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02A -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02A
KR20180001002A KR1020160079472A KR20160079472A KR20180001002A KR 20180001002 A KR20180001002 A KR 20180001002A KR 1020160079472 A KR1020160079472 A KR 1020160079472A KR 20160079472 A KR20160079472 A KR 20160079472A KR 20180001002 A KR20180001002 A KR 2018000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unit
float
fish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3426B1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6007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426B1/en
Publication of KR2018000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Abstract

An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a reflecting unit reflecting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 light transmission unit pasting through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ng unit by including the light source and the reflecting unit therein; and a float floating on water by buoyancy and connected to the light transmission unit.

Description

어망표시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0001]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0002]

본 발명은 어망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net display.

야간에 어로작업을 수행하거나 운행하는 선박이 어망(그물)을 쳐놓은 위치 또는 양식장의 위치를 식별하지 못하여 어망이 설치된 수역이나 양식장을 선박이 통과함에 따른 그물이나 양식시설이 손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 역시 손상되거나 운항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being una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ishing net or the location of the farm, the net or aquaculture facility through which the vessel passes may be damaged, The ship may also be damaged or a navigation obstacle may occur.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상에서 어망을 친 위치를 야간에 식별하거나 또는 양식장의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해상용 표시장치인 어망표시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is being developed, which is a marine display device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fishing net at night at night or for identifying the area of a farm site.

어망표시장치는 해수면에 설치되어 장시간 빛을 방출해야 하고 어선이나 선박에서 확인하기 용이해야 하므로 내구성이 강하고 부식이 덜 되며 설치된 위치에서 사방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Fishing net displays should be installed at sea level and should emit light for a long time and should be easily identifiable on fishing vessels or ships, so they should be durable and less corrosive and able to be viewed in all directions from installed location.

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5-0070745호 공개특허공보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15-007074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설치된 위치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nabl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o be confirm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installed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빛을 수면을 따라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A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dvancing light along a wate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광원의 전원 공급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A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erforming power supply of a light source stably.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ask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빛을 방출하는 광원;상기 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상기 광원 및 상기 반사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투광부; 및부력에 의하여 물에 뜨며 상기 투광부와 연결되는 부유체;를 포함하는 어망표시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 reflector that reflects light of the light source; a light emitter that is located inside the light source and the reflector; And a float floating on the water by buoyancy and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상기 반사부는,상기 광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 또는 각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The reflector may have a conical shape or a pyramid shape which is located on the light source and has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s.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은 상기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may have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상기 부유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A fluorescent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스위칭부는 상기 부유체에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 내부에 배치되는 마그넷부, 상기 마그넷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부유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물이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봉된 밀봉부,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밀봉부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한다.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unit, wherein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n operating unit provided in the float, a magnet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and disposed in the float, A seal disposed inside the fluid to prevent the water from intruding into the seal, and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at su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are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inside the seal.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마그넷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마그넷부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접촉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광원에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unit as the magnet unit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o supply the power source to the light sourc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기준치 이상의 빛의 세기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턴오프되어 전원이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sh-ey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a light intensity of a reference value or mor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a sensor switching unit for turning off the supply of the power to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을 지닌 반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설치된 위치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on unit having a cone shape or a pyramid shap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confirm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installed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외측면이 볼록한 투광부를 포함함으로써 빛을 수면을 따라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whose outer surface is convex so that light travels along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밀봉부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접촉을 위하여 밀봉부 외부에 위치하는 마그넷부를 포함함으로써 광원의 전원 공급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located inside the sealed portion and a magnet portion located outside the sealed portion for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o perform the supply stably.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A1-A2에 따른 반사부의 단면도와 반사된 빛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b는 반사부에 반사된 빛의 방향 및 투광부를 통과한 빛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스위칭부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lector according to A1-A2 of FIG. 2 and the direction of the reflected light.
4B shows the direc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or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portion.
5 and 6 show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를 나타낸다. Next,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광원(100), 반사부(200), 투광부(300) 및 부유체(400)를 포함한다. 1 to 3, a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100, a reflector 200, a light projecting unit 300, and a float 400.

광원(100)은 빛을 방출한다. 이 때 광원(100)은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빛을 내거나 방전을 통하여 빛을 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를 통하여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The light source 100 emits light.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100 may emit light through a filament or through a discharg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emit light through an LED.

LED는 필라멘트나 방전을 통하여 빛을 내는 장치에 비하여 전력 소모가 작으므로 보다 장시간 빛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해상에 설치되므로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최대한 절약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LEDs can generate ligh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because they consume less power than devices emitting light through filament or discharge. Since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ea,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so it is important to save the power of the battery as much as possible.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LED는 배터리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어망표시장치의 광원(10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An LED having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can save battery power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the light source 100 of a fishing net display.

반사부(200)는 광원(100)의 빛을 반사한다. 이 때 반사부(200)의 표면은 크롬(chromium) 도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또는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The reflector 200 reflects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00.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portion 200 may be plated with chromium, but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tructures or materials capable of reflecting light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유리가 반사부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빛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For example, a glass may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flective portion to reflect light.

반사부(200)는, 광원(100)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10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 때 원뿔의 단면 형상은 원 또는 타원일 수 있다. The reflective portion 200 may have a conical shape or a pyramid shape which is located on the light source 100 and has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100 increase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e may be a circle or an ellipse.

이와 같이 반사부(200)가 광원(100)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10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을 지니므로 반사부(200)는 광원(100)의 빛을 0 도 내지 360 도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Since the reflector 200 is positioned on the light source 100 and has a conical shape or a pyramid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100 increases, the reflector 200 reflects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00 at an angle of 0 degree It can be reflected in the 360 degree direction.

즉, 도 4a는 도 2의 A1-A2에 따른 반사부(200)의 단면도와 반사된 빛의 방향을 나타낸 것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00)의 단면 형상이 원이므로 반사된 빛의 방향이 사방으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That is,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lector 200 according to A1-A2 of FIG. 2, and shows the direction of reflected light. As shown in FIG. 4A,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flective portion 200 is a circle, the direction of the reflected light advances in all direction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가 수상에 설치될 경우 어망표시장치에서 다양한 방향에 있는 선박의 어부나 선원들이 용이하게 어망표시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craft, the fishnets or crews of the vessels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can easily identify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도 4b는 반사부(200)에 반사된 빛의 방향 및 투광부(300)를 통과한 빛의 방향을 나타낸다.투광부(300)는 광원(100) 및 반사부(200)가 내부에 위치하며, 반사부(200)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투광부(300)를 통하여 외부로 투과된다. 4B shows the direction of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unit 200 and the direction of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300. The transparent unit 300 includes a light source 100 and a reflection unit 200 ,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ortion 20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300.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을 지닌 반사부(200)로 인하여 광원(100)의 빛은 투광부(300)의 측면 전체로 넓게 진행될 수 있다. 4B,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00 can be broadly extended to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300 due to the reflection portion 200 having a conical or pyramidal shape.

이 때 투광부(300)의 외측면은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이 투광부(300)의 외측면이 볼록한 형상을 지니므로 투광부(300)는 투과하는 빛을 포커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300 may have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300 has a convex shape, the transparent portion 30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focusing the transmitted light.

즉, 투광부(300)의 볼록한 외측면을 빛이 투과하면, 빛이 수면을 향하여 굴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망표시장치의 빛이 수면을 따라 전방위로 퍼질 수 있으며, 어망표시장치의 주변에 있는 어선이나 선박이 쉽게 어망표시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when light passes through the convex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300, the light can be refracted toward the water surface. Accordingly, the light of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can be spread all over the water surface, and the fishing net or the vessel near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can easily identify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투광부(300)는 빛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부(3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이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transparent portion 300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ortion 300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plastic or resin,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도 1 내지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00)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광부(300)의 내측면에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and 4B, the reflective portion 200 is formed with a screw, and may be inserted into a threaded ho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300 and screwed thereto.

부유체(400)는 부력에 의하여 물에 뜨며 투광부(300)와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400) 내부는 빈 공간을 포함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float 400 floats in the water by buoyancy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300. As shown in FIG. 3, the interior of the float 400 may include buoyant spaces to generate buoyancy.

부유체(400)의 재질은 물에 뜨기에 용이하고 부식에 강하고 고내구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oat (4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form in water, resistant to corrosion, and has high durability.

투광부(300) 하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유체(400) 상부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투광부(300)와 부유체(400)가 나사체결될 수 있다.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portion 300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 400 so that the transparent portion 300 and the float 400 can be screwed.

또한 부유체(40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형광층은 형광 물질의 도포 또는 형광쉬트가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luorescent layer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 400. The fluorescent layer may be coat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shee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luorescent layer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형광층은 인광물질을 포함하여 광원(100)의 빛을 제거하여도 빛을 낼 수 있다. 인광물질 내의 전자가 빛의 에너지로 인하여 들뜬상태에 있다가 바로 바닥상태로 가지 않고, 중간에 준안정상태를 거쳐 에너지를 잃기 때문에 광원(100)의 빛을 제거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계속하여 빛을 낼 수 있다. The fluorescent layer may include a phosphorescent material to emit light even when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00 is removed. The electrons in the phosphorescent material are excited by the energy of the light but do not go to the bottom state and lose energy through the metastable state in the middle. Therefore, even if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00 is removed,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스위칭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500)는 조작부(510), 마그넷부(520), 밀봉부(530), 제1 단자부(T1) 및 제2 단자부(T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500. [ The switching unit 5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510, a magnet unit 520, a sealing unit 530, a first terminal unit T1, and a second terminal unit T2.

조작부(510)는 부유체(4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510)는 부유체(4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부유체(40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510 may be provided in the float 4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peration unit 51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loat 400, and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float 400 to slid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마그넷부(520)는 조작부(510)와 연결되어 부유체(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부(520)는 조작부(51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magnet unit 5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loat 400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510.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magnet unit 520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510.

밀봉부(530)는 마그넷부(520)와 인접하도록 부유체(400)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봉된다. 이 때 마그넷부(520)는 밀봉부(53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aling portion 530 is positioned inside the float 4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magnet portion 520 and is sealed so that water can not enter the interior. At this time, the magnet part 520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aling part 530.

제1 단자부(T1) 및 제2 단자부(T2)는광원(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밀봉부(53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밀봉부(53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단자부(T1) 및 제2 단자부(T2)의 적어도 일부는 마그넷부(520)의 자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may su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100 and may be located at least partly inside the sealing portion 530. [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located inside the sealing portion 53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ortion 520.

즉, 조작부(510)의 조작에 따라 마그넷부(520)가 이동함에 따라 마그넷부(520)의 자력에 의하여 제1 단자부(T1)와 제2 단자부(T2)가 접촉하여 전원을 광원(100)에 공급할 수 있다.That is, as the magnet unit 520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510, the first terminal unit T1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T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unit 520, .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부(520)가 밀봉부(530)로부터 멀어지면 제1 단자부(T1)와 제2 단자부(T2)는 일정 갭(gap)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5, when the magnet part 520 is moved away from the sealing part 530, the first terminal part T1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T2 can maintain a constant gap, and accordingly, No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100.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부(520)가 밀봉부(530)와 가까워지면 자력에 의하여 제1 단자부(T1)와 제2 단자부(T2)가 접촉함으로써 광원(1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6, when the magnet portion 520 is brought close to the sealing portion 530,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thereby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100 .

제1 단자부(T1)와 제2 단자부(T2) 각각은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부(T1) 및 제2 단자부(T2)의 제2 영역부들은 마그넷부(520)의 자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영역부는 밀봉부(5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may include a first region portion and a second region portion. The second region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may be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ortion 520. [ The second region may be located inside the sealing portion 530.

이와 같이 제1 단자부(T1)와 제2 단자부(T2)의 제2 영역부가 밀봉부(530) 내부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가 수면에 설치되더라도 물로 인하여 스위칭부(500)의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is positioned inside the sealing portion 530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 May not be affected.

이와 같이 밀봉부(530) 내에 제2 영역부가 위치하므로 마그넷부(520)는 제2 영역부와 직접 접촉할 수 없지만 마그넷부(520)의 자력을 통하여 전원을 광원(100)에 공급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region is located in the sealing portion 530, the magnet portion 520 can not directly contact the second region, but the power source can be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100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ortion 520.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부는 제1 영역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영역부의 두께는 제2 영역부의 두께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력에 의하여 제1 영역부는 쉽게 휠 수 있으며 자력이 해제되면 제1 영역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영역부 사이의 갭이 원래대로 유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cond reg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Accordingly, the first region can be easily rotated by the magnetic force, and when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the gap between the second region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region.

한편,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광센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600)는 투광부(3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센서(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가 수면에 설치되더라도 해수나 담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1 to 3 and 4B, the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600. [ The light sensor 6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light projecting unit 300. Accordingly, the optical sensor 600 can be protected from seawater or fresh water even when the fishing ne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광센서(600)는 기준치 이상의 세기를 지닌 빛을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망표시장치는 센서 스위칭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스위칭부(650)는 제2 단자부(T2)와 연결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 단자부(T1)과 연결될 수도 있다. The optical sensor 600 can sense the light having the intensity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output the sensing signal. 5 and 6, the fishing net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switching unit 650.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unit T2 bu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unit T1.

센서 스위칭부(650)가 센싱 신호를 입력받으면 턴오프되어 전원이 광원(100)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When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it can be turned off to prevent the power source from being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100.

또한 기준치보다 작은 세기를 지닌 빛의 경우, 광센서(600)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센서 스위칭부(650)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부(520)의 이동에 따라 전원의 공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Also, in the case of light having an intensity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optical sensor 600 does not output the sensing signal, and accordingly,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can maintain the turn-on state.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5 and 6,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520.

상기 기준치는, 광원(100)이 빛을 방출할 때 광센서(600)가 센싱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치는 광원(100)이 방출하는 빛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such that the light sensor 600 does not output a sensing signal when the light source 100 emits light.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10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기준치가 광원(100)이 빛을 방출할 때 광센서(600)가 센싱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면, 센서 스위칭부(650)가 턴오프되어 광원(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야간과 같이 광원(100)의 빛이 필요한 경우에 어망의 표시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ference value is set so that the light sensor 100 outputs a sensing signal when the light source 100 emits light,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is turned off, May not be supplied with power. Accordingly, when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00 is required as in the nighttime, the display of the fishing net may not be performed.

이와 같은 광센서(600) 및 센서 스위칭부(650)에 따라 광원(100)은 주간에 빛을 방출하지 않고 야간에 빛을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tical sensor 600 and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the light source 100 can emit light at night without emitting light in the daytime.

즉, 주간의 햇빛의 세기는 상기 기준치보다 크므로 광센서(600)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센서 스위칭부(650)가 턴오프되어 도 6과 같이 마그넷부(520)가 위치하더라도 광원(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결과 주간에는 광원(100)이 빛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intensity of sunlight during the day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optical sensor 600 outputs a sensing signal, and accordingly, even if the magnet unit 520 is located as shown in FIG. 6,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is turned off, Power may not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100. As a result, the light source 100 may not emit light during the daytime.

반대로 야간에 광원(100)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세기는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므로 광센서(600)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센서 스위칭부(650)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마그넷부(520)가 위치할 경우 광원(100)에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야간에는 광원(100)이 빛을 방출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since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0 at nigh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optical sensor 600 does not output the sensing signal, and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can maintain the turned-on state. Accordingly, when the magnet unit 52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6, power is supplied to the light source 100, so that the light source 100 can emit light at night.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간에 광원(100)이 빛을 방출하지 않음으로써 전원의 소모를 줄여 어망표시장치의 동작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source 100 does not emit light during the day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e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isplay device.

위에서 설명된 전원은 부유체(400)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스위칭부(500), 및 광원(100)의 연결이나, 전원, 스위칭부(500), 센서 스위칭부(650) 및 광원(100)의 연결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The power source described above may be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float 4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ource, the switching unit 500 and the light source 100, and the connection of the power source, the switching unit 500, the sensor switching unit 650, and the light source 100 are comm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s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and equivalenc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어망표시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fishing net display.

100: 광원
200: 반사부
300: 투광부
400: 부유체
500: 스위칭부
510: 조작부
520: 마그넷부
530: 밀봉부
T1: 제1 단자부
T2: 제2 단자부
600: 광센서
650: 센서 스위칭부
100: Light source
200:
300:
400: float
500: switching part
510:
520: Magnet portion
530:
T1: first terminal portion
T2: second terminal portion
600: Light sensor
650: Sensor switching section

Claims (7)

빛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
상기 광원 및 상기 반사부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는 투광부; 및
부력에 의하여 물에 뜨며 상기 투광부와 연결되는 부유체;
를 포함하는 어망표시장치.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of the light source;
A light projecting part in which the light source and the reflection part are located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r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A float floating on the water by buoyancy and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And a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 또는 각뿔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or includes:
Wherein the light source has a conical shape or a pyramid shape which is located on the light source and has a larg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은 상기 외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ranslucent portion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uorescent layer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에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체 내부에 배치되는 마그넷부,
상기 마그넷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부유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물이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밀봉된 밀봉부,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밀봉부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auxiliary fluid,
A magnet portion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and disposed inside the float,
A seal disposed inside the floa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magnet and sealed so that the water does not enter the inside,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first terminal unit and a second terminal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is locat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seal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마그넷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마그넷부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접촉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광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ortion as the magnet portion move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to supply the power source to the ligh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기준치 이상의 빛의 세기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와,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턴오프되어 전원이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with a reference value or mor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Further comprising a sensor switching unit which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to block supply of power to the light source.
KR1020160079472A 2016-06-24 2016-06-24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KR101833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72A KR101833426B1 (en) 2016-06-24 2016-06-24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72A KR101833426B1 (en) 2016-06-24 2016-06-24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02A true KR20180001002A (en) 2018-01-04
KR101833426B1 KR101833426B1 (en) 2018-02-28

Family

ID=6099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472A KR101833426B1 (en) 2016-06-24 2016-06-24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4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7008S1 (en) * 2020-02-19 2021-08-03 Marci Beauty, Llc Light-emitting beau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709B1 (en) 2001-08-16 2004-12-03 송채인 Buoy flickering device by using a solar battery
KR200299940Y1 (en) * 2002-09-18 2003-01-06 최종대 Fully waterproof flash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7008S1 (en) * 2020-02-19 2021-08-03 Marci Beauty, Llc Light-emitting beau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426B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1781A (en) Illuminated float
CN201368756Y (en) Photoelectric liquid level sensor
KR20160142161A (en) lighted buoy
KR101833426B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fishing net
KR20130087673A (en) Led light buoy with multi emission angle
KR20110055990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oy
JP2007280686A (en) Water lighting system
KR102056337B1 (en) Floating implement for fishing
KR200468118Y1 (en) Buoy having light-emitting function
CN204802056U (en) Detecting device under water
FI127856B (en) Waterway marker device and related arrangement
KR200253808Y1 (en) Buoy flickering device by using a solar battery
JP2008285128A (en) Floating visually recognizing device
JP2004330832A (en) Wave activated power generation light emitting float
KR100458709B1 (en) Buoy flickering device by using a solar battery
JP3194885B2 (en) Luminescent floating ball
JP2001030978A (en) Floating buoy, pier and wharf
KR20120103797A (en) The buoy of sea
JP2015022975A (en) Underwater illumination device
JP3154407U (en) Phosphorescent float
JP2010060503A (en) Optical oil detector
KR20210082775A (e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pparatus for self-generating light indicator in bouy
JP2002286941A (en) Light guide body and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KR102475030B1 (en) Floating tool for light emission and inflow prevention
JP2007056571A (en) Sink-float typ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