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81A -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81A
KR20180000581A KR1020160078772A KR20160078772A KR20180000581A KR 20180000581 A KR20180000581 A KR 20180000581A KR 1020160078772 A KR1020160078772 A KR 1020160078772A KR 20160078772 A KR20160078772 A KR 20160078772A KR 20180000581 A KR20180000581 A KR 2018000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rts
motion
coaching
us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석
김명규
김종성
서상우
정일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7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581A/ko
Publication of KR2018000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개인화된 스포츠 코칭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개개인의 신체 조건, 스포츠 동작 훈련 정도 등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한 개인화된 스포츠 동작 분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스포츠 동작 분석 및 코칭이 일상적인 스포츠 활동 중에도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실제 스포츠 활동 시에 기록된 동작들이 새로운 코칭 목표를 위해 피드백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sports action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모션 인식을 통한 스포츠 동작 코칭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착용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개인화된 스포츠 코칭을 제공할 수 있는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스포츠 활동 분석 및 코칭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 중 하나로 스포츠용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는 신체 동작 분석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예: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GPS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는 일반적으로 신체에 부착할 수 있는 수단(예: 클립, 밴드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를 신체의 일정 부위(예: 손목, 발목 등)에 부착하여 스포츠 활동 분석 및 코칭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스포츠용 웨어러블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가볍고 신체 동작에 제한이 적은 형태로 만들어져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실제 스포츠 활동에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전신 동작에 대한 인식은 어려우며, 더 나아가 이러한 제약들로 인해 개개인의 신체 특성 및 훈련 정도를 충분히 반영한 분석 및 코칭을 제공하는 것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전신 동작을 인식하여 스포츠 동작 분석 및 코칭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마커 기반 또는 깊이 카메라 기반의 모션 캡처 장치를 통해 전신 동작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신 동작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포츠 동작 분석 및 코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신 동작 인식을 위한 모션 캡처 장비들은 일반적으로 설치 장소 및 인식 범위에 제약이 있으며, 그로 인해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스포츠 활동에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모션 센서와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개인화된 스포츠 동작 분석 및 코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각 개인의 신체 특성 및 스포츠 동작 훈련 정도 등을 반영해 개인화된 코칭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스포츠 활동에서 동작 분석 및 코칭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스포츠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 및 수신한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코칭의 대상이 되는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동작을 분석하여 코칭 가이드 정보에 따라 각 동작에 따른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개개인의 신체 조건, 스포츠 동작 훈련 정도 등의 개인적인 특성을 고려한 개인화된 스포츠 동작 분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스포츠 동작 분석 및 코칭이 일상적인 스포츠 활동 중에도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실제 스포츠 활동 시에 기록된 동작들이 새로운 코칭 목표를 위해 피드백 되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코칭 가이드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동작 코칭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10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1000)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스포츠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는 인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인체의 움직임, 즉 동작이 발생한 경우 동작의 가속도, 각속도, 이동 각도, 이동 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는 모션 센서부(110), 데이터 통신부(120)만을 포함하며, 동작 인식 분석은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에서 처리 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를 위한 처리부, 사용자 동작 데이터 및 분석 S/W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다른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 사용자와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예: 버튼, LCD, 스피커 등),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스포츠 동작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에 송신하고, 그에 대한 스포츠 동작 인식과 분석은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가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자체적으로 스포츠 동작 인식과 분석을 수행하여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는 수신한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코칭의 대상이 되는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을 분석하여 코칭 가이드 정보에 따라 각 동작에 따른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 및 분석하고 그 결과, 즉 스포츠 코칭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 사용자가 스포츠 동작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공간(예를 들어 체육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츠 코칭 정보가 코칭 대상 동작에 대한 훈련 성취도, 부상 위험도, 훈련 목표, 추가 동작 코칭이 필요한 신체 부위, 신체 조건을 고려한 대안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논리 회로 및 이들과 연결된 입출력 장치(예: 모션 센서,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데이터 및 코칭 가이드 정보, 스포츠 코칭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송신하는 스포츠 동작 정보 데이터 베이스(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는 모션 센서부(110), 데이터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부(110)는 사용자 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고 있는 사용자의 관절, 근육, 전신 인체의 세부적인 움직임 및 이동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션 센서부(110)는 코칭의 대상이 되는 동작(예: 차는 동작일 경우 발목, 휘두르는 동작일 경우 손목에 장착)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된 모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데이터에는 활동기록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활동기록 데이터는 동작 종류, 센서 장착 부위, 모션 데이터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데이터에 포함된 활동기록 데이터는 이후 개인화된 코칭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피드백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20)는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부(100)와 연결된 모션 센서를 코칭의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착용형 스포츠 동작부(100)의 모션 센서의 측정범위 내에서 이루어 지는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 동작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예: LAN,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해 설치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에 송신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는 스포츠 동작 인식부(210), 스포츠 코칭 정보 생성부(220), 코칭 정보 변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츠 동작 인식부(210)는 수신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칭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스포츠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츠 동작 인식부(210)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논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사용자 스포츠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에서 존재하고 있는 동작 인식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한정적으로 특정하지는 아니한다.
스포츠 코칭 정보 생성부(220)는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스포츠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코칭 가이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개인화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칭 가이드 정보는 인식된 동작에 따른 센서 부착 부위, 분석대상, 분석 기준, 분석 방법,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코칭 가이드 정보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 가이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은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의 비교(예: 프로 선수의 동작 데이터와의 유사도 비교), 코칭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의 비교(예: 관절의 선속도, 각속도 등의 비교), 통계적 비교(예: 사용자 자신의 날짜별 동작 정확성 향상), 전신 모션과 부분 관절 모션(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 장치를 통한)의 상관 관계 비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츠 코칭 정보 생성부(220)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스포츠 코칭 정보에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훈련 성취도(예를 들어 동작 정확도, 운동 강도 등), 부상 위험도, 훈련 목표(예를 들어 레퍼런스 동작 대비 50% 관절 범위 향상, 새로운 코칭 대상 동작 제시 등), 추가 동작 코칭이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어깨 동작이 불안정한 경우 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어깨에 장착), 신체 조건을 고려한 대안 동작(예를 들어 키가 작은 경우는 동작 A보다는 동작 B를 제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코칭 정보 변환부(230)는 생성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 정보 변환부(230)는 생성한 스포츠 코칭 정보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에서 이용 가능한 형식(부분 관절 동작 인식 모션에 적용 가능한 형태) 및 사용자에게 출력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 및 출력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변환된 스포츠 코칭 정보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코치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코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토대로 추가적인 코칭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는 코칭 조건 설정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칭 조건 설정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코칭 받을 동작 및 세부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의 부착 위치 또는 부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코칭 가이드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코칭 가이드 정보의 데이터 구조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 가이드 정보는 인식된 코칭 대상 동작에 따른 센서 부착 부위, 분석대상, 분석 기준, 분석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 가이드 정보는 인식된 동작 (예: 킥, 스윙, 점프 등)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동작에 따라 동작 인식시의 센서 장착 부위별 분석 대상 및 분석 기준, 분석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분석 대상은 예를 들어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 또는 부상의 위험이 있는 동작인지 등의 여부와 같이 수행된 동작의 어떤 특성을 분석할지에 대한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분석 기준은 예를 들어 참조 모션 데이터와의 비교 또는 계산된 동작 파라미터 값의 비교하는 것과 같이 분석 대상을 어떠한 기준으로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분석 방법은 분석 기준에서 명시한 기준으로 어떻게 동작을 평가(예: 참조 모션 데이터와의 유사도, 정해진 동작 파라미터값 보다 큰지 작은지 등)할 것인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코칭 데이터는 대상 동작(드라이버 스윙), 분석 대상(정확한 스윙 자세), 분석 기준(프로 선수 모션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 방법(유사도 측정)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축구 킥 동작의 경우 대상 동작(인스텝 킥), 분석 대상(부상 위험 정도), 분석 기준(동작 파라미터-무릎 각도), 분석 방법(기준 값보다 큰지 계산)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 가이드 정보가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가 각 인식된 대상 동작에 대해 모션 데이터의 종류, 모션 데이터, 분석 방법, 평가 기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 획득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는 각 코칭 대상 동작에 대해 모션 데이터의 종류(예: 전신 모션 또는 부분 관절 모션), 모션 데이터, 분석 방법, 평가 기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포츠 코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개인화된 골프 스윙 동작을 코칭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체육관 또는 골프연습장에 설치된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200)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골프 스윙을 스윙하는 경우, 스윙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의 비교(예: 프로 선수의 동작 데이터와의 유사도 비교), 코칭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의 비교(예: 관절의 선속도, 각속도 등의 비교), 통계적 비교(예: 사용자 자신의 날짜별 동작 정확성 향상), 전신 모션과 부분 관절 모션(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 장치를 통한)의 상관 관계 비교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골프 스윙 동작에 대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충분한 코칭 결과를 얻을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그 결과(예를 들어 코칭 결과로 사용자 스윙 동작 시에 팔꿈치 동작에 문제가 있다고 가정)를 출력 장치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르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부(1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팔꿈치에 착용하고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게임을 진행하면, 사용자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부(100)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 동작 결과(팔꿈치 동작에 대한 분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골프 게임 진행 시에 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부(100)로부터 얻어진 골프 스윙 동작 데이터들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설치형 스포츠 분석부(200)로로 전송함으로써 실제 골프 게임 시에 피드백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츠 동작 코칭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획득한다(6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고 있는 사용자의 관절, 근육, 전신 인체의 세부적인 움직임 및 이동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의 대상이 되는 동작(예: 차는 동작일 경우 발목, 휘두르는 동작일 경우 손목에 장착)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된 모션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데이터에는 활동기록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활동기록 데이터는 동작 종류, 센서 장착 부위, 모션 데이터 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데이터에 포함된 활동기록 데이터는 이후 개인화된 코칭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피드백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송신한다(6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부(100)와 연결된 모션 센서를 코칭의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착용형 스포츠 동작부(100)의 모션 센서의 측정범위 내에서 이루어 지는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 동작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예: LAN,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해 설치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에 송신될 수 있다.
코칭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스포츠 동작을 인식한다(6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이용하여 코칭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스포츠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츠 동작 인식부(210)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 혹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논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사용자 스포츠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에서 존재하고 있는 동작 인식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한정적으로 특정하지는 아니한다.
개인화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한다(6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스포츠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코칭 가이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개인화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칭 가이드 정보는 인식된 동작에 따른 센서 부착 부위, 분석대상, 분석 기준, 분석 방법,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코칭 가이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것은 레퍼런스 동작 데이터와의 비교(예: 프로 선수의 동작 데이터와의 유사도 비교), 코칭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동작 파라미터의 비교(예: 관절의 선속도, 각속도 등의 비교), 통계적 비교(예: 사용자 자신의 날짜별 동작 정확성 향상), 전신 모션과 부분 관절 모션(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 장치를 통한)의 상관 관계 비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츠 코칭 정보 생성부(220)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스포츠 코칭 정보에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훈련 성취도(예를 들어 동작 정확도, 운동 강도 등), 부상 위험도, 훈련 목표(예를 들어 레퍼런스 동작 대비 50% 관절 범위 향상, 새로운 코칭 대상 동작 제시 등), 추가 동작 코칭이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어깨 동작이 불안정한 경우 착용형 스포츠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한 어깨에 장착), 신체 조건을 고려한 대안 동작(예를 들어 키가 작은 경우는 동작 A보다는 동작 B를 제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포츠 코칭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6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한 스포츠 코칭 정보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에서 이용 가능한 형식(부분 관절 동작 인식 모션에 적용 가능한 형태) 및 사용자에게 출력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어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100) 및 출력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변환된 스포츠 코칭 정보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또는 코치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코치는 스포츠 코칭 정보를 토대로 추가적인 코칭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 200 :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
300 : 스포츠 동작 정보 데이터 베이스
1000 :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Claims (1)

  1. 사용자의 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스포츠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수집하는 착용형 스포츠 동작 수집부; 및
    수신한 상기 사용자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코칭의 대상이 되는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동작을 분석하여 코칭 가이드 정보에 따라 각 동작에 따른 스포츠 코칭 정보를 생성하는 설치형 스포츠 동작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KR1020160078772A 2016-06-23 2016-06-23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00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72A KR20180000581A (ko) 2016-06-23 2016-06-23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72A KR20180000581A (ko) 2016-06-23 2016-06-23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81A true KR20180000581A (ko) 2018-01-03

Family

ID=6100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72A KR20180000581A (ko) 2016-06-23 2016-06-23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5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79B1 (ko) * 2019-03-26 2019-12-10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충격량 기반 트레이닝 시스템
US11474608B2 (en) 2019-05-29 2022-10-18 Amna Haider Wearable device to teach, correct, and monitor a movement pattern of an exercise in three dimensions
WO2024076131A1 (ko) * 2022-10-05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참조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279B1 (ko) * 2019-03-26 2019-12-10 주식회사 더블유지에스 충격량 기반 트레이닝 시스템
US11474608B2 (en) 2019-05-29 2022-10-18 Amna Haider Wearable device to teach, correct, and monitor a movement pattern of an exercise in three dimensions
WO2024076131A1 (ko) * 2022-10-05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참조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9908A1 (en) Multi-stat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US9008973B2 (en) Wearable sensor system with gesture recognition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US11134865B2 (en) Motion analysis system, motion analysis apparatus, motion analysis program, and motion analysis method
KR101687252B1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60654B1 (ko) 운동 움직임 속성으로부터의 페이스 및 에너지 지출의 계산
US104639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erformance signatures
EP19918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motion parameter
CN106267780B (zh) 一种运动提醒的方法及装置
US9747572B2 (en)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exercise support program
US20160249832A1 (en) Activity Classification Based on Classification of Repetition Regions
CN107205661B (zh) 使用来自多个设备的数据进行能量消耗计算
US11504580B2 (en) Posture coaching system and method for weight training by motion pattern
US20160372002A1 (en) Advice generation method, advice generation program, advice generation system and advice generation device
KR101651429B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US10892055B2 (en) Motor function estimation information generation apparatus, motor function estimation system, motor function estim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motor function estim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Zou et al. A low-cost smart glove system for real-time fitness coaching
KR102070351B1 (ko) 다수의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 계산
KR20180000581A (ko) 스포츠 동작 코칭 장치 및 그 방법
CN210078765U (zh) 基于可穿戴传感器的动作捕捉识别与评估装置
KR20160121460A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US201601800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port for a physical activity
KR101138249B1 (ko) 그립 장치를 이용한 그립 악력 및 움직임 분석 시스템
KR20210002425A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1457A (ko) 오토코칭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200388188A1 (en) Audible feedback system for muscle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