분할벽을 상측실와 하측실가 상하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하측실에는 개폐부구를 설치하고 상측실에는 개폐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하여, 용변실에 발생하는 냄새를 블로워(에어펌프)로 강재로 흡입할 때에 물(수분)이 유입시, 하측실에 설치된 개폐부구에 의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물(수분)이 블로워(에어펌프)로 흡입(유입)되어 에어펌프이 손상(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때 발생하는 진공압에 안전밸브하우징의 상측실에 설치된 개폐구가 코일스피링을 이기고 하향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블로워(에어펌프)의 부하를 방지하고,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물탱크를 형성하는 물탱크저장실의 하측에 함몰부를 형셩해 장비설치실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물탱크저장실에 저장되는 물(세척수)의 량을 줄여 같은 수압에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양변기의 외관과 양변기의 주변을 심플하고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냄새제거장치{A ODOR DIS CHARGE EQUIPMENT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를 사용할 때에 발생하게 되는 냄새(악취)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물탱크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변기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물탱크의 함몰부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상기 양변기 물탱크의 하측에는 함몰부로 형성된 장비설치실을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비설치실에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와 안전밸브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흡입구와 안전밸브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용변실의 냄새를 세척수급수공과 세척수급수로 및 흡출관을 통해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안전밸브로 흡입하며;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배출구와 양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의 용변배출로의 배출하단부와 냄새배출관을 통해 연통시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안전밸브에서 흡입되는 냄새를 용변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된 양변기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거나 소멸시키도록 된 장치로는, 국내의 등록실용신안 제20-0176334호(좌변기용 환기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220437호(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251013호(양변기 냄새 자동 환풍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320374호(화장실변기의 냄새제거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405776호(배기팬이 부착된 양변기 낙취배출장치), 등록특허 제10-0057458호(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등록특허 제10-0491641호(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등록특허 제10-0841794호(냄새 없는 양변기), 등록특허 제10-1270214호(좌변기의 악취제거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76334호(좌변기용 환기장치)는, 다수개의 흡기홀을 천공한 좌변기의 좌판 하면에 부착되는 흡기관 및 화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관을 각각 구비하는 통풍기를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가 그 즉시 화장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0437호(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는, 일측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좌판; 일측부에는 쐐기부가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나팔모양의 흡취부가 형성되며, 냄새가 배출되는 노즐공이 형성되어 상기 쐐기부가 좌판의 통공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다수의 흡취노즐 좌판의 통공을 통하여 배설물의 악취를 빨아 들이기 위한 송풍팬; 전후단부가 반원형의 나팔모양으로 이루어져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입출구부를 구비하고, 그 중단부는 유연한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좌판과 송풍팬을 연결함과 동시에 좌판기 몸통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과 상기 송풍팬을 연결함으로써 탄력적이고 플렉시블하게 설치되어 악취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각각의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20374호(화장실변기의 냄새제거장치)는, 용변을 받는 보울이 형성된 변기 본체와, 상기 보울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수 탱크와, 상기 보울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측으로 보울을 덮기 위한 커버로 구성하되, 상기한 시트는 중공형으로 그 내부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내주연 측으로 상기 보울을 향해 개구된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통공과 송풍팬이 마련된 환기구 간에 배출 라인이 배관되어 보울 내측의 공기가 환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05776호(배기팬이 부착된 양변기 악취배출장치)는, 좌판의 하부에 흡입관이 고정되고, 흡입관은 배기팬을 거쳐 배출관와 연결되며, 배출관은 양변기본체의 내부 담수면을 통과하여 오수배출구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수배출구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오수배출구의 안쪽 통로로 악취를 분출되게하여 오수관를 통과하여 악취를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057458호(수세식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는, 수세식 양변기의 후방과 저면에 흡기구멍과 배기공간을 상호 연통되게 설치한후 배기공간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멍의 하부에 흡입팬을 설치하며, 상기 물탱크내에 흡기 및 배수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의 급수통로와 흡기구멍을 상호 연통시키고, 상기 흡기 및 배수부재에 배수밸브를 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로 급수되게 하며, 상기 물탱크의 전방벽 상부에 감지부재를 설치하여 수세식 양변기에 착석시 감지하여 흡입팬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여 악취 및 습기등을 배기토록 구성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491641호(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는, 양변기의 좌대와 배수라인을 냄새 흡입용 호스로 연결 구성한 후 그 냄새 흡입용 호스에는 냄새 역류 방지용 전자밸브와 흡입펌프를 설치하므로서, 양변기의 좌대에 앉아 용무(대소변)을 볼 때 발생하는 냄새를 양변기의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강제 토출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841794호(냄새 없는 양변기)는, 양변기 내부의 악취를 양변기의 배수트랩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오수관으로 배출되게 악취제거수단을 양변기에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의 배관설비 및 화장실 벽면 등의 공사 없이 양변기의 교체 작업만으로 자동으로 양변기 내부의 악취가 제거되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70214호(좌변기의 악취제거장치)는, 좌변기의 상단 후방에 흡입마우스를 [0007] 안착 설치하고, 상기 흡입마우스는 악취 흡입팬의 일측과 연결하며, 상기 악취 흡입팬의 타측에 연결된 악취 배출관은 천정에 매설된 천정용 환풍기와 연결하는 한편, 상기 흡입마우스의 상단에 설치된 좌대의 저면에는 좌변기와 좌대 간의 틈새를 막아주는 방풍가스켓을 일체로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들은 냄새를 흡입하여 배출키는 송풍팬이 양변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어수선하고 심플하지 못하며 뿐만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관련 부품(송풍기 등)의 작동환경(부하 또는 수분)에 대한 내구성 및 안전성이 미흡하고,또한 양변기 자체적으로 절수하는 효과를 전혀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한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변기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물탱크의 하측의 함몰부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상기 물탱크의 하측의 함몰부에 장비설치실을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비설치실에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와 안전밸브뭉치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흡입구와 안전밸브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용변실의 냄새를 세척수급수공과 세척수급수로 및 흡출관을 통해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안전밸브뭉치로 흡입되도록 하며,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배출구와 양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의 용변배출로의 배출단부와 냄새배출관을 통해 연통시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안전밸브뭉치에서 흡입되는 냄새를 용변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된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에 하측의 함몰부에 형성된 장비설치실에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와 좌우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전밸브뭉치는 상면과 밑면에 유통공이 각각 뚫어진 안전밸브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중간유통공이 뚫어진 중간분할벽을 상측실와 하측실가 상하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하측실에는 개폐부구를 설치하고, 상측실에는 개폐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하여, 용변실에 발생하는 냄새를 블로워(또는 에어펌프)로 강재로 흡중에 대변기 세척시에 하측실의 개폐구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 흡입에 의한 물(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때 물유입 차단에 따른 진공현상 발생으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에 발생하는 부하를 상측실의 코일스피링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된 개폐구가 흡입력(진공압)에 의해 코일스피링을 이기고 하향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진공현상 발생으로 인하 부하를 방지하고, 물(수분) 블로워(또는 에어펌프)로 흡입(유입)되어 손상(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변실에 발생하는 냄새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된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의 후면부 하측의 함몰부에 장비설치실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물탱크저장실에 저장되는 물(세척수)의 량을 줄여 같은 수압으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양변기의 외관과 양변기의 주변을 심플하고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물탱크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변기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물탱크의 함몰부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물탱크의 하측에는 물탱크함몰부를 장비설치실로 형성하고 장비설치실을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장비설치실에는 블로워(에어펌프)와 안전밸브뭉치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블로워(에어펌프)의 흡입구와 안전밸브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장비설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전밸브뭉치는 흡출관을 통해 흡출공과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결착용가스켓을 이용하여 흡출공에 설치하며, 용변실의 냄새를 세척수급수공과 세척수급수로 및 흡출관을 통해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안전밸브뭉치로 흡입되도록 하며,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블로워(에어펌프)의 배출구를 양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의 용변배출로의 배출하단부에 냄새배출관을 통해 연통시켜 블로워(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안전밸브뭉치에서 흡입되는 냄새를 용변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뭉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안전밸브하우징의 내주면 중앙에는 중간유통공이 중앙에 뚫어진 중간분할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중간분할벽을 기준으로 안전밸브하우징의 내부를 상측실과 하측실로 구분한 것과;
상기 상측실의 측면에는 접속관을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접속관의 외주에는 오링결속홈을 형성하고, 오링결속홈에는 오링을 결합한 것과;
상기 안전밸브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는 중앙에 유통공이 각각 뚫어진 상측밸브캡과 하측밸브캡을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각각 나사 결합한 것과;
상기 상측실에는 개폐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한 것과;
상기 하측실에는 개폐부구를 구비하여 블로워(에어펌프)의 작동시 세척수 유입에 따라 개폐부구가 승하강하도록 하여 개폐작동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는,
물탱크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변기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물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함몰부를 형성하여 된, 장비설치실을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장비설치실에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와 안전밸브뭉치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흡입구와 안전밸브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용변실의 냄새를 세척수급수공과 세척수급수로 및 흡출관을 통해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안전밸브뭉치로 흡입되도록 하며;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배출구와 양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의 용변배출로의 배출하단부와 냄새배출관을 통해 연통시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안전밸브뭉치에서 흡입되는 냄새를 용변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함몰부에 형성된 장비설치실에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와 좌우 나란하게 설치되는 안전밸브뭉치는 상면과 밑면에 유통공이 각각 뚫어진 안전밸브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중간유통공이 뚫어진 중간분할벽을 상측실와 하측실이 상하 연통되도록 설치하되 하측실에는 개폐부구를 설치하고 상측실에는 개폐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하여, 용변실에 발생하는 냄새를 블로워(또는 에어펌프)로 강재로 흡입할 때, 양변기 세척시에 흡입되는 세척수를 하측실에 설치된 개폐부구에 의해 차단되어 물유입을 막음으로써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손상(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때 발생하는 진공현상에 안전밸브하우징의 상측실 개폐구가 코일스프링을 이기고 하향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블로워(또는 에어펌프)의 부하를 방지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 본 발명은, 물탱크 후면부의 하측에 함몰되게 장비설치실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물탱크저장실에 저장되는 물(세척수)의 량을 줄여 같은 수압으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양변기의 외관과 양변기의 주변을 심플하고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한 상태에서 안전밸브뭉치를 발췌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에서 안전밸브뭉치에 설치되는 개폐구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에서 안전밸브뭉치에 설치되는 개폐부구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제거장치(2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20)를 양변기(1)에 설치한 상태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제거장치(20)를 양변기(1)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양변기(1)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제거장치(20)를 양변기(1)에 설치한 상태에서 안전밸브뭉치(40)를 발췌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20)에서 안전밸브뭉치(40)에 설치되는 개폐구(50)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냄새제거장치(20)에서 안전밸브뭉치(40)에 설치되는 개폐부구(60)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제거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양변기(1)를 형성하는 양변기본체(2)에서, 용변실(3)의 상측에는 변기시트(10)와 변기커버(11)를 상측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각각 굴대 설치하였고, 물탱크안치대(7)의 상측에는 물탱크(15)를 설치하였으며, 물탱크(15)의 세척수저장실(16)에 충진된 세척수(물)은 물탱크(15)에 설치된 작동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조작에 의해 세척수배출공(6)과 림테(5)의 세척수급수로(5-1) 및 세척수급수공(8)을 통해 용변실(3)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변실(3)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양변기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2-1)의 용변배출구(4)를 통해 용변저장시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1)의 구성은 종래 양변기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형성)된 양변기(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배출장치(20)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였다.
양변기(1)를 형성하는 물탱크안치대(7)에는 림테(5)의 내부에 형성된 세척수급수로(5-1)와 연통되도록 냄새흡입관로(23)를 뚫어주되, 차후에 설명되는 장비설치실(22)과 연통되게 뚫어주고, 상기 냄새흡입관로(23)에는 흡출공(23-1)을 장비설치실(22)과 연통되게 뚫어 주었다.
상기 물탱크(15)에서 세척수저장실(16)의 외부 하측에는 물탱크함몰부(21)을 밀폐되게 형성하되 물탱크함몰부(21)에 의해 외측에 형성되는 장비설치실(22)이 냄새흡입관로(23)의 흡출공(23-1)과 연통되도록 하였고, 상기와 같이 세척수저장실(16)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물탱크함몰부(21)에 의해 장비설치실(22)을 형성하여 세척수저장실(16)의 내부 공간을 줄여 줌으로써 세척수저장실(16)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세척수)의 량을 줄여 같은 수압으로 절수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물탱크(15)의 전면 상측부에는 감지센서(30)를 설치하여 변기시트(10)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감지센서(30)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와 전선(3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작동관계(가동 또는 정지)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장비설치실(22)의 내부에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와 안전밸브뭉치(40)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안전밸브뭉치(40)를 흡출공(23-1)측에 설치하였고, 상기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와 안전밸브뭉치(40)는 인접하는 면 끼리의 상단부를 결속관(35)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하였다.
상기 안전밸브뭉치(4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출관(24)을 통해 흡출공(23-1)과 연결하거나,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착용가스켓(70)을 이용하여 흡출공(23-1)에 직접 설치하였다.
상기 결착용가스켓(70)은, 내부가 공간부로 되고 일정한 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하되, 내주연에는 캡결착홈(71)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안전밸브뭉치(40)의 하측밸브캡(46)을 결합(결착)하였고, 외주연에는 양변기결속홈(72)을 형성하여 물탱크안치대(7)에 형성된 양변기결홈(72)에 결합(결착)하였다.
상기 안전밸브뭉치(40)의 측면에는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를 설치하여 결속관(35)을 이용하여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흡입구와 연결(연통)하였고,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배출구의 하단에는 역류방지장치(29)를 형성하여 냄새배출관(28)을 통해 용변배출구(2-1)의 내부에 형성된 용변배출로(4)의 하단부와 연통되게 연결하였으며,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는 안전밸브뭉치(40)는 공기만 흡입하고 물(세척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로 흡입하여 냄새배출관(28)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역류방지장치(29)는 감지센서(30)가 ON/OFF에 작동하는 것으로 감지센서가 OFF 일 때에 상기 용변배출구(4)에서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하도록 하였다.
특히, 장비설치실(22)에 설치되는 안전밸브뭉치(4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안전밸브하우징(41)의 내주 중앙에는 중간유통공(42-1)이 중앙에 뚫어진 중간분할벽(42)을 일체로 형성하여 중간분할벽(42)을 기준으로 안전밸브하우징(41)의 내부를 상측실(43-1)과 하측실(43-2)로 구분하였고, 상기 상측실(43-1)의 측면에는 접속관(48)을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접속관(48)의 외주에는 오링결속홈(48-1)을 형성하여 오링(49)을 결합하여 결속관(35)에 의해 에어펌프(27)와 연결할 때에 접속관(48)의 외주에 결합되는 결속관(35)의 내주면이 오링(49)에 밀접하게 접속되어 밀폐되도록 하였다.
상기 안전밸브하우징(41)의 상단과 하단에는 중앙에 유통공(45-1)(46-1)이 각각 뚫어진 상측밸브캡(45)과 하측밸브캡(46)을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부(47-1)(47-2)에 의해 각각 나사 결합하였고, 상기 상측실(43-1)에는 개폐구(50)를 코일스프링(55)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하였으며, 하측실(43-2)에는 개폐부구(60)를 구비하여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작동 시에 하측실(43-2)에 충진되는 물 충진상태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상측실(43-1)에 설치되는 개폐구(50)와 하측실(43-2)에 설치되는 개폐부구(60)는 고무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였다.
상기 상측실(43-1)에 설치되는 개폐구(50)는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된 개폐구본체(51)의 상측에 개폐변(5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개폐변(52)의 상단 모서리를 경사밀폐면(53)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사밀폐면(53)이 상측밸브캡(45)의 유통공(45-1)의 내주면과 밀접하게 당접되도록 하였으며, 개폐구본체(5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54)를 일체로 형성하여 플랜지(54)의 밑면을 코일스프링(55)의 상단이 받쳐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또, 하측실(43-2)에 설치되는 개폐부구(60)는 도 5 및 도 7a와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가 긴 개폐부구본체(61)의 상면에 원뿔돌부(62)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개폐부구본체(61)의 외주에는 복수의 돌기부(63)를 길이 방향으로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돌기부(63)와 돌기부(63)와의 사이 공간부(64)를 개폐부구본체(61)의 하단부에는 유통공(64-1)을 형성하여 개폐부구본체(61)의 외측을 연통시켰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배출장치(2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양변기(1)를 형성하는 양변기본체(2)에서, 용변실(3)의 상측에 굴대 설치된 변기커버(11)를 상측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용변을 보고, 물탱크(15)에 설치된 작동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게 물탱크(15)에 저장된 물(세척수)은 세척수배출공(6)과 림테(5)의 세척수급수로(5-1) 및 세척수급수공(8)을 통해 용변실(3)로 공급되며, 용변실(3)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용변배출구(4)를 통해 용변과 함께 용변저장시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1)의 작동원리는 종래 양변기의 작동원리와 동일 유사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양변기(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배출장치(20)를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배출장치(20)는 물탱크(15)에서 내측의 세척수저장실(16)과 외측의 물탱크함몰부(21)에 의해 세척수저장실(16)과 장비설치실(22)로 구분되어 있어 세척수저장실(16)에만 세척수가 저장(충진)되므로 물(세척수)의 량을 줄여 절수효과를 원천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물탱크(15)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30)가 변기시트(10)에 앉아 있는 사람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30)는 ON되어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를 작동(가동)시킨다.
감지센서(30)의 지시에 의해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가 작동(가동)되면, 양변기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용변실(3)의 내부에서 용변실수위(3-1)의 상측에 집결되는 냄새(용변의 냄새 등)는 림테(5)에 형성되어 있는 세척수공급공(8)을 통하여 세척수공급로(5-1)의 내부로 흡입(이 때에는 세척수공급로(5-1)로 세척수가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공급공(8) 및 세척수공급로(5-1)를 통해 흡입되는 냄새는, 냄새흡입관로(23)와 흡출공(23-1) 및 흡출관(24)에 결합된 결착용가스켓(70)을 통하여 안전밸브뭉치(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냄새흡입관로(23)와 흡출공(23-1)을 통하여 안전밸브뭉치(40)의 내부로 유입(흡입)되는 냄새(공기)는 개폐부구(60)의 공간부(64)를 통해 상승(흡입)하고, 중간분할벽(42)의 중간유통공(42-1)을 통과하여 상측실(43-1)로 유입된다.
상기 상측실(43-1)로 유입 냄새는 접속관(48)을 통하여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로 흡입되며,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로 강제 흡입되는 냄새는 감지센서(30)의 작동으로 ON되어 있는 역류방지장치(29)를 거쳐 냄새배출관(28)을 통하여 양변기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2-1)의 내부에 형성된 용변배출로(4)의 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상기 용변배출로(4)는 상단부가 용변실(3)에 충진되어 있는 용변실수위(3-1)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용변실(3)의 내부로 역류(유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양변기본체(2)의 외부로는 냄새가 누출되지 않게 되므로 화장실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변기시트(10)에서 일어나게 되면 감지센서(30)는 OFF되어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를 작동(가동)을 중지(정지)하는데, 이 때 역류방지장치(29)도 함께 OFF 되어 용변배출로(4)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하게 된다.
양변기(1)의 사용자가 밸브(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물탱크(15)의 세척수저장실(16)에 저장된 세척수를 내리게 되면, 세척수는 냄새흡입로(23)와 세척수급수로(5-1) 및 세척수급수공(8)을 통하여 용변실(3)로 공급 분사되고, 용변실(3)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용변배출로(4)를 통하여 용변과 함께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저장실(16)에 저장된 세척수가 냄새흡입로(23)와 세척수급수로(5-1) 및 세척수급수공(8)을 통하여 용변실(3)로 공급 분사될 때에 안전밸브뭉치(40)의 하측실(43-2)은 세척수의 수압(수위)으로 하측실(43-2)에 물이 충진되고, 개폐부구(60)가 부양하여 중간유통공(42-1)을 막아 상측실(43-1)로 세척수(물)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 때,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흡입 진공압력이 개폐구(50)의 코일스프링(55)의 탄발력을 이기고 일시적으로 하향하게 되면 장비설치실(22)의 외기가 상측밸브캡(45)의 유통공(45-1)을 통하여 상측실(43-1)로 유입되고, 상측밸브캡(45)의 유통공(45-1)을 통하여 상측실(43-1)로 유입되는 외기(외부공기)는 접속관(48)을 통하여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로 흡입되며, 상기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로 흡입되는 외기는 냄새배출관(28)을 통하여 양변기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2-1)의 내부에 형성된 용변배출로(4)의 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의 부하를 방지한다.
세척수와 함께 용변이 배출되어 세척수의 공급압력(수위가 낮아지면)이 약화되면 하측실(43-2)의 개폐부구(60)와 중간유통공(42-1) 사이가 열리면, 상측실(34-1)에 설치된 개폐구(50)는 코일스프링(55)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측밸브캡(45)의 유통공(45-1)을 차단하여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냄새배출장치(20)는, 양변기본체(2)의 용변실(3)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블로워(또는 에어펌프)(27)에 의해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를 원활하게 화장실의 내부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양변기(1)의 외관과 양변기(1)의 주변을 심플하고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에 대하여만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보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양변기 2: 양변기본체
3: 용변실 4: 용변배출구
5: 림테 6: 세척수배출공
7: 물탱크안치대 8: 세척수급수공
10: 변기시트 11: 변기커버
15: 물탱크 16: 세척수저장실
20: 양변기냄새배출장치 21: 물탱크함몰부
22: 장비설치실 23: 냄새흡입관로
27: 블로워(또는 에어펌프) 28:냄새배출관
29: 역류방지장치(댐퍼)
30: 감지센서 35: 결속관
40: 안전밸브뭉치 41: 안전밸브하우징
42: 중간분할벽 43-1: 상측실
43-2: 하측실 45: 상측밸브캡
46: 하측밸브캡 48: 접속관
50: 개폐구 55: 코일스프링
60: 개폐부구 70: 결착용가스켓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물탱크의 전면 상측부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변기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센서에 사람이 감지되면 물탱크의 함몰부에 설치된 블로워(또는 에어펌프)가 작동하여 양변기본체의 용변실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물탱크의 하측에는 물탱크함몰부를 장비설치실로 형성하고 장비설치실을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하며, 장비설치실에는 블로워(에어펌프)와 안전밸브뭉치를 나란하게 설치하되 블로워(에어펌프)의 흡입구와 안전밸브의 배출구를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장비설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전밸브뭉치는 흡출관을 통해 흡출공과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결착용가스켓을 이용하여 흡출공에 설치하며, 용변실의 냄새를 세척수급수공과 세척수급수로 및 흡출관을 통해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안전밸브뭉치로 흡입되도록 하며, 장비설치실에 설치된 블로워(에어펌프)의 배출구를 양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용변배출구의 용변배출로의 배출하단부에 냄새배출관을 통해 연통시켜 블로워(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안전밸브뭉치에서 흡입되는 냄새를 용변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뭉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안전밸브하우징의 내주면 중앙에는 중간유통공이 중앙에 뚫어진 중간분할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중간분할벽을 기준으로 안전밸브하우징의 내부를 상측실과 하측실로 구분한 것과;
    상기 상측실의 측면에는 접속관을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되 접속관의 외주에는 오링결속홈을 형성하고, 오링결속홈에는 오링을 결합한 것과;
    상기 안전밸브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는 중앙에 유통공이 각각 뚫어진 상측밸브캡과 하측밸브캡을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부에 의해 각각 나사 결합한 것과;
    상기 상측실에는 개폐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한 것과;
    상기 하측실에는 개폐부구를 구비하여 블로워(에어펌프)의 작동시 세척수 유입에 따라 개폐부구가 승하강하도록 하여 개폐작동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결착용가스켓은;
    내부가 공간부로 되고 일정한 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한 것과;
    내주연에는 캡결착홈을 형성하여 안전밸브뭉치의 하측밸브캡을 결합고, 외주연에한 것과;
    외주연에는 양변기결속홈을 형성하여 물탱크안치대 형성된 양변기결홈에 결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측실에 설치되는 개폐구는;
    원통형으로 된 개폐구본체의 상측에 개폐변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개폐구본체와 개폐변의 내부는 밑면으로 터진 공간부로 형성한 것과;
    상기 개폐변의 상단 모서리를 경사밀폐면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개폐구본체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측실에 설치되는 개폐부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가 긴 개폐부구본체의 상면에 원뿔돌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개폐부구본체와 원뿔돌부의 내부에는 밑면으로 터진 공간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개폐부구본체의 외주에는 복수의 돌기부를 길이 방향으로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돌기부와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개폐부구본체의 하단부에는 유통공을 형성하여 공간부와 개폐부구본체의 외측을 연통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측실에 설치되는 개폐구와, 하측실에 설치되는 개폐부구는;
    고무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20180057068A 2018-05-18 2018-05-18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213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068A KR102130170B1 (ko) 2018-05-18 2018-05-18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068A KR102130170B1 (ko) 2018-05-18 2018-05-18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973A KR20190131973A (ko) 2019-11-27
KR102130170B1 true KR102130170B1 (ko) 2020-07-03

Family

ID=6872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068A KR102130170B1 (ko) 2018-05-18 2018-05-18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222B1 (ko) * 2021-10-04 2022-06-10 우종식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32B1 (ko) * 2007-02-10 2007-08-29 유광태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650U (ko) * 1997-03-14 1998-11-05 심재호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KR100254499B1 (ko) * 1997-12-19 2000-05-01 주재홍 환기식 양변기
KR20070109962A (ko) * 2007-09-17 2007-11-15 유광태 악취제거 및 위장음 발생기능을 겸비한 양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32B1 (ko) * 2007-02-10 2007-08-29 유광태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973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123B2 (en) Ventilated toilet
US7823227B2 (en) Bathroom odor removal apparatus and system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US8789213B2 (en) Self-ventilating toilet
CA2699613C (en) Ventilated toilet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2130170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US7376982B1 (en) Toilet bowl venting apparatus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44228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100131897A (ko) 변기탈취장치
KR20090129864A (ko) 악취 배출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110126946A (ko) 양변기용 환기장치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101951603B1 (ko) 공중화장실 변기의 냄새배출시스템
CN211849819U (zh) 一种抽风除臭蹲便器
US20040205882A1 (en) Ventilated toilet system with a pressure relief valve
CN2861320Y (zh) 一种自动换新风除臭座便器
KR20160115601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0421819Y1 (ko) 냄새 없는 양변기
CN201598703U (zh) 除味环保坐便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445976Y1 (ko)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