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377B1 -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377B1
KR102453377B1 KR1020150152041A KR20150152041A KR102453377B1 KR 102453377 B1 KR102453377 B1 KR 102453377B1 KR 1020150152041 A KR1020150152041 A KR 1020150152041A KR 20150152041 A KR20150152041 A KR 20150152041A KR 102453377 B1 KR102453377 B1 KR 10245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air
blowing fans
frame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473A (ko
Inventor
송민수
성연수
이선용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다수의 지지체(251)가 형성된 에어매트리스(250);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와 유체소통 하는 매트리스(100); 및 상기 매트리스(10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531, 541);을 포함하는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mattress assembly including air mattresses}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에 공기를 불어 넣어줄 수 있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탄성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매트리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올해 6월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에 의하면 10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59분, 2014년 공개된 한국 갤럽의 자료에선 6시간 53분이라고 한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 국민 평균 수면시간은 대략 7시 30분으로 거의 하루의 3분의 1을 침대에서 보내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8개 국가 중엔 최하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심신이 지친 현대인들은 적은 수면시간에도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기술이 날로 개발되는 추세이다.
그 예로, 쾌적한 잠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교체가 어려운 매트리스 대신 매트리스 탑퍼를 개발하여, 매트리스 교체 대신 탑퍼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매트리스 관련 기술이 발달 되었으며(도 1 참조), 그 외에도 기능성 프리미엄 침대 및 매트리스와 관련된 상품 등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심이 매출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수면의 질을 올리기 위해 연구는 계속되어왔고, 그 중 일본 의학부 정신의학계 교수의 연구에서 사람이 수면상태에 들 때 사람의 몸 스스로가 체온을 내린다는 결과가 있다. 관련된 다양한 실험에서 심부 체온과 피부 온도의 움직임, 자기 쉬움의 단계를 동시에 측정하는 실험을 시행한 후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심부 체온이 낮은 만큼 그리고 피부의 온도가 높은 만큼 그 직후의 자기 쉬움이 강해지는 걸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와 관련하여 수면 시 심부 체온 조절이 어려울 상황일 경우,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머리를 차게 해도 환경 온도를 내린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수면을 위해서는 수면을 위한 환경 및 적정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10654호인 침구용 매트는, 송풍기를 구비하여 숭풍기에서 강제 이송되는 공기로 이용자의 주위를 시원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여름에 쾌적한 수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통기성을 보유한 편직물로 구성된 매트지의 앞쪽면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공기를 강제 이송하는 송풍기가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에서 이송된 공기를 다수의 방향으로 상기 분기관에 의해 분배되고, 다수의 분사구멍을 구비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분사호스가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매트지의 내부에 배열되는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공기를 송풍하여 골고루 분배하는 단순한 송풍 매트리스 발명으로, 쾌적한 수면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나, 여름철 한정으로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0319호인 냉온열 겔 매트는, 냉 또는 온열을 나타낼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겔의 쿠션감을 나타내면서 냉 또는 온열을 나타낼 수 있는 매트를 구성하고자 방수 처리된 상단 부와 하단부로 구성된 방수매트 내부에 물과 고흡수성 폴리머. 구슬 형 소일 입자들이나 큐빅형 소일 입자들을 혼합하여 구성한 겔 또는 구슬형 겔이나 큐빅형겔을 함유한 겔로 채워서 여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소일 겔 매트(1)를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 견솜, 부직포, 단열재, 바이메탈, 쎈서등으로 구성한 온 열 매트(2) 위에 장착하되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지퍼가 형성된 매트 커버 안에 내장하여서 구성한 냉·온열겔 매트에 관한 것이다. 냉온열 겔매트 발명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온을 조절하는데 도움될 수 있으나, 일괄적으로 신체의 모든 부분에 조절 없이 영향이 가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과냉 및 과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용문헌 1) KR 2009-0010654 U (실용문헌 2) KR 2013-0000319 U KR 1528119 B1 US 9131781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종래의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게 송풍팬이 위치되어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탄성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어셈블리는 사용자 맞춤형 매트리스 어셈블리로, 체온 조절 및 쾌적한 수면환경 조성을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고, 송풍팬에 의한 바람에 의해 에어 매트리스의 탄성 및 높이가 조절되는 맞춤형 기능성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지지체(251)가 형성된 에어매트리스(250);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와 유체소통 하는 매트리스(100); 및 상기 매트리스(10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531, 541);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531, 541)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매트리스(100) 내측에서 유동 하되, 상기 매트리스(100)에 유입된 공기 일부는 상기 에어매트리스(250)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팬(531, 541)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의 높이 및 탄성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0)의 상면과 하면 중 일부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팬(531, 541)은, 상기 매트리스(100)의 하면에 구비된 송풍팬(531, 541)이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프레임(301)과 후면 프레임(302)이 위치하는 매트리스 지지부(310)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프레임(300); 및 상기 전면 프레임(301) 및 후면 프레임(3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프레임(301) 및 상기 후면 프레임(302)을 가로지르되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 312);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531, 541)은 상기 가이드레일(311, 3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10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311, 312)과 평행하되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150)이 위치하며, 상기 격벽(150)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100)는 제 1 매트리스부(180) 및 제 2 매트리스부(190)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매트리스부(180)에는 상기 송풍팬(531, 541)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고, 상기 제 2 매트리스부(190)에는 상기 송풍팬(531, 541) 중 다른 하나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기 위해 매트리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활용하여, 탄성과 높이가 조절되는 사용자 맞춤형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매트리스를 사용한다면, 매트리스의 탄성과 높이는 조절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사용한다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탄성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매트리스와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이되, 탑퍼로서 에어 매트리스가 적용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이되, 탑퍼로서 에어 매트리스가 적용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매트리스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성능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이외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매트리스도 용이하게 도출 가능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10 중 도 2, 도 6, 도 7, 도 10에 도시된 방향표에 따라 상, 하, 좌, 우, 전, 후로 방향을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에 대하여 상세히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의 설명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매트리스(100), 탑퍼(200), 매트리스 프레임(300), 제어부(400) 및 송풍팬(511, 521)을 포함한다.
매트리스(100)는 후술할 매트리스 지지부(3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매트리스(100)는, 후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후면부 매트리스(130), 중간부 매트리스(120) 및 전면부 매트리스(110)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또한, 매트리스(100)는 메쉬망(101), 스프링(105), 격벽(111) 및 기능층(121)을 포함한다.
또한, 매트리스(100)는 후술할 탑퍼(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송풍팬(511, 521)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내측에서 유동 가능하다.
매트리스(100)의 내부 구성은 유체소통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며, 예를 들면, 투 매트리스, 스프링 매트리스, 폼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코코넛 팜 매트리스, 3D스프링 매트리스 등 제한되지 않는다.
메쉬망(101)은 매트리스(100) 상부에 위치하여 후술할 탑퍼(200)에 공기를 전달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105)은 매트리스(100)가 스프링 매트리스 또는 3D 스프링 매트리스로 구성될 때 매트리스(100) 내부에 위치한다.
매트리스(10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스프링(105)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위치한다.
또한, 스프링(105)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포켓 스프링 또는 메쉬망으로 쌓여진 포켓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격벽(111)은 전면부 매트리스(110)와 중간부 매트리스(120)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부 매트리스(110)와 중간부 매트리스(120)를 구분한다.
격벽(111)의 소재는 바람이 통하지 않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대표적으로는 폼 매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바람(송풍기에서 나오는 바람 또는 공기)의 전달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격벽(111)으로 인해, 후술할 송풍팬(511, 521)에 의해 유입되는 바람이 전면부 매트리스(110)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은 바람(공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의 매트리스(100)가 과열 또는 과냉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능층(121)은 중간부 매트리스(120) 내부에 포함되며, 상세하게는 중간부 매트리스(120)의 상부에 매립된다.
기능층(121)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젤 타입 소재, 상 변화물질(PCM) 또는 하이소비드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이소비드 소재는 장시간 상온보다 3~5도 낮은 온도를 지속시켜주는 소재로, 기존 젤 타입 소재보다 열이 쉽게 전도되지 않고, 자체의 열 순환 작용으로 시원함이 오래 유지되는 신소재로, 내용물이 흘러나오거나 증발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이다.
사용자 등의 온도를 기준으로 측정한 도 11 그래프를 참조하면, 종래의 매트리스(도 1)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체온 변화가 나타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 1 실시예의 매트리스는 기능층(121) 및 송풍팬(511, 521)을 포함하여, 종래의 매트리스(1)를 사용했을 때보다 제 1 실시예의 매트리스(100)를 사용했을 때의 사용자 등 온도가 확연하게 저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매트리스(1)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제 1 실시예의 매트리스(100)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자의 심부 온도를 낮추고 유지하는데 유리하여 사용자의 수면 및 숙면을 도울 수 있다.
탑퍼(200)는 매트리스(100) 상부에 위치하며, 열 전달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탑퍼(200)는 상부 원단은 린넨, 아사 또는 인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통풍을 도와 사용자를 위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겨울철에 사용하는 탑퍼(200)에는 내부에 탄소 온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온열 섬유를 포함하는 탑퍼(200)를 사용시, 송풍팬(511, 521)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탄소 온열 섬유의 온도 하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탑퍼(200)는 아웃라스트 소재로도 구성 가능한데, 아웃라스트 소재는 고온의 열기를 저장하여 저온에서 방출하는 신소재로, 몸에서 열이 발생하면 원단이 열을 흡수해 보관하고 추울 때는 열을 방출해 체온을 조절하는 신소재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탑퍼(200) 대신 에어매트리스(250)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에어매트리스(25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매트리스 프레임(300)은 매트리스(100)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로, 매트리스(100)의 하부와 전면 측면을 감싸듯이 위치하며, 매트리스 헤드부(305) 및 매트리스 지지부(310)을 포함한다.
매트리스 프레임(300)은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 하부에 송풍팬(531, 541)이 위치한 경우에 하부에 바람이 통풍되도록 매트리스 지지부(310)에 일정 간격으로 존재하는 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0)는 후술할 송풍팬(511, 52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400)는 온풍, 냉풍, 송풍, 바람세기 및 제습 등의 동작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한다.
송풍팬(511, 521)은 매트리스(100)로 바람(공기)를 유입시켜주는 구성으로, 매트리스(100)에 위치하며, 그 종류에 있어 제한은 없으나, 풍량이 많은 시로코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511, 521)은 위치에 따라 매트리스(100)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제 1 송풍팬(511), 매트리스(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송풍팬(521)으로 구분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송풍팬(511)은 원형, 제 2 송풍팬(521)은 직선형으로 각각 도시되나, 이는 일례이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의 설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제 1 실시예의 송풍팬(511, 521) 위치와 상이하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100)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매트리스(100)의 하측면에 위치되는 송풍팬(531, 541)으로 한정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어셈블리는 매트리스(100), 탑퍼(200), 매트리스 프레임(300), 제어부(400) 및 송풍팬(531, 541)을 포함한다.
매트리스(100)는 메쉬망(101), 격벽(150), 개구부(171, 172), 제 1 매트리스부(180) 및 제 2 매트리스부(190)를 포함한다.
격벽(150)에 의해 구분되는 매트리스(100)의 좌우를 제 1 매트리스부(180) 및 제 2 매트리스부(190)로 설명한다(도 7 참조).
또한, 매트리스(100)는 상부에 메쉬망(101)을 포함하며, 하부에 또 다른 메쉬망(미도시)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100)는 송풍팬(531, 541)에 의해 유입되는 바람이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다.
그 외, 매트리스(100)의 재질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매트리스(100)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격벽(150)은 매트리스(100) 내부에 포함되어, 제 1 매트리스부(180) 및 제 2 매트리스부(190)를 구분하며, 매트리스(100)의 내측에 후술할 가이드레일(311, 312)과 평행하되 수직하게 설치된다.
격벽(150)에 의해 매트리스(100)의 내부는 바람이 통하지 않도록 구분되기 때문에, 송풍팬(531)에 의해 유입되는 바람은 제 1 매트리스부(180)로 전달되고, 송풍팬(532)에 의해 유입되는 바람은 제 2 매트리스부(190)에 전달된다.
격벽(150)에 대한 재질 및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격벽(11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개구부(171, 172)는 매트리스(100)의 좌우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으로 위치하며, 매트리스(100) 내부로 공급된 바람의 이용을 위해 위치하며, 별도로 뚜껑(미도시)이 구비되어 각 개구부(171, 172) 사용 후 닫을 수 있어, 청결하게 관리 가능하다.
탑퍼(200)는 매트리스(100) 상부에 위치하며,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에 설명된 탑퍼(200)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탑퍼(200) 대신 에어매트리스(250)로 대체하여 사용도 가능하다(도 10 참조).
매트리스 프레임(300)은 매트리스 헤드부(305) 및 매트리스 지지부(310)를 포함하며, 매트리스 지지부(3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프레임(301)과 후면 프레임(302)이 위치한다.
전면 프레임(301)은 매트리스 프레임(300)의 전면에 위치한 프레임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 312)이 설치되어, 전면 프레임(301) 상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후면 프레임(302)은 매트리스 프레임(300)의 후면에 위치한 프레임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 312)이 설치되어, 후면 프레임(302) 상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레일(311, 312)은 안내 및 지지를 위해 궤도로 쓰이는 레일로, 매트리스 프레임(300)의 전면 프레임(301)과 후면 프레임(302)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며, 가이드레일(311, 312) 상에 송풍팬(531, 541)을 설치하여 좌우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 312)은 전면 프레임(301) 및 후면 프레임(3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전면 프레임(301) 및 후면 프레임(302)을 가로지르되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11, 312)에 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송풍팬(531, 541)이 각각 설치되며, 설치된 송풍팬(531, 541)은 가이드레일(311, 312)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다.
또한, 가이드레일(311, 312)은 전면 프레임(301) 및 후면 프레임(302)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송풍팬(531, 541)이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송풍팬(531, 541)에 의해 유입되는 바람이 매트리스(100)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다.
송풍팬(531, 541)의 위치에 있어, 제 1 매트리스부(180)에는 송풍팬(531, 541)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고, 제 2 매트리스부(190)에는 송풍팬(531, 541) 중 다른 하나가 대응된다.
또한, 송풍팬(531, 541)은 가이드레일(311, 312)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송풍 가능하며, 하부 외면에는 메쉬망(532, 542)이 각각 위치하여, 탈착 가능하다.
제어부(400)는 가이드레일(311, 312) 및 송풍팬(531, 54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00)로 송풍팬(531, 541)의 동작을 제어 시, 송풍온, 송풍오프, 냉풍, 온풍 및 제습 외에도, 송풍팬(531, 54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로 송풍팬(531, 541)의 위치를 제어 시, 좌우로 이동 시에는 가이드레일(531, 541)을 제어하여 이동하고, 전후로 이동 시에는 송풍팬(531, 541)이 설치된 가이드레일(311, 312) 상의 부재를 제어하여 이동한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에어매트리스(25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에어매트리스(250)는 다수의 지지체(251)가 형성되며, 지지체 사이에 유체 소통이 가능하다. 에어매트리스(250)를 탑퍼(200) 대신 사용하는 경우, 에어매트리스(250) 하부에 매트리스(100)가 위치하며, 에어매트리스(250)와 매트리스(100)는 유체 소통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매트리스(100)에 포함되는 송풍팬(531, 541)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매트리스(100) 내측에서 유동 하되, 매트리스(100)에 유입된 공기 일부는 에어매트리스(250)로 유입된다.
때문에, 송풍팬(531, 541)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에어매트리스(250)의 높이 및 탄성이 결정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매트리스
101: 메쉬층
105: 스프링
110: 전면부 매트리스
111: 격벽
120: 중간부 매트리스
121: 기능층
130: 후면부 매트리스
150: 격벽
171, 172: 개구부
200: 탑퍼
250: 에어 매트리스
251: 지지체
300: 매트리스 프레임
301: 전면 프레임
302: 후면 프레임
305: 매트리스 헤드부
310: 매트리스 지지부
311, 312: 가이드레일
400: 제어부
511: 제 1 송풍팬 (송풍팬)
512: 메쉬망
521: 제 2 송풍팬 (송풍팬)
522: 메쉬망
531, 541: 송풍팬
532, 542: 메쉬망

Claims (6)

  1. 다수의 지지체(251)가 형성된 에어매트리스(250);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와 유체소통 하는 매트리스(100);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프레임(301)과 후면 프레임(302)이 위치하는 매트리스 지지부(310)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프레임(300);
    상기 전면 프레임(301) 및 상기 후면 프레임(3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프레임(301) 및 상기 후면 프레임(302)을 가로지르되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1, 312); 및
    상기 매트리스(10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531, 541);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531, 541)은 상기 가이드레일(311, 3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531, 541)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매트리스(100) 내측에서 유동 하되, 상기 매트리스(100)에 유입된 공기 일부는 상기 에어매트리스(250)로 유입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531, 541)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의 양에 의해 상기 에어매트리스(250)의 높이 및 탄성이 결정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100)의 상면과 하면 중 일부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10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311, 312)과 평행하되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150)이 위치하며,
    상기 격벽(150)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100)는 제 1 매트리스부(180) 및 제 2 매트리스부(190)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매트리스부(180)에는 상기 송풍팬(531, 541)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고, 상기 제 2 매트리스부(190)에는 상기 송풍팬(531, 541) 중 다른 하나가 대응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20150152041A 2015-10-30 2015-10-30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245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041A KR102453377B1 (ko) 2015-10-30 2015-10-30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041A KR102453377B1 (ko) 2015-10-30 2015-10-30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73A KR20170050473A (ko) 2017-05-11
KR102453377B1 true KR102453377B1 (ko) 2022-10-11

Family

ID=5874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041A KR102453377B1 (ko) 2015-10-30 2015-10-30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5219A (zh) * 2017-12-11 2018-06-19 绵眠(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压力分布的气囊睡眠支撑方法及系统
CN109303441B (zh) * 2018-10-31 2021-12-14 浙江想能睡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可调床垫
KR102621166B1 (ko) 2018-12-04 2024-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대용 청소장치
KR102638587B1 (ko) * 2022-04-11 2024-02-19 김창환 근적외선 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11Y1 (ko) * 2006-01-06 2006-04-05 박종윤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654U (ko) 2008-04-15 2009-10-20 최희교 침구용 매트
KR20130000319U (ko) 2011-07-05 2013-01-15 이연수 냉·온열 겔 매트
US9131781B2 (en) 2012-12-27 2015-09-15 Select Comfort Corporation Distribution pad for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20140122063A (ko) * 2013-04-09 2014-10-17 조용현 에어 매트리스가 구비된 침대
KR101528119B1 (ko) 2015-01-08 2015-06-11 이수진 침대매트리스의 송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11Y1 (ko) * 2006-01-06 2006-04-05 박종윤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73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973B2 (en) Air conditioned mattresses
EP3813597B1 (en) Body support cushion with ventilation system
KR102453377B1 (ko)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EP2938227B1 (en) Distribution pad for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10849435B2 (en) Mattress topper
US9888782B1 (en) Temperature controlled mattress system
US20070011813A1 (en) Self-ventilating and self-cooling variable geometry pillow
KR102458194B1 (ko) 기능층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1393469B1 (ko) 통풍건조가 용이한 침대 매트리스
KR101851621B1 (ko) 냉온풍 기능성 침대 매트리스
KR20200111274A (ko) 공기 흐름을 지향하기 위한 복수의 직물 유형을 갖는 포켓식 코일 층을 포함하는 지지 쿠션, 및 그의 표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090100602A1 (en) Self-ventilating self-cooling cushion apparatus
KR200467271Y1 (ko) 온풍장치가 장착된 침대용 매트리스
KR102391349B1 (ko) 이동 가능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US10548419B2 (en) Air multiplier pad
KR101845298B1 (ko) 통풍 및 냉각이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JP2013248234A (ja) 温度調節シートと、当該温度調節シートを内蔵した温度調節マット又は温度調節クッションと、当該温度調節マット又は温度調節クッションを用いた温度調節装置
KR101895072B1 (ko) 공기 유동층을 갖는 기능성 이불
KR102651704B1 (ko) 매트리스
JPH1156537A (ja) 布団用またはベッド用マット
KR101428515B1 (ko) 통기성 구조체를 구비한 공기 대류구조의 온열매트
JP2022508584A (ja) 身体支持アセンブリ
KR102666844B1 (ko) 통기 시스템을 갖는 신체 지지 쿠션
CN216797133U (zh) 一种通风坐垫
KR102210965B1 (ko) 냉온 겸용 쿠션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