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61A -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61A
KR20180000161A KR1020160077982A KR20160077982A KR20180000161A KR 20180000161 A KR20180000161 A KR 20180000161A KR 1020160077982 A KR1020160077982 A KR 1020160077982A KR 20160077982 A KR20160077982 A KR 20160077982A KR 20180000161 A KR20180000161 A KR 2018000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w
identifier
wireless
wirel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기
최창식
이일우
정진두
한진수
허세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7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161A/ko
Priority to US15/629,246 priority patent/US20170373934A1/en
Publication of KR2018000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할당하며,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Low-power Wireless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 할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설정 값 및 보안 설정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유동성이 많고, 하드웨어적인 새로운 포설 작업이 어려울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손쉽게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관리 대상이 되는 객체 및 주변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고 각 디바이스 마다 개별 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구성에 필요한 각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값(네트워크 식별자, 디바이스 식별자 등) 및 보안 설정에 대한 값을 프로그래밍하거나 별도의 기준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관리 대상이 되는 객체와 네트워크 모듈을 연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객체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여 구분하여 할당된 무선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설정 값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이 설치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가 디어 센싱 객체에서 얻는 값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및 필요에 따라 직접 무선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가 되어 상기의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한 별도의 신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할당하며, 네트워크 설정 밀 구성 후에는 무선 랜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된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를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있어서, 신규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한 무선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 이동 단말 주변의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동 단말이 설정이 필요한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가 되어 이동 단말 주변의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이 직접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가 되어 각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센싱 객체의 상태 값을 이동 단말을 통해 직접 현장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객체의 네트워크 설정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센서 액체가 설치된 현장에는 사용자가 센서의 상태값 확인이나 센서 객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a 내지 도 2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과 네트워크 코디네이트와 유선 연결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의 불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은 이동 단말(110), 무선 디바이스(120),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 및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110)은 무선 디바이스에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설정한다. 무선 디바이스(120)는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에 의해 제어될 관리 대상과 임의의 연결을 통해 센싱 정보를 확인할 수 있거나 동작을 위한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는 관리 대상의 동작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는 무선 디바이스(120)로 구성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이하, 도 2 a 내지 도 2 c를 참조하여 상기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a 내지 도 2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10)과 무선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설정 네트워크가 도시되어 있다. 신규로 네트워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일정 방법을 통해 초기화 과정을 거쳐 이미 알려진 값을 갖는다. 이동 단말(110)은 알려진 무선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가 되어, 새롭게 무선 네트워크 설정값 가지고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주변에 존재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이때, 이동 단말(110)은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를 각 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한다. 이동 단말(110)은 검색된 각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ㅂ보안을 위한 보안 설정값을 검색된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여기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는 동일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 상호간에 동일하나,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는 동일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디바이스 상호간에 서로 상이하다. 무선 디바이스(120)는 이동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 설정값을 저장하고, 재부팅하여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 설정값을 적용하여,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도 2 b를 참조하면, 신규로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설정값을 저장하고 있는 이동 단말(110),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로 구성되는 신규 식별자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등록하는 네트워크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 단말(110)은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무선 랜 (와이파이)을 통하여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에 전송한다.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는 이동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 설정 값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등록한다. 이때,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130)는 제어하고자 하는 관리 대상을 해당 관리 대상에 연결된 무선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110)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직접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 설정값을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c를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120) 및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로 구성하는 네트워크가 도시어 있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는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설정값을 적용하여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해 대기 중인 무선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등록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에 따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된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도 3은 본 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120)는 초기화 감지부(310), 초기 설정값 저장부(320), 신규 설정값 저장부(330), 시스템 운영부(340), 통신부(350)을 포함한다.
초기화 감지부(310)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 디바이스 식별자 등 네트워크 설정의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는지 감지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내용에서 네트워크 설정값은 네트워크 설정값과 보암 설정값이 포함됨틀 의미한다.
초기 설정값 저장부(310)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 단계에서 최초에 설정되는 네트워크 식별자, 디바이스 식별자, 보안 설정값 등의 초기 네트워크 설정 값을 저장한다.
신규 설정값 저장부(330)는 이동 단말에 의해 설정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등의 신규 네트워크 설정 값을 저장한다.
시스템 운영부(340)는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운영부(340)는 신규 네트워크 설정값이 수신되면 신규 네트워크 설정값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시스템 운영부(340)는 신규 네트워크 설정값이 수신되면, 무선 디바이스를 재부팅 시켜 신규 네트워크 설정값을 적용한다. 시스템 운영부(340)는 초기화 감지부(310)로부터 네트워크 설정의 초기화 명령이 입력됨이 감지되면, 적용된 신규 네트워크 설정값을 초기화하고, 초기 설정값 저장부(320)에 저장된 초기 네트워크 설정값을 적용한다. 시스템 운영부(340)는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대상에 대한 제어 명령을 관리 대상 객체에 전달한다. 시스템 운영부(340)는 관리 대상 객체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에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350)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연결한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서 순수 이동 단말(무선 코디네이터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이동 단말)과 무선 코디네이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유선 연결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10)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50)가 유선 케이블(510)을 통해 연결된다. 유선 케이블(510)은 이동 단말(110)의 OTG 포트(마이크로 USB)를 통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50)와 이동 단말(110)을 연결한다. 이때, 이동 단말(110)은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 설정값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50)에 전송한다. 상기 OTG 포트(마이크로 USB)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유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110)의 통신 포트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을 구성할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단계 S520에서, 이동 단말은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보안 설정 값 등을 포함하는 신규 네트워크 설정 값을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단계 S53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신규 네트워크 설정 값을 저장하고,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 등 신규 네트워크 설정 값을 적용한다.
단계 S540에서, 이동 단말은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관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SUN AP, 140)에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규 네트워크 설정 값을 전달한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규 네트워크 설정 값을 등록한다.
단계 S550에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는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가 적용된 무선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 및 관리한다. 이때,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40)는 각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된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동 단말 내에,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6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저장부(6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6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6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버스(66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60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 및/또는 저장소(63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620) 및 저장부(63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624) 및 RAM(6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동 단말로 구현되는 방법 또는 이동 단말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휘발성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이동 단말
120 : 무선 디바이스
130 : 무선 디바이스 관리 장치
140 :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SUN AP)
150 :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기능을 갖는 또 다른 무선 모듈

Claims (10)

  1.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할당하며,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이동 단말
    을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이 할당한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적용하고,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가 상기 신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등록된 후 상기 신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의해 관리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등록하고,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 무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신규 설정값 저장부; 및
    상기 신규 설정값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시스템 운영부를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 단계에서 설정된 초기 네트워크 식별자 및 초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저장하는 초기 설정값 저장부; 및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명령을 감지하는 초기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 운영부는, 상기 초기화 감지부에서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초기 설정값 저정부에 저장된 네트워크 식별자 및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시스템.
  7.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 주변의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상기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는,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방법.
  9.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동 단말 주변의 무선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검색된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마이크로 USB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네트워크 식별자 및 신규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KR1020160077982A 2016-06-22 2016-06-22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0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82A KR20180000161A (ko) 2016-06-22 2016-06-22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15/629,246 US20170373934A1 (en) 2016-06-22 2017-06-21 Method of configuring low-power wireless network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82A KR20180000161A (ko) 2016-06-22 2016-06-22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61A true KR20180000161A (ko) 2018-01-02

Family

ID=6067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982A KR20180000161A (ko) 2016-06-22 2016-06-22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373934A1 (ko)
KR (1) KR2018000016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141B1 (en) * 1999-05-27 2003-10-07 Ibm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ng an aggregator interface
KR102191761B1 (ko) * 2013-12-17 2020-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전력 무선 센서 통신을 위한 재전송 장치 및 방법
US9544838B2 (en) * 2014-08-01 2017-01-10 Apple Inc. Detecting and connecting to Wi-Fi™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73934A1 (en)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027B2 (en) Zero-touch Wi-Fi
CN106878459B (zh) 一种自适应的物联网智能网关实现方法及其设备
EP2854378B1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equipment for acquiring feature information
KR101914604B1 (ko)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EP35759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mart network interface card
KR101332813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WO2018076382A1 (zh) 基于通用串行总线的数据交互方法和通用串行总线设备
US109971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USB devices to operate as internet of thing (IoT) devices based on thing description model
US201802700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30003615A (ko) 플러그 앤 플레이 센서 모듈, 센서 노드 및 플러그 앤 플레이 접속 방법
CN107733720A (zh) 便携式固件升级方法及装置
EP3780900A1 (en) Terminal application activ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00014591A1 (en) Method and system of device deployment integrating with automatic configuration and asset management
CN104854883A (zh) 包括可配置的通知部件的nfc装置
CN112423368A (zh) 网关、智能设备、移动终端、入网、入网辅助方法及系统
CN106792678B (zh) 一种无线节点自动配对搜索的方法及系统
CN115134236A (zh) 一种智能网卡管理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介质
US10122417B2 (en) Communicating via near field communications
US201403444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switching of communication protocol of network devices based on user action
KR20180000161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875549B1 (ko) 사물인터넷장치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전원제어단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
KR101574767B1 (ko) 저전력 블루투스 장치 검색 시스템과 제어방법
CN111209125A (zh) 一种多进程的命令行实现方法
US9553759B2 (en) Network system, node device group, and sensor device group
CN105246170B (zh) 可穿戴设备及其进行数据收发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