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34A - 재활용병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병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34A
KR20180000634A KR1020160078914A KR20160078914A KR20180000634A KR 20180000634 A KR20180000634 A KR 20180000634A KR 1020160078914 A KR1020160078914 A KR 1020160078914A KR 20160078914 A KR20160078914 A KR 20160078914A KR 20180000634 A KR20180000634 A KR 2018000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unting panel
panel
recycling bott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김현규
김인수
배재빈
최근목
최민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634A/ko
Publication of KR2018000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9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12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재활용병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재 패널; 및 탑재 패널을 탄성 지지하고, 탑재 패널에 탑재되는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면서 탑재패널을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병 회수장치{RECYCLABLE BOTTLE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재활용병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활용병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병은 재활용 쓰레기통에 투입된다. 재활용 쓰레기통은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재활용병이 재활용 쓰레기통에 투입됨에 따라 재활용병이 회수되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재활용 쓰레기통은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재활용병의 투입시 재활용병이 낙하되면서 재활용 쓰레기통의 바닥이나 재활용병에 충격되어 파손될 수 있다. 재활용병이 파손됨에 따라 재활용병의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4735호(2011. 07. 26 공개, 발명의 명칭: 쓰레기통 압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활용병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재 패널; 및 상기 탑재 패널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탑재 패널에 탑재되는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탑재패널을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재 패널을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탑재 패널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탑재 패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탑재 패널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상기 탑재 패널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탑재 패널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에 접촉되는 센서부; 및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센서부에 접촉되는 경우,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재활용병을 수용하는 포대가 걸리도록 설치되는 포대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대 걸이부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포대가 걸리는 포대 걸이대; 및 상기 포대 걸이대를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매달리게 하는 행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고정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패널의 하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가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므로,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탑재 패널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병이 케이스의 내부에 투입되더라도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재가 탑재 패널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탑재 패널이 상하로 이동될 때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재가 탄성부재의 내부에 끼워지므로, 탄성부재가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될 때에 일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재 패널에 탑재된 재활용병이 탑재 패널의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에서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탑재 패널이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에서 탑재 패널이 하강됨에 따라 가압부재와 센서부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재활용병 회수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케이스(110), 탑재 패널(120) 및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케이스 바디(111), 개폐 도어(113) 및 수납 도어(115)를 포함한다. 케이스 바디(111)는 개폐 도어(113)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 도어(113)는 케이스 바디(111)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스 바디(111)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통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개폐 도어(113)의 상측에는 재활용병(미도시)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4)가 형성된다. 투입구(114)는 케이스 바디(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탑재 패널(12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탑재 패널(120)은 케이스(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탑재 패널(120)의 상측에는 케이스(110)에 투입되는 재활용병이 탑재된다. 탑재 패널(120)은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층이 도포된 합성수지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탑재 패널(120)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탄성부재(130)는 탑재 패널(120)을 탄성 지지하고, 탑재 패널(120)에 탑재되는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면서 탑재 패널(110)을 이동시킨다. 탄성부재(130)의 스프링 상수는 탑재 패널(120)의 넓이 및 재활용병의 적재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쟁의 스프링 상수는 재활용병의 적재 높이가 증가하는 만큼 탑재 패널(12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설계된다.
탑재 패널(120)에 재활용병이 전혀 탑재되지 않았을 때에 탑재 패널(120)이 투입구(11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탄성부재(130)의 길이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가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므로,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탑재 패널(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병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투입되더라도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병을 꺼내거나 운반할 때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높이를 증가시키더라도 재활용병의 투입시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탑재 패널(120)을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탑재 패널(120)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복수개의 탄성부재(130)가 탑재 패널(120)의 둘레부를 지지하므로, 탑재 패널(120)이 평행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상하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다.
탑재 패널(12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부재(130) 대신에 피스톤을 적용할 수도 있다.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탑재 패널(1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40)가 탑재 패널(120)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탑재 패널(120)이 상하로 이동될 때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케이스(110)의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원형봉 또는 다각형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탑재 패널(120)의 모서리부에는 가이드부재(14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홀 또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탑재 패널(120)이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이동되므로, 탑재 패널(120)에 재활용병이 편중되게 적재되어 탑재 패널(120)의 무게중심이 편중되더라도 탑재 패널(12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탑재 패널(120)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탄성부재(13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140)가 끼워진다. 이때, 가이드부재(140)의 외측면에는 탄성부재(130)가 접촉되거나 약간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부재(140)가 탑재 패널(120)의 둘레부에 배치되므로, 가이드부재(140)가 재활용병이 수용되는 공간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병이 수용되는 실질적인 공간이 가이드부재(140)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40)가 탄성부재(130)의 내부에 끼워지므로, 탄성부재(130)가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축될 때에 일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0)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재 패널(120)이 일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탑재된 재활용병이 탑재 패널(120)의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탑재 패널(120)에 설치되는 가압부재(151)와, 탑재 패널(120)이 이동됨에 따라 가압부재(151)에 접촉되는 센서부(153)와, 센서부(153)에 가압부재(151)가 접촉되는 경우,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55)을 더 포함한다. 가압부재(151)는 탑재 패널(120)의 하측에 고정되고, 센서부(153)는 케이스(110)의 하측에 가압부재(15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센서부(153)로는 가압부재(151)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발광모듈(155)로는 엘이디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발광모듈(155)에는 태양광 전지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가압부재(151)가 센서부(153)에 접촉됨에 따라 발광모듈(155)에서 광이 조사되므로, 발광모듈(155)을 보고 케이스(110)의 내부에 재활용병이 충분히 수거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155)을 보고 케이스(110)로부터 재활용병을 빼내어 재활용품 저장소(미도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재활용병 회수장치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재활용병을 수용하는 포대(20)가 걸리도록 설치되는 포대 걸이부(160)를 더 포함한다. 포대 걸이부(160)에 포대(20)를 걸어두면, 케이스(110)의 내부에 재활용병이 투입될 때에 포대(20)의 내부에 재활용병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포대(20)에 재활용병이 채워진 후에 포대(20)를 꺼내어 재활용병을 재활용 차량 등에 실을 수 있다. 재활용병의 수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포대 걸이부(160)는 케이스(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포대(20)가 걸리도록 걸림 후크(162)가 형성되는 포대 걸이대(161)와, 포대 걸이대(161)를 케이스(110)의 상측에 매달리게 하는 행거부(165)를 포함한다. 포대 걸이대(161)는 케이스(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링형태로 형성된다. 행거부(165)는 케이스(110)의 상측에 용접이나 체결부재에 고정되고, 케이스(1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행거부(165)가 포대 걸이부(160)를 케이스(110)의 상측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하므로, 포대 걸이대(161)에 포대(20)의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투입되는 재활용병이 포대(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하측에는 탄성부재(130)를 지지하도록 고정 패널(170)이 설치되고, 고정 패널(170)은 케이스(110)의 하측과 이격되어 수납 공간(173)을 형성한다. 수납 공간(173)의 개구부에는 수납 도어(1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납 도어(115)는 수납 공간(173)을 개폐시킨다. 고정 패널(170)의 하측에 수납공간(173)이 형성되므로, 수납공간(173)에 포대(20), 장감, 집게, 방화 용품 등과 같은 필요 용품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에서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탑재 패널이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병 회수장치에서 탑재 패널이 하강됨에 따라 가압부재와 센서부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포대 걸이대(161)의 걸림 후크(162)에 포대(20)의 상측이 고정된다. 포대(20)의 상측은 대략 원형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포대(20)의 하측은 탑재 패널(120)에 의해 지지된다.
재활용병이 개폐 도어(113)의 투입구(114)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에 투입되면, 포대(20)의 내부에 재활용병이 수용된다. 포대(20)에 재활용병이 투입됨에 따라 탑재 패널(120)에는 재활용병의 하중이 가해진다. 재활용병의 하중은 탄성부재(130)에 하중이 가해진다.
재활용병의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탄성부재(130)가 길이방향으로 수축된다. 탄성부재(130)가 수축됨에 따라 탑재 패널(120)이 하강된다. 이때, 탑재 패널(120)은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원활하게 하강된다.
탑재 패널(120)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재활용병이 적재된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탑재 패널(120)이 하강되더라도 투입구(114)와 재활용병의 적재된 높이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투입구(114)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병이 적재된 재활용병에 충격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활용병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병의 회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재활용병이 포대(20)에 더욱 많이 적재됨에 따라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탄성부재(130)가 점차적으로 수축되면서 탄성부재(130)의 길이가 짧아진다. 탄성부재(130)가 수축됨에 따라 탑재 패널(120)은 점차적으로 하강된다. 이때, 탑재 패널(120)에 고정되는 가압부재(151)가 탑재 패널(120)과 함께 하강된다.
가압부재(151)가 탑재 패널(120)과 함께 하강되어 센서부(153)에 접촉되면, 센서부(153)는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는 센서부(153)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발광모듈(15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발광모듈(155)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광모듈(155)에서 광이 조사된다. 발광모듈(155)에서 광이 조사됨에 따라 재활용병 회수장치의 내부에 재활용병이 충분히 수거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발광모듈(155)에서 광이 조사되면, 개폐 도어(113)를 개방시킨 후 포대 걸이부(160)에서 포대(20)를 분리한 후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빼낼 수 있다. 포대(20)를 빼냄에 의해 수거된 재활용병을 모두 빼낼 수 있으므로, 재활용병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11: 케이스 바디
113: 개폐 도어 114: 투입구
115: 수납 도어 120: 탑재 패널
130: 탄성부재 140: 가이드부재
151: 가압부재 153: 센서부
155: 발광모듈 160: 포대 걸이부
161: 포대 걸이대 162: 걸림 후크
165: 행거부 170: 고정 패널
173: 수납 공간

Claims (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재 패널; 및
    상기 탑재 패널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탑재 패널에 탑재되는 재활용병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탑재패널을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탑재 패널을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탑재 패널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탑재 패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탑재 패널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패널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탑재 패널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에 접촉되는 센서부; 및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센서부에 접촉되는 경우,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재활용병을 수용하는 포대가 걸리도록 설치되는 포대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걸이부는,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포대가 걸리는 포대 걸이대; 및
    상기 포대 걸이대를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매달리게 하는 행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고정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패널의 하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병 회수장치.
KR1020160078914A 2016-06-23 2016-06-23 재활용병 회수장치 KR20180000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14A KR20180000634A (ko) 2016-06-23 2016-06-23 재활용병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914A KR20180000634A (ko) 2016-06-23 2016-06-23 재활용병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34A true KR20180000634A (ko) 2018-01-03

Family

ID=6100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914A KR20180000634A (ko) 2016-06-23 2016-06-23 재활용병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6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3482A (zh) * 2020-11-16 2021-01-05 三门踱哒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自动处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3482A (zh) * 2020-11-16 2021-01-05 三门踱哒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自动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32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urning, opening and filling transport bags conveyed in a suspended manner
CN103826996B (zh) 将存入自动化仓库的计件货物分离的装置和方法
KR101484546B1 (ko)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JP6922567B2 (ja) 吊下げ収納体
US20060186187A1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waste, dirty laundry, and the like
KR102176836B1 (ko) 캡 조립장치
CA3104334A1 (en) Storage and order-picking system as well as order-picking method with improved transfer of goods between two storage zones
CH711565A1 (en) Transport bag for the transport and / or storage of objects and transport device with such a transport bag.
JP2015168531A (ja) 物品支持装置
KR20180000634A (ko) 재활용병 회수장치
US4947903A (en) Material recovery apparatus
TW201430197A (zh) 垃圾縱向搬運裝置
CN1759425A (zh) 用于发放袋子的自动售货机
CN113853346B (zh) 悬挂输送系统和用于确定悬挂袋的厚度的方法
CN203695439U (zh) 一种智能分拣柜
KR20160031313A (ko) 분리수거함
CA3104332A1 (en) Storage and order-picking system as well as order-picking method with improved transfer of goods between two storage zones
JP2023093422A (ja) 物品回収装置
US20170217663A1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material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EP18207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textile
KR101959997B1 (ko) 롤테이너 티퍼 장치
KR20120016391A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이동 퍼즐식 쓰레기통
EP0408820B1 (en) Differentiated collecting station for used plastic containers with suction drawing
KR20090072054A (ko) 재활용품 수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