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67A -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67A
KR20180000267A KR1020160078303A KR20160078303A KR20180000267A KR 20180000267 A KR20180000267 A KR 20180000267A KR 1020160078303 A KR1020160078303 A KR 1020160078303A KR 20160078303 A KR20160078303 A KR 20160078303A KR 20180000267 A KR20180000267 A KR 2018000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ventilation path
bed
coo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298B1 (ko
Inventor
최범하
Original Assignee
최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범하 filed Critical 최범하
Priority to KR102016007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87Ions; Pro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면에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요입형성된 통풍로(102)가 다수 형성된 쿠션블럭(100)과;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되고, 중심선 방향이 상기 통풍로(102)의 수평선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중심선을 따라 나선 형성된 방열수단(200)과; 상기 방열수단(200)이 결합된 쿠션블럭(100) 상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통풍로(102)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통풍로(102)와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30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풍로(102)의 면적변화에 따른 펌핑작용에 의해 외부공기가 통풍로(102)를 통해 상기 배출공(302)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마감블럭(300);으로 형성되어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하여 집진드기와 같은 유해해충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고, 침대의 적정 습도 및 온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쾌적한 잠자리의 제공이 가능하며, 통풍 및 냉각을 위한 고가의 장비가 부착되지 않아도 방열수단과 통풍공의 내부 면적의 수축이완을 통한 펌핑작용에 의해 침대의 통풍 및 냉각이 용이하여 일반인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정 침대온도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장시간 누워 있는 환자의 욕창이나 기타 침대에 장시간 사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보다 경제적이며, 쿠션기능의 저하에 따른 침대의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A mattress with ventilation and cooling}
본 발명은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풍이 우수하고, 통풍과 함께 전원의 인가를 통한 냉매의 순환이나 휀의 가동으로 인한 공기의 순환 없이 냉각이 가능하여 보다 쾌적한 침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영위하는 생활에서 의식주(衣食住)는 중요한 문제이다.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와 같은 의식주는 인간의 삶에서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고, 모든 것이 중요하겠지만 인간의 삶에서 안전과 가족의 구성을 보호하는 측면 및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집이란 단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집이란 단어는 가족간의 유대관계와 개인의 사생활 보호,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안전 그리고 가장 큰 휴식의 의미가 있다.
이중,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중요한 것으로 휴식을 꼽을 수 있는 데 이러한 휴식은 잘 먹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삶도 중요하지만 잠을 자는 데 있어 숙면을 취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즉, 잠이란 인간의 역사, 문화, 인간의 전반적인 신체활동을 위한 원천이 된다고 보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이에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잠을 얼마나 숙면을 취하느냐에 따른 문제로 다양한 잠자리가 연구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하지만, 최근 현대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침대라는 잠을 청하기 위한 기구가 다양한 형태로 숙면을 위해 연구되고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침대문화는 이미 오래전부터 전파되어 현재에는 많은 가정에서 침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침대의 형태는 통상 스프링을 쿠션재로 감싸고, 외피를 입혀 사용하는 형태가 현재까지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형태는 아직까지 침대에 대한 가장 보편화된 구성임이 틀림없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침대가 연구되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황토를 이용한 황토침대, 돌침대, 라텍스침대 등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침대는 모두가 어떠한 재질의 특성에 따른 기능성 침대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침대의 역할인 숙면을 위한 기능을 부여하는 부분에서는 특별한 효과를 볼 수 없다.
더욱이, 침대는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지만 특히나 병의원에서 환자가 누워 장시간 사용하는 용도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즉, 가정에서나 병의원에서 침대는 잠만 자는 것이 아닌 숙면을 취하면서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하는 중대한 목적이 있는 데도 아직까지 침대에 단순히 기능성이 있는 재질만을 접목한 형태가 대부분이고, 특허출원 제10-2008-0068009호 및 특허등록 제10-041453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별도의 휀이 구비된 침대와 같이 병의원에서 환자의 건강을 고려한 침대로 송풍휀을 통한 통풍형 침대 또는 전동침대 등이 개시되어 사용되지만 이와 같은 침대는 비용이 상당히 고가이면서 실직적으로 송풍휀 등을 가동하지 않으면 일반침대와 크게 다르지 않아 여전히 경제적 문제와 사용상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68009호, 출원일자 2008년 07월 14일.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4535호, 등록일자 2003년 12월 2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통풍 및 냉각이 동시에 이루어져 침대매트리스의 일정온도 및 습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집진드기와 같은 유해해충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고, 쾌적한 잠자리의 제공이 가능한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 및 냉각을 위한 고가의 장비가 부착되지 않아도 방열수단과 통풍공의 내부 면적의 수축이완을 통한 펌핑작용에 의해 침대의 통풍 및 냉각이 용이하여 일반인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정 침대온도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장시간 누워 있는 환자의 욕창이나 기타 침대에 장시간 사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고가의 장비가 부착된 침대의 구매가 필요 없어 보다 경제적이며, 쿠션기능의 저하에 따른 침대의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는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서,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면에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요입형성된 통풍로(102)가 다수 형성된 쿠션블럭(100)과;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되고, 중심선 방향이 상기 통풍로(102)의 수평선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중심선을 따라 나선 형성된 방열수단(200)과; 상기 방열수단(200)이 결합된 쿠션블럭(100) 상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통풍로(102)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통풍로(102)와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30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풍로(102)의 면적변화에 따른 펌핑작용에 의해 외부공기가 통풍로(102)를 통해 상기 배출공(302)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마감블럭(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블럭(300)의 배출공(302)은 상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인 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통풍로(10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의 배출시 압력증가에 따른 유속이 증가하도록 하여 외부공기의 온도가 떨어진 냉풍이 토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된 방열수단(200) 중심으로 숯, 옥, 황토, 게르마늄, 토르마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블럭(400)이 결합되어 항균, 정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수의 통풍로(102)에는 인체의 부위에 따른 쿠션밀도의 조정을 위해 밀도를 달리 형성한 쿠션조정블럭(500)이 통풍로(10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열수단(200)은 열교환 및 탄성복원이 우수한 방열금속성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되, 동코팅 코일스프링, 동스프링, 티타늄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쿠션블럭(100)과 마감블럭(300)이 대응결합된 후, 통풍로(102)의 개방된 양단에 외부공기의 유통이 용이하고, 외부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며, 방열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메쉬부재(6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통풍공이 형성되고, 통풍공과 연통된 배출공을 통해 외부공기가 침대상부로 용이하게 유통하여 통풍성이 향상되며, 통풍공을 통한 외부공기의 유통으로 통풍공 내에 형성된 방열수단을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져 침대매트리스의 일정온도유지가 가능한 냉각이 가능하여 집진드기와 같은 유해해충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고, 침대의 적정 습도 및 온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쾌적한 잠자리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 및 냉각을 위한 고가의 장비가 부착되지 않아도 방열수단과 통풍공의 내부 면적의 수축이완을 통한 펌핑작용에 의해 침대의 통풍 및 냉각이 용이하여 일반인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정 침대온도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장시간 누워 있는 환자의 욕창이나 기타 침대에 장시간 사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고가의 장비가 부착된 침대의 구매가 필요 없어 보다 경제적이며, 쿠션기능의 저하에 따른 침대의 유지보수가 간편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정면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측면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평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정면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측면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는 통풍성이 향상됨과 함께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교환을 통해 냉각이 가능하도록 방열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쾌적한 침대 매트리스 사용이 가능하고, 통풍성 향상에 따른 유해해충의 서식을 제한하며, 특수한 침대를 요하는 환자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비용을 절감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블럭(100), 방열수단(200), 마감블럭(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블럭(100)은 메모리 스펀지, 고탄성 스펀지, 압축스펀지, 라텍스 등으로 침대 형상에 대응되게 직사각형상의 육면체의 판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부 수평면에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요입형성된 통풍로(102)가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는 통상 좌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방법이나 사용자의 주문사항에 따라 전후로 길게 요입형성할 수도 있다. 즉, 좌우로 통풍로(102)가 형성되면 인체의 좌우측으로 통풍효과를 줄 수 있어 인체의 머리, 몸통, 팔, 다리의 국소적 통풍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줄 수 있고, 전후로 통풍로(102)가 형성되면 인체의 머리에서 몸통, 팔, 다리의 전체적 통풍효과를 줄 수 있어 보다 빠른 통풍 및 냉각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통풍로(102)의 좌우 및 전후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변경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방열수단(200)은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를 사용시, 침대 매트리스의 상승되는 온도를 열교환 받아 냉각하도록 형성되거나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방열수단과 접촉을 통한 외부공기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되고, 중심선 방향이 상기 통풍로(102)의 수평선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중심선을 따라 나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수단(200)은 열교환 및 탄성복원이 우수한 방열금속성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되, 동코팅 코일스프링, 동스프링, 티타늄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코일 코일스프링 또는 동스프링은 열교환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맥파 차단 및 유해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침대 매트리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티타늄 스프링의 경우는 고가이나 강도에서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구성을 통해 사용도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수단(200)은 전술한 통풍로(102)에 내설되되, 통풍로의 수평선상에 나선형의 방열수단(200) 수단의 중심선이 놓이도록 함으로서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공기를 냉각하여 후술되는 마감부재의 배출구로 외부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쾌적한 통풍성이 뛰어난 침대 매트리스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침대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사용함에 따른 온도상승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방열수단(200)이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를 열교환하여 침대 매트리스 전체의 온도를 하강시켜 냉각하여 쾌적한 잠자리의 제공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된 방열수단(200) 중심으로 숯, 옥, 황토, 게르마늄, 토르마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블럭(400)이 더 결합되어 침대 매트리스의 통풍성 및 냉각성의 향상과 더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방사, 향균작용, 정화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복합 기능을 가진 침대 매트리스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쿠션블럭(100)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로(102)에는 통풍성 및 냉각성만을 고려하여 방열수단(200)만을 결합형성할 수도 있지만, 인체의 부위에 따른 쿠션밀도의 조정을 위해 밀도를 달리 형성한 쿠션조정블럭(500)이 통풍로(10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쿠션조정블럭(500)은 쿠션블럭(100)보다는 밀도가 높거나 낮도록 형성하여 인체의 굴곡에 대하여 대응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자의 건강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머리, 허리 등과 같은 부분은 통풍성 및 냉각성 향상과 더불어 머리 및 허리를 지지해야 하는 역할을 해야 함에 따라 머리 및 허리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통풍로(102)에 밀도가 쿠션블럭(1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쿠션조정블럭(500)을 결합하여 사용자 머리 및 허리 부분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블럭(300)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로(102)의 개방된 상측을 마감하고, 방열수단(200)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통풍로(102)의 체적변화를 통해 외부 공기가 펌핑작용에 의해 침대 매트리스 상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방열수단(200)이 결합된 쿠션블럭(100) 상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통풍로(102)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통풍로(102)와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30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풍로(102)의 면적변화에 따른 펌핑작용에 의해 외부공기가 통풍로(102)를 통해 상기 배출공(302)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마감블럭(300)은 판상으로 형성되지만 쿠션블럭의 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블럭(100)과 마감블럭(300)이 대응결합된 후, 통풍로(102)의 개방된 양단에 외부공기의 유통이 용이하고, 통풍로(102)로 외부해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통풍로(102)로부터 방열수단(300)이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메쉬부재(6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메쉬부재(600)는 쿠션블럭과 마감블럭의 변형에 즉각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플랙시블한 유연성을 가진 메쉬직물이나 메쉬를 이룬 합성고무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감블럭(300)의 배출공(302)은 상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인 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통풍로(10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의 배출시 압력증가에 따른 유속이 증가하도록 하여 외부공기의 온도가 떨어진 냉풍이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사람이 입술을 좁혀 호흡을 내뱉으면 차가운 바람이 배출되고, 입술을 넓혀 호흡을 내뱉으면 체온에 해당되는 온도와 유사한 따뜻한 바람이 배출되는 것과 같이, 배출공(302)의 직경이 좁아지면서 유속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배출공(302) 측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통해 사용자가 침대에서 느끼는 보다 쾌적한 통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퉁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침대 매트리스에 눕게 되면 사용자의 각 부위에 따른 인체의 굴곡과 체중에 따라 침대 매트리스가 변형된다. 이때, 변형에 따라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의 일부 체적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체적의 변화는 펌핑작용을 동반하여 통풍로(102) 내의 내부공기를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펌핑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공기가 통풍로(102)로 유통하게 된다. 또한, 외부공기가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면 통풍로(102)를 통해 외부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되거나 배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외부공기가 유입 배출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통풍로(102)에 내설된 수평상의 나선형 방열수단(300)에 외부공기가 접촉하게 되고, 방열수단과 외부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차가워진 외부공기가 사용자가 누워있는 침대 매트리스의 상부측인 마감블럭(300)의 배출공(302)을 통해 펌핑작용에 의해 토출되거나 자연스럽게 유통되어 사용자에게 침대 매트리스의 쾌적함을 가져오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계속해서 침대에 누워 있어 사용자의 체온이나 외부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가 상승되면 방열수단(200)은 침대 매트리스와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상승되고, 통풍로(102)를 통해 유통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침대 매트리스의 적정 온도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되어 보다 쾌적한 침대 사용과 통풍성 향상 및 냉각작용으로 유해해충의 서식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즉, 방열수단(200)이 통풍로(102)의 내주연에 나선형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공기가 유통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침대 매트리스의 적정온도를 항상 유지하여 쾌적한 잠자리의 제공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 황토 등과 같은 기능성 블럭(400)을 통해 소비자 취향에 맞는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고, 외부공기의 유입과정에서 외부공기가 정화된 상태로 침대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보다 건강한 침대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쿠션조절블럭(500)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특정부위의 지지가 요할 경우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신체의 일부가 좋지 않은 환자 들에게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여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침대에 장시간 누워있어야 하는 환자의 경우 등쪽에는 욕창 등의 질병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통풍성을 고려하여 방열수단(200)을 통풍로(102)에 결합하고, 허리와 머리부분과 같이 신체를 지지하여야 하는 부분에는 쿠션조정블럭(500)을 결합하여 조정함으로써, 환자에 적합한 맞춤 침대의 구현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와 같은 쿠션블럭(100)의ㅏ 통풍로(102)에 결합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파손이나 손상으로 인한 유지보수가 간편함은 물론,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적합한 형태로의 변형실시가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쿠션블럭 102 : 통풍로
200 : 방열수단 300 : 마감블럭
302 : 배출공 400 : 기능성블럭
500 : 쿠션조정블럭 600 : 마감메쉬부재

Claims (6)

  1.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서,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면에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요입형성된 통풍로(102)가 다수 형성된 쿠션블럭(100)과;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되고, 중심선 방향이 상기 통풍로(102)의 수평선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중심선을 따라 나선 형성된 방열수단(200)과;
    상기 방열수단(200)이 결합된 쿠션블럭(100) 상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통풍로(102)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통풍로(102)와 연통되게 다수의 배출공(30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풍로(102)의 면적변화에 따른 펌핑작용에 의해 외부공기가 통풍로(102)를 통해 상기 배출공(302)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마감블럭(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럭(300)의 배출공(302)은 상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인 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통풍로(10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의 배출시 압력증가에 따른 유속이 증가하도록 하여 외부공기의 온도가 떨어진 냉풍이 토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블럭(100)의 통풍로(102)에 내설된 방열수단(200) 중심으로 숯, 옥, 황토, 게르마늄, 토르마린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블럭(400)이 결합되어 항균, 정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풍로(102)에는 인체의 부위에 따른 쿠션밀도의 조정을 위해 밀도를 달리 형성한 쿠션조정블럭(500)이 통풍로(10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200)은 열교환 및 탄성복원이 우수한 방열금속성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되, 동코팅 코일스프링, 동스프링, 티타늄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블럭(100)과 마감블럭(300)이 대응결합된 후, 통풍로(102)의 개방된 양단에 외부공기의 유통이 용이하고, 외부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며, 방열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메쉬부재(6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KR1020160078303A 2016-06-22 2016-06-22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KR10184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03A KR101845298B1 (ko) 2016-06-22 2016-06-22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03A KR101845298B1 (ko) 2016-06-22 2016-06-22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67A true KR20180000267A (ko) 2018-01-02
KR101845298B1 KR101845298B1 (ko) 2018-04-04

Family

ID=6100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03A KR101845298B1 (ko) 2016-06-22 2016-06-22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878B1 (ko) * 2020-08-28 2020-12-28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기능성 프레임을 구비한 송풍 기반의 침대 매트리스
KR102195875B1 (ko) * 2020-08-28 2020-12-28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기능성 블록을 구비한 송풍 기반의 침대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791A (ja) * 2001-08-24 2003-03-04 Yoshitaka Nishida 寝 具
JP2013240479A (ja) * 2012-05-21 2013-12-05 France Bed Co Ltd マットレ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298B1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714B2 (en) Temperature-controlled multi-zone mattress-style support
EP3319487B1 (en) Pillow with multi-layer sleep surfaces and multi-chamber inner body core
US20170295961A1 (en) Vented blanket
KR101393469B1 (ko) 통풍건조가 용이한 침대 매트리스
ES2365189T3 (es) Método y aparato para aliviar la infestación de insectos componentes de cama.
KR101845298B1 (ko)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JP2010075377A (ja) 温度調節マットレス
KR100826793B1 (ko) 열전달편이 배열된 냉온풍 침대
KR101451392B1 (ko) 온돌침대
KR102453377B1 (ko)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1159200B1 (ko) 라텍스 쿠션부재와 온수호스에 의한 발열수단이 내장된 침대용 스프링 매트리스
KR20130000319U (ko) 냉·온열 겔 매트
US10548419B2 (en) Air multiplier pad
KR20100095922A (ko) 탄성쿳션부재 침구용 커버
KR200397421Y1 (ko) 접이식 온열 이동침대
CN203789536U (zh) 节能减炭冬暖夏凉的床垫及床罩
KR101436209B1 (ko)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개인 입실형 휴게방
TWM551027U (zh) 墊體結構改良
KR102391349B1 (ko) 이동 가능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1894787B1 (ko) 냉·열풍 및 송풍 기능을 구비한 매트리스
JP2015226743A (ja) 温風循環快眠ドーム
TWM552302U (zh) 組合式床墊
KR200323533Y1 (ko) 매트리스
TWI707647B (zh) 組合式床墊
KR20190131310A (ko) 통풍로가 형성된 매트리스용 쿠션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