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752U - 조립블록 - Google Patents

조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752U
KR20180000752U KR2020160005225U KR20160005225U KR20180000752U KR 20180000752 U KR20180000752 U KR 20180000752U KR 2020160005225 U KR2020160005225 U KR 2020160005225U KR 20160005225 U KR20160005225 U KR 20160005225U KR 20180000752 U KR20180000752 U KR 201800007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ribs
assembly block
heigh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983Y1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2020160005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8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럭은, 서로 상호결합하는 복수개의 조립블록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높이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의 비는, 0.35 내지 0.50 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록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높이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의 비가, 0.35 내지 0.50 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한 결합력 및 분리력이 반영되어 사용에 용이하다.

Description

조립블록{Assembly block}
본 고안은 조립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조립블럭을 조립함으로써, 간편한 가구 및 생활용품 등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블록은, 상하로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복수개를 결합하는 것으로 어린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사용된다. 조립블록은, 복수개를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어, 어린아이들에게 창의력 및 공간지각능력 등의 교육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블록은, 장난감 뿐만 아니라, 그 소재와 형상에 따라 벽 또는 생활가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블록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7002047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조립블록은, 상호 결합하는 결합력이 용도에 따라 적절하지 않아 너무 가벼운 힘으로 체결이 쉽게 분리되어 버리거나, 결합력이 강하여 큰 힘으로도 체결이 분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사용 용도에 따라 결합력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적합한 힘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블록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조립블록은 물의 흐름 및 배출에 용이하지 않아 물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결합력을 가지며, 배수가 용이하여 물이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한 조립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럭은, 서로 상호결합하는 복수개의 조립블록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높이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의 비는, 0.35 내지 0.50 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홈 및 상기 수직홈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배수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편은, 일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의 중앙에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과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중심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편은, 일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폭이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폭보다 작게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조리브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리브 및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는, 타측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록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높이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의 비가 0.35 내지 0.50 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몸체에 형성된 수평홈, 수직홈 및 배수홀을 통하여 물의 흐름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물이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수평홈 및 수직홈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조립블록과 다른 조립블록을 평행하게 배치할 시, 중앙에 원형상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어 물의 흐름과 배수가 원활하다.
더불어 복수개의 리브와 복수개의 보조리브가 교대로 형성되어, 크기가 서로 다른 조립블록을 상호간에 체결시키는 구조를 가져 활용도가 높으며, 상기 리브 및 보조리브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출성형 시 조립블록이 사출금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효율을 높여준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블록의 사용상태의 예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조립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조립블록을 평행하게 배치시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조립블록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블록의 저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조립블록의 측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조립블록이 크기가 서로 다른 조립블럭과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블록(1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하로 서로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서로 결합하여 적절한 모양을 형성시킴으로써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립블록(10)은 서로 다른 크기로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작은 조립블록을 호환 체결가능하여 다양한 구조를 형성시키는데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블록(1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하나의 예시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블록(10)을 계단형상으로 조립하여 애완견을 위한 간이계단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조립블록(10)은, 어린이들의 장난감 뿐만 아니라, 간이의자나 발판, 책상 등의 간이 가구 및 애완견의 집 또는 일상생활용품에 쓰이는 간이 집기들의 형상을 간편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블록(10)은, 몸체(100), 결합돌기(200), 체결편(30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10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200)는, 상기 조립블록(10)을 서로 상호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00)는, 상기 몸체(10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나의 조립블록(10)의 결합돌기(200)가, 다른 조립블록(10)의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상호결합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00)는, 돌출부(210)와 연장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돌출부(2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21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돌출부(21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10) 및 상기 연장부(220)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상호체결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0)의 높이(H)와 상기 결합돌기(100)의 높이(h)의 비(h/H)는, 0.35 내지 0.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0)의 높이(H)가 36.4mm로 형성된 조립블럭(10)의 경우, 상기 결합돌기(100)의 높이(h)는, 13.44mm 내지 19.2mm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높이(H)와 상기 결합돌기(100)의 높이(h)의 비(h/H)가 0.35 내지 0.50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몸체(100)의 높이(H)와 상기 돌출부(210)의 높이의 비가 0.3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블록(10)의 용도와 사용대상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높이(H)와 상기 결합돌기(100)의 높이(h)의 비(h/H)가 0.35 내지 0.50로 형성되도록, 상기 연장부(220)의 높이를 상기 돌출부(210)로부터 적절하게 연장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0)의 높이(H)가 36.4mm로 형성된 조립블럭(10)의 경우, 상기 돌출부(210)의 높이는, 13.44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장부(220)의 높이는, 0mm 내지 5.76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장부(220)의 높이를 적절하게 적용함으로써, 분리가 용이한 용도(어린이의 장난감 등)로 사용 시에는, 상기 연장부(220)의 높이가 낮도록 구성하여, 결합력을 약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반대로 결합이 용이한 용도(집안의 가구, 발판, 선반받침 등)로 사용 시에는, 상기 연장부(220)를 더 높도록 연장하여, 결합력을 강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높이로 형성된 상기 연장부(2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편(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돌기(200)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비된다. 즉, 하나의 조립블럭(10)의 결합돌기(200)가, 다른 조립블럭(10)의 체결편(300)에 외주면이 맞닿도록 삽입됨으로써 조립블럭(10)이 서로 상호 체결된다. 상기 체결편(300)은, 복수개의 리브(310)와 중심체결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는,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돌기(20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리브(31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부연하면, 하나의 결합돌기(200)에 한 쌍의 리브(310)가 맞닿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체결부(32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의 중앙에 구비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중심체결부(32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원통형으로, 상기 중심체결부(320)의 외주면과 상기 결합돌기(200)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200)의 외주면은, 한 쌍의 리브(310)와 중심체결부(320)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몸체(100)의 공간(10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블록(10)은, 수평홈(401), 수직홈(402), 배수홀(403)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홈(401)은,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홈(401)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홈(401)을 따라 물이 흐를 수 있다.
상기 수직홈(402)은, 상기 수평홈(40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홈(402)은, 상기 몸체(1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상기 수직홈(402)을 따라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수직홈(402)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홈(402)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조립블록(10)과 다른 조립블록(10)을 평행하게 배치할 시, 상기 수직홈(402)이 서로 맞닿는 곳에 원형상의 결합홀(40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404)을 통하여 물의 흐름과 배출이 더 효과적이다.
상기 배수홀(403)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립블럭(10)의 상측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배수홀(403)을 관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홈(401), 수직홈(402), 배수홀(403), 및 결합홀(404)을 통하여 물의 흐름과 배출이 용이함으로써, 화장실의 집기, 가구, 화분받침 등 물의 흐름 및 배출이 필요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블록(1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블록(10)의 체결편(300)은 복수개의 보조리브(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330)는,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돌기(20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330)의 폭은,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들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리브(330)는 중간 크기의 조립블럭(10M) 및 작은 크기의 조립블럭(10S)의 결합돌기(20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330)를 구비함에 따라 크기가 다른 조립블록(10)을 서로 체결시키는 데 안정적인 결합력을 주어 다양한 크기의 조립블록(10)을 서로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다양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중간 크기의 조립블럭(10M) 및 작은 크기의 조립블럭(10S)은 크기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조립이 가능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변경하여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 및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330)는, 각각의 타측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의 하단의 폭(w)이 6.65mm로 형성되고, 상단의 폭(W)이 6.85mm로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의 타측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310) 및 상기 보조리브(330)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출성형 시 상기 조립블록(10)이 사출금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도와, 상기 조립블록(10)의 불량률을 감소시켜주며, 제작효율을 높여준다. 상기 복수개의 리브(310) 및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330)의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크기가 큰 조립블럭(10)을 제작할 때 조립블럭(10)이 사출금형으로부터 이탈이 용이하기 위하여 적용해야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조립블록(10)에는 해당사항이 없으나, 크기가 큰 조립블럭(10)을 제작 시엔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블록(10)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높이(H)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h)의 비(h/H)가 0.35 내지 0.50 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적절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어, 충분한 결합력 및 적절한 분리력이 반영되어 사용에 용이하다.
또한 몸체(100)에 형성된 수평홈(401) 및 수직홈(402), 배수홀(403)을 통하여 물의 흐름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물이 있는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수평홈(401) 및 수직홈(402)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조립블록(10)과 다른 조립블록(10)을 평행하게 배치할 시, 중앙에 원형상의 결합홀(404)이 형성될 수 있어 물의 흐름과 배수가 원활하다.
더불어 복수개의 보조리브(330)가 형성되어 크기가 다른 조립블록(10)을 서로 체결시키는 데 안정적인 결합력을 가져 활용도가 높으며, 상기 리브(310) 및 보조리브(330)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출성형 시 조립블록(10)이 사출금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제작효율을 높여준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조립블록 100 : 몸체
101 : 공간 200 : 결합돌기
210 : 돌출부 220 : 연장부
300 : 체결편 310 : 리브
320 : 중심체결부 330 : 보조리브
401 : 수평홈 402 : 수직홈
402 : 수직홈 403 : 배수홀
404 : 결합홀 H : 몸체의 높이
h : 결합돌기의 높이 W : 리브의 상단 폭
w : 리브의 하단 폭 10M : 중간 크기의 조립블록
10S : 작은 크기의 조립블록

Claims (7)

  1. 서로 상호결합하는 복수개의 조립블록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 및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체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높이와 상기 결합돌기의 높이의 비는, 0.35 내지 0.50 으로 형성되는 조립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이 더 형성된 조립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홈 및 상기 수직홈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배수홀이 더 형성된 조립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일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의 중앙에 결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과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중심체결부를 포함하는 조립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일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폭이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조리브를 더 포함하는 조립블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리브 및 상기 복수개의 보조리브는,
    타측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조립블록.
KR2020160005225U 2016-09-05 2016-09-05 조립블록 KR200485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25U KR200485983Y1 (ko) 2016-09-05 2016-09-05 조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25U KR200485983Y1 (ko) 2016-09-05 2016-09-05 조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752U true KR20180000752U (ko) 2018-03-14
KR200485983Y1 KR200485983Y1 (ko) 2018-03-20

Family

ID=6164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225U KR200485983Y1 (ko) 2016-09-05 2016-09-05 조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8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413A (ko) * 2006-01-16 2007-07-24 김광일 블록 완구
KR20130003194U (ko) * 2011-11-22 2013-05-30 (주)루크북스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40141989A (ko) * 2013-06-03 2014-12-11 이상철 조립식 블록 세트
KR20150031330A (ko) * 2012-07-11 2015-03-23 레고 에이/에스 완구 브릭, 완구 브릭 제조 방법 및 완구 브릭 제조용 몰딩 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413A (ko) * 2006-01-16 2007-07-24 김광일 블록 완구
KR20130003194U (ko) * 2011-11-22 2013-05-30 (주)루크북스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50031330A (ko) * 2012-07-11 2015-03-23 레고 에이/에스 완구 브릭, 완구 브릭 제조 방법 및 완구 브릭 제조용 몰딩 공구
KR20140141989A (ko) * 2013-06-03 2014-12-11 이상철 조립식 블록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83Y1 (ko)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767B2 (en) Toy building block
KR20160093646A (ko)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판 및 이러한 조립판을 구비하는 완구 조립 세트
US4026087A (en) Building block
JPH07163428A (ja) モジュラー組立体及びその構成要素
US20110232534A1 (en) Versatile furniture units suitable for children
JP3839810B2 (ja) ペットボトル連結具
US3872620A (en) Panel construction toy
KR200485983Y1 (ko) 조립블록
CN209790874U (zh) 一种鲁班锁
KR20140100714A (ko) 완구용 블럭
KR200406229Y1 (ko) 조립블럭
CN203944129U (zh) 一种玩具娃娃房
KR101508097B1 (ko) 유희 연결구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KR102119364B1 (ko) 조립식 가구
KR20180063468A (ko) 조립식 블록완구
US8794576B2 (en) Knockdown table leg of game table
KR200464964Y1 (ko) 조립식 액자
CN209790873U (zh) 一种鲁班锁
KR100958062B1 (ko) 높이 조절용 코너 선반
JP5903140B1 (ja) 組立式収納体
CN209204658U (zh) 一种鲁班锁
CN210096930U (zh) 一种新型玩具积木桌
CN209771347U (zh) 一种鲁班锁
CN209204673U (zh) 一种鲁班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