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813B1 -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813B1
KR101332813B1 KR1020120019340A KR20120019340A KR101332813B1 KR 101332813 B1 KR101332813 B1 KR 101332813B1 KR 1020120019340 A KR1020120019340 A KR 1020120019340A KR 20120019340 A KR20120019340 A KR 20120019340A KR 101332813 B1 KR101332813 B1 KR 10133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access channe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587A (ko
Inventor
박형익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1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813B1/ko
Priority to US13/658,245 priority patent/US20130223361A1/en
Publication of KR2013009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핀 코드(PIN code)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무선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전송하고, 프로브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신하고, 응답에 포함된 제 2 핀 코드와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 1 핀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ireless access channel thereof}
무선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채널 형성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직접 접속 통신이란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이 일대일(1:1) 또는 일대다(1:n)로 무선 통신 기기간에 직접 형성된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무선 직접 접속 통신을 이용하여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측 단말에서 무선 직접 접속이 가능한 수신측 단말을 검색하면, 다수의 수신측 단말이 송신측 단말에 표시된다. 이어서 송신측 단말의 사용자는 표시된 송신측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수신측 단말의 사용자는 약속된 식별 정보를 입력을 한다. 이와 같이 무선 직접 접속을 위한 양 단말이 정해지면 비로소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메시지를 주고 받아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즉 3G, 4G망이나 일반 WiFi망은 자동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망을 획득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었으나, 무선 직접 접속 통신 방식은 사용자가 관련 동작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어려운 설정방법으로 인해 사용자가 무선 직접 접속 통신을 사용하고자 할 때, 여러 번의 사용자 입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으로써, 무선 직접 접속 통신의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 사용자가 통신 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의 이름을 구분하기가 어려우므로, 원하는 상대방의 단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빠르고 간편하게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와 상기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 1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에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은, 제 1 핀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와 상기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 1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은,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에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은, 제 1 단말에서, 제 1 사용자의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단말과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할 제 2 단말을 검색하기 위하여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에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2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식별정보와 상기 제 2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제 2 단말로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무선 접속 채널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탐색 과정에서 핀 코드가 전송되기 때문에 무선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말 간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잡한 과정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정한 동작에 따라 핀 코드가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핀 코드를 입력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의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에서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에서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은 상호간 무선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단말은 제 1 사용자의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한다(S101). 예컨대, 제 1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각각의 동작과 임의의 숫자가 매핑된 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핀 코드(PIN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단말은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제 2 단말로 전송한다(S102). 프로브 리퀘스트란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을 찾기 위한 요청 신호 또는 탐색 메시지가 될 수 있다.
한편 제 2 단말 역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한다(S103). 예컨대, 제 2 단말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각각의 동작과 임의의 숫자가 매핑된 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핀 코드(PIN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코드테이블은 제 1 단말에서 사용된 코드테이블과 동일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단말은 프로브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프로브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 2 핀 코드가 포함된 프로브 리스판스(probe response)를 생성한다(S104). 즉 프로브 리스판스는 프로브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말은 제 2 식별정보가 포함된 프로브 리스판스를 제 1 단말로 전송한다(S105).
이어서 제 1 단말은 프로브 리스판스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와 과정 S101에서 생성된 제 1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예컨대,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 경우,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에 동일한 코드테이블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말에서 생성된 제 1 핀 코드와 제 2 단말에서 생성된 제 2 핀 코드가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단말을 특정한 방향으로 흔드는 동작, 단말에 구비된 각종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한 제스처, 키패드의 터치 모션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제 1 식별정보와 제 2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제 1 단말은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 2 단말로 전송한다(S107).
그리고 제 2 단말은 연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제 1 단말로 전송한다(S108).
이어서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무선 접속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S109). 여기서 형성되는 무선 접속 채널은 무선 직접(direct) 접속 채널이 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라,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사용자의 각 동작에 대응되는 핀 코드를 생성한 이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무선 직접 통신과 관련된 모듈을 활성화(ON)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송신측의 단말(예컨대, 도 1의 제 1 단말)에 관한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는 입력부(120), 흐름제어부(140), 제어부(160), 및 신호처리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파일 전송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무선 직접 접속에서 사용할 핀 코드(예컨대, 제 1 핀 코드)를 만든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경로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만들어진 핀 코드를 파일전송요청과 함께 흐름제어부(140)에 전달해서, 흐름제어부(140)가 파일 전송 수행 과정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20)로 수신되는 정보는 전송 대상 파일의 경로 정보와 핀 코드 생성에 필요한 사용자의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입력부(120)는 동작인식부(121), 코드매칭부(122), 및 테이블저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인식부(121)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한다. 인식되는 사용자의 동작은 터치 등의 각종 조작 모션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동작인식부(121)는 터치스크린, 카메라, 압력 센서 등의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코드매칭부(122)는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을 사전에 정해놓은 값으로 기호화하고, 기호화된 값과 매칭되는 값을 코드테이블에서 찾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입력 동작이 단말에 입력되면, 우선 사용자의 파일 전송 요청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파일 전송 요청이 통보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android platform)이 적용된 단말기의 경우, 터치 스크린이나 여러 센서들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운영체제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통해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입력 정보로 통보된다. 사용자 입력 동작을 터치 스크린이나 여러 센서에서 인식 했을 경우, 사용자 입력 동작은 안드로이드 인텐트(android intent)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인텐드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하는 시스템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달 요소가 될 수 있다. 즉 동작인식부(121)에서는 수신된 인텐트를 통해 받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코드매칭부(122)에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으로는 스마트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키패드 및 다양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여러 센서 및 장치(카메라, 자이로 센서 등)의 센싱 정보들을 포함한다.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이 단말에서 선택되면, 사용자 입력 정보는 코드매칭부(122)로 전달된다.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의 사용자 입력 동작이 실시 될 수도 있으며, 여러가지 입력 방식이 가능하다.
코드매칭부(122)는 동작인식부(121)에서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전에 정해놓은 정수값으로 기호화하고, 이 정수값과 매칭되는 핀 코드를 테이블저장부(123)에 저장된 코드테이블에서 검색하고, 별도의 저장 영역에 검색된 핀 코드를 저장한다.
테이블저장부(123)에 저장된 코드테이블의 예는 다음과 같다. 다만 아래의 코드테이블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정수값과 핀 코드만이 매칭된 2열 테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112012015446209-pat00001
예시된 코드테이블은 파일 형태로 관리되며, 파일 전송 동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또는 핀 코드 검색이 필요할 때,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코드테이블에서의 핀 코드 검색은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인자로 갖고 char형 문자열로 핀 코드 값을 return하는 함수로 구현될 수 있다. 코드테이블의 각 행들은 하나의 struct구조로 관리되어 linked list 구조나 배열 등의 자료형으로 저장되어 질 수 있다. 배열로 저장될 경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정수값을 순차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검색 속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검색된 핀 코드는 특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핀 코드가 찾아지면, 입력부(120)는 파일 전송 요청을 흐름제어부(140)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 경로 정보와 검색된 핀 코드 정보까지 함께 전달된다. 흐름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넘어온 파일전송요청을 통해 무선 직접 접속을 위한 대상 단말기와 연결을 완료하고,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흐름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전달 받은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해 목적지 단말기를 찾고, 목적지 단말기에 파일을 전송하는 전체적인 흐름을 사용자의 추가 입력 없이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흐름제어부(140)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내의 서비스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흐름제어부(140)는 장치검색부(141)와 데이터송수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검색부(141)는 파일 수신을 받을 목적지 단말기를 찾고, 목적지 단말기와 무선 직접 접속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송수신부(142)는 장치검색부(141)로부터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이 완료되었다는 통보를 받은 후, 목적지 단말기와 실제 파일 송수신을 담당한다. 목적지 단말기의 식별은 송신측 사용자와 수신측 사용자의 동일 혹은 협의된 사용자 입력 동작에 의해 가능하다.
무선 직접 접속 방식으로 Wifi-Direct가 사용되는 경우, 흐름제어부(140)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입력부(120)가 핀 코드와 함께 파일 전송 요청을 흐름제어부(140)에 전달한다. 2)전송요청을 받은 흐름제어부(140)에서, 장치검색부(141)가 제어부(160)에 Wifi Direct 장치를 활성화 할 것을 요청한다. 3)제어부(160)로부터 Wifi Direct장치가 활성화 되었다는 통보를 장치검색부(141)가 받게 되면, 장치검색부(141)는 Wifi Direct가 가능한 장치를 검색해 줄 것을 제어부(160)에 요청하여, 목적지 단말기를 찾는다. 4)제어부(160)에서는 단말기 검색을 위해 프로브 리퀘스트(Probe Request)를 보내고, 프로브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리스판스(Probe Response)를 기다리면서, Wifi-Direct가 가능한 단말기를 찾는다. 5)제어부(160)에서 파일을 송신할 대상이 되는 목적지 단말기 검색을 완료하고 이를 장치검색부(141)에 통보하면, 장치검색부(141)는 해당 목적지 단말기에 연결요청 메시지를 보내 무선직접접속 연결을 시작할 것을 제어부(160)에 지시한다. 6)장치검색부(141)가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제어부(160)로부터 통보 받게 되면, 데이터송수신부(142)는 연결이 완료된 목적지 단말기와 실제 파일 송수신을 한다.
이러한 파일 송수신 과정의 예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Wifi-Direct는 연결의 완료 과정에서, 연결된 단말기간에 Wifi-Direct 연결에서 사용할 IP주소가 할당이 되고, 이는 서로에게 공유된다. IP의 할당은 DH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공유가 되는데, 연결된 단말기들 중 한쪽이 할당을 해주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쪽이 할당을 요청하여 할당 받는 쪽이 된다. 할당을 해주는 쪽은 자신의 IP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게 되고, 할당을 요청하는 쪽의 IP를 DHCP과정을 통해서 할당해주게 된다. 파일 송수신을 위해 Wifi-Direct에서 사용할 IP 주소는 제어부(160)가 Wifi-Direct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흐름제어부(140)에 통보할 때 함께 알려 줄 수 있다. IP주소가 할당이 되었다는 것은, IP를 근간으로 하는 여러 단말의 연결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한쪽이 FTP 서버가 되고, 다른 한쪽이 FTP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여 모든 종류의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Wifi-Direct 연결이 완료되어 데이터송수신부(142)에 통보되면, 수신측 단말은 FTP Server를 기동 시켜 송신측의 FTP연결 요청을 기다린다. 송신측 데이터송수신부(142)는 FTP Client가 되어 수신측 IP 주소로 FTP연결을 요청한다. 수신측 단말은 FTP연결 요청에 대해서 수락하고, FTP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FTP Client인 송신측 단말의 데이터송수신부(142)에 알린다. 송신측 데이터송수신부(142)는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장치검색부(141)는 송신측의 흐름제어부(140) 내에 존재하며, 무선 접속 장치의 활성화와 무선 직접 접속이 가능한 장치의 검색을 제어부(160)에 요청하고, 제어부(160)에서 검색한 장치에 대한 연결 시도를 제어부(160)에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무선 직접 접속 방식의 연결 완료까지의 전체 흐름 관리를 한다. 입력부(120)에서 전달된 핀 코드를 이용하여, 목적지 단말기와의 연결을 완료할 수 있도록, 제어부(160)와 연동하여 목적지 단말기와의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의 형성을 완료한다. 협의된 동작에 의한 핀 코드 정보가 공유된 단말기들 끼리만 연결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해 목적지 단말기와의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제어부(160)와 연동된다.
우선, 흐름제어부(140)는 10진수의 8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핀 코드와 파일 위치 경로가 포함된 파일송신요청을 입력부(120)로부터 수신한다. 이 정보들을 C코드로 구현할 경우, 다음과 같은 struct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2015446209-pat00002
위의 정보 중 핀 코드 정보는 장치검색부(141)로 전달되고, 파일 위치 경로는 데이터송수신부(142)로 전달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Android platform)이 적용된 단말기에서 입력부(120)로부터의 파일 송신 요청은 바인더(Binder)를 통한 서비스(Service)의 기능을 호출하여 흐름제어부(140)를 관리하는 스레드(Thread)에 메시지(message)를 전달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연결 요청을 뜻하는 메시지에 입력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넣어 스레드의 메시지 큐(message Queue)에 넣는 방식으로 흐름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장치검색부(141)는 입력부(120)로부터 파일 전송 요청을 전달 받은 후, 제어부(160)에 파일을 전송할 무선 직접 접속 장치의 검색을 요청한다. 제어부(160)에서는 주위의 장치를 검색 후, 그 결과를 장치검색부(141)에 통보하고 장치검색부(141)에서는 검색 결과 리스트의 제일 첫 장치에 대한 무선 직접 접속 연결 시도를 제어부(160)에 요청한다. 제어부(160)에서는 장치검색부(141)로부터 받은 핀 코드 정보를 이용해, 수신측 단말기를 찾고, 검색이 완료되면 수신측단말기 정보를 흐름제어부(140)에 통보한다. 장치검색부(141)는 전달 받은 목적지 단말기에 연결요청을 할 것을 제어부(160)에 전달 하고, 제어부(160)는 무선직접접속장치 연결 과정을 시작한다. 장치검색부(141)가 제어부(160)로부터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통보 받게 되면, 데이터송수신부(142)에 이를 알려서 파일 전송 작업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장치검색부(141)가 제어부(160)로부터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통보 받게 되면, 데이터송수신부(142)에 이를 알려서 파일 전송 작업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일정 시간 동안 목적지 단말기를 찾지 못하면, 즉 송신측 단말에서 서로 부합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행된 파일 수신측 단말기와 연결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파일 전송 과정을 취소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POP UP 등으로 알려준다.
데이터송수신부(142)는 흐름제어부(140) 내에 존재하며, 실제 파일송수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송수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파일 전송에 필요한 연결을 설정하고, 입력부(120)로부터 받은 파일경로의 대상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 혹은 수신한다. 제어부(160)로부터 무선 직접 접속 연결 완료 통보가 오게 되면, 장치검색부(141)는 이를 데이터송수신부(142)에 알리고, 데이터송수신부(142)는 파일전송에 필요한 연결을 설정한 후, 설정된 연결을 통해 입력부(120)로부터 전달 받은 파일경로의 대상 파일을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파일전송에 필요한 연결은 FTP가 이용될 수 있다.
FTP연결은 TCP연결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FTP연결 설정 과정 전에 TCP 연결이 완료되어야 한다. FTP 연결시 사용되는 파일 수신 측 단말(예컨대, FTP server)의 port 번호는 약속된 21번이 사용될 수 있다. FTP연결에 사용되는 USER ID와 PASSWORD는 핀 코드와 동일한 값을 사용하거나 미리 약속된 고정된 값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FTP 연결 설정 완료 후, 파일 전송이 이루어 지며, 전송할 파일 정보는 입력부(120)에서 파일 전송 요청과 함께 들어온 값이 사용될 수 있다. 파일송수신을 위한 FTP연결이 완료되면, 파일 송신 측단말(예컨대, FTP client)은 목적지 Port를 FTP 서버의 Port 20번으로 하여, TCP연결을 설정하고 파일 송신을 수행한다. 파일 수신측의 단말은 파일 데이터들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은 FTP연결 설정 완료 후, 파일 전송이 일어나는 세부 과정을 나타낸다.
파일송수신용 TCP연결은 기존에 설정되어있는 FTP연결용 TCP연결을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TCP연결을 사용한다. 파일 송신을 하려는 송신 측의 단말은 수신 측 단말에 파일 전송용 TCP연결에 사용할 PORT 정보를 알려주고, 파일을 전송할 것임을 통보한다. 수신 측 단말은 전달받은 Port로 TCP 연결을 시도하고, 송신 측 단말은 이를 받아들여 TCP 연결 설정을 완료함으로써 파일송수신용 TCP연결 설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수신 측 단말의 TCP연결 Port는 미리 약속된 20번이 사용될 수 있다. TCP연결 설정이 완료된 후, 실제 데이터들이 송수신된다. 전송되는 TCP Segment중 마지막 데이터가 포함된 TCP segment에는 FIN flag를 1로 설정하여 마지막 데이터임을 알린다. 마지막 데이터를 받은 수신 측 단말에서는 TCP연결 종료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TCP연결이 종료 된 후, 수신 측 단말에서 송신 측 단말로 파일 전송 완료를 알려주는 것(FTP 226)으로 마지막으로 파일 송수신이 완료된다.
제어부(160)는 흐름제어부(140)의 요청에 의해 무선 직접 접속 장치를 활성화하고, 신호처리부(180)와 연동하여 실질적인 무선 직접 접속 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흐름제어부(140)의 데이터송수신부(142)에서 넘어온 파일 데이터들을 신호처리부(180)에 전달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데이터가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60)에서는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이 완료될 경우 흐름제어부(140)에 이를 통보하게 된다. 무선 직접 접속 연결 과정 중, Wifi-Direct의 경우 DHCP 프로토콜을 이용한 양단말기간 IP 할당 역시 제어부(160)에서 담당하게 되고, 양측에 할당된 IP 정보는 흐름제어부(140)에 공유되어 파일 전송을 위한 연결설정과 실제 파일 전송 시에 사용된다.
제어부(160)는 신호처리부(180)와 연동하여 무선 직접 접속 장치의 드라이버(Driver)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흐름제어부(140)로부터 무선 직접 접속 장치의 활성화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장치를 활성화시켜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을 형성할 준비를 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검색 요청에 따라 일정 범위내의 단말기 탐색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흐름제어부(140)에 통보한다. 제어부(160)는 흐름제어부(140)로부터 연결 요청에 대한 명령이 전달될 경우, 해당 단말기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보내도록 신호처리부(18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상대 단말기에서 연결요청에 대한 응답이 오면, 그 응답에 포함된 핀 코드(예컨대, 제 2 핀 코드)와 입력부(120)에서 생성된 핀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하다면, 연결 수락 메시지를 상대 단말기(수신측)에 보내서 연결을 완료한다.
무선직접접속 방식으로 Wifi-Direct를 사용할 경우, 연결 수락 메시지를 보낸 후, DHCP를 통한 IP 할당 과정이 수행된다. 예컨대, 연결된 두 단말기 중 한쪽이 DHCP Server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한쪽이 Client가 되어 DHCP의 IP할당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erver측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IP주소를 자신에게 할당하게 된다. 할당된 IP는 양측에서 공유되고 이후, 파일 전송 단계에서 이용된다.
무선 직접 접속 방식으로 Wifi-Direct를 채용했을 때의 상대 단말기 탐색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Wifi-Direct는 일반적인 Wifi 표준 규격인 802.11n을 따른다.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WiFi-Direct를 이용한 단말기 상호간의 연결 시 802.11n 표준 규격에서 정하는 모든 채널에 대해 스캐닝을 마친 후, 빠른 채널 탐색을 위하여 WiFi-Direct 표준규격에서 정한 특정 소셜 채널(social channel), 즉 1, 6, 11번 채널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며, 일정 시간 탐색 후, 일정 시간 대기를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WiFi Alliance는 WiFi-Direct에 대해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반 Wifi에 특정 요구사항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802.11b에서 사용하는 Data rate인 1, 2, 5.5, 그리고 11Mbits/sec을 지원하는 채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과, 802.11 표준 주파수 대역인 2.4GHz대역에서 소셜 채널인 1,6,11번 채널 사용을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Wifi-Direct가 특정 소셜 채널인 1,6,11번 채널을 반복 탐색하는 이유는, 이러한 requirement로부터 Wifi-Direct를 사용하는 단말들이 보다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Wifi-Direct 단말기의 탐색 단계의 단말은 랜덤시간 동안 탐색 및 대기단계를 반복한다. 탐색단계에 이른 P2P단말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특정 소셜 채널로 전송하고, 만일 그 시점에 동일채널에서 대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P2P단말이 있는 경우, 전송된 프로브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으로서 프로브 리스판스를 교환함으로써 상호간에 연결하고자 하는 두 단말이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에 이르며, 서로 통신 할 수 있는 준비 과정이 성립된다. 만약, 특정 소셜 채널에서 탐색단계에 이른 단말이 프로브 리퀘스트를 전송하였으나, 동일 채널 내에 대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브 리스판스를 받지 못하게 되며, 다시 대기단계 진입 및 또 다른 소셜 채널 탐색을 반복하므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Wifi-Direct 가능 단말을 탐색한다.
본 발명에서 파일 전송 측에서 파일 수신측을 찾기 위해 상기 단말기 탐색과정에 추가되는 사항은, 수신측의 프로브 리퀘스트 또는 프로브 리스판스의 P2P IE(information element)에 추가적인 속성(attribute)을 정의하고, 해당 속성에 프로브 리스판스 송신 시 핀 코드 정보를 실어 보내게 한다. 파일 송신측에서는 이를 통해 단말기 탐색과정에서 수신측 단말기를 바로 구별해 낼 수 있고, 시행착오 없이 실제 목적지 단말로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 탐색과정을 거쳐서 검색된 단말기에 연결 요청을 보낸 후, 그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받고 나서 핀 코드 확인 절차가 가능하였고, 이로 인해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 즉, 같은 핀 코드를 공유하는 단말을 찾기 위해서는 연결 요청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 본 후에 응답메시지의 핀 코드와 송신측 단말이 가지고 있는 핀 코드를 비교 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단말간의 연결이 가능했다. 본 발명에서는 탐색과정에서 이미 목적지 단말을 구별하도록 하여, 검색된 단말 중 실제 수신을 원하는 즉, 핀 코드가 송신측과 같은 단말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되면, 여러 단말기가 검색될 경우, 시행착오 없이 해당 단말에만 연결 요청을 보낼 수가 있다.
프로브 리스판스의 Tagged parameters에는 여러 Information Element(IE) Tag들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추가 하고자 하는 Pin Code Info. Attribute는 P2P IE에 추가된다. P2P IE는 하나 이상의 Attribute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브 리스판스 내의 P2P IE의 Attribute에 추가될 PIN Code Info. Attribute의 format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15446209-pat00003
예를 들어, PIN code info.가 12345678 일 경우,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 P2P PIN Code Info. Attribute
* Attribute Type : P2P PIN Code Info. (255)
* Attribute Length : 8
* PIN code Info. : 12345678
여기서 Attribute ID를 255로 할당 한 것은 P2P IE에 포함 되는 attribute ID의 정의된 값들 중 reserved 값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기 탐색 과정을 마친 후, 제어부(160)는 상호 연결된 P2P단말이 흐름제어부(140)에서 연결을 지시한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흐름제어부(140)에서 지정한 단말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연결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흐름제어부(140)에서 단말 검색 명령과 함께 내려온 제 1 핀 코드와 응답메시지에 실려온 제 2 핀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어부(160)는 연결수락 메시지를 전송하고, DHCP를 통한 IP 할당 과정을 시작한다. 일치하지 않는다면, 해당 단말기에 대해서 연결요청이 실패했음을 흐름제어부(140)에 통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P2P그룹 형성을 위하여 어떤 단말이 WiFi-Direct 그룹의 오너가 될 지를 설정한다. 그룹오너 단말은 양방향 통신채널 설정을 위해 필요한 여러가지 환경변수들을 세팅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변수들을 환경설정 메시지인 "Negotiation Request"에 담아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Negotiation Response"을 수신함으로써, 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과 연결요청을 수신하는 단말 사이의 통신환경에 대한 협상을 마무리 하게 되면, P2P 그룹형성이 완료된다. P2P그룹이 형성되면, 통신 채널이 설정되고,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 진다.
P2P그룹형성이 완료되면, 연결요청을 수신하는 단말과 연결요청을 시도하는 단말이 DHCP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IP를 할당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DHCP는 네트워크상의 IP 주소를 DHCP 서버에서 동적으로 관리하며, 필요할 때 마다 적절하게 IP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는데, WifI-Direct로 연결된 단말들은 영구적인 IP할당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WiFi-Direct로 연결된 상호간의 단말은, 그룹오너 단말이 DHCP 서버로서의 역할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만 유효한 임시 IP를 할당한다. 제어부(160)에서 이러한 형태로 할당된 IP정보를 흐름제어부(140)로 넘겨줌으로써, 흐름제어부(14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각 할당된 IP를 바탕으로 여러가지 형태로의 IP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80)는 제어부(160)로부터 넘어온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Wifi-Direct 무선망으로 보낼 데이터를 frame하고, 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Wifi-Direct 데이터를 unframe하는 기능을 한다.
신호처리부(180)는 802.11n 표준규격을 따르는 Wifi-Direct 지원 단말에서, 제어부(160)로부터 넘어온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무선 링크를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에게 전송하거나 연결요청을 수신하는 단말로부터의 응답 프레임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신호처리 과정을 통해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무선링크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장치이다. Wifi-Direct 연결과정에서 상호간에 그룹을 형성한 단말들은 신호처리부(180)에서 802.11n의 무선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OFDM 전송 심볼을 만들고, 이를 안테나를 통해 Wifi-Direct 무선신호를 무선링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수신측 단말(예컨대, 도 1의 제 2 단말)에 관한 일 예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00)는 입력부(220), 흐름제어부(240), 제어부(260), 및 신호처리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도 2와 동일하다.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도 3에서, 흐름제어부(240)에는 장치검색부(141)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 260)를 비교하면, 도 2의 제어부(160)는 핀 코드 해석부(161)를 포함하고, 도 3의 제어부(260)는 핀 코드 적용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핀 코드 해석부(161)는 송신측 입력부(120)에서 생성된 핀 코드(제 1 핀 코드)와 프로브 리퀘스트에 포함된 핀 코드(제 2 핀 코드)간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핀 코드 적용부(261)는 수신측 입력부(220)에서 생성된 핀 코드(제 2 핀 코드)를 프로브 리퀘스트에 삽입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파일 수신측의 경우는 흐름제어부(240)의 동작은 파일 송신측의 흐름제어부(140)에 비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부합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된 송신측과 동일한 핀 코드 정보를 파일 수신 요청과 함께 흐름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수신요청을 받은 흐름제어부(240)는 제어부(260)에 Wifi-Direct 장치를 활성화 할 것을 요청한다. 이어서 흐름제어부(240)는 제어부(260)로부터 Wifi-Direct장치가 활성화되었다는 통보를 받고, Wifi-Direct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제어부(260)가 알려줄 때까지 대기한다. Wifi-Direct연결 완료를 제어부(260)로부터 통보 받으면, 데이터송수신부(241)는 송신측과 실제 파일 송수신 작업을 수행한다. FTP 연결을 이용하여 파일수신을 받을 경우, Wifi-Direct연결이 완료된 후, FTP 서버를 구동하고, 송신측의 FTP 연결요청을 기다린다. 송신측으로부터 FTP연결 요청이 오면, 수신측 데이터송수신부(241)는 FTP연결 요청에 대해서 수락하고, FTP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FTP Client인 송신측 단말에 알린다. 그러면 송신측 데이터송수신부(예컨대, 142)는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측 단말에서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통해 단말기의 입력부(120)에 데이터 송신을 요청한다(S405). 입력부(120)는 동작인식부(121)에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달하고, 동작인식부(121)는 사용자 동작을 해석하여 기호화 한다(S410). 코드매칭부(122)는 사용자 동작과 핀 코드를 매핑시켜놓은 코드테이블에서 해당 사용자 동작에 대응되는 핀 코드 정보를 독출해 입력부(120)에 전달한다(S415). 입력부(120)는 흐름제어부(140)에 핀 코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데이터 송신 요청을 통보하고, 흐름제어부(140)의 장치검색부(141)는 제어부(160)를 통해 무선 직접 통신을 활성화시킨다(S420). 장치검색부(141)는 연결 가능 단말기 검색을 제어부(160)에 요청하고, 제어부(160)는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이 가능한 주변의 단말기를 검색한다(S425). 그리고 신호처리부(180)는 무선 직접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부터 프로브 리스판스를 수신한다(S430). 만약 수신된 프로브 리스판스의 P2P IE(information element)내에 PIN code attribute가 있는지 찾고, 없으면 다른 프로브 리스판스를 기다린다(S435). 수신된 프로브 리스판스의 P2P IE내에 PIN code attribute가 있을 경우, PIN code attribute에서 프로브 리스판스를 보낸 단말기의 핀 코드 정보를 추출하여 S315에서의 핀 코드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다면, 프로브 리스판스를 다시 기다린다(S440). 만약 핀 코드가 일치하면, 연결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S450). 이어서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연결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여 무선 직접 통신 연결을 완료한다(S455~S465). 데이터송수신부(142)는 연결된 무선 직접 접속 채널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S47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측 단말에서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송신 측의 S305에서 입력된 사용자 동작에 부합하는 동작 입력을 통해 단말기에 수신 요청을 통보하고 입력부(220)는 이를 인식한다(S505). 입력부(220)는 동작인식부(221)에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달하고, 동작인식부(221)는 사용자 동작을 해석하여 기호화한다(S510). 동작인식부(221)는 사용자 동작과 핀 코드를 매핑시켜놓은 코드테이블에서 해당 사용자 동작에 대응되는 핀 코드 정보를 읽어와 입력부(220)에 전달한다(S515). 입력부(220)는 흐름제어부(240)에 핀 코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데이터 수신 요청을 통보하고, 흐름제어부(240)는 제어부(260)를 통해 무선 직접 통신을 활성화시킨다(S520). 이어서 흐름제어부(240)는 단말기 탐색을 위한 프로브 리퀘스트를 기다린다(S525). 프로브 리퀘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260)는 프로브 리스판스에 S520에서 전달받은 핀 코드를 실어서 송신한다(S527). 이어서 신호처리부(280)를 통해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연결 응답 메시지를 송신 및 연력 수락 메시지를 수신 한 후, 무선직접접속 연결이 완료된다(S530~S550). 데이터송수신부(241)는 연결된 무선 직접 접속 연결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데이터를 수신한다(S555).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라, 일대일 파일 전송 완료 후에, 타 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대다 연결을 통해 각 단말기 사용자의 특정 동작 한번으로 여러 단말이 파일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입력의 특정 동작과 수신을 원하는 특정 파일(예, 연락처, 명함 등)을 연계시켜서, 수신 받고자 하는 파일을 특정동작을 통해 상대방에 요청하고, 요청받은 상대방은 단말기에 약속된 동작을 입력함으로써 상대방이 원하는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 양상에 따라, 송신측 단말에 사용자 입력의 특정 동작을 입력하면, 수신측 단말에 사전에 약속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의 값에 따라 사전에 매핑되어져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측 단말에서 단어 입력 혹은 단어 선택을 한 후, 무선 접속 방식을 이용해 수신측의 사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송신측에서 선택한 단어의 뜻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탐색 과정에서 핀 코드가 전송되기 때문에 무선 직접 접속이 가능한 단말 간의 채널을 형성하는 복잡한 과정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특정한 동작에 따라 핀 코드가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핀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120, 220: 입력부
140, 240: 흐름제어부
160, 260: 제어부
180, 280: 신호처리부
121, 221: 동작인식부
122, 222: 코드매칭부
123, 223: 테이블저장부
141: 장치검색부
142: 데이터송수신부
161: 핀 코드 해석부
261: 핀 코드 적용부

Claims (20)

  1. 수신 단말과 상호간 무선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제 1 사용자의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와 상기 입력부에서 생성된 제 1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과의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여 상기 제 1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동작과 임의의 코드가 매핑된 코드테이블을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
    상기 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코드매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추가적 입력 없이, 상기 제어부로 상기 무선 접속의 활성화 및 상기 단말의 검색을 요청하는 장치검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채널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검색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 1 식별정보 및 파일 경로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식별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 경로를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7. 송신 단말과의 상호간 무선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에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여 상기 제 2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동작과 임의의 코드가 매핑된 코드테이블을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
    상기 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코드매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형성된 무선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11. 수신 단말과 상호간 무선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에 있어서,
    제 1 사용자의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를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와 상기 제 1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과의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여 상기 제 1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추가적 입력 없이, 상기 무선 접속의 활성화 및 상기 단말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 채널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6. 송신 단말과의 상호간 무선 접속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접속이 가능한 단말의 검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에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송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여 상기 제 2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기 응답 신호에 따라 형성된 무선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20. 제 1 단말에서, 제 1 사용자의 제 1 동작에 대응되는 제 1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단말과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할 제 2 단말을 검색하기 위하여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서, 제 2 사용자의 제 2 동작에 대응되는 제 2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서,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에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식별정보와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2 식별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식별정보와 상기 제 2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제 2 단말로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2 단말이, 상기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접속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무선 접속 채널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접속 채널 형성 방법.
KR1020120019340A 2012-02-24 2012-02-2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KR10133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40A KR101332813B1 (ko) 2012-02-24 2012-02-2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US13/658,245 US20130223361A1 (en) 2012-02-24 2012-10-23 Terminal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access 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40A KR101332813B1 (ko) 2012-02-24 2012-02-2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587A KR20130097587A (ko) 2013-09-03
KR101332813B1 true KR101332813B1 (ko) 2013-11-27

Family

ID=4900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340A KR101332813B1 (ko) 2012-02-24 2012-02-24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23361A1 (ko)
KR (1) KR101332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2840B2 (ja) * 2009-04-08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12903B2 (ja) * 2013-02-22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219667B (zh) * 2013-05-31 2018-05-11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用于建立连接的方法及设备
WO2015094216A1 (en) * 2013-12-18 2015-06-25 Intel Corporation Reducing connection time in direct wireless interaction
CN103716390A (zh) * 2013-12-25 2014-04-09 广西大学 一种数据分享方法及终端
CN104703252B (zh) * 2015-02-13 2018-06-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设备接入无线网络的方法及装置
JP6570355B2 (ja) * 2015-07-21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32333B2 (ja) 2015-07-21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80070B1 (ko) * 2015-08-25 2022-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4061089A1 (de) * 2021-03-15 2022-09-21 Bodo Michael Schick Verfahren und system zum erstellen eines vom zentralnetz unabhängigen netzes zwischen zwei oder mehr mobilen vorrichtungen
WO2023132377A1 (ko) * 2022-01-04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944A (ja) 2006-06-27 2008-01-17 Canon Inc 無線通信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80026954A (ko) * 2006-09-2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등록을 제공하는 방법
JP2009543418A (ja) 2006-07-06 2009-12-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第1の無線電話と第2の無線電話との間の通信方法
KR20110073239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145B1 (en) * 2005-05-04 2012-02-28 Marvell International Ltd. Enhanced association for access points
JP5270947B2 (ja) * 2008-04-01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無線通信装置、基地局、管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771586B (zh) * 2008-11-14 2013-10-09 华为终端有限公司 Wi-Fi点对点网络实现添加设备的方法、系统和设备
KR101719161B1 (ko) * 2010-05-13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iFi 기반의 단말기 및 그의 채널 운용 방법
US8572698B1 (en) * 2010-05-20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ng a legacy wireless device to a WPS-enabled access po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944A (ja) 2006-06-27 2008-01-17 Canon Inc 無線通信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9543418A (ja) 2006-07-06 2009-12-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第1の無線電話と第2の無線電話との間の通信方法
KR20080026954A (ko) * 2006-09-2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등록을 제공하는 방법
KR20110073239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3361A1 (en) 2013-08-29
KR20130097587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813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접속 채널의 형성 방법
US98264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U20113242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reless network in a digital device
EP3253080B1 (en) Data sharing method and system
CN105992306B (zh) 一种终端与家庭网关的绑定方法
KR101840725B1 (ko)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p2p 연결 제어 방법
EP2782399B1 (en) Method of connecting networks using Wi-Fi Direct i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image forming system
EP271363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Support Wi-Fi Direct and Method of Wi-Fi Direct Connecting Therein
CN102984197A (zh) 支持点对点连接的成像设备及其管理地址簿的方法
WO2019134595A1 (zh) 配置系统、客户端设备、嵌入式设备配置方法及存储介质
CN108781473B (zh) 一种在不同终端间共享文件的方法及设备
WO2014161266A1 (zh) 应用软件的传输方法、终端及系统
CN111050415B (zh) 一种操作便捷的无线数据传输方法
CN105474669A (zh) 对无线usb设备提供持久usb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90032845A (ko) 근거리 통신의 재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385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38814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40029340A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CN112333062A (zh) 家居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40116350A (ko)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KR101494460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기기 간 데이터 공유 장치및 방법
KR10134476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사이의 파일 공유 방법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KR20140029342A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03972B1 (ko) Uicc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파일 등록방법과 p2p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