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59U - 돼지수송차량 - Google Patents

돼지수송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59U
KR20180000559U KR2020160004761U KR20160004761U KR20180000559U KR 20180000559 U KR20180000559 U KR 20180000559U KR 2020160004761 U KR2020160004761 U KR 2020160004761U KR 20160004761 U KR20160004761 U KR 20160004761U KR 20180000559 U KR20180000559 U KR 201800005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transportation space
opening
outside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09Y1 (ko
Inventor
정상천
Original Assignee
정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천 filed Critical 정상천
Priority to KR2020160004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0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돼지수송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가 실려 수송되도륵 적재함 바닥면과 측면사방 및 상면이 밀폐되어 구성되는 수송공간부와, 상기 수송공간부의 양측면에 개구되어 수송공간부 내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환기창과, 상기 수송공간부의 후면을 차단하여 수송공간부에 실린 돼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후방개폐도어가 구비되되, 상기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 외측에는 전방측 캐빈 또는 수송공간부 상면패널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상태에서 흡기구커버에 의해 개폐량이 조절되는 외기흡입구를 갖는 외기유입관이 한 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 외측과 접촉되는 상기 외기유입관의 후면 중앙 및 하단부에는 상기 외기흡입구로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외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외기토출구와 일치되는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에는 외기토출구로 배출되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기토출구가 형성된 대향측의 외기유입관 내부에는 유입된 외기가 외기토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풍향유도댐퍼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돼지수송차량{Pig transport vehicle}
본 고안은 돼지수송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 주행풍을 돼지수송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환기 및 열기를 낮추고, 측면창의 개폐를 수송공간 내부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돼지수송차량에 관한 것이다.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육류소비도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육류로 사용되는 가축들의 대량사육과 식육으로 가공을 위해 가축들의 이동 또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육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가축, 즉 소나 돼지를 산지에서 대도시의 도축장이나 가공공장으로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가축이송차량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가축이송차량은 일반 카고크럭의 적재함을 개조하여 사용하다가 가축 이동과정중에 발생되는 각종 불편을 해소하고, 가축이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축 이송을 위한 전문 수송차량이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다.
특히, 비교적 키가 작은 가축들의 경우 한정된 차량의 적재함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적재함을 상하로 구분한 이단 구조의 수송차량이 개발되면서 가축수송효율을 한층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가축수송차량의 경우, 이송과정 중에 적재함에 실린 가축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와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축 수송공간부를 밀폐된 박스형태로 제작하여 이송되는 가축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악취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돼지 수송차량의 경우에는 다른 가축들보다 악취가 더 많이 발생되고, 이송과정 중에 배출되는 배설물로 인해 수송공간내부를 밀폐할 경우 이송되는 개체들이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수송공간부의 내부 온도가 높아져서 내부를 자주 환기시켜야 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는 돼지 이송과정 중에 수시로 수송공간부의 환기를 위해 수송공간부의 측면에 구비된 환기창을 열고 닫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물론, 가축이 실린 적재함의 측면에 마련된 환기창을 오픈시킨 상태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으나, 이럴경우 주행풍에 직접적으로 가축들이 노출되어 건강이 나빠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가축들로부터 각종 병원균이 외부로 전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주행중 가축들이 배출한 배설물이 외부로 비산되어 도로로 낙하되거나 주변 차량으로 떨어져 다른 차량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 가축수송차량은 일반 카고트럭의 적재함을 그대로 이용하여 개조되기 때문에 적재함의 바닥면이 편평한 상태가 유지되는데, 적재함에 실려 이송중인의 가축들이 배출한 배설물이 적재함 바닥에 낙하된 후에 적재함 후방으로 밀리면서 적재함 상면과 적재함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게이트 저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그냥 배출되어 각종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 특허등록 제10-0366313호(등록일: 2002. 12. 13, 발명의 명칭: 가춘 운반용 차량) - 실용신안등록 제20-0352121호(등록일:2004. 05. 24, 고안의 명칭: 무창돈사의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 특허등록 제10-1631098호(등록일: 2016. 06. 10, 발명의 명칭: 공기조화기능을 가지는 가금류 운반차량의 케이지적재함)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가축 수송차량, 즉 돼지수송차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축이 실린 수송공간부 내부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측면창이 개폐되어 수송중인 가축의 건강상태를 유지시키고, 주행중 주행풍이 수송공간부 전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수송공간부의 환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돼지수송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이동중에 수송공간부에 실린 가축들이 배출한 배설물이 적재함 바닥에 낙하되어 차량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가축 배설물의 배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돼지수송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은 돼지가 실려 이송되도륵 적재함 바닥면과 사방측면 및 상방이 밀폐된 수송공간부와, 상기 수송공간부의 양측면에 개구되어 수송공간부 내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환기창과, 상기 수송공간부의 후면을 차단하여 수송공간부에 실린 돼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후방개폐도어가 구비되되, 상기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 외측에는 전방측 캐빈 또는 수송공간부의 상면패널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상태에서 흡기구커버에 의해 개폐량이 조절되는 외기흡입구를 갖는 외기유입관이 한 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수송공간부의 외측 전면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외기유입관의 후면 중앙 및 하단부에는 상기 외기흡입구로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외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외기토출구와 일치되는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에는 외기토출구로 배출되는 외기가 수송공간부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기토출구가 형성된 대향측의 외기유입관 내부에는 유입된 외기가 외기토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풍향유도댐퍼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수송공간부의 상면패널에는 수송공간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시키기 위한 자연식 및 강제식 환풍기가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수송공간부의 내부에는 차량 이동중 수송공간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강제식 환풍기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동작되어 강제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송공간부의 측면패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환기창 일측에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의 초과여부에 따라 강제로 밀폐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개폐구가 일체로 구성된 개폐셔터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송공간부 바닥면 후단부에는 전방측 편평한 바닥면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상향 경사진 배설물 배출방지턱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방지턱의 전방측 바닥면에는 상기 배설물 배출방지턱에 의해 바닥면에 고인 배설물을 수송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수배수관이 차량 하부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오수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이 모여 저장되도록 차량의 저부에는 한 개 이상의 오수통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은 차량 주행중에 주행풍이 외기유입관을 통해 돼지가 수용된 수송공간부 전면으로 자엽스럽게 유입되어 수송공간부의 오염된 공기를 자연스럽게 환기시켜 차량에 실려 이동되는 가축들이 수송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축들이 수용되는 수송공간부 내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내부 온도변화에 따라 측면창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거나 수송공간부 상면에 구비된 강제환풍기를 동작시켜 적정한 내부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되는 돼지의 수송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이동중 돼지들이 배설한 배설물이 차량 주행에 따라 적재함 바닥면 후방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배설물 배출방지턱이 방지하게 되어 뒤따르는 후방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게 되고, 도로를 오염시키는 환경문제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에서 수송공간부의 정면도 및 수송공간부 전면에 설치되는 외기유입관의 분리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다른 수직 절단단면도,
도 4는 측면환기창 일측으로 설치되는 개폐셔터의 동작상태 개략도,
도 5는 수송공간부 내측 바닥면의 일부 발췌된 수직절단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에 설치된 외기유입관을 통해 외기가유입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1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100)에서 캐빈을 제외한 수송공간부(20)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100)은 가축(이하, ‘돼지’로 한정함)을 실어 이송하는 적재부인 수송공간부(20)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돼지가 실리는 밀폐된 수송공간부(20)의 전면부에 차량의 주행중 주행풍이 돼지수송공간부(2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한 개 이상의 외기유입관(40)이 전방 캐빈(10)보다 다소 높게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송공간부(20)의 양측면에는 수송공간부(20)의 내외부 사이에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복수개로 환기창(25)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 환기창(25)에는 수송공간부에 실린 돼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창살(25a)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환기창(25)의 외측면에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환기창(25)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32)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개폐셔터(30)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셔터(30)는 복수개의 개폐구(32)가 가로대(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동시에 전후 슬라이딩되면서 환기창(25)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셔터(30)의 동작은 그 일측에 설치된 개폐수단(35)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수단(35)은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수송공간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수송공간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온도센서(50)에서 감지된 수송공간부(20)의 내측 온도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35)이 자동으로 동작되어 개폐셔터(30)의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송공간부(20)의 천정판넬(26)에는 복수개의 자연 환기구(27)와 강제로 팬이 구동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강제환풍기(28)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제환풍기(28)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도록 운전석에 별도의 환풍기조작스위치(도시생략)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송공간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감지된 온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수송공간부(2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수송공간부(20)의 전면판넬(22) 외측면에는 주행중 주행풍이 수송공간부(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유입관(40)이 한 개 이상 설치된다.
상기 외기유입관(40)은 수송공간부(20)의 내측으로 외기의 흡입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좌우 양쪽으로 두 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수송공간부(20)의 크기에 따라 그 갯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관(40)은 차량 전방을 향해 개구된 외기흡입구(42)가 상단에 형성되어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주행풍이 자연스럽게 외기유입관(40)의 내부로 흡입되어 수송공간부(20)의 전면판넬(22)에 형성된 외기유입공(2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기흡입구(42)에는 상하 동작되면서 외기흡입구(42)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흡기구커버(43)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구커버(43)의 좌우 양단에는 복수개의 관통공(49)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커버(43)가 외기흡입구(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기유입관(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49) 및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외기흡입구(42)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공(49a)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는 개폐조절구(47)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조절구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외기흡입구(42)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기구커버(43)는 외기흡입구(42)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안내가이드(46) 내측으로 끼워져 상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상하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면에는 상기 흡기구커버(43)가 외기흡입구(42)에서 분리가능한 분리형의 일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좌우 개폐구조로 이루어져 외기흡입구(42)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힌지고정형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유입관(40)이 설치되는 수송공간부(20)의 전면판넬(22)에는 외기유입관(40)의 외기토출구(44)와 대면하는 위치에 외기토출구(44)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외기유입공(23)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외기토출구(44)에서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공(23)을 통해 수송공간부(2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하로 구성되는 상기 외기유입공(23)은 수송공간부(20)에 실리는 돼지의 수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하 이단 구조로 적재프레임을 구성할 경우, 상단측 외기유입공은 2층 적재프레임의 바닥면으로 외기를 공급하게 되고, 하단측 외기유입공은 1층 적재프레임의 바닥면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는 상기 외기유입관(40)을 수직으로 절단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유입관(40)의 내부, 즉 외기토출구(44)가 형성된 대향측 내벽에는 상방향에서 유입된 외기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부딪히면서 수직벽에 형성된 외기토출구(44)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풍향유도댐퍼(45)가 일정 기울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풍향유도댐퍼(45)의 기울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토출구(44)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방향에서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풍향유도댐퍼(45)의 표면에 부딪힌 후 일정각도로 굴절되면서 외기토출구(44)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는 상기 수송공간부(20)의 측면에 형성된 환기창(25)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개폐셔터(30)의 동작상태가 간단하게 발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셔터(30)는 복수개의 개폐구(32)가 가로로 설치된 연결대(33)에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한번에 여러개의 개폐구(32)가 동시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셔터(30)를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개폐수단(35)은 수송공간부(20)의 측면판넬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셔터에 일단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개폐수단(35)의 동작은 별도의 제어부(37)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어부(37)는 수송공간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온도센서(50)에서 감지되어 전달된 수송공간부(20)의 내측 온도정보를 토대로 상기 개폐수단(35)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37)에는 수송공간부(20)의 내측 기준온도가 설정되어 있어서 온도센서(50)에서 전달된 온도정보를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기준온도보다 수송공간부의 내측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개폐수단(35)에 신호를 보내 개폐셔터(30)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수송공간부(20)의 내측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낮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개폐셔터(30)를 이동시켜 개폐구(32)로 환기창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수송공간부(20)의 1층 및 2층 적재프레임의 바닥면(21)에 대한 일부 발췌 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의 바닥면(21)은 그 말단부가 전방측 바닥면보다 다소 높게 상향 경사진 형태의 배설물 배출방지턱(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설물 배출방지턱(60)은 이송중인 돼지들이 배설한 배설물이 적재프레임의 바닥면(21)에 낙하된 후에 차량 주행에 따라 바닥면(21)의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차량의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수송공간부 외부로 배출되어 도로에 낙하되어 도로를 오염시키거나 뒤따르는 다른 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설물 배출방지턱(60)에 의해 차량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배설물을 별도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면(21)과 경사진 배설물 배출방지턱(60) 사이의 바닥면에는 배수관(62)이 하방으로 관통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62)으로 배출된 배설물은 차량의 저부에 구비된 오수통(65)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수통(65)에 저장된 배설물은 돼지 수송이 완료된 후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오수통(65)의 하부 일측에 오수배출구(67)가 마련되며, 상기 오수배출구에는 마개(68)가 결합되어 마개의 개방을 통래 배설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는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진 외기유입관을 통해 외기가 수송공간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개략상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돼지수송차량(100)은 수송공간부 전면에 마련된 외기유입관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수송공간부 내측 전방으로 외기가 공급되어 수송공간부 내측 오염된 공기의 외부 배출이 용이하여 수송공간부의 환기효율을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특히, 외부 기상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측면에 마련된 환기창을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송공간부의 내측 환기 및 신선한 외기이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밀폐된 수송공간부에 실린 돼지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 캐빈 20 : 수송공간부
21 : 바닥면 22 : 전면판넬
23 : 외기유입공 24 : 측면판넬
25 : 환기창 25a: 창살
26 : 천정판넬 27 : 자연환기구
28 : 강제환풍기 29 : 후방개폐도어
30 : 개폐셔터 32 : 개폐구
35 : 개폐수단 37 : 제어부
40 : 외기유입관 42 : 외기흡입구
43 : 흡기구 커버 44 : 외기토출구
45 : 풍향유도댐퍼 46 : 안내가이드
47 : 개폐조절구 49 : 관통공
49a : 고정공 50 : 온도센서
60 : 배설물 배출방지턱 62 : 오수배수관
65 : 오수통 67 : 오수배출구
68 : 마개 100 : 돼지수송차량

Claims (4)

  1. 돼지가 실려 이송되도륵 적재함 바닥면과 사방측면 및 상방이 밀폐된 수송공간부와, 상기 수송공간부의 양측면에 개구되어 수송공간부 내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환기창과, 상기 수송공간부의 후면을 차단하여 수송공간부에 실린 돼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후방개폐도어가 구비된 돼지수송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 외측에는 전방측 캐빈 또는 수송공간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상태에서 흡기구커버에 의해 개폐량이 조절되는 외기흡입구를 갖는 외기유입관이 한 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수송공간부의 외측 전면패널과 접촉되는 상기 외기유입관의 후면 중앙 및 하단부에는 상기 외기흡입구로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외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외기토출구와 일치되는 수송공간부의 전면패널에는 외기토출구로 배출되는 외기가 수송공간부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기토출구가 형성된 대향측의 외기유입관 내부에는 유입된 외기가 외기토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풍향유도댐퍼가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수송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공간부의 상면패널에는 수송공간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자연스 럽게 배출시키기 위한 자연식 및 강제식 환풍기가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수송공간부의 내부에는 차량 이동중 수송공간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강제식 환풍기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동작되어 강제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수송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공간부의 측면패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환기창 일측에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의 초과여부에 따라 강제로 밀폐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개폐구가 일체로 구성된 개폐셔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수송차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공간부 바닥면 후단부에는 전방측 편평한 바닥면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상향 경사진 배설물 배출방지턱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방지턱의 전방측 바닥면에는 상기 배설물 배출방지턱에 의해 바닥면에 고인 배설물을 수송공간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수배수관이 차량 하부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오수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이 모여 저장되도록 차량의 저부에는 한 개 이상의 오수통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수송차량.
KR2020160004761U 2016-08-17 2016-08-17 돼지수송차량 KR200486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61U KR200486809Y1 (ko) 2016-08-17 2016-08-17 돼지수송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761U KR200486809Y1 (ko) 2016-08-17 2016-08-17 돼지수송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59U true KR20180000559U (ko) 2018-02-27
KR200486809Y1 KR200486809Y1 (ko) 2018-07-02

Family

ID=6138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761U KR200486809Y1 (ko) 2016-08-17 2016-08-17 돼지수송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317A (ko) 2018-05-25 2019-12-04 김병택 가축 수송용 케이지
KR102280200B1 (ko) * 2020-10-06 2021-07-21 이현주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395614B1 (ko) * 2021-09-09 2022-05-09 주식회사 삼부 닭의 폐사방지를 위한 자동환기 시스템이 구비된 양계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580U (ko) 2020-05-14 2021-11-23 최진규 가축 수송차량의 환기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13B1 (ko) 1999-11-24 2003-01-06 장재선 가축 운반용 차량
KR20030072279A (ko) * 2003-08-08 2003-09-13 주식회사 고산 애완동물용 하우스
KR200352121Y1 (ko) 2004-02-27 2004-06-04 신일식 무창돈사의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KR200365427Y1 (ko) * 2004-07-27 2004-10-25 대한민국 가축운반용 차량
CN2704502Y (zh) * 2004-05-13 2005-06-15 煜丰科技股份有限公司 载运牲畜的空调车
CN201405769Y (zh) * 2009-05-11 2010-02-17 上海鑫百勤专用车辆有限公司 一种环保智能型畜禽运输车
KR101631098B1 (ko) 2015-02-10 2016-06-16 한국차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능을 가지는 가금류 운반차량의 케이지적재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13B1 (ko) 1999-11-24 2003-01-06 장재선 가축 운반용 차량
KR20030072279A (ko) * 2003-08-08 2003-09-13 주식회사 고산 애완동물용 하우스
KR200352121Y1 (ko) 2004-02-27 2004-06-04 신일식 무창돈사의 환기창 자동개폐장치
CN2704502Y (zh) * 2004-05-13 2005-06-15 煜丰科技股份有限公司 载运牲畜的空调车
KR200365427Y1 (ko) * 2004-07-27 2004-10-25 대한민국 가축운반용 차량
CN201405769Y (zh) * 2009-05-11 2010-02-17 上海鑫百勤专用车辆有限公司 一种环保智能型畜禽运输车
KR101631098B1 (ko) 2015-02-10 2016-06-16 한국차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능을 가지는 가금류 운반차량의 케이지적재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317A (ko) 2018-05-25 2019-12-04 김병택 가축 수송용 케이지
KR102280200B1 (ko) * 2020-10-06 2021-07-21 이현주 동물 복지형 가축 운반용 차량
KR102395614B1 (ko) * 2021-09-09 2022-05-09 주식회사 삼부 닭의 폐사방지를 위한 자동환기 시스템이 구비된 양계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09Y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809Y1 (ko) 돼지수송차량
KR102188895B1 (ko) 가축 수송용 케이지
US5167202A (en) Window pet porch
US4029048A (en) Indoor-outdoor toilet for small animals
KR101511053B1 (ko) 가축 운송시 복지 및 폐사방지용 운송 컨테이너 송풍장치
US6439161B1 (en) Exterior litterbox
US10172328B2 (en) Transport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porting livestock
CN205256139U (zh) 无害化物流车及其无害化车厢
US5779536A (en) Truck cab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RU2004128783A (ru) Дверная рама шахтной двери с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лифтом и способ доступа к блоку управления
US20140096719A1 (en) Hog confinement building ventilation system
US6253711B1 (en) Window mounted pet portal
US5782205A (en) Window mounted combination porch and cage system
US7036457B2 (en) Rodent housing rack
US20080110409A1 (en) Transport vehicle for transporting chickens and method for ventilating a compartment thereof
KR100366313B1 (ko) 가축 운반용 차량
CN203937483U (zh) 通风道
US20070000449A1 (en) Multiflap animal door
KR20180000317U (ko) 고양이 화장실용 환기장치
EP1361090B1 (en) A motor vehicle with a system for ventilation of a compartment that is able to house a domestic animal
CN111824906A (zh) 一种用于运输畜牧的电梯及其排污方法
KR20210002580U (ko) 가축 수송차량의 환기시스템
JP3125851U (ja) ペット用ポータブルトイレ
CN219514873U (zh) 一种自动清洁猫砂盆
JP3115165U (ja) 愛玩動物用出入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