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18U -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Google Patents
김 종자 포장용 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118U KR20180001118U KR2020160005910U KR20160005910U KR20180001118U KR 20180001118 U KR20180001118 U KR 20180001118U KR 2020160005910 U KR2020160005910 U KR 2020160005910U KR 20160005910 U KR20160005910 U KR 20160005910U KR 20180001118 U KR20180001118 U KR 2018000111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seeds
- density polyethylene
- bonding
- packa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각사상체로 유통되는 김 종자의 채묘율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직조한 직물에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이 합지된 포장재가 중첩되어 형성된 본체부; 및 삼면이 밀봉되도록 개방부위가 열접착되어 있는 열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패각사상체로 유통되는 김 종자의 채묘율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식용으로 먹는 김은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라는 김파래과에 속하는 해조생물 분류군의 배우체이다. 김의 배우체는 엽상형의 자웅동주 또는 자웅이주로 가장자리 부근에 암수의 생식기관을 만들며, 늦가을에서 이른 봄까지 성장한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수정란은 접합포자(과포자)를 형성하고 이들이 성숙되면 몸 밖으로 방출된다. 방출된 접합포자는 바다 속을 이동하다가 바다 밑의 조개나 굴의 패각에 붙으면 발아하여 실 모양으로 성장하는 패각사상체가 된다. 패각사상체는 그 상태대로 여름을 보내고 일조 시간이 짧아지고 해수 온도가 내려가기 시작하면 각포자낭이라는 생식기관을 형성하고, 각포자낭에서 각포자가 방출되면 새로운 배우체(엽체)로 성장한다(도 1의 김의 생활사 참조). 만일 각포자를 인위적으로 김 망에 부착시키면 양식 김을 생산할 수 있다.
우리나라 김 양식은 1960년대까지는 바다에서 방출된 각포자를 김발에 붙이는 "자연채묘"에만 의존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는 유리사상체 및 패각사상체 배양 기술이 개발되고, 패각사상체를 사용하여 각포자 방출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김발에 부착시키는 "인공채묘"가 보편화되면서 김의 계획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김 종자는 패각사상체로 유통되고 있으며, 성숙된 패각사상체를 포장재에 담아 저장하였다가 채묘 예정일에 맞추어 유통한다. 김 양식의 성공여부는 채묘에 달려 있으며 채묘율은 생산량과 직결되므로, 가장 이상적인 것은 채묘 예정일에 최대로 방출이 일어나게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패각사상체에서 각포자의 방출은 수온(기온), 습도, 빛 투과도에 따라 방출 시기가 달라지므로 유통 과정 중 포장재 내에서 호흡과 수분 증발 등이 일어나고 빛에 노출되는 경우 원하지 않는 시기에 포자 방출이 일어나 채묘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김 종자 포장재는 포자방출이 억제되어 있다가 채묘 예정일에 다량의 포자가 방출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김 종자 포장재의 일반 기준은 빛 차단성, 수분유지, 파손방지, 작업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빛 차단성은 김 채묘 시 포자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김 패각사상체는 PP포대 또는 스티로폼 상자에 담아 판매되고 있다. 스티로폼 상자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빛 차단성은 우수하지만 파손되기 쉽고, 포장재 자체가 차지하는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포장재의 보관 및 이동에 제한이 있다. 또한 스티로폼 상자의 사용은 작업성이 떨어지고 경제성도 낮아 국내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 기존의 PP포대는 2개의 PP(폴리프로필렌)포대 사이에,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비닐 포대를 넣어 세겹의 포대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도 2는 PP포대를 사용한 종래의 패각사상체의 포장 작업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위 상단의 사진은 패각사상체가 포장된 형태를 보여준다. 종래 PP포대는 조직이 느슨하고 하단이 봉재실을 이용하여 재봉된 형태로 마감처리가 되며, HDPE 비닐 포대는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사상체를 담는 과정과 유통 과정에서 패각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핀홀이 생기거나 찢어지기 쉬워 누수가 되므로 김 종묘를 건강하게 운반하고 채묘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포장재는 빛 투과도가 높아 포장재 내에서 포자가 방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자 보관 시 별도로 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하기도 하였지만 운송과정에서 빛에 노출될 경우 포자가 미리 방출되어 채묘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작업과정에서도 기성품인 PP포대에 비닐 포대를 넣고, 그 안에 다시 PP포대를 넣은 후 패각을 담는 과정을 거치므로 시간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김 양식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김 종자의 특성을 고려한 포장재가 강력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해서는 개발된 바가 없다.
본 고안은 패각사상체의 형태로 유통되는 김 종자의 포자 방출을 억제하여 채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김 종자 포장 시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직조한 직물에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이 합지된 포장재가 중첩되어 형성된 본체부; 및 삼면이 밀봉되도록 개방부위가 열접착되어 있는 열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상기 열접착 부위 바깥쪽에는 봉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 의하면, 재질과 강도가 패각사상체 형태인 김 종자의 포장 시에 쉽게 찢어지거나 구멍이 형성되지 않아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 빛의 차단 효율이 높아 김 종자의 보관 및 유통 시 각포자의 방출 시기를 채묘 예정일에 맞춰 최대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김 양식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종래 3장의 포대를 겹쳐서 사용하던 포장 방식에 비해 1장의 포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김 종자의 포장 시에 작업효율이 높아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김의 생활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포장재에 패각사상체를 담는 사진과, 패각사상체가 담긴 포장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시.
도 4는 마감끈이 포함된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시.
도 5는 봉제선이 포함된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시.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의 포장재에 패각사상체를 담는 사진과, 패각사상체가 담긴 포장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시.
도 4는 마감끈이 포함된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시.
도 5는 봉제선이 포함된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시.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사진.
이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10)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직조한 직물에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이 합지된 재질의 포장재가 중첩되어 형성된 본체부(11); 및 삼면이 밀봉되도록 개방부위가 열접착되어 있는 열접착부(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물이나 화초의 종자와 같이 수분에 민감하지 않은 종자와 달리 김 종자인 패각사상체는 포자체인 사상체가 패각 속에 파고들어가 살아있는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포장된 상태에서 습도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패각사상체는 패각 표면에 바닷물이 묻어있는 상태로 포장되어 유통되기 때문에, 포장된 상태에서 누수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상대습도 100%가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는 포장재의 강도가 높고 방수 특성을 나타내어 패각사상체의 포장 공정에서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포대 내부의 수분이 손실되지 않으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보다 누수 방지 기능이 현저하다.
상기 포장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직조한 직물에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시킨 것이다. 폴리프로필렌과 고밀도폴리에틸렌 자체는 기계적 강도와 경도가 우수하지만, 필름 형태로 얇게 제조한 경우에는 쉽게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자체는 전광선 투과율이 너무 높아 김 종자의 포장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원사로 직조하고, 이후 가공성은 낮지만 투명도가 더 낮은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여 포장재의 내구성을 보완하고 수증기의 투과를 더욱 방지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는 500~1,000 데니어(Denier)인 것이 바람직하였다. 500 데니어 이하의 굵은 원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조된 직물이 너무 성글어서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1,000 데니어 이상으로 원사가 가늘게 되면 경제성이 저하된다. 또한, 원사는 빛의 차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밝은 색 보다는 어두운 색의 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2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합지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50㎛인 경우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내므로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굳이 더 두꺼울 필요는 없으나 이 이상의 두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진한 국방색의 PP원사를 사용하여 목수 9×9로 직조한 후, 고밀도폴리에틸렌과 합지하여 제조한 실시예의 포장재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던 포장재에 대해 탁도계(NDH-5000W, JCRI, 일본)를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조사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기성 포장재에 차광막을 추가로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차광막의 종류에 따라 전광선 투과율이 7~9%인 반면, 본 고안의 포장재는 3.97%로 측정되었다.
직조된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고밀도폴리에틸렌과 합지하여 본 발명의 포장재로 이용된다. 합지 시의 접합방식은 고주파 접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주파 접착 방식에 의하면 분자간 진동과 마찰에 의해 필름 자체가 열을 발생하여 접착되는 방식이므로 폴리프로필렌 직물과의 접착이 보다 효율적이어서, 포장재의 찢어짐과 핀홀(pin hol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직물과 고밀도폴리에틸렌이 합지된 포장재의 중첩 시에는 폴리프로필렌 직물 면이 서로 대향되거나,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 면이 대향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대향면을 특정할 수 있다. 특히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면은 직조된 폴리프로필렌 직물면에 비해 방수 특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본체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면이 대향되도록 중첩되어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서 중첩된 포장재는 포대를 형성하는 삼면 중 밀봉이 필요한 부분이 열접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누수의 우려없이 패각사상체를 보관 및 유통시킬 수 있다. 이때 열접착을 위해서는 임펄스 접착기 또는 열선 접착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선 및 임펄스 접착기를 이용한 열접착 시에는 접착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열선을 감싸고 있는 테프론 테이프 위에 이형재(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를 주기적으로 코팅하여 접착면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포장용 포대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로 직조한 직물의 형태에 따라 열접착부(12)가 좌우측면과 하단의 삼면에 형성되거나, 하단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장의 포장재를 겹쳐서 포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좌우측면과 하단에 열접착부(12)가 형성되어야 하며, 통 형상으로 직조된 포장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단에만 열접착부(1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에 패각사상체를 담은 후 주입구(14)를 단순히 끈 또는 케이블타이로 조여 주는 것에 의해 마감할 수 있다. 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14) 상단에 절첩부(15)를 형성하고, 절첩부(15) 내부에 마감끈(16)을 넣은 상태로 김 종자 포장용 포대를 형성하여 현장에서는 포장이 완료되면 주입구(14)측에 마련되어 있는 마감끈(16)을 바로 조여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김 종자 포장용 포대는 패각사상체가 담긴 상태에서 포장 및 유통 시 열접착부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열접착부의 바깥쪽에 추가로 봉제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 봉제선이 열접착부의 안쪽(본체부 쪽)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봉제선의 구멍을 따라 누수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봉제선은 열접착부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접착부와 봉제선의 간격은 2~10mm인 것이 좋다. 봉제선이 열접착부와 너무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봉제선의 형성 시 열접착부에 손상을 가할 수 있으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열접착부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적다. 도 5에는 추가로 봉제선이 형성된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5에는 모든 열접착부가 형성된 면에 봉제선을 형성한 예만을 도시하였으나, 패각사상체에 의해 주로 힘을 받는 부분은 하단이므로 하단에만 봉제선을 추가하여도 무방하다. 물론 좌우 측면에만 봉제선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에는 봉제선이 한 줄로 형성된 예만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봉제선을 이중 또는 다중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사진이다. 도 6의 (A)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전면 사진으로, 수산종자산업법 상의 의무 기재 사항인 유통 종자의 품종명칭, 수량, 생산자 등 품질표시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해당 칸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B)는 열접착부(12)와 봉제부(13)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6의 (C)는 패각사상체를 포장한 상태에서 케이블타이(좌)와 끈(우)으로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10. 김 종자 포장용 포대
11. 본체부 12. 열접착부
13. 봉제부 14. 주입구
15. 절첩부 16. 마감끈
11. 본체부 12. 열접착부
13. 봉제부 14. 주입구
15. 절첩부 16. 마감끈
Claims (9)
-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직조한 직물에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이 합지된 포장재가 중첩되어 형성된 본체부; 및
삼면이 밀봉되도록 개방부위가 열접착되어 있는 열접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원사는 500~1,0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종자 포장용 포대의 전광선투과율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과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의 합지는 고주파 접착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에 있어서,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면이 대향되도록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은 임펄스 접착기 또는 열선 접착기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종자 포장용 포대는 주입구를 끈 또는 케이블타이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부의 바깥쪽에는 봉제선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부와 봉제선의 간격은 2~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종자 포장용 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910U KR20180001118U (ko) | 2016-10-13 | 2016-10-13 |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910U KR20180001118U (ko) | 2016-10-13 | 2016-10-13 |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118U true KR20180001118U (ko) | 2018-04-23 |
Family
ID=6207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910U KR20180001118U (ko) | 2016-10-13 | 2016-10-13 |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1118U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20000357B1 (ko) * | 1976-11-09 | 1982-03-24 | 알렌 제이 · 휴버 |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대(envelope) 형성용 재료 |
JPH0516298U (ja) * | 1991-08-13 | 1993-03-02 | 三菱油化産資株式会社 | 積層シート |
KR100586222B1 (ko) * | 2005-12-08 | 2006-06-12 | 주식회사 은창 | 포장용 비닐 포대 |
KR20090112798A (ko) * | 2008-04-25 | 2009-10-29 | 주식회사 은창 |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포장용 다중 비닐포대 |
KR20110030793A (ko) * | 2009-09-18 | 2011-03-24 | 주식회사 우림 | 방수성이 우수한 포장용 포대 |
KR20110032247A (ko) * | 2009-09-22 | 2011-03-30 | 주식회사 우림 |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포장용 포대 |
-
2016
- 2016-10-13 KR KR2020160005910U patent/KR2018000111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20000357B1 (ko) * | 1976-11-09 | 1982-03-24 | 알렌 제이 · 휴버 |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포대(envelope) 형성용 재료 |
JPH0516298U (ja) * | 1991-08-13 | 1993-03-02 | 三菱油化産資株式会社 | 積層シート |
KR100586222B1 (ko) * | 2005-12-08 | 2006-06-12 | 주식회사 은창 | 포장용 비닐 포대 |
KR20090112798A (ko) * | 2008-04-25 | 2009-10-29 | 주식회사 은창 |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포장용 다중 비닐포대 |
KR20110030793A (ko) * | 2009-09-18 | 2011-03-24 | 주식회사 우림 | 방수성이 우수한 포장용 포대 |
KR20110032247A (ko) * | 2009-09-22 | 2011-03-30 | 주식회사 우림 | 미끄럼 방지성이 우수한 포장용 포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ITPI20100043A1 (it) | Metodo per realizzare un tappeto erboso utilizzando semi artificiali somatici ottenuti da nodi di specie graminacee | |
US20070028515A1 (en) | Fluid retaining device to keep flowers hydrated after cutting, packing and storing inside cardboard boxes for transportation | |
KR20130127708A (ko) | 덮개식 압축 부직포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방법 | |
KR20180001118U (ko) | 김 종자 포장용 포대 | |
AU2012275677B2 (en) | Methods for modulating strobili development in gymnosperm trees | |
CN103749104A (zh) | 一种用于种植草坪的植生纱线以及生产工艺及其织成品 | |
US6594953B2 (en) | Flower pot with attached sleeve and method of use | |
CN207141690U (zh) | 一种可展示的植株包装盒 | |
US20140311028A1 (en) | Floral sleeve having an insert or extension | |
CN210782228U (zh) | 一种保水型生态植草袋 | |
CN202697396U (zh) | 新型膜加纸立体双层水果套袋 | |
KR200382887Y1 (ko) | 천적유지식물 보급용 화분의 포장구조 | |
CN206354137U (zh) | 一种用于玉米杂交的器材包 | |
JP2004180531A (ja) | 袋状植木ポット | |
JP3211301U (ja) | 植栽用保護カバー | |
KR100650979B1 (ko) | 과채류 생육 재배 및 포장 용기 | |
KR100803096B1 (ko) | 수경재배 겸용 수경재배 식물 포장포대 | |
CN205511250U (zh) | 果实套袋 | |
CN108651035A (zh) | 一种金陵黄枫高枝嫁接方法 | |
CN211458182U (zh) | 一种观赏盆景育苗用无纺布育苗袋 | |
KR200210377Y1 (ko) | 합성수지재 끈봉투 | |
WO2017142017A1 (ja) | 植物生育用シート、及び、植物生育用袋 | |
EP1486112A1 (en) | Package for transporting and growing plant material, such as seeds or bulbs | |
KR20160133917A (ko) | 과일 보호용 커버지 | |
JP3180849U (ja) | 熱帯植物栽培用蓋付自然分解性黒色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