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83U -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 Google Patents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83U
KR20180000883U KR2020160005492U KR20160005492U KR20180000883U KR 20180000883 U KR20180000883 U KR 20180000883U KR 2020160005492 U KR2020160005492 U KR 2020160005492U KR 20160005492 U KR20160005492 U KR 20160005492U KR 20180000883 U KR20180000883 U KR 20180000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opening
pad
wrapp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204Y1 (ko
Inventor
홍도겸
심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29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29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29일
Priority to KR2020160005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04Y1/ko
Priority to JP2019600099U priority patent/JP3223080U/ja
Priority to PCT/KR2017/010442 priority patent/WO2018056738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6Sanitary towels; Means for supporting or fastening th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지에 위생 휴지가 구비되고, 구비된 위생 휴지를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상기 위생부의 일측을 감싸는 겉 포장지; 상기 위생부를 상기 겉 포장지와 함께 감싸고, 상기 겉 포장지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속 포장지; 및 상기 속 포장지의 상기 위생부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속 포장지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속 포장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된다.
본 고안의 위생용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생패드 교체 시, 사용자가 위생패드를 속 포장지로부터 떼어내면 자동적으로 위생 휴지를 인출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나아가, 위생 휴지가 외부의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생리 분비물을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HYGIENIC PRODUCT WITH CLEANING TISSUE}
본 고안은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지에 위생 휴지가 구비되고, 구비된 위생 휴지를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여성은 통상 한 달의 주기로 생리를 하게 되는데, 생리가 진행되는 동안 생리 분비물의 처리가 문제된다.
생리 분비물은 대부분 혈액으로 이루어지고, 혈액은 혈청단백질, 당단백질 등의 단백질 성분이 주를 이룬다. 단백질 성분을 포함한 이러한 생리 분비물은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급속도로 부패된다. 생리 분비물이 부패되는 경우,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이 번식하게 된다.
이렇게 번식된 세균은, 습진이나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생리 중에는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저항력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세균의 번식은 자칫 여성의 중대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생리 중 생리 분비물의 효과적인 처리는 청결상, 위생상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생리대는 단순히 분비물의 흡수 및 누수 방지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위생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항균 기능이 강화된 생리대 예컨대, 생리대를 구성하는 내부시트 또는 흡수부재의 제조시, 항균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투입하여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생리대 등이 개발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참조).
하지만, 이 역시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피부에 점착된 생리 분비물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생리 분비물로부터 발생하는 위생상의 문제를 완벽히 개선하지는 못한다.
여성들은 생리 분비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휴지 또는 청결제를 구비하여, 사용된 생리대를 폐기하고 새로운 생리대로 교체할 때 별도로 준비한 휴지 등을 사용하여 피부에 점착된 생리 분비물을 제거하곤 한다. 만약, 별도로 휴지 또는 청결제를 준비하지 못한 경우, 사용된 생리대를 폐기하고 새로운 생리대로 교체함에 있어 피부에 묻은 생리 분비물 때문에 장시간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휴지 등이 구비된 생리대에 관한 기술도 일부 개시되어 있으나 (선행기술문헌 2 참조), 이러한 생리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된 생리대를 제거하여 폐기하고, 휴지 또는 청결제의 포장지를 뜯어 생리 분비물을 제거한 후, 다시 새로운 생리대의 포장지를 열어 생리대를 교체해야 한다는 점에서 번잡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번잡한 교체 과정에서,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생리대 또는 청결제가 외부의 세균에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 1184480 호 (고안의 명칭 :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생리대)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175819 호 (고안의 명칭 : 티슈가 포함된 생리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생리 중 생리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생용품의 사용시,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보다 위생적으로 위생 휴지를 사용할 수 있는 위생용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상기 위생부의 일측을 감싸는 겉 포장지; 상기 위생부를 상기 겉 포장지와 함께 감싸고, 상기 겉 포장지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속 포장지; 및 상기 속 포장지의 상기 위생부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속 포장지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속 포장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위생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속 포장지는, 상기 덮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위생부는, 상기 겉 포장지 및 상기 속 포장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상기 위생부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위생부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겉 포장지; 및 상기 위생부의 상기 겉 포장지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속 포장지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개방구를 형성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및 상기 위생부의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개방구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위생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및 위생패드를 감싸고, 상기 위생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위생부와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도록 구성된 겉 포장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겉 포장지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겉 포장지가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위생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겉 포장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용물은, 청결제를 함유한 휴지이고, 상기 개방구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생패드는, 생리대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위생용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생패드 교체 시, 사용자가 위생패드를 속 포장지로부터 떼어내면 자동적으로 위생 휴지를 인출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나아가, 위생 휴지가 외부의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생리 분비물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위생용품을 A-A선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도 1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도 5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도 8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사용자가 도 11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사용자가 도 14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고안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위생용품을 A-A선에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위생부 (100) 와, 겉 포장지 (210) 및 속 포장지 (220) 를 포함하는 포장지 (200) 와, 위생패드 (300) 를 포함한다.
위생부 (100) 는 그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여 포장된 팩 (pack) 으로서, 위생부 (100) 에 수용된 내용물은 마른 휴지, 물을 함유한 휴지 또는 청결제를 함유한 휴지와 같은 위생 휴지일 수 있다.
위생부 (100) 는 위생 휴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증발되지 않고, 외부의 세균 등의 인자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투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생 휴지는 위생용품 (10) 의 부피를 증가시켜 포장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매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조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생부 (100) 에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 (110) 가 형성된다. 개방구 (110) 는 위생부 (100) 의 일부인 덮개부 (120) 가 떨어져 나가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생부 (100) 는 위생용품 (10) 이 제조되어 사용되기 전까지, 내용물인 위생 휴지를 수용하여 밀폐된 팩의 형태로 존재한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위생용품 (10) 을 사용하는 경우, 위생부 (100) 의 일부인 덮개부 (120) 가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면서 개방구 (110) 가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개방구 (110) 를 통하여 내부공간에 수용된 위생 휴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덮개부 (120) 는 후술할 위생패드 (300) 의 제거 동작과 연동되어,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포장지 (200) 는 위생부 (100) 및 위생패드 (300) 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 실시예의 위생용품 (10) 이 개별 포장된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포장지 (200) 는 위생부 (100) 의 일측을 감싸는 겉 포장지 (210) 와, 겉 포장지 (210) 와 함께 위생부 (100) 를 감싸는 속 포장지 (220) 를 포함한다. 겉 포장지 (210) 와 속 포장지 (220) 는 적어도 일부가 부착될 수 있고, 위생부 (100) 를 감싸는 겉 포장지 (210) 및 속 포장지 (2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생부 (100) 에 부착되어 위생부 (100) 를 고정할 수 있다.
속 포장지 (220) 는 위생부 (100) 의 덮개부 (120) 와 대응되는 영역의 통로부 (221) 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로부 (221) 는 덮개부 (120) 가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어 개방구 (110) 를 형성할 때, 위생 휴지가 인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통로부 (221) 가 생략되어, 속 포장지 (220) 가 관통 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속 포장지 (220) 의 통로부 (221) 는 덮개부와 상응하는 크기 또는 위생부의 덮개부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 포장지 (220) 의 위생부 (100)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후술할 위생패드 (300) 가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속 포장지 (220) 의 위생패드 (300) 가 부착되는 면은, 접착 물질이 붙었다 떨어지기 용이하도록 비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겉 포장지 (210) 의 재질은 위생용품 (10) 의 개별 포장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겉 포장지 (210) 는 종이, 부직포, 필름 등의 다양한 공지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겉 포장지 (210) 의 일 단부에는 고정용 테이프 (211) 가 부착될 수 있다. 고정용 테이프 (211) 는 본 고안의 위생용품 (10) 이 개별 포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포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위생패드 (300) 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피와, 생리 분비물의 흡수층과, 생리 분비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을 포함하는 생리대 일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위생패드 (300) 는 생리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위생 패드 (300) 는 개별포장된 형태의 팬티라이너, 기저귀, 그 밖의 위생상 사용되는 패드 제품과 같이 공지의 흡수성 패드일 수도 있다.
위생패드 (300) 는 사용자의 속옷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그 배면 (301) 에 접착층 (310) 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생패드 (300) 는 접착층 (310) 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용품 (10) 을 사용하기 전까지 상술한 속 포장지 (220) 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접착층 (310) 은 핫멜트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양면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사용자가 도 1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개별 포장된 위생용품의 사용 전 모습을 도시하고, 도 4b 및 도 4c은 사용자가 위생용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위생용품을 펼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4d는 사용자가 위생패드 (300) 를 속 포장지 (220) 에서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4e는 사용자가 위생부 (100) 로부터 위생 휴지를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의 서술을 통하여, 상술한 위생용품 (10)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보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위생용품 (10) 은 3등분 되어 접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겉 포장지 (210) 에 고정용 테이프 (211) 가 부착되어 위생용품의 휴대가 간편하고, 인체에 닿는 위생패드가 내부에 완전히 밀봉된 상태로 포장되어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 를 참조하면, 고정용 테이프 (211) 를 겉 포장지로부터 분리되고, 접힌 위생용품 (10) 이 펼쳐진다. 이때, 포장지 (200) 에 포장된 위생패드 (300) 가 외부로 노출된다.
다만, 도 4a 내지 도 4c는 예시적인 도시일 뿐이고, 본 고안의 위생용품 (10) 이 이와 같은 형태로만 포장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생패드 (300) 는 배면 (301) 의 접착층 (310) 을 통하여 속 포장지 (220) 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에 의하여 속 포장지 (220)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위생부 (100) 의 덮개부 (120) 는 위생패드 (300) 가 속 포장지 (220)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고, 덮개부 (120) 가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면서 개방구 (110) 가 형성된다.
속 포장지 (220) 의 통로부 (221) 는 덮개부 (120) 와 위생패드 (300) 의 배면 (301) 에 각각 부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위생패드 (300) 가 속 포장지 (220) 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속 포장지 (220) 의 통로부 (221) 는 속 포장지 (220) 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덮개부 (120) 는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어, 위생 휴지가 인출될 수 있는 개방구 (110) 가 형성된다.
한편, 속 포장지 (220) 의 덮개부 (221) 가 생략되어 관통 홀이 형성된 경우라면, 덮개부 (120) 가 위생패드 (300) 의 배면 (301) 에 직접 부착된다. 위생패드 (300) 가 속 포장지 (220) 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덮개부 (120) 가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어, 위생 휴지가 인출될 수 있는 개방구 (110) 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위생패드 (300) 를 속 포장지 (220) 로부터 떼어내면, 위생부 (100) 의 덮개부 (120) 가 제거되어, 자동적으로 위생 휴지를 인출할 수 있는 개방구 (110) 가 형성되므로, 위생용품 (10) 의 사용시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에 사용자가 위생 휴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생 휴지의 포장지를 제거하고, 접힌 위생 휴지를 펼쳐 사용하는 등의 번잡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위생 휴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수 차례 손으로 위생 휴지를 만져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위생 휴지가 외부의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생리 분비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사용자가 도 5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과 비교하여, 위생부 (100') 의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구성에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구성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위생부 (100') 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 (110') 를 포함하고, 개방구 (110') 는 덮개부 (120') 에 의해 밀폐된다. 개방구 (110') 는 위생부 (100') 의 제조시 기 형성된 구멍일 수 있고, 덮개부 (120') 는 개방구 (110') 를 완전히 덮도록 위생부 (100') 에 부착되는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덮개부 (120') 는 개방구 (110') 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위생부 (100')의 내부공간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된 덮개부 (120') 가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면서 개방구 (110') 가 형성되고, 형성된 개방구 (110') 를 통하여 내부공간에 수용된 위생 휴지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 (120') 는 위생패드 (300) 의 제거 동작과 연동되어, 위생부 (100') 로부터 분리되고, 개방구 (110') 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d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하였고, 도 7의 덮개부 (120') 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120) 와 비교하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는 점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덮개부 (120') 가 개방구 (110') 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사용자가 도 8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위생부 (100'') 와, 겉 포장지 (210) 와, 위생패드 (300) 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과 비교하여, 속 포장지 (220) 가 생략되어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위생부 (100'') 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겉 포장지 (210) 는 위생부 (100'') 의 일측을 감싸면서 위생부 (100'') 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될 수 있다.
위생부 (100'') 의 겉 포장지 (210)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위생패드 (300) 가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위생부 (100'') 의 위생패드 (300) 가 부착되는 면은, 접착 물질이 붙었다 떨어지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생부 (100'') 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 (110'') 를 포함하고, 개방구 (110'') 는 덮개부 (120'') 에 의해 밀폐된다. 이는 상술한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사용자가 도 11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위생부 (100''') 와 위생패드 (300) 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과 비교하여, 겉 포장지 (210) 대신 위생부 (100'') 가 위생패드 (300) 를 감싸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의 위생부 (100''') 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함과 동시에, 그 일측에 적어도 위생패드 (300) 를 부착하고, 위생패드 (300) 의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위생부 (100''') 가 위생 휴지를 포함함과 동시에, 위생패드 (300) 의 포장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생부 (100''') 에 위생패드 (300) 가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위생부 (100''') 의 위생패드 (300) 가 부착되는 면은, 접착 물질이 붙었다 떨어지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생부 (100''') 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 (110''') 를 포함하고, 개방구 (110''') 는 덮개부 (120''') 에 의해 밀폐된다. 이는 상술한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위생부 (100''') 의 일 단부에는 고정용 테이프 (130''') 가 부착될 수 있다. 고정용 테이프 (130''') 는 본 고안의 위생용품 (10''') 이 개별 포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포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위생부 (100''') 에 고정용 테이프 (130''') 가 부착되어 위생용품의 휴대가 간편하고, 인체에 닿는 위생패드가 내부에 완전히 밀봉된 상태로 포장되어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위생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사용자가 도 14의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위생부 (100'''') 와, 겉 포장지 (210) 및 속 포장지 (220) 를 포함하는 포장지 (200) 와, 위생패드 (300) 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은 도 1 내지 도 4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과 비교하여, 위생부 (100'''') 가 겉 포장지의 바깥 부분에 배치되어, 위생패드 (300) 가 아닌 겉 포장지 (210) 를 위생부 (100'''') 로부터 제거하면서 덮개부 (120'''') 가 제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10'''') 의 위생부 (100'''') 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함과 동시에, 그 일측에 위생패드 (300) 를 감싸는 겉 포장지 (210) 가 부착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위생부 (100''') 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 (110''') 를 포함하고, 개방구 (110''') 는 덮개부 (120''') 에 의해 밀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는, 도 1 내지 도 4의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와 같이, 위생부 (100'''') 의 일부인 덮개부 (120'''') 가 떨어져 나가며 개방구 (110'''') 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 내지 도 7의 개방구 (110') 및 덮개부 (120') 와 같이, 개방구 (110'''') 가 위생부 (100'''') 의 제조시 기 형성된 구멍이고, 덮개부 (120'''') 는 개방구 (110'''') 를 완전히 덮도록 위생부 (100'''') 에 부착되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겉 포장지 (210) 로부터 위생패드 (300) 를 분리하여 사용한 후, 겉 포장지 (210) 를 위생부 (100'''') 로부터 제거함과 동시에 위생부 (100'''') 에 수용된 내용물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구 (110'''') 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종래에 사용자가 위생 휴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위생 휴지의 포장지를 제거하고, 접힌 위생 휴지를 펼쳐 사용하는 등의 번잡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0', 10'', 10''', 10'''' … 위생용품
100, 100', 100'', 100''', 100'''' … 위생부
110, 110', 110'', 110''', 110'''' … 개방구
120, 120', 120'', 120''', 120'''' … 덮개부
200 … 포장지
210 … 겉 포장지
220 … 속 포장지
221 … 통로부
300 … 위생패드
310 … 접착층

Claims (14)

  1.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상기 위생부의 일측을 감싸는 겉 포장지;
    상기 위생부를 상기 겉 포장지와 함께 감싸고, 상기 겉 포장지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속 포장지; 및
    상기 속 포장지의 상기 위생부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속 포장지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속 포장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위생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속 포장지는, 상기 덮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부는, 상기 겉 포장지 및 상기 속 포장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6.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상기 위생부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위생부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겉 포장지; 및
    상기 위생부의 상기 겉 포장지 쪽의 면과 대향하는 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7.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및
    상기 위생부의 일측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위생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가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위생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패드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10.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위생부; 및
    위생패드를 감싸고, 상기 위생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위생부와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도록 구성된 겉 포장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생부는, 상기 겉 포장지의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제거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겉 포장지가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위생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위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를 완전히 덮도록 상기 위생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겉 포장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청결제를 함유한 휴지이고, 상기 개방구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생패드는, 생리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KR2020160005492U 2016-09-22 2016-09-22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KR20048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92U KR200486204Y1 (ko) 2016-09-22 2016-09-22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JP2019600099U JP3223080U (ja) 2016-09-22 2017-09-22 衛生ペーパーが備えられた衛生用品
PCT/KR2017/010442 WO2018056738A1 (ko) 2016-09-22 2017-09-22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92U KR200486204Y1 (ko) 2016-09-22 2016-09-22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83U true KR20180000883U (ko) 2018-03-30
KR200486204Y1 KR200486204Y1 (ko) 2018-04-13

Family

ID=6169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92U KR200486204Y1 (ko) 2016-09-22 2016-09-22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3080U (ko)
KR (1) KR200486204Y1 (ko)
WO (1) WO2018056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01A (ko) * 2020-03-04 2021-09-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35B1 (ko) * 2021-08-02 2024-02-27 손지수 생리대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생리대 포장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819Y1 (ko) 1997-12-17 2000-03-15 장경주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
KR200239706Y1 (ko) * 2001-04-13 2001-10-11 윤황 간이 위생 생리대
KR200265753Y1 (ko) * 2001-11-26 2002-02-25 주식회사 유림월드 위생티슈일체형 일회용 기저귀
KR200458014Y1 (ko) * 2011-04-04 2012-01-16 박창열 배설물의 흡수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기저귀
KR20120043998A (ko) * 2010-10-27 2012-05-07 박솔비 휴대용 생리대
KR101184480B1 (ko) 2012-04-27 2012-09-19 백명현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생리대
KR20130007076U (ko) * 2012-05-31 2013-12-10 강윤지 티슈와 결합된 생리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6262B2 (en) * 1979-12-03 1984-05-03 Kenji Nakamura Resealable dispenser container
AU679681B2 (en) * 1992-04-28 1997-07-10 Procter & Gamble Company, The Individually packaged sanitary napkin having cleansing wipe packaged therewith
US20070142810A1 (en) * 2005-12-16 2007-06-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roducts having complementary fragrances and a package for storing absorbent products
KR20130005384U (ko) * 2012-02-12 2013-09-16 오은영 세정수단이 구비된 생리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819Y1 (ko) 1997-12-17 2000-03-15 장경주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
KR200239706Y1 (ko) * 2001-04-13 2001-10-11 윤황 간이 위생 생리대
KR200265753Y1 (ko) * 2001-11-26 2002-02-25 주식회사 유림월드 위생티슈일체형 일회용 기저귀
KR20120043998A (ko) * 2010-10-27 2012-05-07 박솔비 휴대용 생리대
KR200458014Y1 (ko) * 2011-04-04 2012-01-16 박창열 배설물의 흡수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기저귀
KR101184480B1 (ko) 2012-04-27 2012-09-19 백명현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생리대
KR20130007076U (ko) * 2012-05-31 2013-12-10 강윤지 티슈와 결합된 생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001A (ko) * 2020-03-04 2021-09-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생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3080U (ja) 2019-09-19
WO2018056738A1 (ko) 2018-03-29
KR200486204Y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679A (en) Individually wrapped absorbent article
EP1079783B1 (en) Feminine hygiene storage unit
JP3532199B2 (ja) 拭き取りワイプと共に包装された個別包装生理用ナプキン
JP4191596B2 (ja) 結合した拭き取り物品を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
US5954201A (en)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US8900210B2 (en)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wrapper
US8141711B2 (en) Hygiene product assembly and method
SK281072B6 (sk) Menštruačná vložka s krídelkami v zloženom usporiadaní
US20020013566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moval aid and a method for removing the absorbent article
JP2010509978A (ja) 所定の脆弱線を有する包装体
JP2009518248A (ja) 相補的な香気を有する吸収性製品および吸収性製品を収納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
US20080269710A1 (en) Hygiene article having a wipe and powdered substrate combination
US20080269708A1 (en) Sanitary napkin having a wipe and powdered substrate combination
US20080027404A1 (en) Absorbent articles and functional wipes
KR200486204Y1 (ko) 위생 휴지가 구비된 위생용품
EP2405879A1 (en) Disposable diaper with integral disposal system
WO1999048453A1 (en) Feminine hygiene storage unit
US20130126388A1 (en) Medical product package assembly
EP3099278B1 (en) A wound care product and a method of using a wound care product
KR101804148B1 (ko) 위생티슈가 구비된 생리대
KR101751468B1 (ko) 탈부착 가능한 후속 처리용 키트를 구비한 일회용품
KR100840841B1 (ko) 한꺼번에 분리 가능한 필 스트립을 갖는 흡수패드 및 이흡수패드용 포장 팩
JP2008206933A (ja) 生理用品包装袋
GB2436069A (en) Tampon insertion finger protector
KR20120043998A (ko) 휴대용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