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59A -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59A
KR20180000859A KR1020160079081A KR20160079081A KR20180000859A KR 20180000859 A KR20180000859 A KR 20180000859A KR 1020160079081 A KR1020160079081 A KR 1020160079081A KR 20160079081 A KR20160079081 A KR 20160079081A KR 20180000859 A KR20180000859 A KR 2018000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terminal
beacon
terminal
fix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346B1 (ko
Inventor
김봉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서브
김봉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서브, 김봉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서브
Priority to KR102016007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다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고정단말, 상기 고정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이동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사용자의 명령 내지 기 설정 조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이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범위를 확장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Message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 beacon}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 내지 지역의 범위에 따라 비콘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비콘의 기능 및 전달 범위를 확장시키는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및 휴대용 단말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제공 장치의 기능을 가지던 휴대용 단말은 이제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으며,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능을 수반한 휴대용 단말 또는 결제 및 광고 서비스의 기능을 수반하는 휴대용 단말과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결제서비스가 많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메시지의 전달을 통한 광고 및 정보의 전달에 관한 기술 역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때, 메시지나 정보의 전달과 확인을 위해서는 단말 사이의 통신이 필요하며, 통신방법으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기술이 주로 사용된다.
특히, BLE와 같이 저전력 기술을 이용하는 비콘은 NFC에 비해 유효 통신거리가 50미터 내외까지 확장되며, 각 이동통신 단말에 별도의 칩을 설치할 필요 없이 BLE 인식기능만 있으면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동전 크기의 전지 하나만으로도 1년 이상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저 소비 전력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콘은 위치 정보의 제공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마케팅, 구매, 자동 체크인, 메시지의 전달 등 다양한 분야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비콘은 유효 통신 거리가 대략 50미터 내외이므로 실외와 같이 대 공간의 환경에서는 사용 거리가 제한되어 효과적으로 정보의 전달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식당이나 상점에서 쿠폰이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 만으로는 내점 고객과 기타 일부 사용자에게만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0109635호(2015.10.0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 내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비콘의 기능 및 전달 범위를 확장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고정단말, 상기 고정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이동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사용자의 명령 내지 기 설정 조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이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범위를 확장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이동단말은 기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기 설정조건은 전화번호, 송신지역의 위치와 수신지역의 위치에 따른 이격 거리, 구획된 설정지역과의 합치 여부 및 지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말은 메시지를 자체 생성하여 송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되,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기 설정된 메시지 내 코드에 따라 메시지의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하거나 메시지의 전달 범위를 확장 또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방법은 고정단말이 서버에서 공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정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제1 이동단말이 상기 고정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기준과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이동단말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이동단말이 상기 제1 이동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사용자의 명령 내지 기 설정 조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이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범위를 확장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이동단말은 기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기 설정조건은 전화번호, 송신지역의 위치와 수신지역의 위치에 따른 이격 거리, 구획된 설정지역과의 합치 여부 및 지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은 타 지역에 마련된 제1 이동단말과의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말은 메시지를 자체 생성하여 송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되,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기 설정된 메시지 내 코드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추가적인 개입 없이 메시지의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하거나 메시지의 전달 범위를 확장 또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 내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비콘의 기능 및 전달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 시스템에 관한 개념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의 모듈 별 기능에 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시스템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방법에 관한 절차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100), 상기 서버(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 및 송신하는 고정단말(200), 상기 고정 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 및 송신하는 제1 이동단말(300)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3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이동단말(400)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100)는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 및 제어하거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 프로그램, 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 팩스, 프린터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인터넷과 같은 통신 망에서 상기 서버(100)는 일반적으로 여러 정보들을 관리하고 특정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웹 서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받아 들여 요청한 페이지를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는 정적인 데이터를 위주로 처리하며 동적인 페이지를 서비스 하기 위해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다양한 로직이나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상의 서버에서 데이터 저장,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함으로써 서버의 구축 비용, 업데이트 비용, 소프트웨어 비용 등을 절감하고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말(200)은 일반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 설치됨으로써 유효 통신거리에 공간적 제약 내지 위치적 제약이 따르는 것을 말한다. 즉, 매장에 설치되는 POS 단말기 형태로 사용자가 일정 위치에 설치하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단말을 말하며, 상기 서버(100)로부터 최초의 메시지(공통메시지)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제1 이동단말(300)과 제2 이동단말(400)은 명칭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고정단말(100)로부터 메시지를 전달 받는 순서에 따라 호칭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전달 받고,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기 설정 조건의 만족 여부나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한 메시지를 다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에 재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말(200),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에는 비콘(beacon)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콘(b)을 통한 통신으로 서로간에 메시지를 송신 내지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비콘(b)이란, 블루투스 기술을 기반으로 근거리 내에서 감지되는 스마트 기기에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말한다. 해당 비콘을 통해 사용자가 주요 매장을 지나가거나 방문할 때 쇼핑정보 및 할인 쿠폰 등의 제공이 가능하며 동선위치를 파악하여 내비게이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비콘은 그 자체는 위치를 알려주는 기준점 역할을 수행하고 실제 정보전달은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블루투스 비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비콘은 소량의 패킷 전송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필요 없으며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저비용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비 접촉식으로 대략 50미터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오차범위가 5센티미터 이내로 기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일 대 다 및 다 대 다 서비스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광고 및 정보전송, 홈 오토메이션, 결제 등의 다양한 능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매장을 방문한 고객에게 자동으로 쿠폰을 부여하거나 포인트를 부여하며, 상품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 시스템은 비콘의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매장을 방문하거나 일정 지역범위 이내에 존재하여야만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동 중이거나 다양한 지역에 있더라도 상기 제1 이동단말(300)과 같은 비콘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말은 POS(Point Of Sale)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POS 단말기 내지 POS 시스템이란 상품의 종류, 가격 등을 기호로 표시해 두고 리더기 등으로 그것을 읽어 판매정보를 집계하는 것이다. 리더용 단말기로는 전자식 금전등록기, 정찰 리더기, 크레디트 카드 자동판별장치 등이 사용되며 중앙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에 연동시켜 사용한다.
상기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은 위치나 지역이 고정된 단말이 아니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같이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이동 수단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은 비콘(b)을 포함하며, 상기 비콘을 이용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단말(300)과 제2 이동단말(400)의 비콘을 제어함으로써 비콘의 통신 영역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말은 메시지를 자체 생성하여 송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되,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은 기 설정된 메시지 내 코드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추가적인 개입 없이 메시지의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하거나 메시지의 전달 범위를 확장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단말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에 마련되어 원격제어를 통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내에 기 설정된 코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삭제 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의 전달 범위 영역을 필요에 따라 확장 내지 감소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단말(200)은 상기 서버(100)에서 송신된 메시지 내지 공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고정단말(200)은 상기 비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다시 상기 제1 이동단말(30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다시 상기 제2 이동단말(4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송신, 수신 및 재 송신에 대한 명령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기 설정조건이란, 지정코드, 전화번호, 송신지역의 위치와 수신지역의 위치에 따른 이격 거리, 구획된 설정지역과의 합치 여부 및 지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의 메시지 재 전송 및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공간에 마련된 상기 고정단말(200)과 B공간에 마련된 상기 고정단말(200)은 서로 다른 지역에 존재하므로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단말(200)에 마련된 상기 비콘은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의 유무 및 개수를 파악하여 선택적인 메시지 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은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상기 고정단말(200)과 달리 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 사용되거나, 차량과 같이 이동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이나 차량에 부착된 상기 비콘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단말(3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며, 송신하는 메시지가 타 지역의 고정단말(200) 내지 제1 이동단말(300)을 통해 이미 송신된 메시지 임을 확인 한 후 중복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쿠폰, 할인권,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위치 정보, 상품 정보, 서비스 정보 내지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홍보 메시지, 피 선거인의 유세정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시스템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지역적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사용자가 일정 위치를 지나가면서 수신한 메시지를 다시 이동하면서 새로운 지역의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품을 배달하는 배달자가 매장을 지나면서 상기 매장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쿠폰 등의 메시지를 배달 지역을 지나면서 다른 배달자 내지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배달자 역시 다른 지역을 지나면서 타 지역의 매장에 설치된 비콘을 이용하여 다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차로 메시지를 수신한 배달자는 다시 이동하면서 상기 배달자에 마련된 비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나 다른 배달자에게 재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선거의 유세 홍보를 하는 경우에는 후보자와 상기 후보자의 선거유세 운동을 도와주는 조력자가 있으며, 특히 이동이 가능한 유세 홍보차량이나 조력자가 휴대하는 이동단말을 통해 또 다른 조력자에게 후보자의 선거유세 정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말(200)은 상기 서버(100)로부터 공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300)에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타 지역에 마련된 제1 이동단말(300)과의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전달 시스템의 상기 고정단말(200), 제1 이동단말(300), 제2 이동단말(400)의 메시지 전달 과정을 역할 및 위치에 기반하여 구별한 것이다.
상기 고정단말(200)은 고정자(500)의 역할,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전달자(510)의 역할, 상기 제2 이동단말(400)은 사용자(520)의 역할을 하며, 다시 상기 고정자(500)와 제1 이동단말(300)과 제2 이동단말(400)은 제1 지역(600), 제2 지역(610), 제3 지역(620)에 따라 나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역(600)에 마련된 상기 제1 이동단말(300)과 상기 제2 지역(610)에 마련된 상기 제1 이동단말(300) 사이에도 서로간의 중복 메시지를 제거하기 위해 서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의해 서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고정자(500)에서 전달자(510)를 통해 사용자(520)까지 메시지 수신 가능범위를 확장시키며, 제1 지역(600)과 제2 지역(610) 및 제3 지역(620)까지 서로의 정보 수신 여부를 확인하며 메시지의 전송 범위를 확장시킨다.
상기 메시지 전달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모듈(700), 비콘 신호 수신부(720)를 포함하는 식별정보 인식모듈(710), 제어부(7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콘에 관한 모듈과 사용자에 관한 모듈이 결합되어 서로간의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며, 이러한 모듈은 각각의 단말에 마련된다.
상기 고정단말(200),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술한 모듈이 장착되며,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모듈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말(200)은 매장에 마련된 단말로서 가맹점 정보통신부(810), 가맹점 정보제어부(820) 및 가맹점 정보저장부(830)를 포함하는 가맹점 정보 제공장치(80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정보 제공장치(800)는 상기 서버(통신망, 100)을 통해 상기 고정단말(200)과 연동되고, 상기 고정단말(200)은 다시, 상기 고정단말(200)에 마련된 비콘 모듈(700)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콘 모듈(700)은 앞서 도 3에서 보여준 바와 상기 비콘신호 수신부(720)가 마련된 식별정보 인식모듈(710)과 상기 제어부(7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40)와 함께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말(200)이 서버(100)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고정단말(200)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20), 제1 이동단말(300)이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0), 기 설정된 기준과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S50) 및 제2 이동단말(400)이 상기 제1 이동단말(3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이 메시지를 재 송신하는 단계(S50)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기 설정 기준에 만족하면 메시지를 재 송신하며, 만족하지 않으면 종료된다.
상기 고정단말(200), 제1 이동단말(300) 및 제2 이동단말(400)은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사용자의 명령 내지 기 설정 조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이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범위를 확장 및 제어한다.
상기 고정단말(200)은 POS(Point Of Sale)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이동단말(300) 내지 제2 이동단말(400)은 메시지의 송신 내지 수신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기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기 설정조건은 전화번호, 송신지역의 위치와 수신지역의 위치에 따른 이격 거리, 구획된 설정지역과의 합치 여부 및 지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단말(3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상기 고정단말(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400)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며, 송신하는 메시지가 타 지역의 고정단말(200)내지 제1 이동단말(300)을 통해 이미 송신된 메시지 임을 확인 한 후 중복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 송신을 중단한다.
상기 메시지는 쿠폰, 할인권,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위치 정보, 상품 정보, 서비스 정보 내지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메시지는 홍보 메시지, 피 선거인의 유세정보일 수 있다.
상기 고정단말(200)은 상기 서버(100)로부터 공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300)에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300)은 타 지역에 마련된 제1 이동단말(300)과의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의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은 비콘의 기능 및 전달 범위를 확장시키는 메시지의 전달 방법을 이용한 기지국이 필요 없는 재난 메시지 재 전송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100: 서버 200: 고정단말
300: 제1 이동단말 400: 제2 이동단말
500: 고정자 510: 전달자
520: 사용자 600: 제1 지역
610: 제2 지역 620: 제2 지역
700: 비콘모듈 710: 식별정보 인식모듈
720: 비콘신호 수신부 730: 제어부
7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800: 가맹점 정보제공장치
810: 가맹점 정보통신부 820: 가맹점 정보제어부
830: 가맹점 정보 저장부
S10: 고정단말의 수신단계
S20: 고정단말의 송신단계
S30: 제1 이동단말의 수신단계
S40: 기설정 만족여부 판단단계
S50: 제1 이동단말의 송신단계
S60: 제2 이동단말의 수신단계

Claims (7)

  1.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고정단말;
    상기 고정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 송신하는 제1 이동단말;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이동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사용자의 명령 내지 기 설정 조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이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범위를 확장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이동단말은 기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기 설정조건은 전화번호, 송신지역의 위치와 수신지역의 위치에 따른 이격 거리, 구획된 설정지역과의 합치 여부 및 지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말은 메시지를 자체 생성하여 송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되,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기 설정된 메시지 내 코드에 따라 외부의 추가 개입 없이 메시지의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하거나 메시지의 전달 범위를 확장 또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 시스템.
  4.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방법에 있어서,
    고정단말이 서버에서 공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정단말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제1 이동단말이 상기 고정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기준과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이동단말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이동단말이 상기 제1 이동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비콘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사용자의 명령 내지 기 설정 조건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비콘이 선택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메시지의 전달범위를 확장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이동단말은 기 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기 설정조건은 전화번호, 송신지역의 위치와 수신지역의 위치에 따른 이격 거리, 구획된 설정지역과의 합치 여부 및 지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에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은 타 지역에 마련된 제1 이동단말과의 비콘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말은 메시지를 자체 생성하여 송신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단말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되, 상기 고정단말, 제1 이동단말 및 제2 이동단말은 기 설정된 메시지 내 코드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추가적인 개입 없이 메시지의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하거나 메시지의 전달 범위를 확장 또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방법.
KR1020160079081A 2016-06-24 2016-06-24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90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081A KR101902346B1 (ko) 2016-06-24 2016-06-24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081A KR101902346B1 (ko) 2016-06-24 2016-06-24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59A true KR20180000859A (ko) 2018-01-04
KR101902346B1 KR101902346B1 (ko) 2018-10-17

Family

ID=6099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081A KR101902346B1 (ko) 2016-06-24 2016-06-24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784A (ko) * 2019-11-29 202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오펜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346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AU2004200985B8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Remote Content Delivery By Local User Identification
KR101002009B1 (ko) 쿠폰 관리 단말 및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80499B2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方法、およ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US20140156431A1 (en) Customer interaction manager on a point of sale computer
US20120253958A1 (en)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receipts
CN105340304A (zh) 信标内容传播
KR20060018235A (ko) 확인이 수반되는 프롬프트된 전자 이동-서비스 정보 통신
US20220005019A1 (en) Electronic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101835087A (zh) 移动终端与rfid卡交互的系统与方法
KR101902346B1 (ko) 비콘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134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US10755534B2 (e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offline payment machine
JP2018045733A (ja) 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4872A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8010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건물 내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Mahajan et al. Mall Shopping System Using NFC
CN105376268A (zh) 一种无线感知信息传输系统、方法
JP2014006784A (ja) ハンディターミナル、ハンディターミナ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およびオーダシステム
KR102264919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573901A (zh) 餐饮营销数据管理系统及其方法
KR20230078895A (ko)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무선통신 및 로컬스토리지를 이용한 모바일 티켓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0580A (ko)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21015513A (ja) 販売方法、販売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17948B1 (ko) 모바일 통화 기반의 제품정보 열람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