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56A - Uniform - Google Patents

Uni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56A
KR20180001056A KR1020160079619A KR20160079619A KR20180001056A KR 20180001056 A KR20180001056 A KR 20180001056A KR 1020160079619 A KR1020160079619 A KR 1020160079619A KR 20160079619 A KR20160079619 A KR 20160079619A KR 20180001056 A KR20180001056 A KR 2018000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uniform
collar
front plate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5272B1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유진에스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에스앤에이 filed Critical (주)유진에스앤에이
Priority to KR102016007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272B1/en
Publication of KR2018000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9/00Uniforms; Parts or accessories of unifo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form. The uni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incess line. The width (W) of an incision area forming the princess line is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ust size and the back length of a wearer, thereby providing a garment which enables the wearer feel comfortable and fits well on the wearer.

Description

유니폼 {Uniform}Uniforms {Uniform}

본 발명은 유니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 옷깃부, 한 쌍의 소매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제1 앞판, 제2 절개선이 형성된 제2 앞판, 제3 및 제4 절개선이 형성된 뒷판을 구비하는 유니폼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form, comprising a body portion, a collar portion, and a pair of sleeves,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frontal plate having a first sectional incline, a second frontal plate having a second sectional incline, And a back plate having an improved fourth section.

학교나 회사에서는 일체감과 소속감을 위하여 동일한 옷을 착용하기도 한다. 유니폼은 소속 단체원들의 일체감을 향상시키며, 외부에서 보았을 때도 어디 소속인지 바로 알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Schools and companies wear the same clothes for a sense of identity and belonging. The uniform improves the sense of unity of the members of the group, and plays a role in knowing where they belong eve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종래의 유니폼은 디자인이 단조로우며, 착용감을 크게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이 많았다. 하지만, 기업 이미지와 디자인을 강조하는 최근 동향에 맞춰 유니폼의 디자인도 개발이 많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업종에 따라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 착용감이나 편안함 등의 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들이 개발되고 있다. Conventional jerseys are monotonous in design, and there are many designs that do not consider wearing comfort significantly. However, according to recent trends emphasizing corporate image and design, the design of uniforms is also being developed. Designs that enhance corporate image according to various industries and designs emphasizing functionality such as comfort and comfort are being developed.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10528호는 은나노를 함유하여 항균 및 자외선 및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유니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Regarding this,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10528 discloses uniforms containing silver nano and capable of blocking antibacterial and ultraviolet rays and electromagnetic waves.

하지만, 이러한 기능 외에도 유니폼은 기본적으로 의류로서, 디자인적으로도 멋스럽고, 착용감이 좋을 필요가 있다. 특히, 유니폼은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이 일률적으로 입는 것으로서, 똑같은 재단을 이용하여 옷을 제작하는 경우, 체형에 따라 옷의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체형에 따라 핏감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할 필요가 있다. However, besides these functions, uniforms are basically clothes, and they are also fashionable in design, and need to be comfortable to wear. Particularly, uniforms are uniformly worn by people of various body types, and when clothes are made using the same cut, the feeling of wearing of the clothes is lowered depending on the body shape, and the appearance may not be g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ccording to the body shape considering the fit.

다양한 체형에 적용할 수 있는 유니폼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착용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폼의 개발이 요구된다.It is necessary to develop uniform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body typ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 uniform that can improve the fit when worn.

특허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528호 (등록일: 2006.03.02)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No. 20-0410528 (Registered Date: Mar. 3,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체형에도 착용감이 좋으며, 핏이 좋은 유니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form which is comfortable to various body shapes and has good fit.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은 몸체부, 옷깃부, 한 쌍의 소매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제1 앞판, 제2 절개선이 형성된 제2 앞판, 제3 및 제4 절개선이 형성된 뒷판을 구비한다. 옷깃부는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된다. 한 쌍의 소매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연결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ifo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collar portion, and a pair of sleeves. The body portion has a first front plate with a first section improvement, a second front plate with a second section improvement, and a back plate with a third and fourth section improvement. The collar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body part. A pair of sleeves are connected to the sides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제1, 제2, 제3, 제4 절개선은 암홀 라인에서 시작한다. 옆선으로부터의 너비(W)는

Figure pat00001
일 수 있다. 여기서, A는 A=1.2(가슴둘레 ≤ 70cm ), 1.1(70 < 가슴둘레 ≤ 85cm), 1.0(85 < 가슴둘레 ≤ 100), 0.9(가슴둘레 > 100cm)의 가중치를, B는 B=0.11(등길이가 < 40cm), 0.13(40 ≤ 등길이)의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In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lause improvement starts from the armhole line. The width (W) from the sideline is
Figure pat00001
Lt; / RTI &gt; A is the weight of A = 1.2 (chest circumference? 70 cm), 1.1 (70 <chest circumference? 85 cm), 1.0 (85 <chest circumference? 100), 0.9 (Back length <40 cm), and a weight of 0.13 (40 ≦ lengt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은 제1 앞판, 제2 앞판, 뒷판에 제1 절개선, 제2 절개선, 제3 절개선, 제4 절개선에서 시작되는 다트가 형성될 수 있다.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darts starting from the first frontal plate, the second frontal plate, the backal plate, the first folding, the second folding, the third folding, and the fourth fold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다트의 다트 분량은

Figure pat00002
일 수 있다. The dart amount of the dart in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gure pat00002
Lt; / RTI &g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옷깃부는 제1 및 제2 장식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식 유닛은 제1 장식 유닛의 일단에서 중첩될 수 있다.In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b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decorating units. The second decorating unit may be overlapped at one end of the first decorat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옷깃부는 상부의 일부가 메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neckband may be formed of a mesh.

본 발명의 유니폼은 체형에 따라 절개선의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되고, 유니폼을 착용하였을 때 옷맵시가 좋다.The uni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eeling of fit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cision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and it is preferable to dress the uniform when the uniform is worn.

도 1은 프린세스 라인을 가진 상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절개선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절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의 재단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앞판과 뒷판 절개 영역의 원단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다트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의 재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옷깃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의 옷깃부에 메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옷깃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phase with a Princess line;
Fig. 2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cision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shape.
3 is a view showing a cutting region in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ut-out of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ar end direction of a front plate and a back plate cutting region in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dart formed in a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utting state of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llar in the unifo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mesh formed on the collar of the unifo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ollar in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프린세스 라인을 가진 상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절개선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top with a princess lin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variation of a folding reduction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shape.

종래 기본적인 패턴의 유니폼에서 점차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한 유니폼이 개발되면서, 원형을 변형하거나, 칼라나 소매 모양을 다양화한 디자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 1에 도시된 유니폼은 프린세스 라인을 주어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함과 동시에 날씬해 보이는 효과까지 도모하고 있다. 프린세스 라인이란 어깨 또는 진동 둘레에서부터 치마 밑자락까지 세로로 절개선을 넣고 다트 분량을 조절함으로써, 상반신은 꼭 맞고 허리선 아래로 여유가 있도록 만든 라인이다. 세로 절개선에 의해 의복이 상반신에 맞게 붙고, 허리선을 가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스러움을 강조할 수 있다. 디자인에 따라서는 절개 영역의 색을 본판의 색과 달리함으로써, 개성있는 디자인이 될 수 있으며, 착시 효과에 의해 옷맵시가 정돈되어 보이거나, 더욱 날씬하게 보일 수도 있다.Uniforms with a basic pattern of uniforms gradually developed with uniform design elements, and designs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shape or a sleeve or a collar shape have appeared. The uniform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princess line so as to add a design element, and at the same time, achieve a slim looking effect. The princess line is a line mad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houlder or the circumference of the skirt to the bottom of the skir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darts so that the upper body is tight and the waistline is clear. By improving the vertical section, the garment is fitted to the upper body, and the effect of making the waist line appear narrower can be emphasized. Depending on the design, the color of the incision area may be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original plate, so that it may be a unique design, and the clothes may be arranged by the optical illusion effect, or may appear to be thinner.

하지만, 유니폼은 보통 가슴둘레로 정해진 치수에 의해 일정하게 재단되고 재봉된다. 따라서 다양한 체형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너무 타이트하거나 헐렁하여 옷맵시가 좋지 않은 경우도 생긴다. 이런 경우 절개선을 활용하여, 체형의 결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가 작고 왜소한 경우 절개 영역의 너비를 넓게 하여 키가 더 커 보이게 하고, 왜소한 체격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대로 키가 크거나 통통한 체형인 경우 측면에 위치한 절개 영역의 폭을 좁게 하여 더 날씬해 보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니폼을 제조하는 데 있어 착용자의 신장과 가슴둘레를 재단에 적용하여 다양한 체형에 맞는 옷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신장 및 가슴둘레를 적용할 시 신체 사이즈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다 정확한 핏을 연출할 수 있다.
However, uniforms are usually cut and sewed by the dimensions determined by the ches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o various body types, and it may be too tight or loose, resulting in bad clothes. In this case, the incision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body. As shown in FIG. 2, if the key is small and small, the width of the incision area may be widened to make the key look bigger, and it may play a role of blocking the dwarf physiqu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body having a large height or a plump shape, it is possible to make the width of the incision region located at the side narrower to make it look thinner. In manufacturing unifor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uts of the wearer's height and chest to produce clothes suitable for various body shapes. In addition, when the kidney and the chest are applied, weight can be given to each body size, and a more accurate fit can be pro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절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의 재단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앞판과 뒷판 절개 영역의 원단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cutting region in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ut of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5 is a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far end of the front plate and back plate incision regio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니폼(1000)는 몸체부(1100), 옷깃부(1200), 소매부(130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0)는 제1 앞판(1110), 제2 앞판(1120), 뒷판(1130)의 옆선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1 앞판(1110)에는 제1 절개선(1111)이 형성된다. 제2 앞판(1120)에는 제2 절개선(1121)이 형성된다. 뒷판(1130)에는 제3 및 제4 절개선(1131, 1132)이 형성된다. 몸체부(1100)는 제1 및 제2 앞판(1110, 1120), 뒷판(1130)에 형성된 절개선들에 의해 입체적인 형상이 된다. 옆선과 절개선까지의 너비(W)는 옷의 크기에 따라 조절된다. 진동 둘레(AH), 몸체부(1100)의 옆선(SL), 절개선, 허리선(WL)이 형성하는 영역을 절개 영역(도 3의 해칭 영역)이라 한다. 절개 영역의 너비(W)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 the unifor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0, a collar portion 1200, and a sleeve portion 1300. As shown in FIG. The body portion 110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front plate 1110, the second front plate 1120, and the side plates of the rear plate 1130. A first section 1111 is formed on the first front plate 1110. A second section 1121 is formed on the second front plate 1120. And the third and fourth sections 1131 and 1132 are formed on the back plate 1130. The body portion 110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by cutting line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s 1110 and 1120 and the rear plate 1130. The width (W) from the side line to the incli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lothes. The area formed by the vibration circumference AH, the side line SL of the body part 1100, the incisional reduction, and the waist line WL is referred to as an incision area (hatched area in FIG. 3). A method of determining the width W of the incision region will be described later.

몸체부(1100)의 제1 및 제2 앞판(1110, 1120)의 중심부는 옷을 여미는 부분으로서, 단추와 단추 구멍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앞판(1110, 1120)의 중심부가 접혀지거나 힘이 없는 경우 옷이 비뚤어져 보이거나 속옷이 비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앞판(1110, 1120)의 중심부에 심지를 넣어 옷이 흐트러지거나 단추를 단 부분이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A cent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s 1110 and 1120 of the body portion 1100 is a portion for releasing clothes, and a button and a button hole are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cent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s 1110 and 1120 are folded or have no force, the clothes may be seen to be skewed or underwear may be exposed. Therefore, wicks are inserted in the cent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plates 1110 and 1120 to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disturbed and the button end portions to be folded.

옷깃부(1200)는 몸체부(1100)의 상단에 연결된다. 옷깃부(1200)는 상의의 상부를 단정하게 여미면서, 장식적인 효과도 준다. 옷깃부(1200)는 플랫 칼라, 만다린 칼라, 숄 칼라, 보 칼라, 셔츠 칼라, 세일러 칼라, 스탠드 칼라, 폴로 칼라 등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The collar portion 1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0. The collar 1200 smoothly fills the top of the top with a decorative effect. The collar portion 1200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lat collar, a mandarin collar, a shaw collar, a volley collar, a shirt collar, a sail collar, a stand collar, and a polo collar.

소매부(1300)는 몸체부(1100)의 진동 라인(AH)과 연결된다. 소매부(1300)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몸체부(1100)의 측면에 연결되며, 계절 및 착용되는 장소에 따라 반팔 또는 긴팔로 제작될 수 있다. 디자인에 따라 소매산의 높이가 조절되며, 소매산 부분에 주름을 잡거나 패드를 합봉할 수도 있다.The sleeve portion 1300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line AH of the body portion 1100. The pair of sleeves 1300 ar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dy part 1100, respectively, and can be manufactured as short sleeves or long sleeves depending on the season and places to be worn. Depending on the design, the height of the retail mountain can be adjusted, and the ridges can be wrinkled or the pads can be joined.

몸체부(1100), 옷깃부(1200), 소매부(1300)는 면,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의 하부는 원형에 여유분을 넣어 물결처럼 퍼지도록 할 수도 있다. 허리선 아래로 원단이 스커트처럼 퍼지는 디자인의 경우 여성스러운 느낌이 나며, 체형을 보완해줄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00, the collar portion 1200, and the sleeve portion 13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otton, rayon, and polyester.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can be made to spread like a wave by putting a spare part in a circular shape. If the design spreads like a skirt under the waist line, it gives a feminine feeling and can complement the body shape.

본 발명은 몸체부(1100)에 형성된 절개 영역의 너비(W)가 조절됨으로써 체형에 보다 잘 맞고, 옷 맵시를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절개 영역의 너비(W)를 결정하는 것은 가슴 둘레 및 등길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은 진동 둘레의 일부로부터 시작된다. 절개선의 시작 부분은 곡선을 이루며, 가슴 라인(BL)부터 직선을 이루며 내려온다. 디자인에 따라 절개선의 시작점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절개선은 어깨선(SP)을 기준으로 앞판 또는 뒷판의 진동 둘레의1/3~2/3 지점에서 시작한다. The width W of the incision area formed on the body part 1100 is adjusted to better fit the body shape and improve the dressing appearance. It is the chest and back length that determines the width W of the incision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sectioning starts from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the curve forms a straight line from the chest line (BL). Depending on the design,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tioning may be changed, but in this embodiment, the sectioning starts from 1/3 to 2/3 of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on of the front plate or the back plate based on the shoulder line SP.

키가 작으면서 마른 체형, 키가 작으면서 통통한 체형, 키가 크면서 마르거나 통통한 체형 등 착용자의 체형은 다양하다. 체형의 기준이 되는 신체 치수는 가슴둘레와 신장, 허리 둘레 등 다양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슴 둘레와 등 길이를 이용한다. 절개선이 주는 착시 효과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착용자의 가슴 둘레에 따라 몸체부의 너비가 변화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옷 맵시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의 키를 더 고려하였다.The body shape of the wearer is various, such as a thin body with a small height, a thin body with a small height and a large body, and a body with a large height and dry or plump. The body dimensions that are the basis of the body shape vary from the chest circumference to the h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st circumference and back length are used. This is to utilize the optical illusion effect which is the improvement of the section. The width of the body part changes according to the wearer's chest circum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wearer is further considered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dressing.

본 실시예에서는 가슴둘레와 등 길이를 이용하여 8가지의 체형으로 구분을 하여 절개 영역의 너비를 계산하였다. 계산에 있어 가슴둘레 및 등 길이에 따라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가슴둘레가 증가하면 절개 영역의 너비가 좁아지는 것이 체형을 더 날씬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즉 등 길이가 작을수록 절개 영역의 너비를 크게 함으로서 키가 작다는 체형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옷의 원형을 계속 반복 재단 및 착용한 결과, 절개 영역의 너비(W)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이 다양한 체형에 가장 맞는다는 결론을 얻었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incision area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body shape into 8 types using the chest circumference and back length. Different weights were assigned to chest and back lengths in calculations. In this regard, as the chest increases, the width of the incision area becomes narrower, making the body shape more slender. In addition, as the elongation, that is, the back length is smaller, the width of the incision area is increased, so that the body having a smaller key can be supplemented. As a result of repeatedly cutting and wearing the circular pattern of clothing, it was concluded that the following formula is most appropriate for various body types with respect to the width (W) of the incision area.

Figure pat00003
------(식 1)
Figure pat00003
------ (Equation 1)

(단위 : cm)(Unit: cm)

가중치 A와 B는 다음과 같다.The weights A and B are as follows.

가슴둘레(cm)Chest circumference (cm) AA 등길이(cm)Back length (cm) BB 70 미만Less than 70 1.21.2 40 미만Less than 40 0.110.11 70이상 85미만70 to less than 85 1.11.1 85이상 100 미만85 or more and less than 100 1.01.0 40이상40 or more 0.130.13 100 이상100 or more 0.90.9

예를 들어, 가슴둘레가 84cm이고 등 길이가 38cm인 경우, 가중치는 A=1.1, B=0.11이 적용되고, W는 7.92(cm)가 된다.For example, when the chest circumference is 84 cm and the back length is 38 cm, the weight is A = 1.1, B = 0.11, and W is 7.92 (cm).

가슴둘레가 88cm이고, 등길이가 41cm인 경우, W는 6.17(cm)가 된다. 가슴둘레에 따라 결정되는 몸체부 전체의 너비에 등 길이, 즉 착용자의 신장이 반영되어 전체적인 절개 영역의 폭(W)이 결정된다.When the chest circumference is 88 cm and the back length is 41 cm, W becomes 6.17 (cm). The width of the whole incision area W is determined by the back length, i.e., the elongation of the wearer, on the width of the entire body par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est circumference.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절개 영역은 진동 둘레(AH)에서 시작되어 곡선을 이루며 내려오다가 가슴라인(BL)에서부터는 직선으로 내려온다. 진동 둘레 부분의 곡선 형태로 인하여 재봉 후 몸체부(1100)에는 자연스러운 곡면이 생긴다.As shown in FIG. 4, the incision area starts from the vibration periphery AH, descends in a curve, and descends straight from the chest line BL.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vibration circumference portion, a natural curved surface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0 after sewing.

본 발명에서는 절개 영역의 너비(W)를 도출함에 있어, 가슴둘레와 등 길이 값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함으로써 보다 체형에 맞는 절개 영역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riving the width W of the incision area, the width of the incision area that is more suited to the body type can be determined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chest circumference and back length values.

절개선은 재봉 후 상침을 하여 장식적인 요소를 더 가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개선 재봉시 파이핑(piping)을 넣거나, 핀턱(pintuck) 재봉을 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절개선에 힘이 들어가며, 프린세스 라인을 보다 강조할 수 있다. 절개선 재봉 시 레이스를 합봉하여 보다 여성스러움을 강조할 수도 있다. 절개선 재봉 후 시접은 통솔 처리하여 한쪽으로 넘긴다.The section improvement can be made by adding a decorative element after sewing. In another embodiment, piping or pintuck sewing may be performed during incisional sewing.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ction, and the princess line can be emphasized more. You can also emphasize femininity by combining lace during sewing. After sewing, the seam is handled and handed over to one sid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 영역을 앞판, 뒷판과 동일한 원단으로 배치하여 재봉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개 영역에 다른 색상의 원단을 배치하여 디자인을 멋스럽게 하거나, 상반되는 생상에 의한 착시 효과로서 날씬해 보이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절개 영역은 앞판 및 뒷판과 원단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재봉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영역의 원단을 바이어스 방향으로 배치하여 신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유니폼은 근무시 착용하는 복장으로 착용감이 좋아야 한다. 절개 영역을 바이어스 방향으로 배치하여 유니폼을 제조하는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 딱 맞게 제조하면서도 착용자가 움직일 때 신축성이 좋아 보다 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cision area is arranged in the same fabric as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a different color fabric may be arranged in the incision area to make the design tasteful, It can also make it look thin as an optical illusion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cutting region can be sewn by arranging the front plate, the back plate, and the fabric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as shown in Fig. 5, stretchability can be imparted by arranging the raw end of the cutting region in the bias direction. Uniforms should be comfortable to wear when worn at work. When the incision area is arranged in the bias direction to manufacture uniforms, the wearer can easily wear the uniform while making it fit to the body of the wearer.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다트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의 재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dart formed in a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cut state of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에 다트가 형성될 수 있다. 다트는 평면적인 원단을 입체적으로 연출하기 위하여 원단의 일정 부분을 걷어잡아 줄이는 것을 말한다. 다트를 넣는 부분에 따라 고지 다트, 숄더 다트, 암홀 다트, 사이드 다트, 웨이스트 다트 등으로 부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에서 다트를 잡으며, 절개선의 일부로부터 바스트 포인트(BP)까지 다트를 잡아 입체적인 면을 연출한다. 옆선으로부터가 아닌 절개선으로부터 다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재봉 후 옷이 붕 뜨는 느낌이 적으며, 절개성 재봉과 함께 자연스럽게 입체적인 면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unifor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darts for folding. A dart is a piece of fabric that is rolled down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fabric. Depending on where you put your darts, you can call them high darts, shoulder darts, dark darts, side darts, and waste darts. In this embodiment, darts are held on the side, and darts are taken from a part of the incision improvement to the bust point (BP)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urface. Since the dart is formed from the incision not from the side line, the feeling of blooming of the clothes after the sewing is small, and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s formed naturally with the inconvenience stitch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트를 형성할 때는 수직선(바스트 포인트(BP)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수직선을 형성하였을 때)으로부터 다트선과의 각도(θ)가 10~35°가 되도록 다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가 되도록 한다. 다트의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함으로써 제조된 옷의 가슴 부분이 지나치게 뜨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7, when forming the dots, the dots can be formed so that the angle (?) With the dart line is from 10 to 35 degrees from the vertical line (when the vertical line is formed downward from the bust point BP) And preferably 15 [deg.]. By extending the direction of the d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prevents the breast portion of the manufactured clothes from being excessively floated.

다트 분량(DW)은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한다. 다트 분량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결정한다.The dart amount (DW) is based on the chest circumference. The amount of darts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DW=

Figure pat00004
----------------------------- (식 2)DW =
Figure pat00004
----------------------------- (Equation 2)

(단위 : cm)(Unit: cm)

예를 들어, 가슴 둘레가 80cm인 경우, 다트 분량은 3.5cm가 되고, 가슴 둘레가 90인 경우 다트 분량은 3.75cm가 된다. For example, when the chest circumference is 80 cm, the dart amount is 3.5 cm, and when the bust circumference is 90, the dart amount is 3.75 cm.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앞판, 뒷판 모두에 다트를 형성하였지만, 앞판에만 다트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lthough darts are formed on both the first and second front and rear plates in this embodiment, darts may be formed only on the front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옷깃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의 옷깃부에 메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폼에서 옷깃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collar in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mesh formed in a collar of a uni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n the uni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유니폼(1000)은 옷깃부(1200)를 여러 개의 장식 유닛으로 형성하여 개성을 표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옷깃부(1200)는 2개의 장식 유닛으로 되어 있다. 제1 장식 유닛(1201)은 긴 셔츠 칼라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2 장식 유닛(1202)은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식 유닛(1202)은 제1 장식 유닛(1201)과 일부 영역이 중첩되며, 제1 장식 유닛(1201)의 끝 부분을 받쳐주는 형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100)는 제1 앞판(1110)의 중심선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제2 앞판(1120)과 상부에서 일부분이 겹쳐 있다. 제2 장식 유닛(1202)가 목둘레는 중첩적으로 여미는 형태가 됨으로써, 유니폼의 착용시 더욱 단정해 보이고, 옷이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unifor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r part 1200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decoration units to express personality. As shown in Fig. 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band 1200 is made up of two decorating units. The first decorating unit 1201 forms a long shirt color, and the second decorating unit 1202 is formed to have a short length. The second decorating unit 1202 overlaps with the first decorating unit 1201 to support the end of the first decorating unit 120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front plate 1110 is formed diagonally with the second front plate 1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0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upper portion. The second decorating unit 1202 becomes a shape in which the neckline is overlapped with the neck, so that it looks more neat when the uniform is worn and prevents the clothes from being lifted.

한편, 목 둘레는 몸체부(1100)와 옷깃부(1200)가 겹쳐져 있어 답답하거나 더위를 느끼기 쉽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깃부(1200)에 메쉬 영역을 형성하여 통풍이 잘 되도록 하였다. 옷깃부(1200)가 빳빳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옷깃부(1200)의 일부 영역만이 메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메쉬 대신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100 and the collar portion 120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neckline tends to feel frigid or ho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a mesh region is formed in the collar portion 1200 so that ventilation is performed well. Only a part of the area of the collar 1200 may be formed into a mesh so that the collar 1200 can be stiffly fixed. An opening may be formed instead of the mesh.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리본을 여미는 형태로 옷깃부(12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리본은 여성스러워 보이는 장식이지만, 리본은 잘 풀어질 수 있고 또는 헐거워지면 단정치 않게 보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본을 한쪽에서 여밀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른 쪽 리본의 끝이 통과하도록 홀을 형성하여 쉽게 리본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As shown in FIG. 10, in another embodiment, the neckband 1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tripping the ribbon. Ribbons are feminine decorations, but the ribbons can either be loosened well or become loose. In this embodiment, the ribbon is densified from one side, and a hole is form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ribbon so that the shape of the ribbon is easily form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 유니폼 1100 : 몸체부
1110 : 제1 앞판 1120 : 제2 앞판
1130 : 뒷판 1200 : 옷깃부
1201 : 제1 장식 유닛 1202 : 제2 장식 유닛
1300 : 소매부
1000: uniform 1100: body part
1110: first front plate 1120: second front plate
1130: back plate 1200: collar portion
1201: first decorating unit 1202: second decorating unit
1300: Retail department

Claims (6)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제1 앞판, 제2 절개선이 형성된 제2 앞판, 제3 및 제4 절개선이 형성된 뒷판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옷깃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한쌍의 소매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유니폼.
A body portion having a first front plate on which an improvement is formed, a second front plate on which an improvement is made on a second section, and a back plate on which a third and fourth section improvement are formed;
A collar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pair of sleeves connected to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선, 상기 제2 절개선, 상기 제3 절개선, 상기 제4 절개선은 암홀 라인에서 시작하되, 옆선으로부터의 너비(W)가
Figure pat000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폼.
(A=1.2(가슴둘레 ≤ 70cm ), 1.1(70 < 가슴둘레 ≤ 85cm), 1.0(85 < 가슴둘레 ≤ 100), 0.9(가슴둘레 > 100cm)
B=0.11(등길이가 < 40cm), 0.13(40 ≤ 등길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ction improvement, the second section improvement, the third section improvement, and the fourth section improvement start at an armhole line,
Figure pat00005
. &Lt; / RTI &gt;
(A = 1.2 (bust ≤ 70cm), 1.1 (bust ≤ 85cm), 1.0 (bust ≤100), 0.9 (bust> 100cm)
B = 0.11 (equal length <40 cm), 0.13 (40 ≦ equal length))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앞판, 상기 제2 앞판에는 상기 제1 절개선, 상기 제2 절개선에서 시작되는 다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second front plate are formed with dots starting from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의 다트 분량은
Figure pat000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art amount of the dart is
Figure pat00006
.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깃부는 제1 및 제2 장식 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장식 유닛은 상기 제1 장식 유닛의 일단에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ckb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decorating units,
And the second decoration unit is overlapped at one end of the first deco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깃부의 상부의 일부는 메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collar is formed of a mesh.
KR1020160079619A 2016-06-24 2016-06-24 Uniform KR101875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619A KR101875272B1 (en) 2016-06-24 2016-06-24 Uni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619A KR101875272B1 (en) 2016-06-24 2016-06-24 Uni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56A true KR20180001056A (en) 2018-01-04
KR101875272B1 KR101875272B1 (en) 2018-07-05

Family

ID=6099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619A KR101875272B1 (en) 2016-06-24 2016-06-24 Uni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27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922U (en) * 2005-06-21 2005-09-22 株式会社ワコール Clothing with darts
JP3122366U (en) * 2006-03-31 2006-06-08 株式会社和工房 Collar member
JP3173553U (en) * 2011-11-29 2012-02-09 株式会社ピーディーハウス Jack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8412A (en) * 1982-05-28 1983-12-05 保利 有薫 Cutting of front fabric panel
JP3173553B2 (en) * 1994-09-16 2001-06-04 ホシデン株式会社 L-shaped connector plug
JP3122366B2 (en) * 1996-03-14 2001-01-09 白光株式会社 Solder ch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47659B1 (en) 1997-05-08 2000-04-01 이종구 Three dimentional grading method of clothes pattern according to body shape
WO2006135588A2 (en) 2005-06-10 2006-12-21 Triofit, Inc. Methods for optimally adjusting measurements of garments
JP2013040416A (en) * 2011-08-15 2013-02-28 Koji Takayama Shi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922U (en) * 2005-06-21 2005-09-22 株式会社ワコール Clothing with darts
JP3122366U (en) * 2006-03-31 2006-06-08 株式会社和工房 Collar member
JP3173553U (en) * 2011-11-29 2012-02-09 株式会社ピーディーハウス Jacke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22366호(2006.06.08.) 1부.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73553호(2012.02.09.)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272B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5970B2 (en) Faux-shirt girdle
JP4769956B2 (en) pants
US20100064409A1 (en) Shape enhancing garment
US6076187A (en) Elacticized form fitting shirt
US20150026990A1 (en) Patterning system for selected body type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produced therefrom
WO2005032288A3 (en) Hosiery-type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ITRM980292A1 (en) MALE BUST COVERING GARMENT I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PROTECTIVE REINFORCEMENT PAD TO BE USED
ES2395956T3 (en) Methods for optimally adjusting garment measurements
CN105661722B (en) A kind of tailoring method of Huian crock
CN105411015B (en) X-type structure motion underwear
KR101875272B1 (en) Uniform
KR101443338B1 (en) Korean traditional jacket having enhanced wearing sensations
CN107087828A (en) A kind of shortage of money is cultivated one&#39;s moral character Chinese style close-fitting skirt
CN209965270U (en) Ventilative type jeans
CN103767207B (en) A kind of another garment sleeve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20160219955A1 (en) Performance Hem for an Athletic Shirt Including Compression Material
KR101909385B1 (en) Production Method Hanbok jacket
KR20100022839A (en) Functional hip-up pants and it&#39;s a manufature method and it&#39;s back pattern
CN101617861A (en) Ventilated trousers with back skirt
JP4031186B2 (en) Outer wear combined type inner wear
CN215124463U (en) POLO shirt
US20180192718A1 (en) Buttock enhancing pad
CN210538983U (en) Gauze embroidery dress
JPH09273008A (en) Clothes having crotch part provided with correcting function
CN214759168U (en) Polo shirt with thickened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