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04U -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 Google Patents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04U
KR20180000104U KR2020160003799U KR20160003799U KR20180000104U KR 20180000104 U KR20180000104 U KR 20180000104U KR 2020160003799 U KR2020160003799 U KR 2020160003799U KR 20160003799 U KR20160003799 U KR 20160003799U KR 20180000104 U KR20180000104 U KR 201800001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assage
rods
folding rod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이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규 filed Critical 이원규
Priority to KR202016000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104U/ko
Publication of KR20180000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된 상태에서 신체부위에 대한 안마와 함께 손잡이에 대한 파지를 통해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접이된 단부를 통해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접이된 상태로부터 펼쳐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신체의 등 부위를 손쉽게 긁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미사용시에는 접이하여 보관하기 위한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MULTI-FUNCTION PAIN RELIEF APPARATUS WITH FUNCTION OF SCRATCHBACK AND SELF MASSAGE TOOL}
본 고안은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제1,2접이봉의 타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인접하도록 접히면서 안마봉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신체부위에 대한 안마와 함께 손잡이에 대한 파지를 통해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접이된 단부를 통해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제1,2접이봉의 타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펼쳐지면서 효자손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신체의 등 부위 등을 손쉽게 긁을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이하여 보관하기 위한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효자손은 대나무의 끝을 손가락처럼 구부려 손이 닿지 않는 부위를 긁을 수 있도록 만든 물건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효자손은 사용자가 등을 쉽게 긁기 위해 납작한 형상의 판 부재의 일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긁기 돌기가 구비되는 형태를 이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6051호(2015.02.11)에는 다기능 융합 효자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기능 융합 효자손 장치는 길이가 길어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것은 물론,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대한 지압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6051(2015.02.11.) '다기능 융합 효자손 장치'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1,2접이봉의 타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인접하도록 접히면서 안마봉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신체부위에 대한 안마와 함께 손잡이에 대한 파지를 통해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접이된 단부를 통해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제1,2접이봉의 타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펼쳐지면서 효자손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신체의 등 부위 등을 손쉽게 긁을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이하여 보관하기 위한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에 복수의 긁음돌기가 형성되는 제1접이봉;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에 안마돌기가 형성되는 제2접이봉; 및 상기 제1,2접이봉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접이봉은,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펼쳐지면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를 통한 긁기 동작이 가능한 효자손을 이루거나,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인접하도록 접혀지면서 상기 안마돌기를 통한 안마 동작이 가능한 안마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접이봉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면 일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안마봉의 손잡이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를 이루는 표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마돌기는, 상기 제2접이봉의 양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타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반구 형태를 이루며,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는, 상기 제1,2접이봉이 상기 안마봉을 이룸에 따라 상기 안마돌기의 내측과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접이봉은, 상기 제1,2접이봉이 상기 안마봉을 이룸에 따라 상기 손잡이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접이봉과의 사이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마돌기를 통한 안마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접이봉과 반대되는 방향 또는 상기 제1접이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접이봉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이봉은,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이봉은, 일단부 외측면에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인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제1,2접이봉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홈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1,2접이봉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효자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접이봉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를 통한 상기 효자손의 긁음 동작에 따라 상기 제1,2접이봉이 접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타단부가 상기 제1접이봉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V'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안마봉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돌출되어 신체부위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이봉은, 내측면 타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표면에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가 형성되는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과 반대되는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2접이봉의 타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인접하도록 접히면서 안마봉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신체부위에 대한 안마와 함께 손잡이에 대한 파지를 통해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접이된 단부를 통해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대한 지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접이봉의 타단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펼쳐지면서 효자손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손이 쉽게 닿지 않는 신체의 등 부위 등을 손쉽게 긁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미사용시에는 접이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서 안마봉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서 효자손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에서 제1,2접이봉이 접힘, 펼침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이하 "통증완화장치" 라 한다)(1)는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에 복수의 긁음돌기(11)가 형성되는 제1접이봉(10),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에 안마돌기(21)가 형성되는 제2접이봉(20) 및 상기 제1,2접이봉(10,20)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30)을 포함한다.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접이봉(10,20)의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펼쳐지면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를 통한 긁기 동작이 가능한 효자손(100)을 이룬다.
또한,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접이봉(10,20)의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인접하도록 접혀지면서 상기 안마돌기(21)를 통한 안마 동작이 가능한 안마봉(200)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상기 제1,2접이봉(10,20)을 접이하거나, 펼침에 따라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2접이봉(10,20)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면 일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안마봉(200)의 손잡이(210)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1,2접이봉(10,20)의 내측면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된 상태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측면은 그 반대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내,외측 방향은 내측면 방향 및 외측면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제1,2접이봉(10,20)은 상기 손잡이(210)를 이루는 표면에 다수의 지압돌기(12,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압돌기(12,22)는 상기 안마봉(200)을 이루는 상태의 상기 손잡이(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통증 부위 등에 대한 안마와 함께 손에 대한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마돌기(21)는 상기 제2접이봉(20)의 외측면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접이봉(20)의 표면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반구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이봉(20)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 즉, 손잡이(210)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마봉(200)을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1접이봉(10)과의 사이가 상기 손잡이(210)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2접이봉(10,20)이 인접하도록 접히면서 상기 통증완화장치(1)가 상기 안마봉(200)을 이루는 경우, 상기 안마돌기(21)가 신체부위를 두드림에 따라 상기 제2접이봉(20)의 타단부가 상기 제1접이봉(10)과 반대되는 방향 또는 상기 제1접이봉(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통증이 있는 신체부위에 대한 안마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접이봉(10)은 내측면 타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표면에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가 형성되는 돌출판(13)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13)과 반대되는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파지홈(14)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홈(14)은 상기 통증완화장치(1)가 상기 효자손(100)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1접이봉(10)의 타단부 만을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를 통해 손바닥이나, 발바닥 등의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긁음돌기(11)는 상기 돌출판(1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는 상기 돌출판(13)에 고르게 배치되면서 가려움이 있는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돌출판(13)은 원형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안마봉(200)에 의한 안마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접이봉(10)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접이봉(20)의 내측 즉, 상기 안마돌기(2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통증이 있는 신체부위에 대한 안마 동작시 상기 제1,2접이봉(10,20) 간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의 크기에 따라 강약을 조절하면서 안마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는 상기 제1접이봉(10)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접이봉(20)의 내측 즉, 상기 안마돌기(21)의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인해 상기 제2접이봉(20)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이봉(10)은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이봉(2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단부 외측면에 상기 회전방지돌기(15)가 인입되는 회전방지홈(23)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15)는 타단부가 상기 제1접이봉(1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일단부가 'V'자 형태로 돌출되면서 상기 통증완화장치(1)가 상기 안마봉(200)을 이루는 경우 손바닥이나, 발바닥 등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15)는 상기 제1,2접이봉(10,20)이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홈(23)으로 인입되면서 일정 이상의 펼쳐짐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접이봉(20)을 파지한 상태에서의 긁음 동작시 접이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방지돌기(15)는 상기 회전방지홈(23)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1,2접이봉(10,20)이 상기 효자손(100)을 이룬 상태 이상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접이봉(20)을 파지한 상태에서의 긁음 동작시 상기 제1,2접이봉(10,20)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접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상기 제1,2접이봉(10,20)이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펼쳐짐에 따라 양단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효자손(10)을 이룬다.
상기 통증완화장치(1)가 상기 효자손(10)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2접이봉(20)의 상기 안마돌기(21)를 파지한 상태에서 긁음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접이봉은(10,20)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가 신체부위와 접촉되는 한편, 상기 회전방지돌기(15)가 상기 회전방지홈(23)으로 인입되면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상기 제2접이봉(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11)를 통해 손이 쉽게 닿지 않는 통증 부위 예를 들면, 등 쪽의 가려움 부위 등을 손쉽게 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증완화장치(1)는 상기 효자손(100)으로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나, 미사용시 상기 안마봉(200) 형태로 접이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통증완화장치 10 : 제1접이봉
11 : 긁음돌기 12 : 지압돌기
13 : 돌출판 14 : 파지홈
15 : 회전방지돌기 20 : 제2접이봉
21 : 안마돌기 22 : 지압돌기
23 : 회전방지홈 30 : 힌지축
100 : 효자손 200 : 안마봉
210 : 손잡이

Claims (7)

  1.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에 복수의 긁음돌기가 형성되는 제1접이봉;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에 안마돌기가 형성되는 제2접이봉; 및
    상기 제1,2접이봉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접이봉은,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펼쳐지면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를 통한 긁기 동작이 가능한 효자손을 이루거나,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인접하도록 접혀지면서 상기 안마돌기를 통한 안마 동작이 가능한 안마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이봉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면 일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안마봉의 손잡이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를 이루는 표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돌기는,
    상기 제2접이봉의 양단부 사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타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반구 형태를 이루며,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는,
    상기 제1,2접이봉이 상기 안마봉을 이룸에 따라 상기 안마돌기의 내측과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이봉은,
    상기 제1,2접이봉이 상기 안마봉을 이룸에 따라 상기 손잡이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접이봉과의 사이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마돌기를 통한 안마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접이봉과 반대되는 방향 또는 상기 제1접이봉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접이봉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봉은,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이봉은,
    일단부 외측면에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인입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제1,2접이봉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홈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1,2접이봉의 회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효자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접이봉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를 통한 상기 효자손의 긁음 동작에 따라 상기 제1,2접이봉이 접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타단부가 상기 제1접이봉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일단부가 'V'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안마봉을 이루는 상태로부터 돌출되어 신체부위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봉은,
    내측면 타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표면에 상기 복수의 긁음돌기가 형성되는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과 반대되는 외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KR2020160003799U 2016-06-29 2016-06-29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KR201800001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99U KR20180000104U (ko) 2016-06-29 2016-06-29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99U KR20180000104U (ko) 2016-06-29 2016-06-29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04U true KR20180000104U (ko) 2018-01-08

Family

ID=6127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99U KR20180000104U (ko) 2016-06-29 2016-06-29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1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637A (zh) * 2020-04-02 2020-07-14 赵晓议 有效穴位刮挠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051A (ko) 2013-08-03 2015-02-11 김소진 다기능 융합 효자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051A (ko) 2013-08-03 2015-02-11 김소진 다기능 융합 효자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637A (zh) * 2020-04-02 2020-07-14 赵晓议 有效穴位刮挠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37647A1 (en) Fascia tissue fitness device
US9597488B1 (en) Apparatus for applying roll-on/rub-on medications
US20180333323A1 (en) Hand Held Soft Tissue Instrument
US20140059792A1 (en) Hair Brush
KR20080003214U (ko) 개량 각질제거기
KR20180000104U (ko) 효자손 및 안마봉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통증완화장치
JP2005224510A (ja) 多機能掻痒解消具
JP5941537B2 (ja) マスカラ
CA3008467A1 (en) Nail polish removal apparatus
KR102034969B1 (ko) 플렉시블한 마사지표면을 갖는 피부 관리 기구
KR200455109Y1 (ko) 전신용 경락마사지 기구
US20200260921A1 (en) Handheld device for drying the lower extremities
KR101640760B1 (ko) 피부미용 마사지기
US20070093735A1 (en) Backscratcher
JP3176802U (ja) 薬剤塗布用器具
JP7106053B2 (ja) 頭部用ブラシ
KR102634531B1 (ko) 분할 구조를 가지는 마사지용 대나무 스틱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방법
JP7445806B1 (ja) 塗り薬塗り具
JP3122553U (ja) 化粧料の除去用衛生用具
JP2011104236A (ja) マッサージ器具
KR200496911Y1 (ko) 마사지 기구
JP7089712B2 (ja) クッションブラシ
JP6293339B1 (ja) 清掃化粧器具
JP2023012922A (ja) 健康増進器具及び健康増進方法
KR100536910B1 (ko) 여드름 제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