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56U - 모종삽 - Google Patents

모종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56U
KR20180000456U KR2020160004543U KR20160004543U KR20180000456U KR 20180000456 U KR20180000456 U KR 20180000456U KR 2020160004543 U KR2020160004543 U KR 2020160004543U KR 20160004543 U KR20160004543 U KR 20160004543U KR 20180000456 U KR20180000456 U KR 201800004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ribs
shovel
longitudinal direction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065Y1 (ko
Inventor
이상미
김경미
정순진
정선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160004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06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0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Abstract

모종삽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종삽은 삽날과, 삽자루를 포함하며, 상기 삽자루는 저부로 개방된 중공의 막대 형태로 마련된 자루본체와, 상기 자루본체의 중공부에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보강리브와, 상기 자루본체 상부에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종삽 복수개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상기 삽자루들 사이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보강리브 사이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Description

모종삽{TROWEL}
본 고안은 보관부피를 줄일 수 있고 정리정돈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모종삽에 관한 것이다.
어리거나 작은 식물을 옮겨 심을 때 사용되는 모종삽은 흙을 퍼올리기 위한 삽날과,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삽자루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삽날은 흙을 퍼담기 용이하도록 끝단이 뾰족하고 양측 사이가 저부로 둥글게 밴딩된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된다.
또 삽자루는 삽질을 하는 과정에서 삽날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통상 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 모양을 이루는 막대 형태로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모종삽은 막대 형태를 취하는 삽자루에 의해 다수개를 상하로 적층시켜 보관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다수개를 정리하여 보관할 경우 정리정돈이 어렵게 됨은 물론, 보관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791호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보관부피를 줄일 수 있게 마련된 모종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 전후 정리정돈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모종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삽날과, 삽자루를 포함하는 모종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는 저부로 개방된 중공의 막대 형태로 마련된 자루본체와, 상기 자루본체의 중공부에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보강리브와, 상기 자루본체 상부에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종삽 복수개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상기 삽자루들 사이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보강리브 사이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 모종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와 돌출리브는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날 저면은 평탄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종삽은 작업시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니게 되면서도 복수개가 안전하게 적층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관부피를 줄일 수 있고, 정리정돈이 용이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종삽의 사시도로, 모종삽을 상부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종삽의 사시도로, 모종삽을 저부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종삽의 측단면도로, 한 쌍의 모종삽이 위아래로 포개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종삽(1)은 흙을 퍼올리기 위한 삽날(10)과,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삽자루(20)를 구비한다.
삽날(10)은 흙을 퍼담기 용이하도록 끝단이 뾰족하고 양측 사이가 대체적으로 저부로 둥글게 밴딩된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날(10)에 있어서, 저면 중앙부에는 평탄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삽날(10) 저면 중앙부가 평탄하게 마련된 모종삽(1)은 평탄부(11)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삽자루(20)는 저부로 개방된 중공의 막대 형태로 마련된 자루본체(21)와, 자루본체(21)의 중공부에 자루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보강리브(22)와, 자루본체(21) 상부에 자루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자루본체(21)는 터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자루(20)는 자루본체(21)의 일단이 삽날(10)에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삽날(10)과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자루본체(21)는 중공부에 설치되는 보강리브(22)를 통해 강성이 보강되어 삽질을 하는 과정에서 삽날(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닐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삽(1) 복수개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삽자루(20)들 사이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리브(23)는 보강리브(22) 사이사이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보강리브(22)와 돌출리브(23)는 자루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모종삽(1) 복수개를 적층시킬 경우 하부 쪽 모종삽(1)의 돌출리브(23)들이 상부 쪽 모종삽(1)의 보강리브(22)들 사이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모종삽(1)이 적층된 상태에서 최하부 쪽 모종삽(1)은 전술한 삽날(10)의 평탄부(11)를 통해 지면에 안전하게 지지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적층된 모종삽(1)들이 무너지지 않고 상호 적층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1: 모종삽 10: 삽날
11: 평탄부 20: 삽자루
21: 자루본체 22: 보강리브
23: 돌출리브

Claims (3)

  1. 삽날과, 삽자루를 포함하는 모종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는 저부로 개방된 중공의 막대 형태로 마련된 자루본체와, 상기 자루본체의 중공부에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보강리브와, 상기 자루본체 상부에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종삽 복수개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 상기 삽자루들 사이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보강리브 사이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 모종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와 돌출리브는 상기 자루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모종삽.
  3.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 저면은 평탄하게 마련된 모종삽.
KR2020160004543U 2016-08-05 2016-08-05 모종삽 KR200487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43U KR200487065Y1 (ko) 2016-08-05 2016-08-05 모종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43U KR200487065Y1 (ko) 2016-08-05 2016-08-05 모종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56U true KR20180000456U (ko) 2018-02-19
KR200487065Y1 KR200487065Y1 (ko) 2018-08-03

Family

ID=6138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43U KR200487065Y1 (ko) 2016-08-05 2016-08-05 모종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0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01U (ko) * 1990-06-20 1992-02-27
CN2919810Y (zh) * 2006-06-16 2007-07-11 何秉毅 园艺铲
KR20070122217A (ko) * 2005-03-18 2007-12-28 세브 에스.아. 적층식 조리 기구들 및 개조된 덮개 및 액세서리
KR20080002791U (ko) 2007-01-18 2008-07-23 이찬흠 모종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401U (ko) * 1990-06-20 1992-02-27
KR20070122217A (ko) * 2005-03-18 2007-12-28 세브 에스.아. 적층식 조리 기구들 및 개조된 덮개 및 액세서리
CN2919810Y (zh) * 2006-06-16 2007-07-11 何秉毅 园艺铲
KR20080002791U (ko) 2007-01-18 2008-07-23 이찬흠 모종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065Y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82172A1 (en) Rock removal skid steer attachment
KR200487065Y1 (ko) 모종삽
US20140060870A1 (en) Multipurpose garden tool
US1706658A (en) Hoe
AU2017100919A4 (en) Planter Bag
CN206433333U (zh) 手持式两用伸缩工具
US20040216653A1 (en) Device for removing plants or the like from ground
US3435903A (en) Pull hoe
CN209546402U (zh) 一种用于种植土茯苓的种植槽
CN208317286U (zh) 一种果蔬园地面松土装置
KR102357902B1 (ko) 돌기날부의 양측에 칼날부가 구비된 농기구
US1513179A (en) Reenforcing breast for garden implements
US20180184568A1 (en) Gardening Tool
JP4171763B1 (ja) 移植栽培方法並びに移植栽培装置
JP4776045B1 (ja) 雑草除去具
CN201910996U (zh) 园艺铲
KR102153785B1 (ko) 작물채취 농기구
US1381569A (en) Lawn-weeder
CN211671707U (zh) 一种多功能起草皮农具
CN209218538U (zh) 一种新型锄头
CN209914416U (zh) 一种自动化松土装置
CN202617600U (zh) 园艺用松土器
KR102368287B1 (ko) 풀뿌리 이중 제거기능을 갖는 갈퀴형 호미
CN211240797U (zh) 一种淤泥质潮滩耐盐碱植物用无损伤移苗器
KR200402333Y1 (ko) 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