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790U - 한국용 구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한국용 구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790U
KR20180000790U KR2020170000389U KR20170000389U KR20180000790U KR 20180000790 U KR20180000790 U KR 20180000790U KR 2020170000389 U KR2020170000389 U KR 2020170000389U KR 20170000389 U KR20170000389 U KR 20170000389U KR 20180000790 U KR20180000790 U KR 20180000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lade
elastic
wire
ground wi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030Y1 (ko
Inventor
추안란 리앙
Original Assignee
추안란 리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안란 리앙 filed Critical 추안란 리앙
Publication of KR20180000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구형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가능하게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의 밑바닥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 내에는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몇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및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은 4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사이에 연결된 3개의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는 W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 내에는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는 일체로 성형된 크로스 오버구조를 가지고 있고, 크로스 오버구조의 연장 단부의 각각에는 탄성 블레이드 유닛이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방면에서는 구조 전체상의 개선을 통하여 편리하게 탁상 혹은 벽면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삽입/발출의 조작이 간편하고, 다른 방면에서는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와 영선활선탄성 블레이드의 개선을 통하여 핀과 콘센트와의 연결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삽입 연결이 더욱 안전하고 온정적이며, 신뢰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한국용 구형 콘센트{PLUG SOCKET WITH ROUND HOLES FOR KOREA}
본 고안은 전원 콘센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회로배선이 삽입가능한 베이스를 가르키는데, 여러가지의 배선 플러그는 이를 통해 삽입할 수 있어, 기타 회로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최근, 사회의 발전과 기술의 진보에 따라, 사람들은 생활의 간편함과 편안함을 추구하고 있으며, 또한 출행(出行)범위의 끊임없는 확대에 따라서, 사람들의 신변의 가정제품의 충전 편리성과 충전기기의 통용성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므로 하여, 콘센트는 점차적으로 일상생활과 여행에서의 필수품으로 되어 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는 대부분이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고정된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영선(零線), 활선 및 접지선 등은 모두 직사각형의 하우징내에 고정되어 있다. 이의 전형적인 구조로는 예를 들어 중국 공개특허공보 ZL201310634684.6에 개시된 콘센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보호성이 우수하지만, 핀(pin)을 삽입과 뺄 때마다 모두 콘센트를 조절해야 하고 잭(jack)의 위치를 찾아야 하기에, 구조상에서 복잡할 뿐만아니라, 체적이 크며, 고정할 수 없다. 그리고 여행중에서 휴대와 사용에도 편리하지 못하여, 일상생활에서 각종 사용환경에서의 수요에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화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상에서 편리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는 베이스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구형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가능하게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의 밑바닥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내에는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은 몇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은, 4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3개의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는 W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에는 원호(圓弧)형 리바운드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해당 원호형 리바운드 구조에는 이의 외형과 상응한 보강용 탄성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내에는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는 일체로 성형(成型)된 크로스 오버 구조를 가지고 있고, 크로스 오버 구조의 연장 단부의 각각에는 영선활선용 플러그와 결합하기 위한 탄성 블레이드 유닛이 대응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블레이드 유닛과 영선활선용 플러그의 접촉부는 에워 싼 구조를 형성하는 원호형 탄성 블레이드이다.
상기 탄성 블레이드 유닛은 인청동(phosphor bronze)으로부터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상에는 진일보로 몇개의 균일하게 배열된 나사산을 구비한 고정 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는 스펀지 양면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구조가 정교하고 콤팩트화되어 있으므로 하여, 사용상에서의 휴대가 편리하며, 구조 전체상에서의 개선을 통하여, 편리하게 탁상 혹은 벽면상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삽입/발출의 조작이 간편하고, 다른 방면에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와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핀과 콘센트와의 연결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삽입 연결이 더욱 안전하고 온정적이며, 신뢰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조의 조립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의 일 실시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의 일 실시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 블레이드 유닛의 하나 실시예의 구조예시도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낸 탄성 블레이드 유닛과 영선활선용 플러그와의 연결구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한국용 구형 콘센트는,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베이스(2)를 포함하고, 이의 구조 특징은, 본체 (1)는 구형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가능하게 베이스(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2)의 밑바닥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201)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한국용 구형 콘센트는 본체(1)의 아래에 하나의 베이스(2)를 추가하여, 구체적으로 실시 할 경우, 너트와 하나의 나사로 나사결합의 방식으로 베이스(2)를 본체(1)에 연결하되, 본체(1)는 베이스(2)에 대하여 회전하게끔 한다. 이와 같이 사용시에, 본체(1)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전기 플러그의 삽입/발출이 편리하게 된다.
진일보로 이의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이스(2)의 밑바닥면에 양면 접착테이프(201)를 붙혀서, 콘센트 전체를 탁상 혹은 벽면상에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를 향상시켰다. 밀착 결합의 견고성을 증가하기 위하여,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201)는 스펀지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상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일보로 콘센트 중의 접지선 및 영선활선의 모듈에 대하여 구조상의 개선을 진행하였다.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의 구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에 설치되고, 해당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은 몇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 블레이드(302)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경우, 상기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은 4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3개의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30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302)는 W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구조를 조립할 때, 상기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은 4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을 3개의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302)로 리베팅되어 조립될 수 있으므로, 매 하나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고, 스페이스를 충분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탄성 블레이드와 탄성 블레이드 사이에도 상호적인 탄성력이 발생하게 하므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의 사용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 후에는, 4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의 모두가 하나의 평면상에 있게 되어,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의 전체를 프레임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외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장착도 매우 편리하게 된다.
본 고안은 진일보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의 구조의 강도와 내구성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개선을 진행하였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에는 원호형 리바운드 구조(303)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원호형 리바운드 구조(303)에는 이의 외형과 상응한 보강용 탄성 블레이드(304)가 설치되어 있다.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4)는 이의 구체적인 실시구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에 설치되어 있고, 해당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4)는 일체로 성형된 크로스 오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크로스 오버구조의 연장 단부의 각각에는 영선활선용 플러그와 결합하기 위한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이 대응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을 실시할 때,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4)는 단일한 하나의 전체적인 탄성 블레이드로부터 펀칭(punching)을 통하여 형성되므로써, 이의 제조가 간단하고, 원자재의 사용이 적게 된다.
해당 구조는 전통적인 탄성 블레이드의 생산과정 중에서의 리베팅 혹은 용접의 연결방식을 감소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전류에 따른 온도 상승으로 인한 일련의 구조상의 문제를 피면하므로써, 구조상의 신뢰성과 온정성을 향상시켰다. 이로하여 사용 시, 4개의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는 각각4개의 플러그에 삽입 연결될 수 있어, 이의 실용성도 우수하게 된다.
핀과 탄성 블레이드의 구조와의 접촉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도7과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과 영선활선용 플러그의 접촉부는 에워 싼 구조를 형성하는 원호형 탄성 블레이드이다. 이로하여 핀과 탄성 블레이드와의 접촉면적을 증가할 수 있어서, 구조상의 접촉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의 두께는 0.6mm이고, 인청동으로부터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해당 탄성 블레이드의 사용수명도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에는 진일보로 몇개의 균일하게 배열된 나사산 고정 홀(202)이 설치되어 있고, 나사로 나사산 고정 홀(202)을 통하여 콘센트 전체를 탁상 혹은 벽면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배선망의 실내 인터리어의 요구에 만족될 수 있다.

Claims (8)

  1. 베이스(2)와 본체(1)를 포함하는 구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구형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가능하게 상기 베이스(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2)의 밑바닥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20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내에는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모듈(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지선 탄성 블레이드 모듈 (3)은 몇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3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탄성 블레이드 모듈 (3)은 4개의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및 인접된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 사이에 연결된 3개의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30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탄성 블레이드(302)는 W자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용 탄성 블레이드 유닛(301)에는 원호형 리바운드 구조(30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 리바운드 구조(303)에는 이의 외형과 상응한 보강용 탄성 블레이드(30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내에는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영선활선용 탄성 블레이드(4)는 일체로 성형된 크로스 오버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크로스 오버구조의 연장 단부의 각각에는 영선활선용 플러그와 결합하기 위한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이 대응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과 영선활선용 플러그의 접촉부는 에워 싼 구조를 형성하는 원호형 탄성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레이드 유닛(401)은 인청동으로부터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에는 진일보로 몇개의 균일하게 배열된 나사산을 구비한 고정 홀(20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면 접착테이프(201)는 스펀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을 구비한 한국용 구형 콘센트.
KR2020170000389U 2016-09-08 2017-01-20 한국용 구형 콘센트 KR2004880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044619.3U CN205992609U (zh) 2016-09-08 2016-09-08 一种安全可靠的韩式球形插座
CN201621044619.3 201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90U true KR20180000790U (ko) 2018-03-16
KR200488030Y1 KR200488030Y1 (ko) 2019-02-27

Family

ID=5810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389U KR200488030Y1 (ko) 2016-09-08 2017-01-20 한국용 구형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030Y1 (ko)
CN (1) CN2059926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182B1 (ko) * 2020-05-29 2021-01-06 곽창용 콘센트용 접속단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3289B2 (ja) * 1998-06-25 2005-03-30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ンセント
KR200482014Y1 (ko) 2015-07-27 2016-12-07 김동효 멀티 콘센트 및 전원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30Y1 (ko) 2019-02-27
CN205992609U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53108U (zh) 一种轨道式可移动电源插座装置
US10243296B2 (en) Safety socket with means to prevent electric shock and electrical discharge
CN103066459A (zh) 旋转式插座
CN102969582A (zh) 一种按压式导线连接器
CN107275840B (zh) 防松脱插脚组件、防松脱插座及插座的防松脱方法
CN101394049B (zh) 可伸缩调整的导电装置及插座装置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KR200488030Y1 (ko) 한국용 구형 콘센트
CN204927761U (zh) 一种旋接式电源插头
CN110829128A (zh) 一种轨道插座及轨道插座配电系统
CN101950869A (zh) 一种大电流电源连接器
CN104993269A (zh) 一种电源插头
CN204927731U (zh) 一种螺旋式电源插头
US7438605B1 (en) Wire connecting device
CN211456173U (zh) 一体式旋转取电插座、壁式排插接线轨及轻型轨道式排插
TWI710182B (zh) 插頭裝置及配電系統
CN210430312U (zh) 滑动式插座导轨安装结构
CN208820081U (zh) 一种四合一式卡座
CN209029572U (zh) 一种安全型双孔插座
CN208835393U (zh) 一种电气工程用插座装置
CN208142397U (zh) 一种开关插座
CN201927764U (zh) 一种英规插头转换器
CN106169670A (zh) 一种接线端子
CN111193160A (zh) 一体式旋转取电插座、壁式排插接线轨及轻型轨道式排插
CN204517033U (zh) 电源插座及插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