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17U -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17U
KR20180000917U KR2020160005560U KR20160005560U KR20180000917U KR 20180000917 U KR20180000917 U KR 20180000917U KR 2020160005560 U KR2020160005560 U KR 2020160005560U KR 20160005560 U KR20160005560 U KR 20160005560U KR 20180000917 U KR20180000917 U KR 20180000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oil
insulating material
uppermost
rol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론
Priority to KR2020160005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917U/ko
Publication of KR20180000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벽체와 마감재 사이에 부착되어 난연성, 흡음성 및 단열성을 높여 주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외벽에 설치시 시공 중 바람이 불어와도 바람에 휘날리게 되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건물 외벽에 고정할 경우에도 타카못의 잠입을 방지하고 타정위치를 일정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시공성이 탁월한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S)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한 후, 그 위에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을 융착하여 마감 형성함으로써,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 형상이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20) 상면에는,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하면을 롤투롤 융착하여 마감 형성하고,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의하면, 롤형태의 단열재를 일거에 많은 양을 운반하여 이형지를 제거한 후 건축물 벽체에 접착하고 단열재 겉면에서 벽체를 향해 타카못을 타정하여 벽체에 고정할 때, 시공중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타카못의 타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벽체에 부착한 후에 발생되는 수려치 못한 미관의 불량시공이 되는 단점을 보완하고, 나아가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단열재 속으로 잠입됨으로써 단열재 표면에 발생되게 되는 무수히 많은 타정 구멍에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의 상하면에 알루미늄 호일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단열재 본연의 흡음기능 및 단열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가 제공되게 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Multi-functional building insulator}
본 고안은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벽체와 마감재 사이에 부착되어 난연성, 흡음성 및 단열성을 높여 주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외벽에 설치시 시공 중 바람이 불어와도 바람에 휘날리게 되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건물 외벽에 고정할 경우에도 타카못의 잠입을 방지하고 타정위치를 일정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시공성이 탁월한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안팎에서 열의 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벽체로부터의 열이동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나 벽돌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건축물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되며 원하지 않는 열의 이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물을 단열(Thermal insulation)한다는 것은 건축물의 안팎으로 이동하는 열의 이동을 막아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여름을 시원하게 겨울을 따듯하게 지내려는 인간의 지혜일 것이다.
즉, 단열의 주된 목적은 건축물의 원하지 않는 열손실이나 열취득을 억제하여 냉난방장치의 용량을 줄이고 연간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절약하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열의 또 다른 부수적인 목적은 실내측 구조체 표면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내벽의 결로를 방지하려는데 있다.
결로현상은은 건물 벽체 안팎의 기온차가 심해 건물 벽체 내부에 습이 맺히는 현상을 말하는데, 결로발생은 내벽의 곰팡이 생성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온도와 벽면의 온도차이를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방법이므로 단열재 뒷면에 결로 차단막을 형성한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복사열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단열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정지된 공기(still air)로, 상온 20℃의 경우 어느 단열재보다 단열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공기를 이용한 정지된 공기층(still air)이나, 발포 폴리스틸렌 등과 같은 재료는 단열재의 기본이 되고 있다
단열재는 시공 특성에 따라 주로 판형태의 단열재와 롤형태의 단열재로 형성되고 있다.
판형태의 단열재는 주로 스티로폴(발포 폴리스틸렌)을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한꺼번에 많은 양을 운반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어 시공에 문제가 있었고 또한 판형태로 되어 있어 일일이 벽체에 고정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므로, 최근 건축물의 시공에는 주로 롤형태의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1 및 도2는 단열재의 시공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1은 롤형태의 단열재의 이형지(11)를 제거하고 건물 벽체(50)에 단열재를 접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벽체(50)에 접착된 1겹(a), 2겹(b), 3겹(c), 4겹(d)으로 적층 형성된 단열재의 표면에서 벽체(50)를 향해 타카못(60)을 타정하여 단열제를 벽체(50)에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단열재 표면에 무수히 많은 타정구멍(61)이 뚫리게 된 것을 타나내고 있는 도면이다. 단, 여기서 도(a)(b)(c)(d)에 나타낸 단열재의 겹의 두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롤형태의 단열재 시공의 예를 살펴보면, 소정 두께의 롤 형태로 형성된 단열재를,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건물 상부에 올리고 난 후 이형지(11)를 제거하고 건물 벽체(50)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려오며 단열재 이면을 접착하며 벽체에 부착한다.
이어서,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또 다른 롤형태의 단열재를 건물 상부에 올리고 난 후 측면을 밀착시키고 이형지(11)를 제거하고 건물 벽체(50)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려오며 같은 방법으로 단열재 이면을 접착하며 벽체에 부착한다.
상기 롤형태 단열재의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밀착부는 알루미늄 호일로 된 테이프를 테이핑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롤형태로 된 단열재는 일거에 많은 양을 운반하여 일거에 많은 면적의 벽체에 단열시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단열재 이면의 이형지(11)를 제거한 접착제의 접착력만으로는 벽체(50)에 충분히 견고하게 부착되었다고 볼 수가 없어서 강한 바람에 의해 단열재가 들뜨게 되는 등 시공상의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단열재를 벽체(50)에 접착한 이후에는 단열제 겉면에서 벽체(50)를 향해 타카못(60)을 타정해 줌으로써 단열재를 벽체(50)에 단단하게 고정해 주어야 했다.
그러나 이또한 타카못(60)의 타정시 타카못의 타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불량시공이 되는 단점을 흔히 보아 왔다.
더 나아가, 타정된 타카못(60)은 타정 압력에 의해,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열재 속으로 잠입되어 단열재 표면에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무수히 많은 타정 구멍(61)이 뚫리게 되므로,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와 상하부 격벽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 호일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가 파괴되어 단열재 본연의 흡음기능 및 단열기능이 손상되는 치명적인 흠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롤형태의 단열재를 일거에 많은 양을 운반하여 이형지를 제거한 후 건축물 벽체에 접착하고 단열재 겉면에서 벽체를 향해 타카못을 타정하여 고정할 때, 시공중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타카못의 타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벽체에 부착한 후에 발생되는 수려치 못한 미관의 불량시공이 되는 단점을 보완하고, 나아가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단열재 속으로 잠입됨으로써 단열재 표면에 발생되고 있는 무수히 많은 타정 구멍에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와 그 상하면의 알루미늄 호일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단열재 본연의 흡음기능 및 단열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S)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한 후, 그 위에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을 융착하여 마감 형성함으로써,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 형상이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20) 상면에는,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하면을 롤투롤 융착하여 마감 형성하고,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에 의하면, 롤형태의 단열재를 일거에 많은 양을 운반하여 이형지를 제거한 후 건축물 벽체에 접착하고 단열재 겉면에서 벽체를 향해 타카못을 타정하여 벽체에 고정할 때, 시공중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타카못의 타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벽체에 부착한 후에 발생되는 수려치 못한 미관의 불량시공이 되는 단점을 보완하고, 나아가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단열재 속으로 잠입됨으로써 단열재 표면에 발생되게 되는 무수히 많은 타정 구멍에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의 상하면에 알루미늄 호일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단열재 본연의 흡음기능 및 단열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가 제공되게 된다.
도1은 건물 벽체에 단열재의 이형지(11)를 제거하고 벽제(50)에 단열재를 접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벽체(50)에 접착된 단열재에 타카못(60)을 타정하여 단열재 표면에 타정구멍(61)이 뚫려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제2실시예의 부분확대도면이다.
도6은 상기 도5의 돌출바 상면에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을 접합한 것을 나타낸 부분확대도면이다.
도7은 도4의 돌출바에 타카못머리가 걸려 단열재가 압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도5의 섬유부직포선에 타카못머리가 걸려 단열재가 압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상기 도6의 돌출바 상면에 접합된 알루미늄 호일에 타카못머리가 걸려 단열재가 압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 고안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기하기 위해 편의상 네 장의 단위시트(S)를 융착하고 네 줄의 섬유부직포선(30)을 접착한 단열재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1은 건물 벽체에 단열재의 이형지(11)를 제거하고 벽제(50)에 단열재를 접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벽체(50)에 접착된 단열재에 타카못(60)을 타정하여 단열재 표면에 타정구멍(61)이 뚫려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은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부분확대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제2실시예의 부분확대도면이고, 도6은 상기 도5의 돌출바 상면에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을 접합한 것을 나타낸 부분확대도면이고, 도7은 도4의 돌출바에 타카못머리가 걸려 단열재가 압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8은 도5의 섬유부직포선에 타카못머리가 걸려 단열재가 압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9는 상기 도6의 돌출바 상면에 접합된 알루미늄 호일에 타카못머리가 걸려 단열재가 압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3 내지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S)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한 후, 그 위에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을 융착하여 마감 형성함으로써,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 형상이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한다.
상기 롤형태의 알루미늄 호일(10)과 상기 롤형태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는 롤투롤 방식으로 융착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단위시트(S)는 공사현장인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가감 적층 융착 형성하여 건축물의 용도에 맞는 적절한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할 것이나 이에는 건축관련 규정이 준수될 것임은 분명하다.
단, 상기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상면에는, 도3 내지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한 후, 그 위에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을 융착하여 마감 형성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에는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 형상이 돌출되게 형성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제2실시예의 부분확대도면이다.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의 제2실시예는,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20) 상면에는,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하면을 롤투롤 융착하여 마감 형성하고,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은 상기 도5의 돌출바 상면에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을 접합한 것을 나타낸 부분확대도면이다.
상기 제2실시예의 상기 돌출바(40)의 상면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돌출바(40)와 같은 크기로 된 알루미늄 호일(10)이 더 접착될 수 있다.
상기의 단의시트(S)의 두께는, 통상 3mm 이상 30mm 이내의 두께로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시에는 더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섬유부직포선(線)(30)의 두께는, 1mm ~ 2mm 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섬유부직포선(線)(30)의 폭은, 2.5~3cm이면 무난하다.
도10 내지 도15는 단위시트(S)의 상면에 융착된 섬유부직포의 갯수를 나타낸 예시도면이다.
상기 섬유부직포선(線)(30)의 갯수는,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형성되는 단열재에 두께에 따라 달리 정해지되, 보통은 2개 내지 7개 범위이면 무난하다.
상기 소정 갯수의 섬유부직포선(線)(30)은, 도3에서 보듯이, 항상 상기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상면의 양 변에 먼저 부착한 후 나머지 갯수를 균일한 간격으로 균분 분할 부착한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소정 갯수의 섬유부직포선(線)(30)은, 도5에서 보듯이, 항상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의 양 변에 먼저 부착한 후 나머지 갯수를 균일한 간격으로 균분 분할 부착한다.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섬유부직포선(線)(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 되는 것으로, 건축물 사용처의 길이에 맞게 적합하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로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 형상을 돌출 내지 형성하여, 시공중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를 수직방향으로 사용할 때는 시각을 통하여 강인함과 웅혼함의 미감을 일으키게 하며,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를 수평방향으로 사용할 때는 시각을 통하여 안정됨과 평온함의 미감을 일으키게 한다.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벽체와 마감재 사이에 부착되어 난연성, 방음성 및 단열성을 높여 주기 주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화재현장으로부터는 충분한 도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인명중시 제품인 것이다.
경험칙상으로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를 사용하였을 경우, 소재인 알루미늄 호일(10)의 난연성질과 소재인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의 난연성질의 혼합으로 인해 10분 내지 20분의 화재 대피시간을 확보하기에 충분한 난연, 흡음, 방습효과를 갖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것처럼, 롤형태로 형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를 공사현장에 운송하여 건축중인 건축물의 상부에 올리고 이면에 접착되어 있는 이형지(11)를 제거한 후 단열재의 수직을 유지하며 건축물 벽체(50)에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의 이면을 부착시킨다.
이형지(11)를 제거한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의 접착력만으로는 강한 바람이 불면 단열재가 들뜨게 되는 등 벽체(50)에 충분히 견고하게 부착되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단열제 겉면에서 벽체(50)를 향해 타카못(60)을 타정함으로써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를 벽체에 더욱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의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최상층 단위시트(S)상에 두께 1 내지 2mm, 폭 2.5 내지 3cm 폭으로 된 소정 갯수의 돌출바(40)를 형성하고 있고, 벽체 고정용 타카못(60)은 이 돌출바(40)를 따라 타정하게 되므로 시공후의 외관이 매우 수려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바(40)는, 상기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상면에 섬유부직포선(30)이 점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그 위에 마감재인 알루미늄 호일(10)이 열융착되어 마감 형성됨으로써, 마감재인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로 돌출바(40) 형상으로 돌출 형성 되어 있는 것이므로, 타카못(60) 타정시 상기 돌출바(40)를 따라 타카못(60)을 타정하더라도,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알루미늄 호일(10)을 뚫고 잡임되지 않고 섬유부직포선(30)에 걸리면서 단열재 상부인 최상층 단위시트(S)를 벽체(50)에 압착하게 되면서, 섬유부직포선(30)을 접착하고 있는 점착제에 의해 타카못(60)이 뚫고 들어간 타정 구멍을 압착하여 메꿔지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와 알루미늄 호일(10)의 융착에 의해 형성된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가 훼손되지 않고 다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게 되어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의 흡음기능과 단열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수지(20) 상면에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하면을 롤투롤 방식으로 열융착하여 마감 형성하고,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하여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를 돌출 형성한 것이므로,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돌출바(40)에 타카못(60)을 타정하였을 때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알루미늄 호일(10)을 뚫고 잡임되지 않고 섬유부직포선(30)에 걸리면서 단열재 상부인 최상층 단위시트(S)를 벽체(50)에 압착하게 되면서, 섬유부직포선(30)를 접착하고 있는 점착제에 의해 타카못(60)이 뚫고 들어간 타정 구멍을 압착하여 메꿔지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와 알루미늄 호일(10)의 융착에 의해 형성된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가 훼손되지 않고 다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게 되어 흡음기능과 단열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돌출바(40)의 형성 위치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밀성의 면에서 앞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 내지 그 이상의 효과가 있을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9 또한, 상기 도8의 섬유부직포선(30)이 형성하고 있는 돌출바(40)의 상면에 상기 돌출바(40)와 같은 크기로 된 알루미늄 호일(10)이 더 융착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로써 이러한 돌출바(40)에 타카못(60)을 타정하더라도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알루미늄 호일(10)을 뚫고 잡임되지 않고 섬유부직포선(30)에 걸리면서 단열재 상부인 최상층 단위시트(S)를 벽체(50)에 압착하게 되면서, 섬유부직포선(30)를 접착하고 있는 점착제에 의해 타카못(60)이 뚫고 들어간 타정 구멍을 압착하여 메꿔지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와 알루미늄 호일(10)의 융착에 의해 형성된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가 훼손되지 않고 다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게 되어 흡음기능과 단열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앞의 도8의 섬유부직포선(30)이 형성하고 있는 돌출바(40)의 상면에 상기 돌출바(40)와 같은 크기로 된 알루미늄 호일(10)이 더 융착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이므로 기밀성의 면에서 앞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 내지 그 이상의 효과가 있을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에 의하면, 롤형태의 단열재를 일거에 많은 양을 운반하여 이형지를 제거한 후 건축물 벽체에 접착하고 단열재 겉면에서 벽체를 향해 타카못을 타정하여 벽체에 고정할 때, 타카못의 타정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벽체에 부착한 후에 발생되는 수려치 못한 미관의 불량시공이 되는 단점을 보완하고, 나아가 타정된 타카못머리가 단열재 속으로 잠입됨으로써 단열재 표면에 발생되는 무수히 많은 타정 구멍에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의 상하면에 알루미늄 호일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되는 정지된 공기층 구조(still air cell)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단열재 본연의 흡음기능 및 단열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가 제공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인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11 이형지 S 단위시트
10 알루미늄 호일
20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30 섬유부직포선(線)
40 돌출바
50 벽체
60 타카못 61 타정구멍 62 타카총

Claims (6)

  1.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S)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한 후, 그 위에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을 융착하여 마감 형성함으로써,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외부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 형상이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갯수의 섬유부직포선(線)(30)은 상기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상면의 양 변에 먼저 부착한 후 나머지 갯수를 균일한 간격으로 균분 분할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3.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에, 롤형태로 된 소정 두께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20) 하면을 열융착 하여 소정 두께의 롤형태로 된 단위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시트(S)를 사용처의 필요에 따라 적층 융착하여 소정 두께의 단열재를 형성하되, 최상층 단위시트(S)의 발포 폴리스틸렌 그물망 수지 시트(20) 상면에는, 마감재인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하면을 롤투롤 융착하여 마감 형성하고,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 두께 및 소정 폭으로 된 섬유부직포선(線)(30) 소정 갯수를, 양 변을 포함하여 균일간격으로 나란하게 접착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의 상면에 소정 갯수의 평행한 돌출바(40)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40) 상면에는 상기 평행한 돌출바(40)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된 알루미늄 호일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갯수의 섬유부직포선(線)(30)은 상기 최상부 알루미늄 호일(10) 상면의 양 변에 먼저 부착한 후 나머지 갯수를 균일한 간격으로 균분 분할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6. 제1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1)는, 섬유부직포선(線)(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 되어 건축물 사용처의 길이에 적합하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KR2020160005560U 2016-09-26 2016-09-26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KR201800009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60U KR20180000917U (ko) 2016-09-26 2016-09-26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60U KR20180000917U (ko) 2016-09-26 2016-09-26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17U true KR20180000917U (ko) 2018-04-04

Family

ID=6196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60U KR20180000917U (ko) 2016-09-26 2016-09-26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9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624A (ko) 2019-12-10 2021-06-21 여초원 애완동물 미세먼지 흡입 방지 헬멧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624A (ko) 2019-12-10 2021-06-21 여초원 애완동물 미세먼지 흡입 방지 헬멧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5196T3 (es) Conjunto de aislamiento encapsulado.
US8541084B2 (en) Sealing tape
ES2375366T3 (es) Elemento tipo sándwich.
US9163397B2 (en) Foil-backed wallboard and insulation system
PT1815077E (pt) Painel isolante térmico
KR200446987Y1 (ko) 엠보싱 내벽 단열마감재
KR20200023125A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KR200403182Y1 (ko) 층간소음 방지재
KR100593562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33249B1 (ko) 시트 형태의 건축용 복합 단열재
KR20180000917U (ko)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1611949B1 (ko) 다층 구조의 단열재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CA2735054C (en) Thermal barrier in building structures
KR201800336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성 단열재
DK165421B (da) Isolerende plade- eller baneformet mineralfiberprodukt
US20080280132A1 (en) Thick Insulation Band
WO2004109025A1 (en) Thermal insul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80186Y1 (ko) 건축용 단열보드
KR200409425Y1 (ko) 단열성 및 불연성이 개선된 통기성 열반사 단열재(2)
CN215662260U (zh) 一种防水防渗的保温隔声卷材
JP4309899B2 (ja) 鉄骨柱等の外側目地用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断熱構造
KR20180043703A (ko) 단열재 고정용 타카못 지지 테이프
JP2006026977A (ja) 断熱ボード
JP2001079973A (ja) 複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