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82U - 태양광 가로등 구조 - Google Patents

태양광 가로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82U
KR20180000982U KR2020160005672U KR20160005672U KR20180000982U KR 20180000982 U KR20180000982 U KR 20180000982U KR 2020160005672 U KR2020160005672 U KR 2020160005672U KR 20160005672 U KR20160005672 U KR 20160005672U KR 20180000982 U KR20180000982 U KR 201800009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ing member
lamp body
hol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웬 왕
쯔 왕
Original Assignee
하베미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베미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베미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60005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982U/ko
Publication of KR20180000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H01L31/04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양광 가로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태양광 가로등 구조(10)는 메인등 프레임(1), 태양광 모듈(2), 회전대 모듈(3) 및 램프(4)를 포함하고, 메인등 프레임(1)에는 상단부(11) 및 제1 피봇연결 구멍(12)이 구비되며; 태양광 모듈(2)은 상단부(11)에 설치되고; 회전대 모듈(3)은 가로 관(31) 및 외향 돌출 관(32)을 포함하고, 가로 관(31)은 제1 피봇연결 구멍(12)에 피봇연결되고, 외향 돌출 관(32)은 가로 관(31)에 연결되어 외향 돌출 관(32)이 가로 관(31)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램프(4)는 램프 바디(41) 및 광원 모듈(42)을 포함하고, 램프 바디(41)의 일단에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광원 모듈(42)이 설치되며, 램프 바디(41)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을 통해 외향 돌출 관(32)에 피봇연결되어 램프 바디(41)가 외향 돌출 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태양광 가로등 구조(10)는 각도 및 조사 구역을 2단식으로 조절하는 장점을 지닌다.

Description

태양광 가로등 구조{Structure of solar streetlamp}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광 가로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등 구조는 주로 가로등 로드 및 램프를 포함하고, 가로등 로드 일단은 도로 속에 고정되고 타단은 램프와 결합되지만 가로등 로드와 램프 사이의 연결 부위는 고정되어 이동 불가하거나 회전 불가한 상태이기에, 램프가 고정된 구역에만 조사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램프의 램프 광원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를 사용할 때 발광다이오드의 투사 효율이 낮기 때문에 램프가 조사하는 고정 구역의 범위가 축소되기에, 고정 구역을 효과적으로 필요한 곳에다 조정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그러므로 가로등 로드와 램프 사이의 연결 부위가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하여 램프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사되는 고정구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가로등 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램프 업자에게 있어 반드시 연구개발하고자 하는 요점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 대해 전력을 다해 연구하고 학술적 논리를 이용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향 돌출 관이 가로 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램프 바디가 외향 돌출 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서 각도 및 조사 구역을 2단식으로 조절하는 장점을 지니고 조명 효율을 높이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는, 상단부를 구비하고 제1 피봇연결 구멍이 형성된 메인등 프레임; 상기 상단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가로 관 및 외향 돌출 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관은 상기 제1 피봇연결 구멍에 피봇연결되고 상기 외향 돌출 관은 상기 가로 관에 연결되어 상기 외향 돌출 관이 상기 가로 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회전대 모듈; 및 램프 바디와 광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바디의 일단에는 제2 피봇연결 구멍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광원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램프 바디는 상기 제2 피봇연결 구멍을 통해 상기 외향 돌출 관에 피봇연결되어 램프 바디가 외향 돌출 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램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외향 돌출 관이 가로 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램프 바디가 외향 돌출 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서 각도 및 조사 구역을 2단식으로 조절하는 장점을 지니고 조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분해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다른 분해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조립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다른 조립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다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다른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의 또 다른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기술적 내용을 기재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단지 설명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이고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태양광 가로등 구조를 제공하고, 이 태양광 가로등 구조(10)는 주로 메인등 프레임(1), 태양광 모듈(2), 회전대 모듈(3) 및 램프(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등 프레임(1)은 상단부(11)를 구비하고 제1 피봇연결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메인등 프레임(1)은 고정바(13), 제1 회전 관(14) 및 제2 회전 관(15)을 포함하고, 제1 회전 관(14)의 양 단부에는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 및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가 각각 연장되고,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는 고정바(13)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고정바(1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제2 회전 관(15)은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제1 회전 관(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피봇연결 구멍(12)은 제1 회전 관(14)에 형성되고 상단부(11)는 제2 회전 관(15)에 형성된다.
이외에, 고정바(13)에는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통공(131)이 구비되어, 제1 회전 관(14)이 고정바(13)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 회전 관(14)과 고정바(13) 사이의 마찰 공기는 제1 통공(131)을 통해 배출되어 제1 회전 관(14)이 고정바(13)에 대하여 더 순조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제2 회전 관(15)에는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 통공(151)이 구비되어, 제2 회전 관(15)이 제1 회전 관(14)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2 회전 관(15)과 제1 회전 관(14) 사이의 마찰 공기는 제2 통공(151)을 통해 배출되어 제2 회전 관(15)이 제1 회전 관(14)에 대하여 더 순조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단부(11)는 제2 회전 관(15)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 관(152)을 포함하고, 연장 관(152)에는 제1 잠금 구멍(1521) 및 제2 잠금 구멍(1522)이 구비된다.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2)은 받침대(21), 태양광 판넬(22) 및 축전지(23)를 포함하고, 받침대(21)는 상단부(11)에 설치되고 태양광 판넬(22)은 받침대(21)에 고정되고, 축전지(23)는 제1 회전 관(14)이나 제2 회전 관(15)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축전지(23)는 태양광 판넬(22) 및 광원 모듈(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상세하게는, 받침대(21)에는 연장 관(152)의 양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클램핑편(211)이 구비되고, 각각의 클램핑편(211)에는 제3 잠금 구멍(2111) 및 아크형 장공(2112)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 모듈(3)은 가로 관(31) 및 외향 돌출 관(32)을 포함하고 가로 관(31)은 제1 피봇연결 구멍(12)에 피봇연결되고, 외향 돌출 관(32)은 가로 관(31)에 연결되어 외향 돌출 관(32)이 가로 관(31)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외향 돌출 관(32)은 ?U?자 모양의 관이고, 외향 돌출 관(32)의 양 단부는 각각 가로 관(31)의 양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외향 돌출 관(32)의 형상은 원기둥 모양을 갖지만 외향 돌출 관(32)의 외관은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4)는 램프 바디(41) 및 광원 모듈(42)을 포함하고, 램프 바디(41)의 일단에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광원 모듈(42)이 설치되며, 램프 바디(41)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을 통해 외향 돌출 관(32)에 피봇연결되어 램프 바디(41)가 외향 돌출 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상세하게는, 램프 바디(41)는 램프 홀더(411), 제1 클램핑 부재(412) 및 제2 클램핑 부재(413)를 포함하고, 제1 클램핑 부재(412)의 일단은 램프 홀더(41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 요홈(4121)이 구비되고 제2 클램핑 부재(413)의 일단에는 제2 요홈(4131)이 구비되며, 제1 요홈(4121)과 제2 요홈(4131)이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을 함께 이루어서 외향 돌출 관(32)이 제1 요홈(4121)의 내벽 및 제2 요홈(4131)의 내벽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되게 하고, 광원 모듈(42)은 램프 홀더(411)에 설치된다.
이외에, 램프 바디(41)는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를 추가로 포함하고,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는 제1 클램핑 부재(412), 제2 클램핑 부재(413) 및 외향 돌출 관(32) 사이에 클램핑되어 설치되고,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는 함몰홈(4141)이 형성되고 두 개의 돌출편(4142)과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을 구비하며, 두 개의 돌출편(4142)은 각각 함몰홈(4141)의 밑벽 양측으로부터 연장 성형되고,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은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되며, 제1 클램핑 부재(412)와 제2 클램핑 부재(413)는 함몰홈(4141)에 함께 감합되고, 두 개의 돌출편(4142)은 제1 클램핑 부재(412)와 제2 클램핑 부재(413) 사이에 클램핑되어 설치되고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은 각각 제1 클램핑 부재(412)와 제2 클램핑 부재(413)의 외부에 노출된다.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는 실리카 겔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제1 클램핑 부재(412), 제2 클램핑 부재(413) 및 외향 돌출 관(32)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램프 바디(41)는 다수의 나사(415)를 포함하고, 제1 클램핑 부재(412)에는 다수의 제1 관통홀(4122)이 구비되고, 제2 클램핑 부재(413)에는 다수의 제2 관통홀(4132)이 구비되고, 각각의 돌출편(4142)에는 다수의 제3 관통홀(41421)이 구비되고, 각 나사(415)는 각 제1 관통홀(4122), 각 제2 관통홀(4132) 및 각 제3 관통홀(41421)에 각각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나사(415)를 느슨하게 풀면 제1 클램핑 부재(412), 제2 클램핑 부재(413) 및 외향 돌출 관(32)은 상호 클램핑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가로등 구조(10)가 조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한다.
그리고, 램프 바디(41)는 두 개의 고정핀(416) 및 두 개의 접촉가압 나사(417)를 추가로 포함하고, 두 개의 고정핀(416)은 외향 돌출 관(32)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의 바깥쪽 저지 위치에 대응되며; 또한, 제1 클램핑 부재(412)에는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나사홀(4123)이 구비되고, 제2 클램핑 부재(413)에는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 나사홀(4133)이 구비되며, 하나의 접촉가압 나사(417)는 제1 나사홀(4123)에 나사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접촉가압 나사(417)는 제2 나사홀(4133)에 나사연결되고, 또한 각 접촉가압 나사(417)의 바닥부는 각각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 접촉되어 가압함으로써 두 개의 고정핀(416) 및 두 개의 접촉가압 나사(417)를 통해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의 위치를 한정 및 고정시킨다.
이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요홈(4121) 및 제2 요홈(4131)의 형상은 외향 돌출 관(32)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각 반원형을 갖고,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도 외향 돌출 관(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모양을 갖고 각각의 돌출편(4142)은 반 아크 형상을 갖지만, 제1 요홈(4121), 제2 요홈(4131), 외향 돌출 관(32) 및 돌출편(4142)의 외관은 이에 제한 받지 않고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10)는 제1 나사체결 부재(5) 및 제2 나사체결 부재(6)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나사체결 부재(5)는 제1 잠금 구멍(1521) 및 각 제3 잠금 구멍(2111)에 잠금 고정되고, 제2 나사체결 부재(6)는 제2 잠금 구멍(1522) 및 두 개의 아크형 장공(2112)에 잠금 고정되어 받침대(21)가 두 개의 아크형 장공(2112)을 통해 제1 나사체결 부재(5)를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10)의 조합은 메인등 프레임(1)에 상단부(11) 및 제1 피봇연결 구멍(12)이 구비되고; 태양광 모듈(2)은 상단부(11)에 설치되고; 회전대 모듈(3)은 가로 관(31) 및 외향 돌출 관(32)을 포함하고, 가로 관(31)은 제1 피봇연결 구멍(12)에 피봇연결되고, 외향 돌출 관(32)은 가로 관(31)에 연결되어 외향 돌출 관(32)이 가로 관(31)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램프(4)는 램프 바디(41) 및 광원 모듈(42)을 포함하고, 램프 바디(41)의 일단에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광원 모듈(42)이 설치되며, 램프 바디(41)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을 통해 외향 돌출 관(32)에 피봇연결되어 램프 바디(41)가 외향 돌출 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돌출 관(32)이 가로 관(31)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램프 바디(41)가 외향 돌출 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가로등 구조(10)는 각도 및 조사 구역을 2단식으로 조절하는 장점을 지니게 되고 태양광 가로등 구조(10)의 조명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외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관(14)의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는 고정바(13)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고정바(1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램프(4)가 각도 및 조사 구역을 2단식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램프(4)는 또한 고정바(13)를 중심으로 하여 360도 한 바퀴 회전할 수 있어, 램프(4)의 조명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태양광 가로등 구조(10)의 조명 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관(15)은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제1 회전 관(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받침대(21)는 두 개의 아크형 장공(2112)을 통해 제1 나사체결 부재(5)를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판넬(22)도 받침대(21), 제2 회전 관(15)의 위치 조정을 통해 태양광 판넬(22)의 고각, 조사 구역 및 위치를 조정하는 효과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해 보면, 본 고안에 따른 태양광 가로등 구조는 동일한 종류의 제품에 적용된 적이 없고 공개, 사용되지도 않았으며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규성 및 진보성을 구비하여 실용신안 특허 출원 요건에 완전히 부합하기에 특허법에 의해 출원을 하니, 본 특허 출원 건에 대해 상세히 심사, 승인하여 고안자의 권리를 보장해주기 바란다.
10 : 태양광 가로등 구조
1 : 메인등 프레임 11 : 상단부
12 : 제1 피봇연결 구멍 13 : 고정바
131 : 제1 통공 14 : 제1 회전 관
141 : 제1 삽입 설치용 단부 142 : 제2 삽입 설치용 단부
15 : 제2 회전 관 151 : 제2 통공
152 : 연장 관 1521 : 제1 잠금 구멍
1522 : 제2 잠금 구멍 2 : 태양광 모듈
21 : 받침대 211 : 클램핑편
2111 : 제3 잠금 구멍 2112 : 아크형 장공
22 : 태양광 판넬 23 : 축전지
3 : 회전대 모듈 31 : 가로 관
32 : 외향 돌출 관 4 : 램프
41 : 램프 바디 410 : 제2 피봇연결 구멍
411 : 램프 홀더 412 : 제1 클램핑 부재
4121 : 제1 요홈 4122 : 제1 관통홀
4123 : 제1 나사홀 413 : 제2 클램핑 부재
4131 : 제2 요홈 4132 : 제2 관통홀
4133 : 제2 나사홀 414 : 슬라이딩 저지 덮개
4141 : 함몰홈 4142 : 돌출편
41421 : 제3 관통홀 4143 : 돌출 링 구간
415 : 나사 416 : 고정핀
417 : 접촉가압 나사 42 : 광원 모듈
5 : 제1 나사체결 부재 6 : 제2 나사체결 부재

Claims (10)

  1. 태양광 가로등 구조에 있어서,
    상단부(11)를 구비하고 제1 피봇연결 구멍(12)이 형성된 메인등 프레임(1);
    상기 상단부(11)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2);
    가로 관(31) 및 외향 돌출 관(32)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관(31)은 상기 제1 피봇연결 구멍(12)에 피봇연결되고, 상기 외향 돌출 관(32)은 상기 가로 관(31)에 연결되어, 상기 외향 돌출 관(32)이 상기 가로 관(31)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회전대 모듈(3); 및
    램프 바디(41)와 광원 모듈(42)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바디(41)의 일단에는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광원 모듈(42)이 설치되며, 상기 램프 바디(41)는 상기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을 통해 상기 외향 돌출 관(32)에 피봇연결되어 상기 램프 바디(41)가 상기 외향 돌출 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램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등 프레임(1)은 고정바(13), 제1 회전 관(14) 및 제2 회전 관(1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관(14)의 양 단부에는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 및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가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는 상기 고정바(13)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상기 고정바(1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 관(15)은 상기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회전 관(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봇연결 구멍(12)은 상기 제1 회전 관(14)에 개설되고, 상기 상단부(11)는 상기 제2 회전 관(1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3)에는 상기 제1 삽입 설치용 단부(141)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통공(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회전 관(15)에는 상기 제2 삽입 설치용 단부(142)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 통공(1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2)은 받침대(21), 태양광 판넬(22) 및 축전지(23)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21)는 상기 상단부(11)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 판넬(22)은 상기 받침대(21)에 고정되고 상기 축전지(23)는 상기 제1 회전 관(14)이나 상기 제2 회전 관(15)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23)는 상기 태양광 판넬(22) 및 상기 광원 모듈(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나사체결 부재(5) 및 제2 나사체결 부재(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11)는 상기 제2 회전 관(15)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 관(152)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관(152)에는 제1 잠금 구멍(1521) 및 제2 잠금 구멍(1522)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21)에는 상기 연장 관(152)의 양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클램핑편(211)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클램핑편(211)에는 제3 잠금 구멍(2111) 및 아크형 장공(21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나사체결 부재(5)는 상기 제1 잠금 구멍(1521) 및 상기 각 제3 잠금 구멍(2111)에 잠금 고정되고, 상기 제2 나사체결 부재(6)는 상기 제2 잠금 구멍(1522) 및 상기 두 개의 아크형 장공(2112)에 잠금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21)는 상기 두 개의 아크형 장공(2112)을 통해 상기 제1 나사체결 부재(5)를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바디(41)는 램프 홀더(411), 제1 클램핑 부재(412) 및 제2 클램핑 부재(4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의 일단은 상기 램프 홀더(41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 요홈(41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의 일단에는 제2 요홈(41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요홈(4121)과 상기 제2 요홈(4131)이 상기 제2 피봇연결 구멍(410)을 함께 이루어서 상기 외향 돌출 관(32)이 상기 제1 요홈(4121)의 내벽 및 상기 제2 요홈(4131)의 내벽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되게 하고, 상기 광원 모듈(42)은 상기 램프 홀더(411)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 바디(41)는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는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 및 상기 외향 돌출 관(32) 사이에 클램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는 함몰홈(4141)이 형성되고 두 개의 돌출편(4142)과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돌출편(4142)은 각각 상기 함몰홈(4141)의 밑벽 양측으로부터 연장 성형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은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와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는 상기 함몰홈(4141)에 함께 감합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편(4142)은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와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 사이에 클램핑되어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은 각각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와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바디(41)에는 다수의 나사(415)가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에는 다수의 제1 관통홀(4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에는 다수의 제2 관통홀(4132)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돌출편(4142)에는 다수의 제3 관통홀(41421)이 구비되며, 상기 각 나사(415)는 상기 각 제1 관통홀(4122), 상기 각 제2 관통홀(4132)과 상기 각 제3 관통홀(41421)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바디(41)는 두 개의 고정핀(416) 및 두 개의 접촉가압 나사(417)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고정핀(416)은 상기 외향 돌출 관(32)에 삽입 설치되고 또한 상기 두 개의 돌출 링 구간(4143)의 바깥쪽 저지 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제1 클램핑 부재(412)에는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나사홀(4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클램핑 부재(413)에는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 나사홀(4133)이 구비되며, 하나의 상기 접촉가압 나사(417)는 상기 제1 나사홀(4123)에 나사연결되고, 다른 상기 접촉가압 나사(417)는 상기 제2 나사홀(4133)에 나사연결되고, 또한 상기 각 접촉가압 나사(417)의 바닥부는 각각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에 접촉되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돌출 관(32)은 ?U?자 모양의 관이고, 상기 외향 돌출 관(32)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가로 관(31)의 양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외향 돌출 관(32)의 형상은 원기둥 모양을 갖고, 상기 제1 요홈(4121) 및 상기 제2 요홈(4131)의 형상은 각각 반원형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 저지 덮개(414)는 원통 모양을 갖고, 각각의 상기 돌출편(4142)은 반 아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가로등 구조.
KR2020160005672U 2016-09-30 2016-09-30 태양광 가로등 구조 KR201800009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72U KR20180000982U (ko) 2016-09-30 2016-09-30 태양광 가로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672U KR20180000982U (ko) 2016-09-30 2016-09-30 태양광 가로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82U true KR20180000982U (ko) 2018-04-09

Family

ID=6196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672U KR20180000982U (ko) 2016-09-30 2016-09-30 태양광 가로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98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249A (zh) * 2018-07-28 2018-12-25 芜湖凌梦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太阳能路灯
KR102222663B1 (ko) * 2020-07-15 2021-03-04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지주 설치용 태양광패널 각도 조절장치
CN116677973A (zh) * 2023-06-20 2023-09-01 惠州市创舰实业有限公司 一种太阳能联体路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249A (zh) * 2018-07-28 2018-12-25 芜湖凌梦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太阳能路灯
CN109084249B (zh) * 2018-07-28 2020-12-22 广东晟普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路灯
KR102222663B1 (ko) * 2020-07-15 2021-03-04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지주 설치용 태양광패널 각도 조절장치
CN116677973A (zh) * 2023-06-20 2023-09-01 惠州市创舰实业有限公司 一种太阳能联体路灯
CN116677973B (zh) * 2023-06-20 2024-04-05 惠州市创舰实业有限公司 一种太阳能联体路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0982U (ko) 태양광 가로등 구조
US20150369456A1 (en) Releasable optical element
CN104315424B (zh) 一种可调的筒灯
KR20150010543A (ko)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US10082261B2 (en) Pivotable light fixture
KR20170000589A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JP3207907U (ja) ソーラーエネルギー街路灯構造
JP2005149790A (ja) 照明器具
KR102027038B1 (ko) 매립형 led 조명장치
KR101645397B1 (ko) 각도조절 가능한 조명등
CN203413474U (zh) Led导轨灯
CN204730125U (zh) 可调整出光角度的集中式灯
US8641226B2 (en) Flashlight lamp rotation structure
CN210372993U (zh) 可调整的照明灯具
KR101896625B1 (ko) 회전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천정매입등
KR101294210B1 (ko) 배광조절이 가능한 옥외 엘이디 조명기구
WO2019001308A1 (zh) 一种灯具
TWI611140B (zh) 太陽能路燈結構
KR200484815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등
CN211289731U (zh) 一种可实现垂直与水平调节角度的线形灯具
CN210979444U (zh) 旋转灯具
CN203431743U (zh) 灯罩可滑动的灯具
KR102314345B1 (ko) 조명 스탠드의 회동구조
KR101540555B1 (ko) 조사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KR20160000119A (ko) 조사각도 조절타입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