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97U - 개줄 고정구 - Google Patents

개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97U
KR20180000597U KR2020160004841U KR20160004841U KR20180000597U KR 20180000597 U KR20180000597 U KR 20180000597U KR 2020160004841 U KR2020160004841 U KR 2020160004841U KR 20160004841 U KR20160004841 U KR 20160004841U KR 20180000597 U KR20180000597 U KR 201800005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xing
dog
lin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84Y1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20160004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8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가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고정고리가 제1고리를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2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개줄 고정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개줄 고정구{FIXING DEVICE FOR DOG LEAD}
본 고안은 개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부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스트와; 상기 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1고리와, 상기 제1고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고정고리와; 상기 제2고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메인 잠금구와 상기 메인 잠금구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잠금구가 구비되는 제2고정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를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개줄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고정고리에 고정하면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제1고정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2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의 진행에 따라 많은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으며, 개는 반려동물 가운데 사람을 제일 잘 따르는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개를 키우고 있다.
비교적 몸집이 작은 애완견은 집안에서 키우는 것이 일반적이나, 몸집이 큰 개는 실외 바닥면에 기둥을 고정한 후 목에 줄을 걸어 일정장소에 묵어 기르게 된다.
그런데, 개의 목에 고정된 개줄을 기둥에 걸어 고정해 두었을 때, 개가 기둥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게 되면 개줄이 기둥이나, 개의 발 또는 몸통에 감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개줄은 보다 오랜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강도가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기둥에 감기는 동작이 반복되게 되면 내구성이 점차 저하되어 개줄이 단락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개를 분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개줄을 추가적으로 구매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759호에 "가축용 고정줄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줄 고정구는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기둥과 직교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는 원판형의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며, 가축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걸어 가축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고정줄과 결합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고정구는 상기 고정줄을 고정수단에 고정하면 가축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고정줄이 기둥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에 개줄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의 고정구는 개가 지면에서 뒹굴게 되면 고정줄이 축방향을 따라 점차 꼬이면서 내구성이 저하되어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의 고정구는 개줄을 회전판에 고정하기 위해서 U-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위한 공구(예를 들어 스패너)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고, 개줄을 회전판과 분리할 때에도 너트를 풀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가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를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가 지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뒹굴때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개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개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개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부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스트와; 상기 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1고리와, 상기 제1고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고정고리와; 상기 제2고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메인 잠금구와 상기 메인 잠금구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잠금구가 구비되는 제2고정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를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개줄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고정고리에 고정하면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제1고정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2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제1고정고리는 상기 제1고리의 일측에 나사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리의 일측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결합된 나사축에 결합되어 나사축이 관통공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2고리가 제1고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부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스트와; 상기 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1고리와, 상기 제1고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고정고리와; 상기 제2고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축핀으로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의 타단에 지지 및 걸림되어 본체 외부로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메인 잠금구와, 상기 메인 잠금구 내부에 메인 잠금구와 본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손으로 메인 잠금구를 개방한 후 손을 놓으면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동되어 잠기도록 구성되는 제3고정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를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개줄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3고정고리에 고정하면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제3고정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3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개가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고정고리가 제1고리를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2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거나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함으로써 개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개줄의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개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는 보조 잠금구를 통해 결속력을 현저히 증대시켜 개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는 두 개의 제3고정고리를 사용하되 양측 개방부가 서로 엇갈리는 형태가 되도록 배치하여 개줄을 고정함으로써 결속력을 증대시켜 개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줄 고정구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에 개줄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에 개줄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개줄 고정구에 개줄을 고정한 상태에서 개가 뒹굴어 개줄이 꼬인 상태를 촬영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개줄 고정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지면에 설치된 포스트에 개줄이 고정된 상태에서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문제점과, 개가 지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뒹굴때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개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에 개줄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100)는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10)와,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고리(120)와, 상기 제1고정고리에 결합되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고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스트(110)는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소정길이의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부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이부(112) 및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캡(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스트(110)는 강도와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112)와 마감캡(1130)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이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걸이부의 외주면과 마감캡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고리(120)는 상기 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1고리(121)와, 상기 제1고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고리(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고리(120)는 상기 제1고리의 일측에 나사축(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리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결합된 나사축에 결합되어 나사축이 관통공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1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고리(130)는 상기 제2고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에 개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메인 잠금구(133)와 상기 메인 잠금구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잠금구(134)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고정고리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방부(132)가 형성되는 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축핀에 의해 결합되어 개방부의 내측으로 탄성을 갖고 각도조절되는 메인 잠금구(133)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잠금구가 개방부를 차단하였을 때 메인 잠금구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보조 잠금구(134)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잠금구(134)는 나사식으로 회전시켜 위치가 조절되면서 메인 잠금구(133)를 잠그거나 풀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잠금구에 형성된 암나사는 메인 잠금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 잠금구(134)는 나사식으로 회전시켜 풀었을 때 메인 잠금구의 숫나사에서 완전히 나사분리되지 않도록 메인 잠금구의 일측에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를 통한 개줄의 고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포스트(110)를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한 다음, 마감캡(113)을 걸이부(112)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고정고리의 제1고리(121)를 포스트의 걸이부(112)에 걸어 고정한 다음 마감캡(113)을 걸이부(112)에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고리(122)가 제2고정고리(130)의 개방부를 통과하도록 걸어 제1고정고리(120)와 제2고정고리(130)를 결속한다. 이때, 상기 제2고정고리(130)는 보조 잠금구(134)가 풀려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개방부를 통해 제2고정고리(130)의 본체 내부로 개줄(140)을 삽입한 후 메인 잠금구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개방부(132)를 폐쇄한 다음 보조 잠금구(134)를 잠궈 개줄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개줄(140)이 개줄 고정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제1고정고리(120)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140)이 포스트(11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2고리(122)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1과 같이 종래의 개줄 고정구들은 포스트에 개줄이 감기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었으나, 개가 지속적으로 뒹굴어 개줄이 꼬이면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던 것에 반하여, 본 고안은 상기 제1고정고리의 제2고리(122)를 통해 개가 뒹구는 방향으로 개줄이 함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개줄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개줄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수명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개줄의 단락으로 인한 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에 개줄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는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110)와,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고정고리(120)와, 상기 제1고정고리에 결합되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고정고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스트(110)와 제1고정고리(120)는 상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3고정고리(150)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방부(152)가 형성되는 본체(15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 축핀을 매개로 결합되어 본체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에 지지 및 걸림되어 본체의 외부로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메인 잠금구(153)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잠금구 내부에는 메인 잠금구와 본체에 양단이 지지되며 메인 잠금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제3고정고리는 손으로 메인 잠금구(153)를 눌러 본체의 내측으로 메인 잠금구를 회동시켜 개방부를 개방한 다음 그 내부로 개줄(140)을 투입한 다음 손을 놓으면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되어 메인 잠금구(153)의 단부가 본체의 단부에 걸리면서 잠기게 되고, 상기 개방부가 폐쇄되면서 개줄이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를 통해 개줄을 고정할 때에는 상기 제1고정고리의 제1고리(121)에 두 개의 제3고정고리(150)를 고정하되 각 개방부가 서로 엇갈리도록 고정하며, 도 4와 같이 하나의 제3고정고리는 개방부(152)가 위를 바라보도록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제3고정고리는 개방부(152)가 아래를 바라보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이유는 개줄(140)을 고정해 두었을 때 일측 제3고정고리(150)의 메인 잠금구(153)가 임의로 회동되어 개방되면서 개줄이 이탈하더라도 타측의 제3고정고리가 개줄을 결속해줌으로써 개줄이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고정고리(150)의 메인잠금구(153)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예를 들어 포스트나 건물의 모서리 또는 돌맹이 등에 메인잠금구가 밀착된 상태에서 힘이 가해지면 자연스럽게 메인잠금구가 회동되면서 개줄이 이탈될 수 있다. 하지만, 또 하나의 제3고정고리는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측 방향에 개방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개줄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줄 고정구는 상기 포스트를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개줄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3고정고리에 고정하면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제3고정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3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개줄의 내구성과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개줄의 단락으로 인한 개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개줄 고정구
110 : 포스트 111 : 고정부
112 : 걸이부 113 : 마감캡
120 : 제1고정고리 121 : 제1고리
122 : 제2고리 123 : 나사축
124 : 너트
130 : 제2고정고리 131 : 본체
132 : 개방부 133 : 메인 잠금구
134 : 보조 잠금구
140 : 개줄
150 : 제3고정고리 151 : 본체
152 : 개방부 153 : 메인 잠금구

Claims (3)

  1.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부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이부(112) 및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캡(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스트(110)와;
    상기 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1고리(121)와, 상기 제1고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고리(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고정고리(120)와;
    상기 제2고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131)의 일측에 개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메인 잠금구(133)와 상기 메인 잠금구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잠금구(134)가 구비되는 제2고정고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110)를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개줄(140)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고정고리(130)에 고정하면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제1고정고리(120)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2고리(122)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줄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고리는 상기 제1고리의 일측에 나사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리의 일측에 상기 나사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결합된 나사축에 결합되어 나사축이 관통공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2고리가 제1고리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줄 고정구.
  3. 일측 단부가 개의 목에 채워진 목걸이에 고정된 개줄을 고정하여 개의 움직임을 단속하기 위한 개줄 고정구에 있어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고정부보다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상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스트와;
    상기 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1고리와, 상기 제1고리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고정고리와;
    상기 제2고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축핀으로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의 타단에 지지 및 걸림되어 본체 외부로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메인 잠금구와, 상기 메인 잠금구 내부에 메인 잠금구와 본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손으로 메인 잠금구를 개방한 후 손을 놓으면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동되어 잠기도록 구성되는 제3고정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스트를 바닥면에 고정한 다음 상기 개줄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3고정고리에 고정하면 개가 포스트를 중심으로 축방향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제3고정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포스트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가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뒹굴면 상기 제3고리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줄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줄 고정구.
KR2020160004841U 2016-08-22 2016-08-22 개줄 고정구 KR200486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41U KR200486884Y1 (ko) 2016-08-22 2016-08-22 개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41U KR200486884Y1 (ko) 2016-08-22 2016-08-22 개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97U true KR20180000597U (ko) 2018-03-05
KR200486884Y1 KR200486884Y1 (ko) 2018-07-10

Family

ID=6164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841U KR200486884Y1 (ko) 2016-08-22 2016-08-22 개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77A (ko) * 2021-02-26 2022-09-02 노상완 동물 목줄 고정용 말뚝장치
KR20220141500A (ko) * 2021-04-13 2022-10-20 노상완 목줄 고정용 말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735A (ja) * 1996-07-31 1998-02-17 Shigeru Kodama 動物リード止具
KR20110057112A (ko) * 2011-05-13 2011-05-31 유정아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연결고리
KR20150124759A (ko) * 2014-04-29 2015-11-06 이선 가축용 고정줄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735A (ja) * 1996-07-31 1998-02-17 Shigeru Kodama 動物リード止具
KR20110057112A (ko) * 2011-05-13 2011-05-31 유정아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연결고리
KR20150124759A (ko) * 2014-04-29 2015-11-06 이선 가축용 고정줄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77A (ko) * 2021-02-26 2022-09-02 노상완 동물 목줄 고정용 말뚝장치
KR20220141500A (ko) * 2021-04-13 2022-10-20 노상완 목줄 고정용 말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84Y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5807B2 (en) Expandable pole socket with twist and lock insert
US8052078B2 (en) Wire dispensing device
KR200486884Y1 (ko) 개줄 고정구
US10364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stake mounting
US10011963B2 (en) Crowd control stanchion with chain storage
KR200477884Y1 (ko) 중장비용 고리의 안전장치
US20150000613A1 (en) Pet leash with padlock
US3658037A (en) Ground-stake animal tether
DE60224662T2 (de) Angelwindenspule
US3508525A (en) Tethering device
US8544149B1 (en) Gate stabilizer
US20170079239A1 (en) Tie-Out Post Having a Detachable and Rotatable Connection Point
US6550409B1 (en) Rat ring
US6196489B1 (en) Umbrella wire-winding device
US20120225578A1 (en) Electrical connection, cord anchor and method of anchoring same
US9255599B1 (en) Nut tightening system
KR20150124759A (ko) 가축용 고정줄 고정구
US11359426B2 (en) Gate hinge pin assembly
KR102131434B1 (ko) 양식용 발 인양기
US447436A (en) Wire-tightener
US3799595A (en) Gate tightener
DE202014008313U1 (de) Halte- und Standvorrichtung für eine Weidezaunhaspel
KR102589727B1 (ko) 목줄 고정용 말뚝장치
US20220046899A1 (en) Modular Birding Accessory Pole System
KR101613350B1 (ko) 철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